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1

        1.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rury)의 방제약제로 등록되어 있는 19종의 약제를 사용하여 미국흰불나방 노숙유충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yrethroid계인 deltamethrin EC, etofenprox EC, lambda-cyhalothin EC, esfenvalerate EC와 emamectin benzoate EC, tebufenozide WP, chlorantraniliprole WG, pyridalyl EW은 약제 살포 후 48시간 조사에서 9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metaflumizone EC는 72시간 경과후에 96.7%의 살충효과를 보였으며, methoxyfenozide SC는 96시간 경과 시점에서 100%의 높은 방제효과 가 나타내었다.
        3,0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군산과 고성(경남)의 벼(Oryza sativa)와 무안과 화순의 물억새(Miscanthus sacchariflorus)로부터 2012년 9월과 2013년 3월 사이에 Chilo속(풀 명나방과)에 속한 월동유충들을 각각 채집하였다. 시토크롬 c 산화효소 1 유전자의 부분염기서열과 성충 생식기 형태에 근거하여 벼에서 채집된 유충 은 이화명나방[C. suppressalis (Walker, 1863)]으로, 물억새의 유충은 나도이화명나방[C. niponella (Thunberg, 1788) (synonym, C. hyrax Błeszyński, 1965)]으로 동정되었다. 다른 여러 지역에서 이화명나방 성페로몬트랩에 포획된 성충 중 종 동정에 적용된 개체들은 모두 대상종인 이화명나방으 로 동정되었다. 두 종은 말령태로 월동하였다. 월동유충들을 채집한 후 수원지방의 야외조건에 두었을 때, 5~6월에 용화하였고, 14~88%의 유충 생존 율을 보였다. 3월 중 고성(경남)에서 채집된 이화명나방 유충과 1월 말에 화순에서 채집된 나도이화명나방 유충들은 채집 당시 휴면이 종료되어 발육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두 종이 분리되지 않은 채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실내집단의 갓부화 유충을 수원 야외에서 사육하였을 때, 6월 하순 부터 9월 사이에 발육을 시작하는 유충들이 월동유충이 생성되는 휴면에 유도되었다.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 사이에 사육을 시작한 집단들로부터는 비월동태와 월동태 유충들이 같이 발생하였다.
        4,600원
        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솔알락명나방은 침엽수 구과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경기도와 강원도 일대의 잣나무에 피해를 준다. 경기도 가평군 상면에 위치한 잣나무림에 서 솔알락명나방의 활동기간 및 설치 높이에 따른 유인력을 조사하기 위해 페로몬트랩을 설치하고 유인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735마리의 솔 알락명나방이 유인되어 포획되었다. 솔알락명나방은 5월 11일부터 10월 11일까지 5개월에 걸쳐 유인되었으며, 활동 최성기는 6월 22일로 나타났 다. 페로몬 트랩의 설치높이에 따른 유인력 검정에서는 99.2%의 개체가 수관상부에 설치된 페로몬 트랩에서 포획되었다.
        3,000원
        4.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사리명나방아과의 한국 분포종에 대해 재고찰한 결과, 총 두종을 확인하였다. 그 중, 애기고사리명나방(Musotima dryopterisivora Yoshiyasu, 1985)은 국내 분포가 재확인되며, 가무늬고사리명나방(Neomusotima fuscolinealis Yoshiyasu, 1985)은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한 다. 두종의 외형 및 생식기 특징을 사진과 함께 기술한다.
        4,000원
        5.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세계적으로 50여종이 알려져 있는 Adrapsa속은 지금까지 한국에서는 2종이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Adrapsa notigera (Butler)를 국내 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 종의 형태학적 특징과 유사종과의 차이, 분포지역, 성충 및 생식기 사진을 제공하며 유전학적 정보를 통하여 속 내 다른 종과의 분류학적 관계에 대해서도 고찰한다.
        4,000원
        6.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미기록종 Acronicta gigasa (큰뿔무늬저녁나방, 신칭)를 한국에 최초로 보고한다. 이 종에 대한 진단과 분류학적 기재문을 작성 하였고, 성충과 생식기 도해사진을 함께 제공하였다.
