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low-fidelity simulation and actual human practice on the learning outcomes of a peripheral intravenous injec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Seventy-two third-year nursing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Seoul were includ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38 and 34 in the low-fidelity simulation and human practice groups, respectively. The program was conducted from June 19–20, 2024.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χ²-test, independent t-test, and ANCOVA. Result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venipuncture performance, communication skills, empathy, academic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outcomes between both groups. Additionally, post-program learning satisfaction was similarly high in both groups. Conclusion: Low-fidelity simulation is as effective as actual human practice in achieving comparable learning outcomes in a peripheral intravenous injec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With appropriate instructional design, low-fidelity simulation can be a viable alternative to human practice, providing flexibility and accessibility in nursing education.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additional educational modules that enhance emotional and social skills, such as communication and empathy,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earner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immersion, satisfaction, and confidence in nursing competence after simulation practice.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38 senior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using SPSS/WIN 27.0. Results: Immersion, satisfaction, confidence, and nursing competence scored 85% of the overall scores. Nursing compet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mmersion, confidence, and satisfaction. Only immer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nursing competence, explaining 55.8% of variance. Conclusion: The level of immersion must be increased to enhance nursing competence in simula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mmersion on nursing competencies.
본 연구는 평생교육 실습생들의 감정 조절 및 스트레스 관리 능력 향상에 대 한 감정코칭의 효과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평생교육 실습은 실 습생들이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와 체계적이지 못한 운영으로 인해 실습생들의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감정 조절이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이에 따라 실습생 들이 효과적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감정 코칭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23년 9월부터 11월, 그리고 2024년 3월부터 5월까지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코칭을 받은 실습생 80명과 받 지 않은 실습생 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156명(78명 실험집단, 78명 통제집단)의 데이터를 SPSS27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 과, 코칭에 참여한 실습생들은 감정조절 능력과 스트레스 관리 능력이 유의미하 게 향상되었으며, 이는 감정코칭이 실습생들의 자존감과 긍정적 정서를 증진시 키고, 부정적 정서와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개인 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 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 현장에서 실습생들의 전문성 개발을 위해 감 정코칭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실습생들이 보다 나은 교육 환 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이를 통 해 평생교육 실습 프로그램의 개선과 실습생 지원 전략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관찰과 QR-Code를 활용한 피드백 자율 실습 방법이 핵심간호술 수행능력, 수행자신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 조군 전·후 설계를 적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시 소재 U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 재학생 105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Fisher’s exact test, -검정,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치도뇨 수행능력은 유의하게 증가(t=8.532, p<.001)하였으나, 근육주사 수행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1.818, p=.077). 유치도뇨 수행자신 감(t=5.099, p<.001)과 근육주사 수행자신감(t=5.473,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자기효 능감(t=4.332, p<.001)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에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관찰과 QR-code 활 용 피드백 자율실습은 난이도가 높은 핵심간호술 항목에 더욱 효과적이며,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자기효 능감 향상에 효과적인 자율실습 교육방법이라는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핵심간호술 20개 항 목의 난이도를 다양하게 포함한 반복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이 연구는 한국 초등교원양성기관의 실습학기제 도입에 따른 운영방안 을 탐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 초등교원양성기 관의 교수들 중 교육실습 경험이 풍부한 교수 2명, 교육과정 담당자 2 명, 실습학교 교사 5명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 시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초등교원양성기관의 실 습학기제 운영에 대한 5개의 영역과 그에 대한 17개의 범주, 그리고 65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한국 초등교원양성기관의 실습학기제 운영에 대한 5개의 영역은 ‘현 체제 진단’, ‘실습학기제에 대한 인식’, ‘현실적인 문제’, ‘운영을 위해 필요한 것’, ‘운영방안’이다. 그리고 각 영 역별 논의를 통해 한국 초등교원양성기관의 실습학기제 운영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nd evaluate a nursing ethics seminar course designed for senior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to address the ethical challenges they faced during clinical practice. The course was offered as an elective and 22 students who had completed various clinical practicums over four semesters participated. The participants led discussions on ethical issues they encountered during their clinical practic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an open-ended survey was conducted at the end of the course. The finding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main themes: Individual Growth, Collaborative Opportunitie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e first category is comprised of ‘Experienced emotional acceptance and relaxation’, ‘Felt comforted and encouraged’, ‘Gained clarity’, and ‘Experienced personal growth’. The second category consists of ‘Self-reflection within a group’, ‘Diverse learning opportunities’, ‘Pleasures of discussion-based learning.’ Third category is comprised of ‘Modifying the lesson structure’ and ‘Optimizing the learning space.’
