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

        2.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o-pore domain 칼륨() 통로는 흥분세포 및 비흥분세포의 안정막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관여한다. 그러나 생식세포 및 생식기관에서 발현되는 통로의 분포영역 및 그 기능에 대해서는 연구자들에 의해 아직 정리되지 못하였다. 본 종설에서는 통로의 생식세포 및 생식기관에서 발현, 분포 및 생리학적 의의를 논하였다. 통로는 인간 영양막세포, 자궁근층, 태반혈관계, 자궁평활근조직, 태반융모조직 및 임신자궁조직에서 발현되어 임신에 있어서 관련성을 제
        4,000원
        3.
        2009.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ermatogonial stem cells(SSCs) only are responsible for the generation of progeny and for the transmission of genetic information to the next generation in male. Other in vitro studies have cultured SSCs for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genetic modification in mouse and rat. Currently, information regarding in vitro culture of porcine Germline Stem Cell(GSC) such as gonocyte or SSC is limited and is in need of further stud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report development of a successful culture system for gonocytes of neonatal porcine testes. Testis cells were extracted from 10~14-day-old pigs. These cells were harvested using enzymatic digestion, and the harvested cells were purified with combination of percoll, laminin, and gelatin selection techniques. The most effective culture system of porcine gonocytes was established through trial experiments which made a comparison between different feeder cells, medium, serum concentrations, temperatures, and O2 tensions. Taken together, the optimal condition was established using C166 or Mouse Embryonic Fibroblast(MEF) feeder cell, Rat Serum Free Medium(RSFM), 0% serum concentration, 37℃ temperature, and O2 20% tension. Although we discovered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 for proliferation of porcine gonocytes, the gonocyte colonies ceased to expand after one month. These results suggest inadequate acquirement of ingredients essential for long term culture of porcine GSCs. Consequently,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establish a successful long-term culture system for porcine GSCs by introducing various growth factors or nutrients.
        4,000원
        4.
        200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에 있어서 정원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정소세포를 recipient 돼지의 정소 내로 이식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공여세포는 10~14일령의 돼지로부터 채취된 정소에서 효소처리법을 이용하여 회수하였고, recipient의 정소 내로 이식하기 전 형광 마커(PHK26)로 표지하였다. 외과적 수술을 통하여 recipient 돼지부터 정소를 꺼낸 후 초음파 기기와 이식 장치를 이용하여 형광표지된 공여세포를 recipient 정소의 세정관 내로 이식하였다. 14주령의 recipient 정소에 5~7ml 의 공여 세포부유액을 주입하여 정소 내 50% 이상의 세정관 내로 새포부유액의 주입이 가능하였고, 세포부유액이 주입된 세정관 내에서 형광표지된 정소세포들이 고루 이식되어짐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이식 기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정소세포의 이식이 가능함에 따라 향후 돼지 정원줄기세포의 연구 및 활용법 개발에 획기적인 돌파구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5.
        2004.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mammals, male and female germline stem cells are derived from primodial germ cells. Despite many efforts to identify stem cells from gonads, there has been little successe to identify germline stem cells yet. In this study, we isolate and characterized porcine germline stem cells using only stem cell markers that are prevalently expressed in various tissues. Gonadal cells derived from both male and female formed colonies and showed AP activities and different lectin binding properties. Pluripotency of germline stem cells was also identified by positive signals against putative stem cells markers such as SSEA-1 and SSEA-3. In addition, nestin was also found in primary gonad cells that have a similar morphology to the AP-positive cells. The nestin expression suggests that the germline stem cells may have similar expression of the prevalent stem cell markers found in other tissues. The demonstration of nestin expression together with pluripotent cell markers calls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possible differentiation of nestin-positive cells into neurons.
