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9

        161.
        202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밀도 폐유리가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건설 재료로 사용 가능함이 밝혀짐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고밀도 폐유리를 잔골재로 적용한 RC 부재의 구조적 거동을 평가하고자 휨거동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고밀도 폐유 리를 잔골재로 사용하게 되면, 균열 개수가 감소하고 균열 간격 및 압괴 면적이 증가하였다. 또한, 고밀도 폐유리를 잔골재로 대체한 부재는 높은 처짐 단계에서 연성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천연골재를 사용한 부재와 동일한 방법의 해석 기법은 고밀도 폐유리를 잔골재로 대체한 부재의 휨거동에 대한 초기강성, 항복하중 및 최대하중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압괴 진전에 따른 중립축 깊이가 감소하는 것을 해석적으로 구현하게 되면,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 결과가 실험결과를 비교적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2.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폭발과 같은 극한 하중이 가해지는 콘크리트의 역학적 거동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극한 하중을 받는 콘크리트는 정적 하중을 받을 때보다 증가하며, 동적 강도와 정적강도의 비를 동적증가계수(Dynamic Increase Factor)로 나타낸다. 동적 증가계수는 지금까지 하나의 변수를 가지고 다루어져 왔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설계 및 분석에 어려움이 존재하기 때문에 동적 증가계수에 영향을 주는 여러 변수를 찾아 베이지안을 통해 분석하여 폭발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전기, 전자 및 화학 플랜트 혹은 반도체 공정 등에 사용한다면 피해가 줄어들 것이다.
        164.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bending performance of flexural specimens fabricated with ECC was compared with typical reinforced concrete specimens. Test results show that the deflection of specimens made of ECC is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normal concrete specimens, and ductile fracture behavior is shown.
        165.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the flexural behavior of RC member recycled heavy weight waste glass as fine aggregate was evaluat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From the results, the analytical results do not reflect the experimental results. This is because the stress-strain curve of the concrete specimen obtained from the compression test was used as the input data for the ABAQUS. Therefore, the ABAQU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stress-strain relationship of concrete, predicted the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without considering the reduction in load capacity.
        166.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PVA(polyvinyl alcohol) 섬유와 VAE(vinyl acetate ethylene) 분말 폴리머를 사용한 시멘트복합체의 압축·휨강도 와 온도변화에 따른 충격파괴거동을 연구하였다. 충격시험은 -35℃, 0℃ 및 35℃의 선정된 온도조건에서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시멘트 복합체와 일반 모르타르에 대한 충격파괴 에너지와 변위, 시간을 얻기 위해 낙하 충격시험기(Ceast 9350)를 사용하여 충격시험을 수행하였다. 강도 시험결과, PVA 섬유와 VAE 분말 폴리머의 휨강도는 모두 증가하였다. PVA 섬유보강 시멘트복합체의 경우 재령 28일에서의 압축강도는 약간 감소하였으나, 휨강도는 일반 모르타르 강도보다 24.4% 증가하였다. 낙하 충격시험 결과, PVA 섬유보강 시멘트복합체 시편은 섬유의 가교역할로 인한 균열발생의 억제와 에너지 분산에 의한 미세균열이 발생하였으며, 충격에 의한 배면파괴와 관통에 대하여 억제되었다. 반면 VAE 분말 폴리머 시멘트복합체와 일반 모르타르의 시편은 대부분 큰 균열이나 관통파괴 되었다. 충격하중을 받는 시멘트복합체와 일반 모르타르의 시편은 대부분 국부적인 취성파괴거동을 보이며, PVA 섬유보강에 의한 휨성능 증진으로 인해 충격에 대한 저항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167.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the flexural behaviors with substitution ratio of heavyweight waste glass are compared and evaluated in reinforced concrete members. From the results, when the heavyweight waste glass was used as the fine aggregate, the yielding load (Py) and maximum load (Pu) were less affected. However, the load capacity of the RC member was gradually reduced on the large deformed stage when all of the fine aggregate was replaced by heavyweight waste glass.
        168.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 PTZ(Pan-Tilt-Zoom) system was applied as the method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angle of a steel pipe elbow. An image of the steel pipe elbow was enhanced using an image filter processing algorithm. To measure the deformation angle, the Hough transform was applied to the enhanced image to facilitate line recognition. In this study, the limit state of the elbow was defined as rupture or leakage. To verify the validity of measuring the deformation angle of a steel pipe elbow by using a PTZ system, an in-plane cyclic loading test was conducted so that deformation angles that are too large to measure using a conventional sensor could be measured effectively.
