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8

        16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라남도 완도 연안 해역은 전복양식이 중요하고 최근 해상가두리 양식이 보편화되어 전복사육과 폐사에 중요한 수온의 변동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완도해역에 위치한 신지도, 청산도의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연속자동관측 수온자료를 이용하여 완도 양식장 해역의 수온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안에 가까운 신지도의 연간 수온변동 범위와 수온증가율이 청산도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수심이 낮은 연안 해역에서 하계 태양복사열에 의한 가열과 동계의 냉각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추계의 수온 감소율이 춘계의 상승률보다 컸고, 하계에 조석 주기의 단주기 수온변동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급격한 수온변화에 해당하는 큰 수온일교차는 청산도에서 크게 나타났다. 수온 자료로 판단한 전복양식장은 외해에 위치한 청산도가 연안보다 더 적절한 해역으로 판단된다.
        4,000원
        16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무격막식 전기분해 처리된 해수를 산화제로하는 NO 산화반응의 특성에 대해 실험적으로 살펴보았다. 폐순환 정전류 전기분해 시스템을 통해전해 시간이 길어질수록 전해수의 유효 염소농도와 온도, 염소산 이온의 비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전해수가 채워진 버블링 반응기에서 전해수의 유효염소농도와 온도에 비례하여 NO2로 산화되는 NO의 양이 증가하였다. 또한 산화되어 생성된 NO2는 전해수에 용해되어 HNO3- 이온으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168.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umerical simulation has been carried out to analyze seawater flow characteristics for shroud geometry variations with tidal current generation turbine. Seawater flow field characteristics in the turbine system are largely influenced by the shroud geometry. The vortex flow area in the diffuser part of the shroud gradually grows with the increase of shroud angle, but its recirculation velocity gets smaller. The centerline velocity of shroud increases with the length of cylinder part when diffuser part length and angle are constant(2.5m, 0.733rad) for the cylinder-diffuser type shroud system. Seawater velocity on the tip of turbine blade is pretty high, and as radial distance increases from the turbine axis, there is more gap between the fluid velocity isolines. These results in this study will be applicable for optimal design of tidal current generation system.
        4,000원
        169.
        2012.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군산군도의 해양수질의 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31개 정점을 선정하여 2011년 2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 조사를 실시하였다. 용존산소는 대부분의 해역의 분포범위와 평균 값이 7.5mg/L 이상으로 해역수질기준(국토해양부, 2008) 등급 I에 해당하는 수질을 보였고,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은 표층에서는 0.35~2.11mg/L와 저층에서는 0.11~1.99mg/L, 용존무기질소는 표층에서 0.29~6.06㎍-at./L와 저층에서는 0.70~
        4,000원
        170.
        2012.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soluble catalytic electrodes were fabrica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of Pt on Ti substrates and the performance of seawater electrolysis was compared in these electrodes to that is DSA electrodes. The Pt-sputtered insoluble catalytic electrodes were nearly 150 nm-thick with a roughness of 0.18μm, which is 1/660 and 1/12 of these values for the DSA (dimensionally stable anodes) electrodes. The seawater electrolysis performance levels were determined through measurements of the NaOCl concentration, which was the main reaction product after electrolysis using artificial seawater. The NaOCl concentration after 2 h of electrolysis with artificial seawater, which has 3.5% NaCl normally, at current densities of 50, 80 and 140 mA/cm2 were 0.76%, 1.06%, and 2.03%, respectively. A higher current density applied through the electrodes led to higher electrolysis efficiency. The efficiency reached nearly 58% in the Pt-sputtered samples after 2 h of electrolysis. The reaction efficiency of DSA showed higher values than that of the Pt-sputtered insoluble catalytic electrodes. One plausible reason for this is the higher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DSA electrodes; the surface cracks of the DSAs resulted in a higher specific surface area and higher reaction sites. Upon the electrolysis process, some Mg- and Ca-hydroxides, which were minor components in the artificial seawater, were deposited onto the surface of the electrode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electrical resistances of the electrodes. However, the extent of the increase ranged from 4% to 7% within an electrolysis time of 720 h.