        4,000원
        6.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생쥐 고환으로부터 얻은 세포를 배양하여 군집을 형성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AP, SSEA-1, -3, -4과 Integrin 6, 1 및 Oct4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2. 생쥐 생식줄기세포를 3-5일정도 배양하게 되면,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군집을 이루게 되는데 이는 생쥐 배아줄기세포나 배아생식줄기세포의 형태와 같은 것이었다. 3. 생쥐 생식줄기세포를 체외에서 효과적으로 분리, 배양할 수 있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4,000원
        7.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우의 수정란을 보존하기 위하여 고급육계통과 다유계통의 공란우를 선발하여 과배란처리에 따른 황체의 반응, 황체수에 대한 채란된 수정란의 수 그리고 채란 수정란수에 대한 이식가능한 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다유계통의 공란우는 이유시 체중에 대한 육종가 상위 20%이내, 고급육 계통의 공란우는 육질에 대한 육종가 상위 20%이내의 종빈우를 선발하였다. 과배란처리 방법은 발정후 11일차에 PEG 30% FSH를 견갑부에 피하주사로 1회 투여하
        4,000원
        8.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우의 유전자원을 보존하기 위하여 정액동결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고급육계통은 육질에 대한 육종가 상위 10% 이내의 자손에서 선발하였고 다 유계통은 어미의 이유시 체중에 대한 육종가 상위 10%이내의 자손에서 선발하였으며 2개 계통에서 종모우 총 13두를 선발하여 공시하였다. 정액채취는 인공질법으로 실시하였고 의빈대에 수소를 계류하고 채정대상우를 승가시켰으며, 3회 가승가후에 채정하였다. 채정후 10분 이내에 실험실로 옮겨와 검사항목을 조사하고 37에서
        4,000원
        12.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시생식세포(primordial germ cell; PGC)는 성성숙 이후에 기능을 갖는 생식세포의 근원이 되는 세포로서, 다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chimera 및 유전자 변환동물 생산을 위해 널리 사용되어 온 배아주(embrynic stem; ES)세포를 대신할 다른 세포계라고 생각되어져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실험은 체외배양을 통하여 원시생식세포의 증식과 확립을 위해 배양조건을 구명하고, 또한 성장인자의 효과를 검
        4,000원
        15.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reventive effect of three forms of Korean ginseng roots (fresh, white and red) against bisphenol A (BPA) toxicity in mouse male germ cells (GC-2spd, TM3, TM4). ROS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ion were measured by DCF-DA (2’,7’-dichlorohydrofluorescein diacetate) assay. Also,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as performed to quantify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apoptosis- related genes, Bax (pro-apoptotic gene) and Bcl2 (anti-apoptotic gene). ROS generation was increased by 50 μM BPA, but definitely decreased by treatment with Korean ginseng extracts (fresh, white and red) in mouse male germ cells. In especial, Korean fresh ginseng extract reduced significantly ROS production to normal control. In addition, Korean fresh and white ginseng extracts suppressed the apoptosis of mouse male germ cells by fine-tuning mRNA levels of apoptotic genes changed by BPA. In general, Korean fresh ginseng extract was more effective than white ginseng extract for reducing BPAinduced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in mouse male germ cells. Therefore, Korean fresh and white ginseng may help to alleviate biphenol A toxicity in mouse male germ cells.
        16.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컷 살조개 Protothaca (Notochione) yessoensis의 정자 형성 과정 중 생식세포들의 분화와 성숙정자의 미세구조 특징에 관한 몇 가지 특징을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본 종의 정자형태는 원시형(primitive type)으로, 이매패강, 이치아강(Heterodonta)에 속하는 다른 종들과 유사하다. 생식세포에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는 보조세포들은 생식세포들의 발달을 위해 영양공급에 관여한다. 본 종의 정자의 핵형은 긴 원통형이며 첨체의 형태는 모자모양이다. 정자는 길이가 대략 46~50 ㎛이며, 길다란 정핵(길이 약 2.44 ㎛)과, 첨체(길이 0.45 ㎛), 그리고 미부 편모(약 42~46 ㎛)로 이루어져 있다. 미부 편모의 악소님(axoneme)은 9+2 구조를 나타낸다. 첨체소포의 특징으로써 basal ring의 기저부 위에서 측면부위는 전자밀도가 불투명한 부위를 나타내나, 첨체소포의 앞쪽 정단부위는 전자밀도가 비교적 투명한 부위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이것이 이치아강에 속하는 백합과와 또 다른 여러 과들에 속하는 종들의 정자들이 갖는 첨체소포의 공통특징이다. 따라서 이치아강이 갖는 이들 첨체소포가 갖는 공통특징은 분류의 key 또는 중요한 도구로써 계통․분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정자 중편에 있는 미토콘드리아 수는 4개로 이치아강 내에서 백합과의 3종을 제외한 모든 종들과 다른 과들의 종들에서 공통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예외로, 개조개, 백합, 가무락조개 만은 중편의 미토콘드리아가 5개로 이루어져 있다. 미토콘드리아 수는 과나 또는 상과 수준에서 종들의 분류학적 분석을 할 경우, 분류 key 또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17.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에 체세포 리프로그래밍 기법을 사용하여 체세포에 몇 가지 전사인자(리프로그래밍 인자)를 넣어줌으로써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를 만드는데 성공하였다. 유도만능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하게 자가재생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신체의 모든 타입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배아줄기세포와는 달리 면역거부반응이 없다는 점과 윤리적인 문제로부터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어 2006년 Ya
        18.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nRH는 국부적으로 난소에서 합성되며, 난소내 과립 및 황체세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난소의 기능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GnRH는 난소내 과립-황체화 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GnRH에 의한 세포자연사가 FSH에 의해 회복될 수 있는지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난자 채취시 획득한 사람 과립-황체화 세포를 배양한 후 5, 50, 100 ng/ GnRH와 1 IU/ FSH를 처리
        19.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나리의 종간잡종 육성체계를 확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OA hybrid 중 자발적으로 생식세포 염색체가 배수화된 계통을 이용하여 후대 획득과 후대검정에 필요한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n 화분을 생산하는 OA hybrid의 경우 화분의 채취시기에 따른 생존율과 발아율은 10월에 비해 6월이, 생존율은 n성 화분이, 발아율은 2n성 화분이 높았다. 2n 화분을 생산하는 2배체 OA hybrid와 2배체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