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00

        168.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velop Gastrodia elata (GE)-loaded particles for herbal extract dosage forms, various GE-loaded particles containing dextrin, isomalt, maltodextrin, and silicon dioxide as solidifying carriers in the GE water extract are prepared using the spray drying method. Their physical properties are evaluated using the repose angle, Hausner ratio, Carr's index, weight increase rate at 40oC/75% RH condit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Particles made of dextrin improve the fluidity, compressibility, and water stability. In addition, 2% silicon dioxide increases the fluidity and moisture stability. The best flowability and compressibility of GE-loaded particles are observed with TP, dextrin, and silicon dioxide amounts in the ratio of 6/4/0.2 (34.29 ± 2.86°, 1.48 ± 0.03, and 38.29 ± 2.39%, repose angle, Hausner Ratio, and Carr’s index, respectively) and moisture stability with a 2% weight increase rate for 14 h at 40oC/75% RH condition.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articles prepared by the spray drying method with dextrin and 2% silicon dioxide can be used as powerful particles to improve the flowability, compressibility, and moisture stability of GE.
        4,000원
        169.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흉요추 후방 고정술의 고정분절 변화에 따른 척추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추간판, 인대, 추간관절(Facet joint) 등을 포함한 정상 흉요추(T10–L4)의 유한요소모델을 구축하였으며, 문헌으로 보고된 재료물성치를 부여하였다. 한편, L1을 병변 부위로 가정하였으며, L1-L2, T12-L2, T12-L1-L2 총 3가지 종류의 후방 고정술을 흉요추 유한요소모델에 구현하고 전방 굽힘, 후방 굽힘, 측면 굽힘, 축 회전의 하중 조건을 부여하였다. 시리즈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고정분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척추골, 추간판의 변형량, 등가 응력, 운동 범위, 모멘트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척추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4,000원
        174.
        202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consequences of falls are often debilitating, and prevention is important. In theory, the lower the center of mass (COM), the greater postural stability during standing, and a weight belt at the waist level may help to lower the COM and improve the standing balance. Objects: We examined how the limit of stability (LOS) was affected by the lowered center of mass with the weight belt. Methods: Twenty healthy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LOS test. After calculating each participant’s COM, a weight belt was fastened ten centimeters below the COM. Trials were acquired with five weight belt conditions: 0%, 2%, 4%, 6%, and 8% of body weight. Outcome measures included reaction time, movement velocity, endpoint excursion, maximum excursion, and directional control in 4 cardinal moving directions. Results: None of our outcome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a weight belt (p > 0.075), but all of them were associated with moving direction (p < 0.01). On average, movement velocity of the COM and maximum excursion were 31% and 18% greater, respectively, in mediolateral than anteroposterior direction (5.4°/s vs. 4.1°/s; 97.5% vs. 82.6%).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postural stability was not affected by the weightinduced lowered COM, informing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balance training strategies.
        4,000원
        175.
        2020.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high-temperature stability of YSZ specimens fabricated by die pressure and cold isostatic press (CIP) is investigated in CaCl2-CaF2-CaO molten salt at 1,150 °C.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green density 46.7 % and 50.9 %; sintering density 93.3 % and 99.3 % for die press and CIP, respectively. YSZ foremd by CIP exhibits higher stability than YSZ formed by die press due to denseness dependency after high-temperature stability test. YSZ shows peaks mainly attributed to CaZrO3, with a small t-ZrO2 peak, unlike the high-intensity tetragonal-ZrO2 (t-ZrO2) peak observed for the asreceived specimen. The t-ZrO2 phase of YSZ is likely stabilized by Y2O3, and the leaching of Y2O3 results in phase transformation from t-ZrO2 to m-ZrO2. CaZrO3 likely forms from the reaction between CaO and m-ZrO2. As the exposure time increases, more CaZrO3 is observed in the internal region of YSZ, which could be attributed to the inward diffusion of molten salt and outward diffusion of the stabilizer (Y2O3) through the pores. This results in greater susceptibility to phase transformation and CaZrO3 formation. To use SOM anodes for the electroreduction of various metals, YSZ stability must be improved by adjusting the high-density in the forming process.
