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

        1.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혈통이 확인된 한우 암소의 체중과 월령에 따라 난소에서 난포의 분포 양상을 확인하고, 체외성숙배양 배지가 채취된 미성숙 난자/난구세포의 배양시 분할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도축장에서 도축된 암소들의 혈통, 생체중, 및 월령을 기준으로 적출된 난소를 분류한 후, 난소 모양, 황체, 백체 및 난포액 분포 양상을 확인하였고, 개체별 한우 난소에서 18G 주사침이 장착된 5ml 주사기를 이용하여 난자를 채취한 후,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난구세포가 난자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난자를 회수 하였다. 회수한 미성숙난자를 25mM HEPES 와 10% FBS 가 첨가된 TCM-199 으로 옮겨 2~3 회 세정한 후, follicle stimulating hormone(FSH, Sigma) 0.5 μg/ml, luteinizing hormone(LH, Sigma) 0.5μg/ml, β-estradiol(Sigma)1μg/ml 가 첨가된 미성숙 난자의 체외성숙배지 BO, TCM199, 및 IVMD101 를 각각 사용하여 22 시간 동안 38.5℃, 5% CO2 배양기에서 성숙시켰다. 동결정액은 동일한 보증씨수소 정액을 37.5℃에서 30 초간 융해 하였으며, 최종 정자에는 IVF100 을 첨가하여 각각의 정자 droplet 에 난자들을 38.5℃, 5% CO2 조건의 배양기에 5~6 시간동안 체외수정 하였다. 연구 결과, 무혈통 번식 한우의 체외성숙 배지별 분할율은 BO 배양액에서 23.99%였고, TCM199 에서 47.99%, IVMD101 에서 40.04%로, BO 가 가장 낮았고 TCM199 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개체별 체중에 따른 난자의 체외성숙 배지별 분할율은 480kg 미만의 경우, TCM199 에서 72.73%였고, IVMD101 에서 33.77%로 TCM199 이 월등히 높았다. 480-639kg 의 경우, TCM199 에서 50.05%였고, IVMD101 에서 55.11%로 IVMD101 가 높았으나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640-699kg 의 경우는 TCM199 에서 65.38 %였고, IVMD101 에서 47.92%로 TCM199 가 높았으며, 700kg 이상의 경우에는 TCM199 에서 61.75%, IVMD101 에서 55.63%로 TCM199 가 더 높게 나타났다. 개체별 월령에 따른 난자의 체외성숙 배지별 분할율은 39 개월 미만의 경우, TCM199 에서 62.41%, IVMD101에서 50.00%로 TCM199 이 높았고, 39-50 개월미만의 경우에는 TCM199 에서 51.22%, IVMD101 에서 49.89%로 TCM199 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50 개월 이상의 경우에는 IVMD101 에서 57.40%로 TCM199 에서 52.25%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체중별로 채취된 난자는 TCM199 에서 분할율이 높았으며, 월령별로 채취된 난자는 50 개월이상의 경우 IVMD101 에서 분할율이 높았으나 39-50 개월미만과 39 개월미만의 경우 TCM199 에서 분할율이 높아 다른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중, 월령 및 배양 배지에 따라서 분할율의 향상과 이때 발현되는 번식형질 유전자의 발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 2 decades, including in vitro maturation (IVM),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ARTs) achieved noteworthy development. However the efficiency of ARTs with in vitro matured oocytes is still lower than that with in vivo oocytes. To overcome those limitations, many researchers attempted to adapt co-culture system during IVM and consequently maturation efficiency has been increased. The beneficial effects of applying co-culture system is contemplated base on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various somatic cells and oocytes, achievement of paracrine factors, and spatial effects of extracellular matrix (ECM) from somatic cell surface. The understanding of co-culture system can provide some information to narrow the gap between in vitro and in vivo. Here we will review current studies about issues for understanding cu-culture system with various somatic cells to improve in vitro maturation microenvironment and provide bird view and strategies for further studies.
