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3

        161.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ask-oriented training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time with the change of motor and cognition function. Focal ischemic brain injury was produced in Sprague-Dawley rats (20 rats, 250±50 g) through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Before MCAo induction, all rats were trained in treadmill training and Morris water maze training for 1 week. Then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groups: Group I : MCAo induction (n1=5), Grop II: the application for simple treadmill task training after. MCAo induction (n2=5). Group III: the application for Morris water maze cognitive task training after MCAo induction (n3=5). Group IV: the application for progressive treadmill task training and Morris water maze cognitive task training after MCAo induction (n4=5). Modified limb placing tests (MLPTs) and motor tests (MTs) were performed to test motor function and then Morris water maze acquisition test (MWMAT) and Morris water maze retention test (MWMRT) were performed to test cognitive function. For MT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among the groups with the time (p<.001). Group IV showed the steeper increasing pattern than those in other Groups on the 7th and 14th day. For MLPT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among the groups with the time (p<.001). The scores in Group III. IV had showed the more decreasing pattern than those in Group I, II since the 7th day and 14th day. For MWMA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among the groups with the time (p<.001). Group II found the Quadrant circular platform showed the steeper decreasing pattern than that in Group I on the 9th, 10th, 11th and 12th day. Group III. IV found the quadrant circular platform showed the slower decreasing pattern than that in Group I, II, For MWMR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our groups (p<.001). The time to dwell on quadrant circular platform in Group IV on the 13th day was the longest compared with other group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combined task training was very effective to improve the motor and cognition function for the rats affected on their focal ischemic brain injury.
        4,000원
        162.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교정제도에서 감독을 받고 있는 외국인범죄자의 교정처우 실태를 분석하여, 향후 외국인범죄자 교정처우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최근 교정당국은 교정처우의 대상이 되는 외국인의 양적증가뿐만 아니라 재범위험성이 높은 성범죄사범 및 경제적 궁핍에 기인한 경제사범의 증가로 인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4가지의 과제를 제시했다. 첫째, 교정당국 및 교정직원은 외국인범죄자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한다. 둘째, 외국인범죄자 전담기관 및 전담부서의 설치가 필요하다. 셋째, 외국인범죄자 요구에 맞는 교정프로그램의 개설이 요구된다. 넷째, 외국인범죄자 취업지원프로그램의 개설이 필요하다.
        5,500원
        163.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성협응장애 아동에게 과제중심접근 치료가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 분석을 통하여 중재결과를 ICF 모델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DSM-Ⅳ 진단 기준에 따라 발달성협응장애에 해당하는 0∼12세 아동으로 과제중심 중재방법인 신경운동 과제훈련과 일상 작업수행의 인지중심 접근 두 가지에 관하여 1995년 1월∼2007년 11월까지 게재된 논문을 Pubmed와 Medline을 통해 체계적 고찰(systematic review)을 하였다. 결과 : 중재 효과는 과제중심 중재결과 자료 중 17개(62.96%)가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중 신경운동과제 훈련 접근법에서 5개(18.52%), 일상작업수행의 인지 중심 접근법에서 12개(44.44%)가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CF 모델로 제시한 결과 신체 기능 및 구조 영역을 평가한 자료가 14개(51.85%), 활동 및 참여 영역을 평가한 자료가 13개(48.15%)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재효과는 신체 기능 및 구조 영역에서 6개(22.22%)이었던 반면 활동 및 참여 영역에서 11개(40.74%)로 분석되었다. 결론 : 과제중심접근 치료가 발달성협응장애 아동에게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고찰 결과 과제중심접근이 ICF model의 활동 및 참여 영역에서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논문 수가 8개라는 제한점이 있으나, 국내작업치료분야에서 체계적 고찰을 통해 이러한 지식을 활용하고, 임상적 사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4,000원
        164.