        4,000원
        176.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육, 습식 숙성육, 건식 숙성육을 종류별 3종을 구입하여 냉장 상태로 보관하면서 pH, 휘발성 염기질소(VBN), 미생물 정량, 우점균을 분석하였다. 초기 생육, 건식 숙성 육의 중온균은 3.3-3.9 Log CFU/g, 습식 숙성육은 경우 5.4 Log CFU/g 이였으나, 냉장으로 18일 보관 후 생육과 건식 숙성육에 존재하는 중온균은 6.1-6.4 Log CFU/g로 증가하였다. 습식 숙성육의 경우 Lactic acid bacteria (LAB) 는 냉장 보관시 4.5-6.0 Log CFU/g으로 나타났으나, 건식 숙성육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중온균, 저온균, LAB, 효모 및 곰팡이 수가 증가하였으나, 식품매개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식육의 오염 및 부패 판단은 7 Log CFU/g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어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12일 이상 냉장 보관하였을 경우 6-7 Log CFU/g으로 기준을 초과하였다. 이 때 VBN이 평균 15 mg%으로 부패의 초기 단계로 판단 할 수 있었다. 냉장 보관에 따른 우점 미생물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냈 다. 생육에서는 초기 우점균으로 S. saprophyticus가 분석 되었으나, VBN이 증가함에 따라 Carnobacterium divergens 가 우점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습식 숙성육에서 Carnobacterium divergens가 냉장보관 초기에 우점 미생물로 분석되었으나, 이후 Lactobacillus sakei가 우점균으로 분석되었다. 건식 숙성육의 경우 Dermacoccus nishinomiyaensis 가 냉장보관 초기에 우점하였으나 이후 Pseudomonas fragi 가 우점균으로 변화하였다. 부패의 초기 단계에서 특정 박 테리아의 역할 외에도 부패, 향기 분석 및 숙성 육류의 성분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숙성 육류의 안전한 유통 및 보관에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4,000원
        177.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합은 항산화, 항균효능 및 만성폐쇄성폐질환에도 효능이 있고, 비수리는 항균, 항산화, 항노화, 피부 미백, 피부 광노화 개선 효과 등의 다양한 약리적 효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백합 및 비수리를 열수와 20- 80% 주정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대상으로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소거능을 조사하여 백합 추출물과 비수리 추출물의 혼합 비율을 선정하였으며, 혼합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한 후 10, 25, 35oC에서 6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조사포닌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변화 및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백합·비수리를 함유하는 음료를 각 온도별로 6개월 동안 저장한 후에 pH는 약간 감소하였으며, 산도는 약간 증가하였다. 저장 기간 중 당도와 고형분 함량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2개월 동안 저장하는 동안에는 초기의 활성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온도에 따라 4개월 후와 6개월 후에는 다소 감소하였다. 6개월 동안 저장하는 동안에 명도(L값)와 적색도(a값)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황색도(b값) 35oC에서 6개월 저장한 후에 약간 감소하였다. 조사포닌 함량은 저장 2개월까지는 큰 함량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저장 4개월과 6개월 후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저장 1개월이 지났을 때 저장온도에 상관없이 약 1/2로 감소하였으며, 그 후 6개월까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백합구근 추출물과 비수리 추출물을 함유한 음료는 6개월 동안 저장하는 동안에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다.
        4,000원
        178.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6년 3월 6.67톤 어선이 크레인 작업을 하던 중 복원성 상실로 인한 전복 사고가 발생하였다. 전복은 충돌, 접촉, 좌초, 화재 및 폭발의 결과로 발생한 사고는 제외하고 선박이 뒤집힌 것을 말한다. 지난 9년동안(2010-2018), 전복 사고는 전체 해양사고의 2.34%를 차 지하고 있으며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고 있다. 10톤 미만 소형어선의 주된 전복사고 원인은 부적절한 선적에 따른 복원성 상실이다. 어선 법에 따르면 소형 어선은 복원성과 1톤 미만 제한 하중 크레인에 대해서 복원성과 예비검사를 면제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고성에서 발 생한 소형 어선의 전복 사고 재결서의 원인으로 언급된 사항 중 크레인 증량에 따른 복원 모멘트 감소에 대해 실제 제원이 비슷한 어선 을 모델링하여 이를 통해 사고 전·후의 어선 상태를 가상하여 복원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존 보다 무거운 크레인으로의 교체 시에는 복원 모멘트 감소와 현단몰입각의 감소로 전복의 위험성이 증가되었다. 