        169.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9,645.5 km²)을 대상으로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여 HadGEM3-RA RCP 4.5와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기간(2020s: 2010~2039, 2050s: 2040~2069 ,2080s: 2070~2099 )의 지하수위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SWAT 모형의 검․ 보정은 11년(2005~2015)동안의 유역내 2개 댐지점(대청댐, 용담댐)의 일별 유입량 및 저수량, 5개 관정지점(JSJS, OCCS, BEMR, CASS, BYBY)의 일단위 지하수위 관측자료, 3년 5개월(2012년 8월~2015년 12월) 동안의 3개 보지점(세종보, 공주보, 백제보)의 일별 유입량 및 저수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2개 댐의 유입량 및 저수량 검보정 결과, Nash-Sutcliffe 모델효율(NSE)은 각각 0.57~0.67, 0.87~0.94, 결정계수(R2)는 각각 0.69~0.73, 0.63~0.73의 범위를 보였으며, 3개 보의 유입량 및 저수량의 NSE는 각각 0.68~0.70, 0.94~0.99, R2는 각각 0.83~0.86, 0.48~0.61로 검보정 되었다. 5개 지점의 지하수위에 대한 R2는 0.53~0.61이었다. 유역 전체의 미래 기온은 기준년도(1976~2005)대비 2080s RCP 8.5 시나리오에서 최고 4.3°C 상승하고 강수량은 6.9% 증가하였으며, 미래 지하수위는 5개 지하수위 관측지점 중 금강 상류 3개 지점(JSJS, OCCS, BEMR)에서 각각 –13.0 cm, -5.0 cm, -9.0 cm 감소하였고, 금강 하류 2개 지점(CASS, BYBY)에서는 각각 +3.0 cm, +1.0 증가하였다. 미래 지하수위는 유역 내 강수량의 계절별 공간적 편차에 따른 지하수 충전량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170.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세장체의 연속적인 거동을 전체 길이에 대하여 측정할 수 있는 계측시스템을 선정하며, 선정된 수중카메라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수중카메라의 기초성능평가를 위하여 강체파이프의 강제가진 실험을 수행한다. 파이프의 상단을 강제가진장치에 고정시킨 후, 일정주기와 진폭으로 가진시켜 수중카메라를 이용하여 변위를 측정한다. 강제가진장치에 입력된 신호와 수중카메라에 계측된 신 호를 비교하여 측정 정밀도를 평가한다. 연속체인 세장체 파이프의 강제가진 실험을 수행하여, 수중카메라 시스템의 실시간 3차원적인 측정 가능성을 정성적으로 평가한다. 본 수중카메라 시스템은 향후 국내 심해공학수조에 적용되어, 세장체구조물 및 계류선 등의 거동 측정에 활용 될 것이다.
        171.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PE 섬유를 사용한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에 대해 최대입경 4.75 mm의 일반모래(강모래)를 규사와 서로 다른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그에 따른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의 인장거동 변화를 실험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동성 평가 실험에서는 강모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동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축강도는 평균압축강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편차의 크기가 강모래 치환 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축인장시험 결과에서는 강모래 치환율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인장변형률 성능에서는 강모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강모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다중균열의 분포밀 도가 증가하면서 인장변형률 성능의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인장변형률 성능의 편차는 압축강도에서와 마찬가지로 강모래 치환율이 증 가함에 따라 커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를 통해 규사 대신 일반모래를 사용한 경우에도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의 인장거동의 변동성은 증가하지만, 규사를 사용한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와 비교할 때 등가 이상의 인장성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72.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ur society has been dominated by the Dilemma Theory that rational individuals cannot get out of the 'Tragedy of the Commons' without helps from state or market. However, many empirical researches have discovered cases that common pool resources could be managed by cooperative methods of community. Based on the possibility of managing common pool resources by residents' cooperation/solidarity revealed by the recent case researches, this study aims to seek for the theoretical basis to prove it. Generally, public policies are carried forward bas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relevant social issu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w direction of policies related to domestic common resources through the researches on community's role in managing local common pool resources represented as "scenic spot". For this, it aims to reveal the influence of community activity on behavioral intention of local common pool resources, by drawing/quantitatively measuring measurement items of local residents' community activity on top of attitude, norms, and behavioral control suggested by the exist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4 factors such as attitude toward behavior,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community activity were all factors that influenced intention to manage.
