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mija seed oil was extracted from Omija seeds, a by-product of Omija, using an eco-friendly pressed extraction metho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12 extracts using different combinations of seed moisture content (5, 7.5, and 10%) and extraction temperature (25, 49, 75, and 100℃) were then investigated.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was 31.33% at moisture of 5% and temperature of 75℃. The lowest acid value was 4.18±0.25 at moisture of 5% and temperature of 49℃ or moisture of 7.5% and temperature of 25℃. Peroxide value, iodine value, and saponification value were the lowest at 0.64±0.56 meq/kg, 159.38± 6.03, and 57.60±9.40, respectively, at moisture of 5% and temperature of 25°C.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ics was the highest at 4,413±125 mg TAE/100 g when the moisture content was 10% and the extraction temperature was 25℃.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oil extracts at 20~100 mg/mL were 28.68±7.30~87.65±2.20%. The maximum antioxidant activity and IC50 were 87.65±2.20% and <20 mg/mL, respectively, for extract obtained at moisture of 10% and temperature at 100℃. As a result, the extraction yield, acid value, peroxide value, iodine value, saponification value, and so on were excellent at moisture content of 5% and extraction temperature of 25℃ or 49℃. However,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the highest at moisture of 10% and extraction temperature of 100℃. In conclusion, extracting Omija seed oil from Omija seeds, a by-product of Omija, is effective with a pressed extraction method.
        4,300원
        2.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duce stable evening primrose oil in water emulsion by using various emulsifier with HLB (8.6, 12, 16.7), concentration (0-45%) and emulsification methods such as high-speed emulsification (7,000 rpm, 2 min) and high-pressure homogenization (10,000 psi, 1 cycle). And then properties of evening primrose oil in water emulsion was evaluated with keeping at room temperature and 40oC during 28 days. Lower HLB 8.6 and high viscosity emulsifier added emulsions were not appropriate for high-pressure homogenization and were separated in a day. The optimum emulsification condition was HLB 12 and high-pressure homogenization (10,000 psi, 1 cycle) for evening primrose oil in water emulsion. These emulsions produced by optimum condition were not separated with the aqueous phase and the oil phase and they were nano-sized around 200 nm, higher zeta-potential (±mV), mono-polydispersed (<0.3), and less oxidized (<0.4) during 28 days.
        4,000원
        3.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해 도라지(balloon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종자로부터 추출한 유지의 기능성과 에멀전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종자에 비해 도라지 종자유는 총 polyphenol(8 mg/100 g)의 함량이 낮았으나 α-tocopherol(14.15 mg/ 100 g), β -sitosterol(116 mg/100 g) 및 stigmasterol(8 mg/100 g)의 함량은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으로 분석한 종자유(IC50=1235.5 μg/mL)의 항산화능은 종자(IC50=1138.2 μg/mL)와 유사하였다. 1%(w/w) lecithin 농도에서 도라지 종자유를 사용해 제조한 에멀젼은 탁도, 지방구 입자 크기 및 형상, 유화안정 성에서 콩기름을 사용한 에멀젼과 유사하였으나 들기름 사용 에멀젼보다는 탁도 및 유화안정성이 낮았고 지방구 입자는 크게 나타났다. 도라지 종자유 에멀젼의 표면장력은 들기름 에멀젼과 유사하였다.
        4,200원
        4.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이용해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 종자로부터 유지를 제조하여 새로운 식용유지로서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Soxhlet 용매 추출에 비해 6,000 psi 압력 및 40℃ 온도조건에서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로 더 많은 유지를 얻을 수 있었고 특히 볶은 종자로부터는 32.7%까지 얻을 수 있었다. 볶은 종자로부터 얻은 초임계 도라지 종자유는 시판 대두유나 들깨유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중성지질로 구성되어 있음을 TLC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 유지는 고도로 불포화된 지질로 대두유나 들깨유보다 linoleic acid(73.27%) 함량이 훨씬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oleic acid(13.16%) 함량이 높았다. 유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으로, 비중 0.92, 점도 45.37 cP, 굴절률 1.48, 색도 L=47.30, a=-3.69, b=25.72, 요오드가 141.57 g I2/100 g oil, 비누화가 191.21 mg KOH/g oil, 산가는 2.60 mg KOH/g oil 였다. 이런 특성들 중에서 지질의 불포화도와 관련이 있는 굴절률, 점도 및 요오드가는 두 시판 유지들의 중간값을 나타내었다. Rancimat 법으로 측정한 산화유도기간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초임계 추출 도라지 종자유(2.03 hr)는 대두유(2.94 hr)보다는 낮으나 들깨유(1.79 hr)보다는 높은 중간값을 나타내었다. 종자 볶음 공정은 유지의 추출 수율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에스터 함량과 산가 감소에 긍정적 효과도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통해 볶은 도라지종자로부터 높은 수율로 유지를 제조할 수 있었고 이 유지는 식용유지로서 적합한 특성을 가진다고 판단되었다.