        4,000원
        17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온실 내에서 선망 등 유채 6품종과 4계통에 대해 지하수(대조구) 및 해수 염 농도별 처리(해수 EC 4, 8,16 dS m−1)를 통해 염분에 대한 유채의 생리반응과 품종간내염성 차이를 조사하고자 수행 되었다. 해수 염 처리에 따른 유채 경장은 해수 염 농도의 증가에 반비례하였고, 해수 염농도 EC 8 dS m−1 이상 처리구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종실수량도 염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염 농도 8 dS m−1 이상에서 종실수량이 비교적 높았던 품종은 탐미유채, 탐라유채, 선망으로 나타난 반면, 내한유채과 목포114호는 종실 수량이 급속히 감소하여 품종간 내염성 차이를 확인하였다. 종자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올레인산 함량이해수 EC 4 dS m−1 처리구에서 소폭으로 증가(0.2~3.4%)를 보이다가 해수 EC 8 또는 16 dS m−1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하지만, 올레인산을 제외한 나머지 지방산 조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해수 염 농도별 처리에 따른 유채 유묘의 무기이온들을 분석한 결과, Na+와 Mg2+ 함량은 급격히 증가하였고,K+는 감소하였다. 식물체 내의 이러한 무기이온의 함량 변화와 토양환경의 높은 염 농도가 유채 생육 억제 및 수량 저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염분 농도가 높은 신간척지에서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발아기와 생육초기에 내염성에 강하고, 생육후기에 수량성이높은 유채 품종을 선발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대안이다.
        4,000원
        173.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토해양부는 매년 전국의 모든 해수욕장에 대해 개장 2개월 전에 10일 간격으로 2회 이상의 수질 조사를 통해 해수욕장의 적합 여부를 판정하도록 훈령으로 고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저질 악화 문제로 인해 운영상의 문제점이 있는 OO 해수욕장을 대상으로 2009년 6월부터 2010년 4월에 걸쳐 수질 저질 조사를 실시하여 해수욕의 가능성 여부를 판정하고 수질오염의 원인을 규명하여 그 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수질오염의 원인은 물 흐름의 장애로 장시간 해수가 체류되어 수온이 상승하고 침전된 물질이 재 부유되어 조류가 증식하고 탁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질저질 개선 대책으로서 우선 해수의 유통을 개선하고 침전된 퇴적물을 준설하거나 주변에 위치한 농경지 및 우 수를 차단하고 배출구를 해수욕장 바깥으로 이동시켜야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3,000원
        17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acteriological and physiochemical analysis of sea water and sediments in Tongyeong harbor was conducted to evaluate sanitary conditions. The samples were collected at 8 stations established once a month from June, 2008 to May, 2009. During the study period, the range of temperature was from 6.7 to 25.2℃, transparency ranged from 1.2 to 2.6 m, chemical oxygen demand ranged from 1.90 to 2.92 mg/L, dissolved oxygen ranged from 6.2to 10.5 mg/L, dissolved nitrogen ranged from 0.052 to 0.098 mg/L, phosphate ranged from 0.044 to 0.065 mg/L,respectively. Seafood, if eaten raw, carries the risk of food poisoning. Seafood poisoning is often cause by pathogenic microorganism originating from fecal contamination, such as Salmonella sp., Shigella sp. and norovirus. Fecal coliforms are an important indicator of fecal contamination. Therefore, data on fecal coliform are very important for evaluating the safety of fisheries in coastal areas. So, we investigated the sanitary indicate bacteria. The coliform group and fecal coliform MPN's of sea water in Tongyeong harbor were ranged from < 1.8~22,000/100 mL (GM 164.9 MPN/100 mL) and < 1.8~7,900 MPN/100 mL (GM 33.7 MPN/100 mL), respectively. Total coliform were detected 97.0% in 96 of samples and 68.9% of total coliforms were fecal coliforms. These results similar to another seawater detection ratio of total coloforms and fecal coliforms. The Vibrios was isolated and identified with VITEK system. Four hundred eighty strains that were obtained from sea water samples in Tongyeong harbor Detection ratio Vibrio alginolyticus, 34.2%, Vibrio parahaemolyticus, 13.8%, Vibrio vulnificus 10.0%, and V. mimicus 12.5% respectively. Vibrio cholerae O1, was not det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ranges of water content, ignition loss, COD,and acid volatile sulfates in sediments in Tongyeoung harbor were 41.0~57.4%, 7.8~10.5%, 6.51~9.30 mg/g,0.04~0.09 mg/g, respectively. Heavy metals in sediment of Tongyeoung harbor were Cd, 0.10 ± 0.05; Cu, 4.79 ± 8.20;As, 1.95 ± 0.17; Hg, 0.10 ± 0.07; Cr6+, 0.34 ± 0.12; Zn, 125.33 ± 16.40; Ni, 16.43 ± 1.93 mg/kg.
