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동유아제도란 교정시설에서 여자수용자가 자녀인 유아의 양육을 신청하면 생후 18개월 내까지만 양육을 인정하는 처우로 해방이후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형집 행법은 대동유아를 돌봄의 개인화에만 그치는 고전적인 “양육”(parenting)의 이념으 로 접근하여 영유아보육법에 모든 유아에 대해서 국가의 의무로 명시된 돌봄과 교육 과 복지의 결합적 개념인 “보육”(care and education)의 이념과 돌봄의 사회화로 접근하지 못해 아동의 올바른 발달과 인권 및 양육자의 재생산권을 침해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철저한 보안이념과 가부장적 이념에 기인한 대동유아제도로 인하여 유아와 수용자의 헌법상 가족권의 실질적 보장은 형해화되었고 지속적인 애착박탈 과 모성과 부성에 대한 너무나 잔인한 국가 폭력이 되고 있음에도 사회와 국가는 그러한 폭력사실조차 모르고 좋은 제도로만 관념하고 있다. 대동유아제도에 관한 선행연구들도 유아학 등의 학제적 관점에서는 논문은 거의 없으며 보육이 아닌 양육의 이념에서 전부 접근하고 대동유아제에 관한 외국과의 비교 등을 통한 비교법적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애착이론과 대동유아개념론 및 대동유아에 관한 외국의 제도들을 살펴보고 나서 아동과 양육수용자의 헌법과 관련 법의 정당한 인권을 담보하 는 “교정보육”이란 새로운 대동유아처우이론을 포함한 독창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7,700원
        3.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유위(1858-1927)는 서방열강의 중국침략으로 중국이 반식민지 반봉건사회로 전락하고 중 국 민족이 생존위기에 직면하였을 때 대동사회를 구상하였다. 그는 당시 중국사회를 “끝없이 푸른 하늘과 넓은 대지는 큰 도살장이며 감옥일 따름”(대동서·甲部)이라고 생각하였다. 그 리하여 모두가 행복하고 괴로움이 없는 세상을 꿈꾸었는데, 그것이 바로 대동사회이다. 강유 위의 대동사상은 동서양 사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졌는데, 특히 공자의 대동사상, 공양삼세설, 인(仁)사상 등과 서구의 천부인권론과 공상적 사회주의 등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렇게 형 성된 그의 공상적 사회주의는 유가사상을 통한 사회주의의 공고화를 도모하는 중국사회주의 의 현대화를 이룩하는 데 사상적 초석으로 작용하였다.
        5,800원
        4.
        200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성마비가 아닌 발달장애로 진단된 아동을 대상으로 GMFM과 BSID-Ⅱ 평가를 각각 실시한 후 GMFM이 BSID-Ⅱ의 하위 항목들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발달장애 아동의 평가도구로써 활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인하대학부속병원 재활의학과에서 뇌성마비 이외의 발달장애로 진단받은 만 3세 이하의 아동 26명을 대상으로 GMFM과 BSID-Ⅱ를 평가하였다.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라 조산의 유무, 출생시 체중, 역연령에 따라 구분한 후 각 집단간 차이 및 두 평가도구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 발달장애 아동 26명 중 조산의 유무와 출생시 체중에 따라 각 집단간 GMFM, BSID-Ⅱ 정신척도, BSID-Ⅱ 운동척도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정연령에 따른 집단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또한 집단간 GMFM과 BSID-Ⅱ 정신척도는 조산아(r=0.68), 만숙아(r=0.67), 저체중아(r=0.63), 평균체중아(r=0.72)에서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GMFM과 BSID-Ⅱ 운동척도도 조산아(r=0.57), 만숙아(r=0.89), 저체중아(r=0.65), 평균체중아(r=0.90)에서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체 아동의 GMFM과 BSID-Ⅱ 정신척도의 상관계수는 0.71, GMFM과 BSID-Ⅱ 운동척도의 상관계수는 0.84로 관계가 있었으며, 교정연령 상 하위집단에서 0.56-0.85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발달장애 아동의 GMFM과 BSID-Ⅱ의 평가 결과는 모두 뚜렷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기능을 평가하는데 있어 GMFM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se were two main purposes of this study. The first was to research the relevance between gross motor function measurement (GMFM) and the spatiotemporal parameters of gai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second was to research the relevance between gross motor performance measure (GMPM) and the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Twelve children ( years) with cerebral palsy participated in this study. GMFM and GMPM were performed and the spatiotemporal parameters of gait were measured by using WalkWay MG-1000.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MFM score and the stride length, step length, step width, cadence, and velocity (p>.05). The GMPM score also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 (p>.05).
        4,000원
        6.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 using Rasch analysis. The data was obtained from the assessments of 59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Korea and were applied to Rasch's rating scale model to estimate the difficulty and goodness-of-fit of each item. Rasch modeling helped us to identify 76 items from the original 88-item GMFM that form an unidimensional hierarchical scale to rearrange 76 items in order of difficulty. Reliability coefficients of the 88-item and 76-item GMFM were .99 and .99, respectively. In this preliminary report, the Korean version of GMFM seems to have significant validity and reliability. These results may be useful in assessment of gross motor function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4,000원
        7.
