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plores ways to enhanc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curriculum development competency through collaboration with in-service teachers. To this end, a course was designed to incorporate three key competencies of curriculum development (curriculum literacy, curriculum development competency, and curriculum evaluation competency) while adopting task-based language teaching and collaboration with inservice teachers as teaching methods. The designed course was implemented in a university for validation and revision. Ten pre-service English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course, where they developed English curricula in response to requests from three in-service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with both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revealed that the proposed course model adequately worked to improve the three key competencies of English curriculum development among pre-service teachers. Further, collaboration with inservice teachers was found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responsibility and active engagement in curriculum development, while also providing practical assistance and creative teaching ideas to in-service teachers.
The current research aims to enhance the quality of general English in the university by providing level-specific cultural curriculum and instruction based on students’ needs. This study utilized various research analysis methods such as literature-document and survey/interview. In the questionnaire respondents (a sample of 393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at class hours per week and the number of semesters were appropriate, but that more interesting and level-specific instruction was needed. It was also suggested that more elective courses should be available after the completion of general English cours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study developed 4-tiered level-specific cultural curriculum. The newly proposed curriculum reported in this study encompasses its 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starting with standards, goals, and language functions for each level, ways to offer remedial and intensive courses at each level and elective course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general courses. This new plan initiative requires an extensive revision of existing curriculums and an application of dynamic evaluation methods.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roject will present an important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model to other universities interested in providing level-specific English programs in the effort of maximizing the students’ learning.
이 연구는 상향식 교육과정 평가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협력적 실행 연구이다. 중앙 집중적인 교육과정 개발 체제를 따르는 우리나라의 상황을 고려해 볼 때, 교사는 교육과정 실행의 주체임에도 불구하고 국가 교육과정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개선 의견을 제안할 수 있는 공식적인 기회를 갖기 어려운 형편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이 연구는 단위 학교 에서 현행 국가 교육과정을 평가하고자 할 때 적용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였다. 연구자-참여자 간 협력을 통해 개발된 교육과정 평가 모형을 적용한 결과, 단위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국가 교육과정 평가는 교사들이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참여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고, 현장에 기반을 둔 유의미한 개선 의견을 도출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교육과정 제안자로서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주인-되기’의 역동을 형성하는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글은 상향식 교육과정 평가 모형이 지속・확산되기 위한 향후 개선 과제를 제안하였다.
일본의 영토 도발 행위는 점점 심해지고 아직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러한 도발 행위는 교육 분야에서도 진행되고 있다. 이에 영토교육의 필요성이나 방향성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영토교육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영토교육의 방향성을 살펴보면 첫째, 영토교육은 인지적 영역의 교육 외에 정의적·기능적 영역의 교육이 수반되어 세 가지 영역의 조화가 필요하다. 둘째, 배타적 민족주의에 비롯된 감정적인 측면의 교육에서 초국가적 차원의 지리적 사고력과 분석력의 배양과 공존과 번영을 위한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셋째, 영토교육이 실제 수업에서 어떤 내용으로 어떻게 가르칠 것이냐에 대한 교수-학습모형 개발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2015 사회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지리의 내용 체계와 2015 개정 교육 과정 고등학교 한국지리 3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여 독도교육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 모형에 따라 실제 수업에서 실현될 수 있는 지식·이해 중심의 교수-학습 지도안, 가치·태도 중심의 교수-학습 지도안, 기능·실천 중심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여 제 안하였다. 지식·가치·기능이라는 영역별 분류에 따라, 각 교수-학습 지도안마다 중점적으 로 배양하고자 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지도안을 설계하였다. 하지만, 모든 교수-학습 지도 안에서 추구하는 점은 같다. 배타적인 민족주의적 감성에 의한 교육이 아닌, 객관적 자료를 통한 지리적 분석력과 비판력을 기르고, 초국가적 차원의 의사결정력과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었다.
단위학교가 학교교육과정 중심으로 운영되며 학생들에게 양질의 학습경험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교육과정 리더십이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교육과정 리더십은 학교장을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며, 교육과정 운영의 핵심적인 주체인 교사들은 소외되고 배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 리더십의 문제점과 한계점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내러티브에 기반한 교사들의 교육과정 리더십 모형을 제시하였다. 학교교육과정은 계획, 개발, 실행, 평가의 단계를 거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내러티브적 사고 양식을 반영하는 대화, 이야기하기, 반성적 실천이 활용된다면 교사들의 리더십도 실현될 것이다. 내러티브에 기반한 교육과정 리더십 모형은 학교장 중심의 하향식 전달과 점검 위주로 실시되었던 교육과정 운영에서 벗어나 일반교사들의 전문성을 실현하도록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designed the development theory and teaching model for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by analyzing a diversity of educational curricula and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practices. There are the results of this paper as follows: 1. After analyzing the curriculum-developing theories presented by Tyler, Johnson, and Posner, I have drawn indispensable factors to develop the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Based upon these factors, I have set a whole framework for the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and design overall curriculum-developing model. I based knowledge-centered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upon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social problem-centered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upon experience-centered curriculum and individual interest-centered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upon human-centered curriculum. 2. In setting up an overall framework for the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I sorted out teaching plan from curriculum developing. As I have designed curriculum-developing models, I have designed teaching models in three different directions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To the knowledge-centered teaching model I applied concept-related and exploration-related development method in order to integrate the knowledge of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To the social problem-centered teaching model I applied process-centered development method such as a role-play in order to solve science-related social problems. To the individual interest-centered teaching model I applied the project method which gives the students an opportunity to achieve self-realization through the process of letting them choose the learning contents and conduct investigation for themselves. This study, as a preparation of the new science curriculum, will be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the science curriculum models and can be referenced as the direction of the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in school.
5개 국립사범대학의 학부과정의 영어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몇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1)우수한 중등학교 영어교원을 양성한다고 하는 영어교육과의 본래의 목적에 부합이 잘 되지않고 있다. 즉 각 대학의 전공과정 이수학점을 60학점으로 환산했을? 영어의 실제적 운용능력 부문에 평균10학점 만을 배당하여 이 방면의 교육이 소홀히 되고 있다. (2) 60학점중 평균24학점을 영미문학에 배정함으로써 순수이론 즉 영미문학 쪽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다.(3)영어영문학과의 교육과정과 대동소이하여 영어교육과의 교육과정으로서의 특성이 매우 희박하다. (4)교육과정의 내용 구조면에서 교과영역간의 균형이 잡혀있지 않고 있다. 즉 일반적으로 청해법지도가 경시되어 있고, 필수·선택간의 비율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5)일반적으로 중등학교 영어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극히 부족하다. 교육대학원의 경우도 학부의 경우와 유사한 문제점을 안고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1)교과교육학 및 영어운용능력지도법 등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여 교육현장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다. (2)영미문학계열의 학과목이 과다하여 일반대학원의 영어교육과정과 흡사하다. 교육대학원의 영어교육과정으로서의 특색이 별로 없다. (3)대부분의 교과목이 학부과정 교과목의 반복에 불과하다. (4)각 교육대학원개설과목간의 공통성이 매우 약하다. (5)교과목이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학부 및 대학원의 영어교육과정상의 모순점을 시정·보완하여 편성한 한국교원대학교 영어교육과정을 하나의 모형으로 간주하여 그 특색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영어교육과정은 궁극적으로 영어교육과의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존재하는 것으므로 영어 교육과의 운영방침은 곧바로 영어교육과정의 운영 방침이 된다는 관점에서 몇가지 기본방침을 교육 과정편성 및 운영의 기반으로 삼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