        4,000원
        7.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미기록속인 그물나비속(Neope)의 검은눈그물나비(Neope muirheadii)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 종의 채집지 정보와 간단 한 논평을 포함하여, 성충과 생식기의 사진을 함께 제시한다.
        4,000원
        8.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한국산 Thyas속을 검토하였다. 이 중, T. coronata (Fabricius, 1775)는 성충 및 생식기 도해사진을 기반으로 최초로 그 분류학 적 기재문을 작성하였다. 모든 한국산 Thyas속 종에 대한 분류학적 진단형질 및 분포 정보를 함께 제공하였다.
        4,000원
        9.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은 열대거세미나방 성페로몬 트랩에 지속적으로 상당수 유인되는 있는 비래해충이지만, 국내에서 뒷흰가는줄무늬 밤나방에 대한 정보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향후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에 대한 다양한 연구 진행을 위해서는 대량사육에 관한 선행연구가 요구 된다. 본 연구에서는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 대량사육을 위한 인공사료 2종의 개별 및 조합 공급과, 집단 또는 개체사육이 발육 및 산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존 나방류 사육용 2종의 인공사료에 대한 발육특성을 비교한 결과, 검거세미나방 인공사료 제공시 유충은 높은 생존율과 빠른 발육을 보였으나, 번데기 무게는 감소하였다. 2종 인공사료 간 산란수에는 유의한(P < 0.05) 차이가 없었다. 집단사육은 개체사육에 비해 유 충의 빠른 발육과 번데기 무게 및 생존율 감소를 야기하였다. 또한, 먹이와 사육 방법에 따라 암컷과 수컷에 미치는 영향이 달랐다. 뒷흰가는줄무 늬밤나방의 대량 사육을 위해서는 부화 직후 검거세미밤나방 인공사료를 이용해서 집단 사육한 후, 2령 혹은 3령 이후에는 개체사육하는 것이 효 율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0.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밤나방[Sesamia inferens (Walker, 1856)](나비목: 밤나방과)은 벼 줄기를 가해하는 해충이다. 본 연구는 국내 몇 지역에서 벼밤나방의 연 중 세대수를 추정하였다. 북위 38° 부근의 세 지역에서 벼밤나방 성충이 성페로몬트랩에 포획되었다. 이는 국내 모든 지역에서 벼밤나방이 서식하 는 것을 나타냈다. 조사된 지역 대부분에서 단일사인곡선의 유효적산온일도 모델로 추정된 세대별 성충 발생 시기는 관찰된 성충 세대의 발생 시기 와 차이가 없었다. 이 모델을 사용하여 추정된 월동유충은 성충 마지막 세대로부터 유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되었다. 중남부지역에서 가을동안 벼 포장에서 채집된 유충들을 25°C에서 사육하였을 때, 번데기의 약 70%가 용화전 유충 탈피를 보이지 않았다. 경남 고성에서 3월초에 채집된 유 충은 25°C 사육에서 유충 탈피 없이 용화하여 이 지역에서는 주로 마지막 유충 영기로 월동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모든 결과를 종합하여 벼밤나방 은 북위 38° 부근 지역에서는 주로 2세대, 북위 35.3° ~ 37.3° 사이 지역에서는 3세대가 경과할 것으로 결론지었다. 별도로, 시토크롬 c 산화효소 1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성페로몬트랩에 포획된 종의 35%가 다른 종이었고, 이들은 형태적으로 벼밤나방과 혼동되지 않았다.
        5,100원
        1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그림날개나방과는 날개편 길이 10~12mm 정도의 작은 나방으로 파좀나방아과와 그림날개나방아과로 구성 된다. 파좀나방아과는 앞날개 외연 중앙에 삼각형의 흰색 점이 있다는 형태적 특징이 있지만 종간 특징이 매우 유사하다. 그림날개나방아과는 앞날개에 반짝이는 금속성 무늬가 있으며 주행성이라는 특징이 있다. 그림날개 나방과는 세계적으로 약 500여종이 기록되어있으며 중국은 57종, 일본은 41종이 기록되었지만 한국은 11종만이 알려져 있어 추가적인 연구 가능성이 충분한 분류군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신화 된 한국산 그림날개나방과의 정리를 목표로 한다.