        173.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flexural behavior of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 (HPFRCC) with single steel fibers. to do this, we considered different types of steel fibers such as hooked, twisted and straight fibers. Test results indicated the flexural performance tends to increase as the incorporation rate of steel fiber increases and when the length of the fiber is long and at the high volume fractions(vf of 2.0) the flexural high performance was reduced.
        174.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이완-인지행동-사회적 지지’전략에 기반하여 격주 수행된 실내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보건소 이용 암환자의 코티졸과 세로토닌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대상은 암으로 진단 받고 K보건소 행복교실을 이용하는 환자들 중 2015년 8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1기 15명,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2기 8명, 총 23명 실험군으로 단일집단연구로 이루어졌다, 회기당 90분, 격주 1회, 종 8회(2달) 동안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조사 항목 및 방법은 생리지표로 Cortisol, Serotonin을 측정하였다. 이완전략은 모든 회기의 시작단계에 적용되어 심리적, 신체적 긴장감을 완화하도록 유도하였다. 사회적 지지전략은 회기의 진행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용되고, 시작 및 종료단계에서 적극적으로 이루어졌고, 활동 종료 후 가족 및 지지체계로부터 긍정적, 지속적 지지를 경험하 도록 하였다. 인지행동 전략은 부적절한 사고 및 상황 파악하기, 자신의 강점 인식하기, 긍정적 초점으로 문제해결하기, 긍정적 자기 재평 가하기의 4단계로 순차적으로 적용되고, 전개단계에서 적극적으로 이루어졌다. 자신의 부적절한 사고 및 감정을 압화이름표와 잔디인형 에 표현하고, 부적절한 사고 및 감정을 허브식물 이식과정에서 뿌리로 통합하도록 하였다. 꽃바구니를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된 다양한 꽃 과 소재의 역할에서 자신의 강점을 탐색하고, 이를 다육식물의 환경적응 및 강인함과 연결하여 접시정원을 완성하였다. 또한 식재했던 허 브식물의 잎을 수확하여 허브티백을 만들고, 남겨진 꽃으로 만든 압화를 이용하여 압화 티매트를 만들면서 쓸모없어 다듬은 뿌리, 눌러둔 꽃이 새롭게 창조되는 경험을 통하여 자신의 문제를 긍정적 초점으로 해결하도록 도왔다. 새싹채소를 파종하고 수확하여 성취감과 새로운 생명력, 잠재적 가능성을 느끼고, 쓸모없다고 여겨진 꽃이 코사지로 만들어 그동안 참여한 자신에게 선물한다. 전체 회기동안 이루어진 활 동과 결과물을 이용하여 가든파티를 함으로써 자신을 긍정적으로 재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실험군의 Cortisol은 원예치료 프로그램 사전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졌으며(p=0.014), Serotonin은 원예치료 프로그램 사전에 비해 유 의하게 증가(p=0.000)하였다.