        4,000원
        175.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빈산소 수괴는 전세계적으로 얕은 연안의 바다에서 생태적으로 위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반도 남해동부연안의 가막만에서도 2007년 6월 말에 빈산소 현상이 나타났으며, 빈산소 수괴 소멸기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빈산소 수괴는 선소 인접지역에서 북서부 내만역의 연안을 따라 형성되어 있었다. 표층수와 저층수의 용존산소 농도는 빈산소 수괴에서 1.3mgL-1와 2mgL-1 이하, 그 외 지역은 각각 4.5~6.8mgL-1와 3.8~6.0mgL-1로 양호한 농도를 보였다. 빈산소 지역의 클로로필 a 농도는 표층 4.9~25.3μgL-1, 중층이 2.3~23.1μgL-1, 저층은 1.9~9.0μgL-1 범위였다. 가막만 빈산소 수괴의 발생은 3가지 수직적 형태로 나타났다. 첫 번째는 선소 주변에서 빈산소 수괴가 전 수심 층에서 발생되면서 어 패류의 폐사가 일어났다. 두 번째는 일반적인 빈산소 수괴 발생 형태인 저층에서부터 빈산소가 발생되어 있는 상태였다. 세 번째는 수온 역전 현상이 일어나면서 중층에서만 빈산소 수괴가 발생하였고 저층에는 빈산소 수괴가 발생하지 않았는데, 이러한 현상은 조사정점 9, 14 및 21의 호도마을 인접지역 연안에서만 발생하였다. 빈산소 수역에서는 해저면에 주로 서식하는 문절망둑 무리들이 수면위로 올라와 산소 결핍에 따른 입 올림을 하였으며 게류 및 고둥류 등이 갯가로 올라오는 등 이상행동을 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폐사된 생물들은 주로 문절망둑으로서 3천 마리 정도였고, 게 및 고둥류 일부가 폐사하였다.
        4,000원
        176.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2009년 1월부터 9월까지 총 4회(1월, 4월, 7월 9월) 사천만에서 해수와 표층퇴적물의 세균학 적․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것이다. 조사기간 중에 수온은 5.3∼24.9℃(평균 17.7±0.4℃), 투명도는 1.4∼2.5m(평균 1.8±0.5m), 부유물질 농도는 16.2∼35.8㎎/L(평균 24.2±2.2㎎/L), 화학적산소요구량 (COD)는 1.42~3.29 ㎎O2/L(평균 2.06±0.55 ㎎O2/L), 용존산소(DO)는 6.7∼9.5㎎/L(평균 7.9±0.6 ㎎ /L)로 각각 조사되었다. 대장균군과 분변계대장균의 검출 범위는 <1.8∼7,900 MPN/100mL (GM 214.7 MPN/100mL)과 <1.8∼330 MPN/ 100mL (GM 9.7 MPN/100mL)로 각각 나타났다. 대장균군은 시료의 75.0%, 분변계대장균은 57.1%가 각각 양성을 나타내었다. 대장균군에 대한 분변계대장균의 양성율은 76.2%로 나타났다. 조사기간 중에 사천만에서의 표층퇴적물의 수분함량, 강열감량, COD 및 AVS의 평균 값은 53.28±2.58%, 9.38±0.42%, 14.23±3.36㎎O2/g, 0.09±0.07㎎S/g로 각각 조사되었다.
