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꼰대’라는 은어가 한국의 기업조직 내에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권위주의적 리더와 구성원간 충돌과 갈등이 고조되고 있으며, 권위주의적 리더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절대적 권위와 통제력을 앞세워 조직을 독단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권위주의적 리더는 한국 기업조직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매우 보편적인 리더십 스타일의 전형이지만,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실제 조직에서 구성원들의 과업성과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에 본 연구 는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과업성과의 영향력 관계를 보다 실증적이고 구체적으로 검증하고자 다음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과업성과의 영향력 관계를 검증하고, 과 업성과 하락요인으로서 권위주의적 리더행동이 내포한 위험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둘째, 권위주의적 리 더십과 과업성과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역할을 실증하여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과업성과를 하락시키는 과정에 대한 설명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셋째, 전반적 조직공정성이라는 구성원 개인의 인식 수준 차이에 따라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내재적 동기부여에 미치는 효과가 차별화될 수 있음을 확인 하여,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해 과업성과 하락으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보다 심층 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위해 육군 간부(직속 상사-구성원) 196쌍을 대상으로 1개월의 시차를 두고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 내 구성원들과 갈등을 빚으며 꼰대라는 은어로 대표되고 있는 권위주의적 리더십은 실제 구성원들의 과업성과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내재적 동기부 여는 매개역할을 그리고 전반적 조직공정성은 조절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가 설에서 예측했던 바와 달리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내재적 동기부여의 부적 관계는 전반적 조직공정성 인 식이 높을수록 더욱 강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높은 전반적 조직공정성(이상)과 권위주의적 리더행동(현 실)의 괴리감에서 오는 인지부조화로 인해 내재적 동기부여가 더욱 급격히 하락하게 된 것이라 해석하였 다. 본 연구는 권위주의적 리더십, 과업성과, 내재적 동기부여, 전반적 조직공정성에 대한 역학관계를 보 다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한국 조직에서 매우 보편적인 권위주의적 리더십에 대해 이론적 함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연구의 말미에는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ICT기업에서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과 동시에 SNS 정보공유의 매개효과와 동기부여 언어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ICT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 210명을 대상으로 SPSS 회귀분석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들과의 SNS 정보공유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SNS 정보공유는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넷째,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행동 관계에서 SNS 정보공유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변혁적 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SNS 정보공유를 매개로 하여 혁신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한다. 다섯째, SNS 정보공유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리더의 동기부여 언어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SNS 정보공유가 혁신행동에 주는 긍정적인 효과는 리더의 동기부여 언어 사용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더욱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소프트웨어(SW)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는 계속 쏟아져 나오고 있다. 단순히 프로그래밍 언어를 습득한다는 개념을 넘어서서 논리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SW 교육은 SW 교육 플랫폼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개발, 연구되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를 활용한 SW 학습 플랫폼을 SW 교육을 처음 접하는 학습자들에게 적용하여 SW 교육 플랫폼의 중요성과 효과적인 SW 교육 플랫폼의 요소에 대해 고찰하고 학생들의 동기부여와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게임화 된 학습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급격한 기업환경의 변화에서 기업의 생존과 목적달성을 위해서는 변화와 혁신의 노력을 통해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기업은 창의적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활용함으로써 변화하는 시장상 황에 적응하고, 기회를 반응하며, 이를 통해 성장, 발전, 경쟁하게 된다(Oldham, 2002; Nonaka, 1991). 앞으로 4차 산업의 인재는 자신의 분야에서 창의적인 개발과 혁신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사람들과 소통할 줄 알아야 하며 창의적인 지식을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조직에서 리더는 건설적인 목적을 가진 구성원들의 의견이나 아이디어 또는 제안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앞으로 한국의 성장, 발전을 위해 조직에서 부하직원의 발언을 경청하는 리더의 행동이 구성원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하게 함으로써 한국 기업경쟁력에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리더의 행동특성이 구성원의 개인창의성, 친사회적 발언행동, 내재적 동기부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내재적 동기부여와 친사회적 발언행동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리더의 행동특성과 개인창의성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리더의 행동특성은 구성원의 개인창의성, 친사회적 발언행동, 내재적 동기부여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사회적 발언행동과 내재적 동기부여는 개인창의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리더의 행동특성과 개인창의성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조직에서 리더의 행동특성이 구성원의 창의성을 발휘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이 되며 리더의 역할이나 태도 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친사회적 발언행동과 정서적으로 나타나는 내재적 동기부여도 매우 중요하며 친사회적 발언행동과 내재적 동기부여가 창의성을 발휘하는데 긍정적인 작용을 일으킨다는 점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적자원관리 제도의 다수준성에 의거하여 조직 내 근로자 간 경험과 반응의 차이가 있음을 전제하고,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의 인식, 조직몰입, 그리고 업무노력 간 관계를 고찰하고 검증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조직몰입은 개념적으로 정서몰입, 지속몰입, 그리고 규범몰입으로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지금까지의 실증연구에서는 정서몰입만을 조명해온 것을 지적하며 지속몰입과 규범몰입의 역할을 함께 살펴보았다. 