        1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나무림 내 나방류 곤충의 분포상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산림면적은 634만 ha로 국토의 약 63.2%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 소나무림의 면적은 총 156만 ha로 산림면적의 25.9%를 차지하고 있는 중요 수종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주요 소나무림의 나방류 조사를 위해 지형특성별로 동해안 산림, 내륙지대 및 해안지대로 먼저 구분하였고, 이들 지역 중 소나무림 19개소를 조사대상지로 선정하여 2021년 4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수행되었다. Moonlander Moth Trap과 버킷식 유아등 트랩을 이용하여 나방류를 채집하 였고, 본 연구에서 확보된 연구재료 이외에도 과거에 소나무림에서 채집된 한남대학교 동물분류학연구실 소장 나방류 표본을 포함하였다. 조사 결과, 총 32과 407속 589종의 나방류 곤충이 조사되었으며, 이 중 소나무를 섭식 하는 등 소나무류와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나방류는 총 10과 26속 30종으로 파악되었다.
        13.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미기록속인 Tineola Herrich-Schäffer속의 Tieola bisselliella (Hummel, 1823)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해당 종은 모피, 양모, 깃털, 가죽 등 일상용품을 가해할 뿐만 아니라 미술, 역사, 또는 과학적으로 중요한 물품들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산 T. bisselliella의 성충 및 암수 생식기를 기재하고 도판을 제공하였다.
        4,000원
        14.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Autosticha kyotensis (Matsumura, 1931) (교토점원뿔나방, 신칭)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이 종에 대한 성충과 생식기 형태에 대한 사 진 정보와 Autosticha속의 전 세계 체크리스트가 함께 제공되었다.
        4,000원
        15.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 c 산화효소 1 (COX1) 유전자 염기서열(658 bp)을 사용하여, 콩 포장에서 채집된 어리팥나방(Matsumuraeses falcana)과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의 종을 실험실 집단의 종들과 비교하여 동정하였다. COX1 염기서열 분석에서, 어리팥나방 47개체 로부터 10개의 하플로타입이 발견되었고, 종내 유전적 거리는 0.15~0.46%이었다. 이중 하프로타입 A형이 약 70%로 우점형이었다. 팥나방의 30개체로부터는 모두 동일한 하나의 서열만이 확인되었고, 어리팥나방과의 종간 유전적 거리는 4.11~4.61%이었다. 두 종의 COX1 염기서열을 번역한 아미노산 서열은 모두 동일하여 동의적 염기서열 변이(동의치환, 同義置換, synonymous substitution)를 확인할 수 있었다. 포장 조사에 서 두 종의 유충이 콩의 잎과 꼬투리를 가해하였고, 한 포장에서 동시에 발생하였다. 전체 포장에서 어리팥나방의 평균 밀도는 팥나방보다 약 1.5 배 높았다. 이 결과는 콩이 두 종의 동일 기주임을 명백하게 제시하였다. 별도로 이 속의 유충 기생파리로서 Elodia flavipalpis (파리목: 기생파리 과)가 발견되었고, COX1 서열로 동정되었다.