표준재화 상태에서는 입·출항시 보다는 어로 활동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의 복원 모멘트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179.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various microbial and organic additives on chemical compositions, fermentation indices, and aerobic stability of barley silage. Youngyang barley harvested at 31.5% dry matter (DM), and ensiled into 20 L bucket silo for 0, 1, 3, 7, 48, and 100 d in quadruplicates with four additives following: sterile destilled water at 1% of fresh forage (CON); Lactobacillus plantarum at 1.2 x 105 cfu/g of fresh forage (CL); Lactobacillus buchneri at rate of 1.2 x 105 cfu/g fresh forage (LB); Fermented Persimmon Extract at 1% of fresh forage (FPE); and Essential Oil at 1% of fresh forage (EO). On 100 d of ensiling, CL and FPE silages had lower (p<0.05) DM than CON silage. Additionally, FPE silage had higher (p<0.05) crude protein than CON silage. All silages with additives, except EO, had higher (p<0.05) neutral detergent fiber (NDF) than CON silage. Silage treated with CL, LB, and FPE had lower in vitro DM digestibility than CON silage, and silages treated with LB and FPE had higher in vitro NDF digestibility (IVNDFD) on 100 d of ensiling. The PFE silage produced the highest (p<0.05) lactate during ensiling period, while LB silage produced the highest (p<0.05) acetate. All inoculated silages had higher (p<0.05) LAB count than control silage. Only CL silage had higher (p<0.05) yeast count than control silage, while the other silages were not differ compared to CON silage. The aerobic stability was higher (p<0.05) in LB and FPE silages than in CON silage. In conclusion, FPE could be an alternative additive to increase IVNDFD, fermentation indices, and aerobic stability of barley silage.
        4,000원
        180.
        2020.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흡(prāṇa)은 삶의 근원이며 생명이다. 요가에서 호흡법(prāṇāyāma)은 들숨, 날숨, 멈춤 세 유형의 숨을 조절하는 기본적인 원리에서 출발한다. 호흡을 조절함으로써 신체에 있는 통로(naḍī)를 정화하고, 나디가 정화됨에 따라 몸의 불순물이 청결해지면서, 신진대사와 신경계통이 안정되어 몸의 구성요소가 조화로워진다. 그리고 마음까지 평온하게 유지하게 된다. 특히 소리를 동반한 호흡수련은 각성과 동시에 공명에 의한 신경계의 안정으로 심신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 따라서 소리호흡수련은 심신치유의 기제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방법이나 효과, 주의점, 치유방안의 기본사항을 주요문헌을 통해 살펴보았다. 현대 요가의 호흡수련은 요가자세(āsana)와 호흡법(prāṇāyāma)을 중심으로 하는 하타요가를 강조하기 때문에 Yoga Sūtra 를 근간으로 하고, 하타요가의 대표적인 경전 Haṭhayogapradīpika, Gheraṇḍa Saṁhita를 중심으로 하되 소리를 중심으로 한 호흡만 선택하였다. 승리호흡(ujjāyī prāṇāyāma), 냉각호흡(sītalī prāṇāyāma), 풀무호흡(bhastrikā prāṇāyāma), 벌소리호흡(bhrāmarī prāṇāyāma)은 일정한 소리세기로 수련하며, 풀무호흡을 제외하고는 길고 부드럽게 소리내는 것을 주로 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 기관지, 폐기능, 심혈관계에 관련된 몸의 구성요소를 안정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규칙적인 호흡으로 신경계가 안정되고, 기억력이 좋아지며, 심신의 평안을 얻게 될 뿐만 아니라 초의식상태인 삼매에까지 다다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소리호흡수련은 적어도 12주 이상 요가전문선생(Yoga master)의 지도에 따라 단계별로 수행하는 것이 좋다. 호흡수련자에 특성에 맞게 단계별로 진행하는데 ⓵수련자의 몸상태 파악 ⓶심신의 질병 유무 및 원인 파악 ⓷조건에 맞는 호흡법 선정하기 ⓸호흡기간, 호흡단계, 시간, 횟수, 장소 등 구체화 ⓹회기 후 문진표와 지속적 관리로써 수련을 진행해 가야 한다. 중단없이, 바르게 소리호흡수련을 해나간다면 나디가 정화되면서, 감각이 조절되어 몸과 마음이 산란해지는 것을 제어하게 되고, 심신은 이전보다 좀더 안정된 상태로 발전해 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요가의 마지막 단계인, 모든 것이 정화된 대자유(mokṣa)의 평안에 이르게 된다.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