        200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udies of attentional focus effects, have shown that the performer's attentional focu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erformance and learning of motor tasks.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attentional focus on the performance of dual tasks (a postural task and a suprapostural task) and used electromyography (EMG) to examine whether the differences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focus were also manifest at the neuromuscular level. The subjects (n=40) stood on a balance board (postural task) and held a bar horizontally (suprapostural task). All of the subjects performed under different attentional focus conditions: external (balancer on balance board) or internal (feet) focus on the postural task, and external (balancer on bar) or internal (hand) focus on the suprapostural task. The mean displacement velocity of the bar and the percent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RVC) of the biceps brachii were reduced when the subjects adopted an external focus on the suprapostural task (p<.05). In addition, the mean displacement velocity of the balance board and %RVC of the tibialis anterior were reduced when the subjects adopted an external focus on the postural task (p<.05). When the subjects adopted an external focus on the suprapostural task, the mean displacement velocity of the balance board and %RVC of the tibialis anterior were also reduced (p<.05). When the subjects' attentional focus was on the postural task,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mean displacement and %RVC of the biceps brachii between attentional focuses. The performance of each task was enhanced when subjects focused on the respective task. The suprapostural task goals had a stronger influence on postural control than vice versa. These results reflect the propensity of the motor system to optimize control processes based on the environmental outcome, or movement effect, that the performer wants to achieve.
        4,000원
        166.
        2008.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167.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40% 농도의 산소 공급이 난이도에 따른 덧셈과제 수행 능력, 혈중 산소 포화도, 심박동율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였다. 10명의 남자와 10명의 여자 대학생이 두 가지 농도의 산소 (21%, 40%)를 흡입하면서 세 가지 난이도의 덧셈연산을 수행하였다. Rest1 (3분), Task1 (1분, 한 자리 수 덧셈), Task2 (1분, 두 자리 수 덧셈), Task3 (1분, 세 자리 수 덧셈), Rest2 (4분)의 순서로 실험이 진행되었고, 모든 구간에서 혈중 산소 포화도와 심박동율이 측정되었다. 21%에 비해 40% 농도의 산소를 공급했을 때 평균 정답률이 증가하였고, 난이도가 증가할수록 정답율의 차이가 더컸다. 21%에 비해 40%의 산소가 주어질 때 모든 구간에서 혈중 산소 포화도는 증가하였고, 심박동율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고농도 산소 공급이 혈중 산소 포화도를 증가시켜 인지 처리에 따른 뇌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연산 수행 능력이 증가되었다는 사실을 도출 할 수 있다. 특히 난이도가 증가할수록, 즉 인지 처리의 요구가 커질수록 고농도 산소의 효과가 더 명확히 나타난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다.
        4,000원
        168.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암묵 및 외현적 속성을 가진 운동 과제를 통해 정신훈련과 실제훈련의 효과와 정신 훈련에 적합한 속성의 운동 과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정상 성인 36명을 세 집단(정신훈련군, 실제훈련군, 대조군)으로 무작위 할당하고, 표적조준과제와 시열반응과제를 이용하여 정신훈련 및 실제훈련 실시하였다. 표적조준과제는 모니터에서 제공하는 좌우의 두 개의 원안에 마우스를 위치함과 동시에 클릭을 하게 하였고, 시열반응과제는 모니터에서 제시되는 네 가지의 색깔에 대응하는 반응패드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최대한 빨리 정확히 누르도록 하여,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정신훈련과 실제훈련은 각각 하루 30분, 3일 동안 훈련하였고, 훈련 전과 후의 운동반응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표적조준과제에서는 정신훈련군과 실제훈련군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반응시간의 변화를 보였고(p<.05), 시열반응과제에서도 정신훈련군과 실제훈련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반응시간의 변화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각각의 과제에서 집단간의 표준화된 점수의 비교에서 표준 조준과제의 경우, 실제훈련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증가를 보였고(p<.05), 시열반응과제의 경우에는 실제훈련군이 그 증감이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정신훈련은 암묵 및 외현적 속성을 가진 모든 과제에서 운동학습이 이루어졌고, 암묵적 지식의 습득보다는 외현적 지식이 요구되는 과제에서 운동학습의 효과가 높았다.