        175.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은 인간에게 본능적으로 친숙하며, 긴장상태에서 안정과 회복을 주고 적극적 사고와 흥미 및 관심을 증대시킨다. 식물과 원예활동을 이용한 원예치료는 언어적 지지에만 의존하지 않고 치료사와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동료와 협조적이며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활동이 가능 하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대상자는 집단의 한 구성원으로 자신의 존재를 깨닫게 괴고, 원예활동을 통한 타인과의 관계형성이 가능 하며, 원예치료적 자극은 긍정적인 심리적 반응을 야기하고, 이는 긍정적인 피드백으로 이어져 정서적 경험의 질을 증가 시킨다. 지적 장애 인을 대상으로 하는원예치료 활동은 일방적 지시가 아닌, 치료사, 내담자, 타인의 3박자가 상호작용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송환 작용을 강 화하여 사회가 수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행동을 인지시켜 지적장애인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교육하며 치료한다. 이에 원예치료로 텃밭 활동을 하면서 성인 지적장애 여성들의 심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6 년8월부터 2016년11월까지 서울시 노원구 D복지관에서 성인 지적장애 여성10명을 대상으로 주1회 옥상 텃밭 상자에서 원예활동을 실시 하였고 주1회 텃밭활동과 관련된 평가표를 진행 작성 하고 변화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심리행동영역은 실시 전 2.01±0.25에서 실시 후 2.72±0.43으로 향상되었고, 사회기술영역은 실시 전 2.50±0.47에서 실시 후 2.80±0.65로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치료사의 말에 집중하고 식물을 심고 스스로 물을 주며 다른 대상자와 반응하고 심리적인 안정으로 표정의 변화가 생기는 등의 긍정정인 결과가 확인 된 것이다. 또한 작물을 수확하여 먹는 즐거움을 느끼며 작은 삽을 이용 모종 심기, 물주기 등의 활동으로 대근육과 소근육 운 동을 하므로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양득의 효과가 나타났다. 지적 장애인의 재활의 목표는 좀 더 나은 사회인으로서의 자립이라 할 수 있다. 텃밭활동은 식물의 모습을 익히고 자기 조절력이 향상되며 작물수확 후 요리활동으로 일상생활훈련에도 도움을 줄 수 있었다. 앞으로 더 다양하고 많은 텃밭활동을 통해 자신감 배양, 사회성 증진, 일상생활기술을 향상시켜 좀 더 나은 사회인의 자립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많은 보급이 필요함을 제안 하는 바이다.
        176.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저자 등에 의해 수행된 유연도법에 근거한 보-기둥 섬유요소에 수치해석적 방법으로부터 전단변형 효과를 고려할 수 있도록 수정된 정식화 방안과 단면에 대한 비탄성 전단응답 이력 구성관계식을 새로이 제안함으로써 전단 및 휨 - 전단파괴 양상을 나타내는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한 합리적인 해석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실험변수들이 전단거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 악하기 위하여 모두 종방향 철근의 항복전에 전단파괴가 일어나도록 설계된 총 6개의 철근콘크리트 보 실험체를 검증 대상으로 저자 등에 의 해 새로이 수정된 구성관계식을 적용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RCAHEST)을 통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모든 실험체에 대한 파괴모드 와 파괴시까지의 전반적인 거동 특성을 비교적 적절히 예측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향후, 대형화‧복잡화 되어가고 있 는 전체 구조물에 대한 신뢰도 높은 해석을 수행하기 3차원 해석에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77.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cent years, non-welded building hardware that can be installed by bolt assembly is used, which does not require fire prevention related materials, fire fighting equipment and personnel.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o compensate for the occurrence of buckling at the bolted portion at the time of construction.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behavior of joints that can control the sliding between members by using anti slip brackets.
        178.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 using H-beam specimens was carried out and finite elem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ame method as the test. As a result, although experimental strength value was approximately 10% higher than analytical value, load-strain relationships from the experiment and analysis were relatively similar to each other.
        179.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the flexural behavior of RC member recycled heavy weight waste glass as fine aggregate was evaluat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From the results, yield point and maximum load decreased with decreasing concrete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Also, the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does not reflect the ductility loss of RC members using heavy weight waste glass as fine aggregate.
        180.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omestic urban railway underground station structures, which were built in the 1970s ad 1980s, had been constructed as Cut-and-Cover construction system without seismic design. Because the trends of earthquake occurrence is constantly increasing all over the world as well as the Korean Peninsula, massive human casualties and severe properties and structures damage might be occurred in an non-retrofitted underground station during an earthquake above a certain scale. Therefore, to evaluate the retrofit effect and soil-structure interaction of seismic retrofitted underground station, a centrifugal shaking table test with enhanced stiffness on its structural main member are carried out on 1/60 scaled model using the Kobe and Northridge earthquakes. The seismic retrofitted members, which are columns, side walls, and slabs, are evaluated to comparing with existing non-retrofitted centrifuge test results Also, to simulate the scaled ground using variation of shear velocity according to site conditions such as ground depth and density, resonant column test is performed. From the test results, the relative displacement behavior between ground and structures shows comparatively similar in ground, but is increased on ground surface. The seismic retrofit effects were measured using relative displacements and moment behavior of column and side walls rather than slabs. Additionally, earthquake wave can be used to main design factor due to large structural deformation on Kobe earthquake wave than Norhridge earthquake w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