        4,000원
        16.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줄기명나방은 콩과작물 특히 팥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온도가 콩줄기명나방의 발육단계별 발육기간, 성충의 수명 과 산란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7, 10, 13, 16, 19, 22, 25, 28, 31, 34, 36°C 항온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알과 유충은 7, 10, 13°C를 제 외한 항온조건에서 다음 생애단계로 성공적으로 발육하였다. 알, 유충, 번데기의 발육기간은 온도가 상승할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콩줄기 명나방 발육단계별 발육 최저, 최고 한계는 LRF와 SSI모델을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일도는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 였다. 1령 유충 부화부터 성충출현까지의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일도는 13.5°C와 384.5DD로 추정되었다. SSI모델을 이용한 부화부터 성 충출현까지 발육 최저 및 최고온도는 19.4°C과 39.8°C였고 이들간의 차이 즉 발육적정온도범위는 20.4°C였다. 성충은 16°C와 34°C 범위에서 부화하는 알을 생산하였고, 25°C에서 최대 약 416마리의 자손을 낳았다. 노화율, 나이별 생존율, 나이별 누적산란율, 온도의존 산란수에 관련된 성충모델들이 작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온도발육모형과 산란모형은 야외에서 콩줄기명나방의 개체군동태를 이해하고 콩과작물의 종합적 인 해충군관리체계를 마련하는데 기초기반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600원
        17.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명나방은 콩과작물 특히 팥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콩명나방의 생물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발육단계별 발육기 간, 성충의 수명과 번식능력을 13, 16, 19, 22, 25, 28, 31, 34°C 항온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알은 모든 항온조건에서 부화하였고 유충은 16~ 31°C 온도조건에서 성공적으로 성충까지 발육을 완료하였다. 알의 발육기간은 31°C까지 온도가 상승할수록 짧아지다가 이후 온도에서 길어지 는 경향을 보였다. 유충, 번데기의 발육기간과 성충수명은 온도가 상승할수록 감소하였다. 콩명나방 발육단계별 발육 최저, 최고 한계는 LRF와 SSI모델을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일도는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1령 유충 부화부터 성충출현까지의 발육영점온 도와 유효적산온일도는 12.8°C와 280.8DD였다. SSI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한 부화부터 성충출현까지 발육최저 및 최고온도는 14.2°C과 31.9°C였고 이들간의 차이 즉 발육적정온도범위는 17.7°C였다. 온도와 관련된 콩명나방 성충의 생존, 수명, 산란기간, 산란수 자료들을 이용하 여 산란모형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온도발육모형과 산란모형은 야외에서 콩명나방의 개체군동태를 이해하고 콩과작물의 종합적인 해충군관리체계 확립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4,500원
        18.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요 생활권 수목인 벚나무류, 단풍나무류, 느티나무, 철쭉류, 무궁화에 대한 효과적인 방제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 확보를 위해, 해 당 수종별 나비목 곤충의 발생 양상을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조사하였고, 2020년 곤충의 발생 시기와 밀도를 조사하였다. 확인된 곤충으로는 벚나무류에서 14과 76종, 단풍나무류에서 8과 40종, 느티나무에서 10과 43종, 철쭉류에서 7과 28종, 무궁화에서 4과 10종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중 미국흰불나방은 느티나무를 제외한 모든 수목에서, 매미나방은 무궁화를 제외한 모든 수목에서 발생이 확인되었다. 발생밀도 조사 결과, 왕벚나무는 미국흰불나방, 갈색뿔나방이 많았으며, 느티나무는 느릅애기잎말이나방이, 무궁화는 점노랑들명나방의 발생이 가장 많았 다. 미국흰불나방과 매미나방은 경남지역보다 경기지역에서 밀도가 높게 조사되어 지역별로 방제 전략을 달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왕벚나 무는 확인된 나비목 곤충 종수가 가장 많고, 광식성인 종이 많아 주의가 필요한 반면, 단풍나무는 나비목 곤충 피해가 크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 다. 생활권 수목은 사람과 근접한 거리에 있어, 생활권 수목의 나비목 해충의 방제를 위해서는 페로몬을 이용하여 발생시기와 발생량을 예찰함으 로써 농약 살포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4,900원
        19.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ppa conspersa (Matsumura, 1931)를 포함한 Ippa Walker, 1864 속의 한국 분포를 최초로 확인하였다. I. conspera의 유충은 Lasius (Lasius) spp. 와 같은 몇몇 개미류를 포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한국산 I. conspera의 성충 및 암수 생식기, 유충의 외부 형태를 기재하 고 도판을 제시하였다.
        4,000원
        20.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국내미기록속인 까마귀나비속의 푸른줄까마귀왕나비를 최초로 보고한다. 푸른줄까마귀왕나비의 암컷 형태와 생식기, 채집 지 등의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신속한 종 동정을 위한 DNA 바코드 염기서열을 정보를 제공하였다.
        3,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