        4,000원
        169.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후 성인 인지손상 환자에 대한 과제 지향적 활동과 전통적 인지 재활의 중재 결과를 비교하여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07년 7월 2일부터 7월 28일까지 광주광역시 K병원과 C병원의 재활의학과에서 뇌졸중 진단을 받고 작업치료실에 의뢰된 성인 뇌졸중 환자 60명을 무작위로 과제 지향적 활동군과 전통적 인지 재활군으로 나누었다. 모든 중재는 훈련 받은 4명의 작업치료사가 4주 동안 주 5회 시행하였다. 중재 전후,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을 LOTCA와 FIM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 중재 후, 과제 지향적 활동군과 전통적 인지 재활군의 인지기능은 중재 전보다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인지기능 중, 지남력(시간), 시지각(겹쳐진 그림, 물체 향상성), 운동실행(물체 사용, 상징적 활동), 시운동 조직력(이차원 구성, 페그보드 구성, 색깔 블록 디자인), 사고 조직력(조각 비구성, 그림 순서), 주의력과 집중력 영역에서 과제 지향적 활동군이 전통적 인지 재활군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중재 후,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은 두 군 모두 중재 전 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일상생활동작 중, 자조활동(상의 옷 입고 벗기, 하위 옷 입고 벗기, 용변 처리하기), 배변 조절(대변 조절하기), 이동(욕조로 이동하기), 의사소통(표현력), 사회적 인지(사회적 관계능력) 영역에서 과제 지향적 활동군이 전통적 인지 재활군 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과제 지향적 활동이 전통적 인지 재활보다 성인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4,500원
        171.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reports on a classroom observation of the language produced by intermediate EFL learners in a Korean university, especially in terms of negotiation of meaning. Negotiation of meaning during task interactions makes certain that task participants receive comprehensible input and produce comprehensible output, which have been argued as essential elements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Task type is also considered important, with those tasks requiring an exchange of information most likely to facilitate the negotiation of mean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uccessful meaning negotiation in four types of task(information gap, jigsaw, problem solving, and sharing personal experiences tasks) in terms of qualitative meaning negotiation. For this study, I recorded eight different tasks involving twenty-four students, a total of around five hours of learner interaction. This study showed that qualitative meaning negotia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mere evidence of meaning negotiation indices for foreign language development. In terms of task type, open tasks such as problem solving and sharing personal experiences tasks may facilitate a higher qualitative negotiation than information gap tasks and jigsaw tasks, especially in intermediate or advanced English classes.
        6,000원
        172.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ask involvement should be practiced to fulfill the theoretical assumptions of Task-Based Instruction (TBI). As the task involvement is to be understood as an indispensable component of TBI, how a high degree of task involvement can be secured and exerted in a most effective way was examined. Having analyzed the data obtained from questionnaire, interviews, reflection papers and proficiency tests, the study indicated that customized and timely feedback and comments on the learners’ performances as well as learners’ sense of responsibility were critical if the task involvement leads to desirable learning outcomes. The study also showed that consciousness-raising (CR) task originated from an authentic task was effective enough to help learners acquire linguistic knowledge in a contextual situation. It made suggestions for how to promote task involvement to better implement TBI, through which the learners can improve language proficiency fully taking advantage of their educational and cognitive experiences.
        8,400원
        173.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elect the most effective technique among task related techniques(motion & time study, job redesign,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 for improving work efficiency in shipbuilding enterprise. This study consists of
        4,000원
        175.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운동학습은 신체적인 연습과 경험의 결과로 동작에 대한 기술 습득의 과정으로 표현된다. 최근 정신적 훈련을 통해 운동 기술의 습득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열반응과제를 통하여 실제 훈련과 정신 훈련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50명의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정신 훈련군, 실제 훈련군, 대조군으로 무선적 배치하였다. 측정된 시열반응과제는 컴퓨터 화면에 제시되는 네 가지의 색깔에 대응하는 반응패드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최대한 빨리 정확히 누르도록 하고, 반응 시간을 측정하였다. 정신 훈련군과 실제 훈련군은 정신 및 실제 훈련을 하루 30분, 2주 동안 훈련하였고, 훈련 시간은 동일하게 설계하였다. 결과 : 이요인 반복 측정 공분산 분석의 집단 간의 주 효과 검정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집단×훈련 전·후 간의 상호작용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05). 또한 사후 검정에서 정신 훈련군과 대조군, 실제 훈련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러한 결과는 훈련 후 대조군에서의 시간의 감소보다 정신 훈련군과 실제 훈련군에서의 과제 수행 시 시간의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정신 훈련군에서 실제 훈련군과 같이 운동 학습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정신 훈련은 효과적인 운동학습을 위한 방법임이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운동제어와 인지학습을 시켜야 하는 재활 영역에서 뇌손상 환자에게 학습을 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정신 훈련을 채택할 수 있으며, 마비측의 실제 훈련을 수행하기에 어려운 상황에서는 정신 훈련이 더 효과적일 수 있고, 실제 훈련과 비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76.