가설검증을 위해 국내 22개 기업의 809명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였고, 구조방 정식모형을 통해 전체적인 변수 간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중 임파워먼트형은 정서몰입과 규범몰입에, 고성과유도형은 정서몰입, 지속몰입, 규범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성과유도형은 업무노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으나, 임파워먼트형은 업무노력에 직접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츠스트래핑(bootstrapping) 분석을 통해 조직몰입의 간접효과를 살펴보았는데, 정서몰입과 지속몰입 모두 유의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금까지 조명받지 못하였던 규범몰입의 새로운 역할을 발견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의 인식의 중요성과 조직몰입의 새로운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와 관련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aper examines how empowering leadership and intrinsic motivation contributed to explaining in-role behavior.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 data were collected from 414 individuals in employe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t Jinju, Changwon, Gimhae, Busan City to test theoretical model and its hypotheses. All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with SPSS 18.0. This study reports findings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ing leadership and the intrinsic motivation is positively related. Secon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in-role behavior.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ing leadership and the in-role behavior is positively related. Finally, the intrinsic motivation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role behavio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including som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기업이 지속적으로 경쟁우위를 유지하며 살아남기 위해서 구성원 들의 창의적 업무수행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의적인 업무수행의 선행요 인과 진행과정을 구성원들의 자발성과 동기부여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심리적 임파 워먼트를 독립변수로, 내재적 동기부여를 매개변수로, 상사신뢰를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 다. 분석을 위해 국내 제조업 기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창의적 업 무수행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상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창 의적 업무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이 과정에서 내재적 동기부여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창의적 업무수행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신뢰는 내재적 동기부여와 창의적 업무수행 사이를 강화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성원들의 창의적 업무수행을 유도하기 위해서 심리적으로 임파워먼트 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야 함과 동시에 상사와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려주고 있다.
조직에서 상사에 대한 신뢰는 구성원의 내적인 동기부여는 물론이고, 지식공유, 창의성과 같은 조직경쟁력과 관련된 중요한 부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상사에 대한 구성원의 신뢰가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하여 지식공유와 구성원의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국내 제조업 32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사에 대한 신뢰는 구성원의 내재적 동기부여를 강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내적으로 동기부여 된 구성원들은 자신의 지식을 적극적으로 공유하도록 하였고, 창의적인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동기부여는 상사신뢰와 지식공유, 상사신뢰와 구성원의 창의성 사이에서 부분적인 매개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상사신뢰는 차별적 경쟁력에서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는 지식공유, 창의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런 영향을 감안할 때 기업조직에서 리더(팀장/부서장)들의 신뢰로운 행동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과 조직관리에서 참고할 만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IMO에서는 최근 해양사고의 주된 사고 원인이 인적과실이 원인임을 인식하고 사고예방을 위하여 BRM 교육을 강제화 하였다. BRM교육 내용 중 리더십(Leadership)은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IMO 모델 코스에서 제공하는 리더십 교육내용과 현대 리더십 이론을 접목하여 운항급 교육내용을 제시하고 아울러 리더십에 대한 선원의 의식변화를 유도하기에 의하여 지식기반의 교수기법을 적용한 효율적인 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게임을 이용한 교육은 아동, 노인, 발달장애, 재활치료, 예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교육용 기능성 게임은 공간적, 시간적, 전문교사의 한계를 극복하고, 게임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재미를 느끼면서 교육의 목적 을 전달 할 수 있는 방법이다. 교육용 게임에서 학습자의 동기부여는 게임의 참여와 학습 효율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 한 요소이다. 교육용 게임 개발에서 동기 부여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분석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 육 학습설계에 활용되고 있는 Keller의 학습설계 이론 ‘ARCS(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Satisfaction)’를 분석하고, 교육용 게임 개발과정에 적용하여 게임을 하는 학습자에게 동기유발에 필요한 요소들을 연구하였다. 교육용 게임개발 에서 대상자의 학습 동기 유발 요소를 분류하고 정리하여, 게임의 재미요소를 적용한다. 교육용 게임을 하는 학습자에 게 게임의 중요한 특징인 ‘재미’와 ‘상호작용(Interactive)’을 이용하여 교육내용의 지속적인 참여와 학습효과 향상에 기여 한다.
최근 스포츠와 체육 분야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동기이론 중 자기결정이론은 사회적 요소인 학습 환경이 활동에 참여하는 개인의 심리적 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들 욕구는 동기를 비롯한 인지, 정서, 행동 결과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환경 내 지도자에 의한 자율성 지지는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 자기결정동기 및 인지, 정서, 행동과 관계가 있다는 근거를 토대로 하여 자율성 지지(Reeve, 2002)의 정의와 내포하는 의미를 검토한다. 그리고 이를 현장의 피트니스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지도자에 의해 조성된 자율성지지 환경이 학생 참여자들의 심리적 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자기결정동기, 및 정서-행동적 참여인 즐거움과 노력 등 미래의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효과를 검증한다. 독립표본 t-검정 결과, 자율성 지지를 적용한 피트니스 프로그램의 중재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율성지지, 자율성, 자기결정 동기(내적동기, 확인규제), 정서적 및 행동적 참여(즐거움/재미와 노력)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자율성 지지의 영향력과 효과는 두 집단 간의 비교를 통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결정이론의 현장적용 가능성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