        4,000원
        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도축된 한우의 황체난소, 낭종난소, 정상난소를 이용하여 체외 수정란 생산 시, 각각의 난소별 수정란 생산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난소별 미성숙 난자의 회수율을 조사하였다. 15 18℃로 운반된 도축 유래 난소로부터 18G 주사침이 장착된 10 ml 주사 기를 이용하여 적색체 또는 황체가 형성된 난소, 직경 15 mm 이상의 낭종성 난소 및 4 10 mm의 정상난소로부터 미성숙 난자를 회수하여, 체외수정을 통한 분할율을 확인하 였다. 총 회수된 미성숙 난자와 이용 가능한 미성숙 난자의 수를 조사한 결과, 황체난소, 낭종난소 및 정상난소에서 총 회수된 미성숙 난자는 18.94±1.11, 18.57±1.42 및 20.24± 2.28개로 관찰되었으며, 그 중 성숙 배양에 이용된 미성숙 난자는 7.92±0.77, 8.22±1.31 및 10.70±1.02개로 확인되었고, 모두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또한, 난 소에서 총 회수된 미성숙 난자에 대한 성숙 배양으로의 효율은 황체난소, 낭종난소 및 정상난소에서 각 42.39±5.01, 43.60±5.15 및 53.55±3.19%로 조사되었으며 유의적인 차 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한편, 황체난소, 낭종난소 및 정상난소로부터 회수된 미성 숙 난자의 분할율은 77.46±1.60, 74.91±2.03 및 77.39±2.39%로 관찰되었고 유의적인 차 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본 연구의 실험 결과 황체 및 낭종난소와 정상난소에서 회수된 미성숙 난자의 개수 및 분할율에는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황체 및 낭종난소에서도 정상적인 난소에서와 마찬가지로 미성숙 난자가 채 란되며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성숙 및 발달율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4.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효율적인 재래 산양의 난포란을 확보하기 위하여 미성숙 산양에 과배란 처리를 실시하여 체내 성숙 난자(배란된 난자) 및 난포란을 회수하여 공란산양의 성숙 여부가 난자의 회수율과 단위 발생란의 체외발달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미성숙 산양의 과배란 처리에 의한 체내 성숙 난자의 회수율에 있어서 과배란 처리 후 두당 황체수는 13.16.5개로서 성숙 산양의 8.82.4개와 차이가 없었다(p<0.05). 산양의 두당 회수율은 마성숙 산양이 9.
        4,000원
        6.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CG and various concentrations (20, 40, and 80 ) of porcine FSH on nuclear maturation and intracellular glutathione (GSH) level of oocytes, and embryonic development after parthenogenetic activation (PA) and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in pigs. Immature pig oocytes were matured in TCM-199 supplemented with porcine follicular fluid, cysteine, pyruvate, EGF, insulin, and hormones (10 IU/ml hCG and 10 IU/ml eCG or FSH) for the first 22 h and then further cultured in hormone-tree medium for an additional 22 h. Nuclear maturation of oocytes () was not influencem foreCG and various concentrations FSH. Embryonic development to the cleavage stage () and mean number of cells in blastocyst ( cells) after PA were not altered but blastocyst formation e-treignificaddlor(p<0.05) improvem forthe supplementation eith 80 FSHr(64%) compared to 47%, io8%, iand 47% in oocytes that were treated with eCG, 20,i and 40 FSH,i numectivelo. In SCNT, fusion () of cell-cytoplast couplets and siosequent embryo cleavage () were not influencem fordifferent gonadotropins but blastocyst formation tended to increase forthe supplementation eith 80 FSHr(25% vs. ). Our nuults demonstrated that oocyte matura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after PA and SCNT e-frinfluencem fortype of gcem fortype of gits concentration. In this study, supplementation of maturation medium eith 80 FSHrimproved preimplantation development of PA and SCNT pig embryos, probably by increasing intracellular GSH concentration of matured oocytes.
        4,000원
        7.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human follicular fluid and gonadotropin (FSH+HCG+rhEGF) on in vitro maturation,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human immature oocytes.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were collected following for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VF-ET) cycles of the patients. At the time of oocytes collection, oocytes were classified into MII, MI and GV in accordance with their appearance (MII: Fully mature oocyte at metaphase II of meiosis; MI: Nearly mature oocytes at metaphase I of meiosis; GV: Immature oocytes at prophase I of meiosis). After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using gonadotropin(FSH) and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in 70 ICSI cycles, 158 MI to MII matured oocytes were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h after in vitro culture and 553 MII oocytes were ICSI after denudation. The aspirated MI and GV oocytes were cultured in culture medium containing 10% (v/v) serum protein substitute (SPS), 10% (v/v) human follicular fluid (hFF) and 10% (v/v) serum protein substitute (SPS)+1 IU/ml FSH+10 IU/ml HCG+10 ng/ml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hEGF). The maturation rate of immature oocytes was similar among the three group. When maturation medium was supplemented with 10% SPS, 10% hFF or gonadotropins, the fertilization rate of in vitro matured oocytes was higher in 10% SPS (80.0%),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78.2%; hFF, 76.9%; gonadotropin, p>0.05). The development rate of human embryos developed to cell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dium containing SPS, hFF and gonadotropins (65.6%, 65.9% and 66.7%). The results of these study suggest that human follicular fluid and gonadotropins supplemented in the culture medium was not effected on the in vitro maturation,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human immature oocytes.