Purpose: The study aim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male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um through photovoice and focus group interviews. Ways to improve the conditions and quality of practicum education for women’s health nurses were explored.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eight senior male nursing students who had completed a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um. They captured topic-specific photos depicting their experiences in a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um through the photovoice method and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using the PHOTO strategy to explore the meanings behind the photos. The final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male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the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um produced five themes: “The untraveled Way.”, “Role conflicts amid indifference.”, “Opportunities that never come.”, “Unable to overcome gender barrier.”, and “The time of perseverance and hope.”, These five themes were accompanied by 13 sub-themes. Conclusion: Though initially apprehensive, the study participants engaged in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es with excitement and anticipation. Despite experiencing discrimination and role conflict due to gender differences, they discovered opportunities for growth through a simulation practicum. Anticipating personal development from their experiences, they desired a future in which male nurses would be recognized solely as nurses, without gender distinctions. Efforts are required to enhance awareness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event discrimination based on gender differences. Comprehensive endeavors are necessary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clinical practice education by developing and validating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um programs covering diverse topic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임상실습스트레스 및 진로정체감 정도를 파악하고, 진로 정체감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U광역시와 G광역시 소재 2개 대학 간호학과 4학 년을 대상자로 선정했다. SPSS 21.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진로정체감과 양의 상 관관계가 있었고,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진로정체감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상실습스트레스, 전공만족도, 긍정심리자본, 성별이였으며 설명력은 31%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 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키고 임상실습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competencies in assessment, communication, clinical judgment, and patient safety on evidence-based practice (EBP) competency through simulation traini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in December 11 in 2023 to January 30 in 2024,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final participants were 230 nursing students in two universities. Multiple regression, t-test, ANOVA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imulation training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EBP competency.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nursing students’ competency of EBP was Clinical Judgment, followed by Communication. Assessment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EBP competency. Conclusion: It is crucial for nurses to implement EBP to provide high-quality nursing and advance nursing as a science. However, since EBP competency is difficult to acquire in a short period, education on EBP is necessary from nursing school. Simulation training is considered an effective means to enhance nursing students' competency in EBP. Our study suggests incorporating elements that strengthen competencies in clinical judgment and communication when establishing a simulationbased training program to enhance the EBP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The model ship of this study, the Baek-Kyung fisheries training ship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has a length between perpendiculars of 85 meters, making it not subject to the IMO maneuverability standards. However, understanding the maneuvering characteristics of the vessel is essential for safe navig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sults from the sea trials of the model ship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IMO maneuverability standards. The results of the turning tests met the standards well while in the zig-zag tests, the first overshoot angle exceeded the standard in the 10°/10° test; however, such results met with a difference of 1.8° in the 20°/20° test. Additionally, using the course-stability discrimination formula, the calculated value was -0.0051, indicating unstable course-stability. The results of the stopping tests met the standards well. It is hoped that the analyzed maneuvering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ship from the study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safety of ship navigation.
승선 인원이 많은 실습선은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대형 인명피해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원법 및 Safety Life At Sea(SOLAS)에서는 퇴선 훈련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승선 인원이 많은 국립목포해양대학교의 세계로호를 대상선박으로 선정하여 preliminary hazard analysis(PHA) 정성적 위험성 평가 기법을 통해 각 deck의 화재 사고 위험빈도와 심각성에 대하여 예측하였다. 또한 위험성이 높은 구역에서의 화재를 가정 한 뒤, 그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대피 시간 및 인구 밀도에 대 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총 대피시간이 인구 분포가 한 구역에 집중되어 있던 식사 시간을 가정한 시나리오에서 501초로 가장 길게 예측되었으며 시나리오에 따라 일부 deck에서 1.4pers/㎡ 이상의 상대적으로 높은 인구밀도를 나타내며 대피 인원이 정체되는 현상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피난 시나리오에 따른 대피시간 및 인구밀도를 정량화하여 실습선의 상황에 맞는 훈련 시나리오 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사용될 것으로 보이며 추후 수학적 모델과 실험값의 비교를 통하여 연구를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된다.
코로나19(COVID-19) 상황으로 감염예방과 관리지침에 따라, 정신간호학 실습을 대면으로 진행할 수가 없어, 긴급하게 온라인 실습으로 전환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정신간호학 현장실습 대체 온라인 실습에서 성찰일지를 내용분석하여 온라인 실습 교육과정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21년 정신간호학 온라인 실습에 참여한 간호대학 3학년 학생 31명의 성찰일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참여자의 실습이 종료된 2022년 4월 4일부터 5월 31일까지 자료 수집하 였고, 크리펜도르프(Krippendorff, 2019)의 내용분석에 따라 분석하였다. 정신간호학 온라인 실습 성찰일지 를 내용분석한 결과, ‘자기인식의 중요성을 확인함’, ‘정신건강의 가치를 알게 됨’, ‘정신질환자의 회복에 대해 생각함’, ‘치료적 의사소통 향상에 노력함’,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이 감소됨’, ‘온라인 실습에 대한 양가감정이 듦’의 6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신간호학 온라인 실습에서의 간호대 학생의 성찰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었고, 이러한 성찰일지를 대면 실습 혹은 정신건강전문가 양성과정에도 활용하여 연구하기를 제안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depth understand and describe the thoughts and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in the practice of the intensive care unit. Data was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4 nursing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targeting students who practiced the intensive care unit and analyzed by the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wo themes, 'ethical challenges faced in intensive care unit practice' and 'incomplete reflection, were derived. The categories included in the former were 'feeling wrong in the appearance of a nurse', 'thinking about a good nurse', 'thinking about the cause of the wrong practice', and the categories included in the latter were ''fear of being assimilated', and 'pledge oneself by put yourself in someone else's sho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thics education to become a nurse who can form correct ethical comfortment, including ethics education in clinical practice instruction as well as classroom instruction.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뇌졸중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기반 교육 경험을 심 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통해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6월 25일부터 자료가 포화상태에 이르게 된 2023년 8월 25일까지 간호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개별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 고, Colaizzi가 제시한 현상학적 연구 분석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주요 인터뷰 질문은 “뇌졸중 표준화 환자 를 활용한 교육 경험은 당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었나요?”이었고, 수집된 데이터는 내용분석을 이용하여 분 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7개의 의미있는 진술이 추출되었고, 도출된 주제모음은 ‘간호 교육적 차원’, ‘개인 적 차원’, ‘간호 직무적 차원’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뇌졸중 표준화 환자 활용은 간호학생들의 실무역량 습 득과 뇌졸중 환자간호에 대한 이해를 높였고, 표준화 환자 활용에 있어 긍정적인 요인강화와 제한된 요인 들을 파악하여 실무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