        2007.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177.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heory of Task-based Approach has effected the teaching field greatly after it was put forward, which is regarded as the most effective means for language training currently. Teaching Chinese to foreigners as a second language can also draw lessons from this theory.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Task-based Approach in Chinese teaching by teaching practice.
        4,800원
        178.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편마비 환자에서 손상된 대뇌반구의 동측은 정상으로 인식되었으나 운동장애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편마비 환자의 동측 상지를 이용한 연속반응시간과제에서 동측운동결함 여부를 정상군과 비교 관찰하였다. 연구방법 : 편마비 환자 18명(오른쪽 편마비 10명, 왼쪽 편마비 8명)을 대상으로 손상된 대뇌반구의 동측 손가락을 이용한 연속반응시간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환자군과 연령과 성별이 일치하는 정상군 18명과 비교하여 반응시간을 분석하였다. 연속반응시간과제는 구획설계와 무작위설계로 구성하였고 자극은 4가지 색깔(빨강, 노랑, 초록, 파랑)의 원모양이 하나씩 연속적으로 컴퓨터 모니터에 제시되었고, 연구대상자는 일련의 자극과 색깔이 일치하는 반응패드의 버턴을 가능한 빠르고 정확하게 누르도록 하여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각 설계단위 당 10회 반복하는 것을 1블록으로 설정하여 총 3블록을 수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이원분산분석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 구획설계와 무작위설계 모두에서 집단간 주효과 검증결과 집단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0.001). 그러나 오른손·왼손간 주효과 검증결과 및 집단×왼쪽·오른쪽간 상호작용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p>0.001). 결론 : 환자군에서 연속반응시간과제의 반응시간이 정상군보다 느리게 나타나 편측 대뇌반구 손상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동측 상지에 동측운동결함이 발견되었다.
        4,000원
        179.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learning conditions (implicit learning condition and explicit learning condition) and task types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task) on the learning of an easy rule (subject-verb inversion in the sentence with location adverbial) and a hard rule (pseudo-cleft clause). One hundred thirty first-year university EFL students with low proficienc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learning conditions and task types. After that, pre-and post-test data on the grammaticality judgement test and controlled written test were analyzed by using the two-way Multiple Analysis of Covariance (MANCOVA).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of learning conditions a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on the comprehension of easy and hard grammatical rules whereas the explicit learning condition has more effects on producing easy and hard rules than the implicit learning condition does. They also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task types are statistically different on the learning of an easy and a hard rule. In addition, production task has more effects on the learning of both an easy and a hard rule than the comprehension task.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in designing more effective instructional condition for the EFL adult learners with low proficiency.
        6,600원
        180.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xt, task, and L2 reading ability on Korean college students’ English reading strategy use. The participants performed Word Translation, Theme Summarization, and Question Generation tasks while reading either narrative or expository passages. The strategy use was examin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thinkaloud protocols. When investigated by the questionnaire, the students’ strategy use patterns were not very different between the two text type groups and between the two L2 reading ability groups. The task type seemed to affect the strategy use to some degree, but the difference was not extensive. Overall, a few particular strategies were used very often regardless of the text type, the task type and L2 reading ability. The results of the verbal protocols suggested that the task types affected the strategy use to some degree, but the influence was limited as was shown i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6,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