        200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동작 운동 수행능력 측정도구(GMPM)는 뇌성마비 아동의 움직임을 질적인 면에서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동작 운동 수행능력 측정도구의 측정자간 신뢰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뇌성마비 아동 10명(평균 5.6세, 범위 4~8세)에게 GMPM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과정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각 속성 항목별로 3명의 평가자간의 급간내 상관계수로 일치도를 보았다. 전반적으로 측정자간 신뢰도는 '불량~보통'범주에 속했다. 이 연구의
        4,000원
        8.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GMFM(Gross Motor Function Measure). Three licensed physical therapists with varying amounts(2 - 6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served as raters. Thirty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were subjects for this study. Subjects were 22 boys and 8 girls, aged 1 to 8 years. Reliability of each dimension and each total score of the GMGM were analyzed using ICCs(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liability of each dimension score ranged from .76 to .98, with the walking, running, and jumping dimension having higher reliability values. The reliability of the total dimension score was .94. We conclude that the GMFM has inter-rater reliability for assessing gross motor function in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4,500원
        9.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朴致馥의 《大東續樂府》는 조선시대 사화를 수용하여 악부체시 형식을 빌어 쓴 영사악부로서 28편이나 되는 시 모두를 일컫는 시집 이름이다. 작가의 창작 동기는 《大東樂府》를 보고 조선 시대 역사가 빠져 있어서 이를 보충하려는 의도에서였다. 따라서 이 작품은 대동악부의 속편으로 조선 시대 사화를 중심 으로 지어진 것이다. 박치복의 《대동속악부》는 盧德奎의 《海東續樂府》와 내용이 같은데, 박치 복의 《대동속악부》가 원본이고 노덕규의 《해동속악부》는 박치복의 《대동 속악부》를 베낀 이본이다. 《대동속악부》는 조선시대의 王政, 烈行, 忠節, 學行, 孝行 등의 사화를 수용 하여 褒貶을 노래한 시로서 勸善懲惡의 교훈성을 지니며, 문학성과 역사성을 아울러 지니고 있다. 28편 모두를 1편 3수의 편법으로 구성하였으며, 장편의 서사성을 더하여, 일반 영사악부들이 지니는 문학성, 역사성, 교훈성을 뛰어 넘 는 특성을 지녔다. 특히 1편 3수의 편법과 장편 서사시로서의 구성과 표현은 우 리 나라는 물론 중국 고악부에서도 볼 수 없는 새로운 양식이다. 이를 통해서 작가의 충만한 표현 욕구에 의한 다양한 표현의 추구, 서사시의 다양한 변모, 연작시의 새로운 시도를 발견할 수 있다. 《대동속악부》는 중국의 악부에 대한 한국의 악부라는 개념이 바탕이 되어 서 우리의 역사와 우리의 노래를 중시한다는 작가의 역사의식에 의해 창작되었 다. 작품을 통해 작가의 서민의 삶에 대한 긍정, 조선 건국의 위대성, 충신, 열 녀, 학자, 효자의 아름다운 행실을 후대에 전승하려는 역사의식도 함융되어 있 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역사의식을 지니게 된 밑바탕에는 박치복의 역사관과 衛正斥邪 사상 이 깔려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대표적인 글이 「斥洋邪論」이다. 《대동속악 부》에 나타난 악부시적 성격과 작가의 역사의식을 통해 나타난 양상은 한국악 부문학사는 물론 漢詩史에서 일정한 위치를 차지한다.
        10.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朱子書節要』는 退溪 李滉(1501-1570)이 1558년 중국 宋나라 朱子(1130-1200)의 書札중 학문에 긴요한 것을 뽑아 편찬한 것이고, 『大東韻府群玉」은 草澗 權文海 (1534-1591)가 1589년 우리 나라 檀君으로부터 조선조 宣祖까지 역사 · 인물 · 지 리 등의 다양한 일을 韻字에 따라 표제어를 만들어 배열한 일종의 백과사전이다. 따라서 兩書는 중국 것과 우리의 것이라는 큰 차이가 있다. 이 책의 편찬자인 퇴계와 초간은 사제간이였으며, 두 저술은 31 년 간격을 두고 이루어졌다. 양서의 간행과 보급 그리고 후대 영향과 활용에 있어서도 엄청난 차이가 있었다. 간행과 보급에 있어서는, 『주자서절요』는 편찬된 직후에 많은 제자들이 서로 앞다 투어 간행하였다. 그 결과 편찬 직후 10년 내에 5차례나 출판되는 획기적인 기록을 세웠다. 이는 우리 나라 출판문화 역사에 있어서 단기간에 동일 서적을 여러 차례 출판한 것으로 찾아보기 힘든 예이다. 뿐만 아니라 그 뒤에도 지속적으로 간행하여 널리 보급되었기에 가가호호 구비되게 되었다. 반면에, 대동운부군옥은 편찬되어도 아무도 간행해주지 않았으며, 후손의 지극히 힘겨운 노력으로 펀찬된 지 248년만에야 겨우 간행되게 되었다 양서가 후대에 미친 영향과 그것의 활용에 있어서는, 『주자서절요」는 후대의 반향과 활용이 엄청나서 조선조 성리학자라면 누구나 필독서로 읽었다. 뿐만 아니라 이 책에 나오는 용어와 고사 그리고 내용 등이 우리 나라 문인들의 문집에 다량으 로 반영되고 응용되어 활용의 반향이 대단하였다. 반면에, 대동운부구옥은 지극 히 미미하여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48년간만에 간행된 요인도 있지만 간행된 이후에도 중국의 것에 경도되어 있는 우리 나라 사대부들의 學風的영향 때문에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그리하여 이 책에 살려 있는 내용이 활용되는 것은 아예 기대할 수가 없었다. 그러다가 일제시대와 현대에 와서야 민족적인 것을 강 조하면서 주목받게 되었다. 요즘 학계에서 많은 저술과 논문에서 이 책을 언급하 여 매우주목받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