        4,000원
        177.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get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about the microbial diversity near the seawater of Ulleung Island, East sea of Korea, the bacterial identification base on 16S rDNA and their carbon source utilization patterns were analysed through the six surface water samples collected at June 23 to 25, 2007.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opulation densities of aerobic heterotrophic and oligotrophic bacteria were from 1.9±0.6×104~6.3±0.7 ×104 cfu ml−1 and from 1.7±0.4×103~2.5±0.4×103 cfu ml−1 during sampling periods, respectively. Among 121 isolated stains, the dominant taxa are Pseudoalteromonas spp. (30 colonies) and Alteromonas spp. (17 colonies). Thirty-senven species-level strains base on 16S rDNA sequencing data are identified, which comprised Gammaproteobacteria (14 strains), Alphaproteobacteria (6 strains), Flavobacteria (6 strains), Actinobacteridae (4 strains), Firmicutes (4 strains), Deinococci (2 strains), Betaproteobacteria (1 strains). The carbon utilization patterns by assay of Biolog-microplate, α-D-glucose are used by 88.9% of the 27 strains of Gram-negative bacteria and more than 80% of them also consumed L-arabinose, D-trehalose, L-alanine, and pyruvic acid methyl ester. On the other hand, all the 10 strains of Gram-positive bacteria used α-D-glucose, and more than 80% of them also exploited maltose, palatinose, D-trehalose, turanose, D-xylose, and pyruvic acid.
        4,000원
        178.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밀폐식 순환여과 시스템의 호흡측정실내에서 해수 및 담수사육 강도다리의 산소소비에 미치는 수온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어류는 해수 및 담수에 각각 순화시킨 해수사육 강도다리(9마리, 평균체중 263.0±40.4 g)와 담수사육 강도다리(9마리, 평균체중 265.8±34.8 g)를 사용하였다. 수온 15, 20, 25℃에서 해수사육 강도다리의 산소소비량은 각각 74.4±17.0, 85.
        4,000원
        179.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 Ag, Au, Cu, Cd, Co, Fe, Ni, Pb, Zn등의 금속은 해수 중에 미량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미량금속이라고 하며 일부는 미량영양소로서 생명체의 생리활동에 필요하지만 정해진 한계값을 초과할 때는 독성을 나타낸다. 미량금속(중금속)은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성 오염물질로 분류되어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해수와 담수 등 자연수 중의 미량금속 측정은 정확도와 정밀도에 있어서 큰 오차를 가지고 있음이 장기간 인식되어 왔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1975년 이후 미량금속의 해수 중 농도가 과거에 인지된 농도의 1/10~1/1,000 정도로 낮아졌으며, 수직 분포는 생물, 물리, 지화학적인 과정들이 반영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부분 미량금속에 대한 분석방법과 기기의 발전에 기인하며, 시료 채취, 보관 및 분석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제거해야 하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많은 해양환경 관린 조사 및 연구에서 정확성이 결여된 자료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미량금속 분석에 있어서 시료의 채취, 보관, 분석에 대한 정착한 인식 및 이해 부족은 자료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다. 해양환경 연구 및 환경평가에 활용하기 위하여 자연수 중 미량금속의 정확한 자료를 획득하는 주요 과정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4,000원
        180.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Fe, Zn, Cu, Cd and Pb were analysed from seaweeds (Ulva pertusa, Sargassum thunbergii, Caulacanthus okamurae), sediments and seawater at the two experimental sites of Daebul and Sabjin industrial complex in Mokpo coastal area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