        4,000원
        10.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mSOF(modified synthetic oviduct fluid medium) 배양액을 이용하여 와 배양 소적에서 일본 흑우의 수정란 생산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난구세포가 부착된 미성숙 난자는 각각 단독 배양조건( 소적) 및 그룹 배양 조건 ( 소적)에서 실시하였고 배양액은 TCM-199의 기본 배지에 10% FCS, 0.02IU/ml FSH와 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배반포 단계로 발육한 수정란은 1.5M ethylene
        4,000원
        11.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체외 수정란의 생산에 있어서 체외성숙 시간이 핵성숙, 다정자 침입율 및 배 발생과 배반포의 부화율 배반포의 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돼지 난포란의 핵성숙율이 체외성숙 36, 38, 40, 42 및 44 시간째에 각각 68.0, 78.0, 79.5, 73.8 및 81.8%로서 각 군간에 유사한 경향이었으며, 체외 수정 후 다정자 침입율도 각각 48.7, 36.0, 44.4, 38.9 및 31.8%로서 차이가 없었다. 체외 성숙 시
        4,000원
        14.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개의 미성숙난자의 낮은 성숙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연발정온 개의 생식기관에 미성숙 난자를 이식하여 체내 배양 난자를 회수하여 회수된 난자의 핵 성숙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성숙난자를 24, 48 및 72시간 동안 체외성숙을 유도하였을 때 성숙시간에 따른 체외성숙율에는 유의적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2. 체내 배양 기간에 따른 난자의 회수율은 배양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낮은 회수율을 보였으며, 배양기간이 증가할수록 난자의
        4,000원
        18.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iency and compared with different materials of loading vessels for vitrification-plastic/glass, copper grid and nylon. The loading method, vitrification, cryop-reservation and warming method of the oocytes were examined. The loading samples prepared in manual or company-made and sterilized, loaded the COCs selected on each samples and cultured for maturation during 40 hours, and then exposed sequentially to ethylene glycol solution. Thawing method was reversely treated and exposed for warmed oocytes. After oocytes were thawed, fertilized and cultured in vitro for 3-4 hours, rates of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appearance were examined. The results were as summarized: ㆍOPS from company-made or hand-made of the hematocrit micropipettes, NLS from fishing line and EMG from company-made for EM were used for loading oocytes, respectively. ㆍThe efficiency of freezing method and loading convenience were orderly higher in OPS, NLS and EMG. The optimal capacity per vessel was orderly lowered in NLS, EMG and OPS, respectively. ㆍAfter oocytes were warmed, the recovery rate, morphology and rate of development were orderly higher in OPS, NLS and EMG, respectively. ㆍIn conclusion, OPS has the advantages of achieving a little more survival and preserving results than other two loading methods.
        4,000원
        19.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성숙 돼지난자가 체외성숙배양액인 TCM-199과 NCSU-23배지에서의 배양상태를 비교하였고, 체외성숙용 TCM-199배지에 Earle'ssalt와 Hank's salt의 첨가에 의한 세포분화와 배발달 상태를 각각 조사하였다. 1. TCM-199와 NCSU-23 배양액에 각각의 supplement를 첨가하여 5% 조건하에서 체외성숙을 유기한 결과, TCM-199 배양액에서 유의성(p<0.05)이 검증되었다. 2. 체외성숙용 TCM-199배지
        4,000원
        20.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소 미성숙 난자의 성숙 배양 시 세포주기 억제제인 cycloheximide, 6-DMAP, rosco-vitine를 첨가하였을 때 난자의 감수분열이 억제제비 첨가난자에 비해 높은 비율로 germinal vesicle 기에서 정지된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cyclohexi-mide, 6-DMAP, roscovitine을 배지에서 제거한 후 다시 추가적인 체외 성숙 배양을 실시하여 ger-minal vesicle기에 정지된 세포주기의 진행이 재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