        4,300원
        5.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압착 추출방법에 의한 동백, 들깨, 비자, 피마자 및 참깨 종자유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종 종자유의 물리적 특성으로 비중은 0.913~0.965, 점도는 37.08~719.60cP, 명도는 30.62~32.26, 적색도는 –0.06~0.67, 황색도는 1.56~5.57 범위였다. 화학적 특성 중 산가는 비자유가 13.60±0.08mg/g으로 많은 함량이었다. 과산화물가는 들기름이 상대적으로 높은 53.03±0.56meq/kg로 측정되었다. TBA가는 피마자 종자유가 24.88±0.45mg/kg로 가장 낮았고, 참기름이 119.23±0.94mg/k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요오드가는 들기름이 207.09±0.11g으로 피마자유 보다 3배나 많은 양이었다. 검화가는 181.29~236.38g의 범위로서 비슷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지방산은 포화지방산 9종과 불포화지방산 14종을 포함하여 총 23종이 검출되었다. 지방산 총량에 대한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9.37~19.94%였으며, 피마자유는 약 20%로서 가장 높은 비율이었다. 그 중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가 다른 포화지방산에 비해 많았다. 종자유의 불포화지방산은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약 72~87% 함량을 나타내었는데, 들기름은 예외적으로 ω-3 지방산에 해당하는 linolenic acid 53.44%와 oleic acid 22.38%의 구성을 나타내었다.
        4,200원
        6.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뮤다그라스는 현재 난지형 목초자원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잔디용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는 품종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난지형 목초인 버뮤다그라스는 동절기의 동해를 받아 일부 고사하거나 생육이 불량하며, 여름철 병해충 등의 발생으로 유지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버뮤다그라스의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동해와 같은 각종 환경 스트레스에 잘 견디는 신품종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버뮤다그라스의 성숙종자로부터 생
        4,000원
        7.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oils on the levels of the γ-linolenic acid in chicken meat lipids. Three hundred ten five, 1-d old, male, Ross strain, broiler chicks were fed for 35 d to compare diets containing evening primrose oil(EPO) and hemp seed oil(HO) to a control diet.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id from chicken skin, thigh and breast muscle were determined at the end of the trial. The level of γ-linolenic acid of lipids from chicken meat fed diets containing EPO or HO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5). The level of γ-linolenic acid of lipids from chicken skin was highest in the group, which had been fed the EPO 0.85%, followed in order by EPO 0.7%, 0.5%, EPO mixed oil, HO and HO mixed oi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γ-linolenic acid of chicken skin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p〈0.05). The level of γ-linolenic acid of lipids from chicken thigh muscle was also similar to skin,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5). The level of γ-linolenic acid of lipids from chicken breast muscle was highest in the group, which had been fed the EPO 0.5%, followed in order by EPO 0.7%, 0.85%, HO 0.5% and HO mixed oi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γ-linolenic acid of chicken breast muscle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p〈0.05).
        4,000원
        9.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med out in order to establish plant regeneration via seed-derived callus of perennialryegrass.Varietal difference in callus growth and plant regeneration was obvious between two cultivars of perennialryegrass. "Reveille" showed a relative
        4,000원
        10.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rchardgrass의 종자배양 유래의 캘러스를 현탁배양하여 현탁배양기간별 부정배형성정도와 식물체 재분화율 등에 대한 몇 가지 실험을 수행한 바, 2주 간격으로 4회계 대배양 하였을 때 계대배양 횟수가 증가됨에 따라 식물체 재분화율이 증가되었다. 종자배양에서 형성된 캘러스의 현탁배양에서 모양이 둥근세포와 그들의 세포괴는 배양 30일 후에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그 이후는 감소하였다.(중략)
        11.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erennial ryegrass의 종자유래 캘러스 및 조직 절편체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적합한 조건을 조사하였다. 종자유래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품종, 배지 및 생장조절물질의 조성 등에 따른 재분화율을 조사하였다. Reveille과 Modus의 품종간 비교에서 종자로부터 형성된 캘러스 생체중은 Reveille이 2,4-D 10mg/l에서 가장 좋았으며, MS배지가 SH, B5배지보다 더 좋았다.(중략)
        12.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chardgrass의 종자배양에서 캘러스형성과 식물체 재분화에 적합한 조건을구명하기 위하여 품종간의 차이와 배지조성 및 생장조절물질의 조성 등에 대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한 바, 공시품종중 "Amba"의 식물체 재분화율이 가장 높았고, $N_6$ 수식 이미지 배지가 MS, $B_5$ 수식 이미지 배지보다 종자에서 형성된 캘러스 생체중이 무거웠으며, 식물체 재분화율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3 mg/L의 dicamba가 첨가된 배지에서 형성된 캘러스를 재분화배지에 이식하였을 때 식물체 재분화율이 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ㅍ
        4,000원
        13.
        199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박과식물(科植物) 종실(種實)에는 총지질량(總脂質量)이 21.9~50.7%의 범위(範圍)로 비교적(比較的높았으며, 특(特)히 박, 하늘타리의 경우는 41.9%와 50.7%로 조사(調査)한 시료(試料)중에 제일 높았으며, 또 모든 시료(試料)가 약(約) 98% 이상(以上)의 중성지질(中性脂質)을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호박, 수세미오이, 수박, 참외, 오이 및 박종자(種子)의 총지질(總脂質)에는 리놀산(酸)의 함량(含量)이 제일(第一) 많아 56.8~84.0%이였으며, α-리놀레산(酸)의 함량(含量)은 0.0~0.6%로 매우 적었고, 올레산(酸)이 주성분(主成分)인 모노엔산(酸)과 팔미트산(酸)이 대부분(大部分)인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은 그 함량(含量)이 각각(各各) 5.7~22.2%와 9.9~20.6%로 시료(試料)에 따라 심한 차이(差異)를 보였다. 하늘타리 종자(種子)의 총지질(總脂質)에는 C18:2Ω6과 9c.11t.13c-C18:3(Punicic acid)이 40.5%와 34.9%로 주요(主要) 성분(成分)이였고, 그 다음으로 C18:1Ω9가 13.8%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그러나 9c/11t.13t-C18:3(α-eleostearic acid)는 2.2%에 지나지 않았다. 한편 여주의 경우(境遇)에는 9c.11t.13c-C18:3이 66.9%로 제일(第一)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C18:1Ω9와 C18:1Ω6이 17.7%, 10.4% 각각(各各) 함유(含有)되어 있었고, 하늘타리에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는 9c.11t.13c-C18:3는 9t.11t.13c-C18:3(β-eleostearic acid)와 함께 1.1% 정도(程度)로 소량(少量) 포함(包含)되어 있었다. 9c.11t.13c-C18:3와 9c.11t.13t-C18:3와 같은 conugate trienoic acid는 여타시료(餘他試料)에서는 전연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하늘타리와 여주의 종자유(種子油)의 극성지질(極性脂質)에는 이틀의 중성지질(中性脂質)에 다량(多量)으로 존재(存在)하는 conjugate trienoic acid가 극(極)히 소량(少量)밖에 존재(存在)하지 않는 것은 매우 특징적(特徵的)이며,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이 중성지질(中性脂質)(9.9~20.6%)에 비(比)하여 극성지질(極性脂質)(25.0~29.4%) 에 보다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다는 사실(事實)을 나머지 시료(試料)에서 공통적(共通的)으로 찾아볼 수 있었다. 박과식물(科植物) 종자(種子)는 리놀산(酸)을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는 군(群)과, 9c.11t.13c-C18:3 및 9c.11t.13t-C18:3와 같은 conjugate trienoic acid를 가진 군(群)으로 대별(大別)할 수 있었다.
        4,000원
        14.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200원
        15.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원 소재 음나무(Kalopanax septemlobus)의 미숙종자에서 캘러스를 유도하여 15개의 배발생 캘러스를 얻었다. 증식된 배발생 캘러스를 재료로 체세포배를 유도하여 15개체의 기내 식물체를 얻었다. 체세포배 유도는 1/2 MS배지에 0.1 mg/L abscisic acid (ABA), 7% polyethylene glycol (PEG), 0.02% activated charcoal, 3% sucrose를 첨가하고, 0.5% gelrite로 경화하여 사용하였다. 식물 재생용 배지는 배지는 1/2MS배지에 2% sucrose, 0.3% gelrite로 하였고, 발아 촉진을 위해 GA3 1.0 mg/L 처리 혹은 기본배지를 사용하였다. 15개체의 체세포배 발생 빈도는 다르게 나타났고, 재생된 식물체의 GA3 효과는 크지 않았다. 유전적 다양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ISSR (Inter-Simple Sequence Repeats) 표지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5개의 ISSR 프라이머에서 증폭산물을 관찰하였고, 유전적 다양성을 나타내는 P (Percentage of polymorphic loci)값과 S.I. (Shannon’s information index)를 조사하였다. ISSR 마커를 이용하여 재분화 식물체의 유전적 안정성을 분석한 결과, 체세포 유래 재분화된 식물체의 개체간에 유전적 구조가 균일하며, 유전적 변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17.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차드그래스의 최적 조직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Roughrider' 품종의 성숙종자로부터 최적 배발생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배지첨가물질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성숙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시 첨가되는 생장조절 물질로는 3 mg/L 2,4-D가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식물체 재분화에는 1 mg/L 2,4-D와 3 mg/L BA가 첨가된 배지에 캘러스를 배양했을 때 36.3%의 재분화율을 나타내었다. 캘러스 유도배지와 재분화배지에 1 g/L의 casein hydrolysate와 300 mg/L의 proline을 동시에 첨가해주었을 때 캘러스 유도율과 재분화율이 각각 57.3%와 60.7%로 증가되었다. 또한 항산화물질로서 10 mg/L의 AgNO3 와 40 mg/L의 cysteine을 첨가해준 과 켈러스 유도율 재분화율 각각 68.7%와 71.7%까지 증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성숙종자로부터 효율적인 배발생 캘러스의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체계는 유전자 형질전환을 통한 신품종 오차드그래스 개발에 유용하게 응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