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overall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of 294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Gwangju using the NUTRILITE nutrition quotient (NQ). The NQ score of the subjects was 59.5 out of 100, which corresponds to the level requiring “monitoring”. Compared to the 64.4 score of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six metropolitan cities, the scores of the present subjects were lower. The NQ components were 57.4 for balance factors, 52.4 for moderation factors, 55.0 for diversification factors, 57.6 for practice factors, and 80.1 for environmental factor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NQ level, the score (61.5 in 7 times/wk vs. 55.3 in 1-2 or none times/wk) tended to be higher in subjects who frequently eat with their families (p<0.001). In conclusion,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students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meals with their families, to develop a habit of exercising regularly, and reduce the consumption of ramen, cookies, and processed drinks that are frequently consumed.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th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of students in Gwangju.
        4,200원
        2.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물매개활동을 통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독서태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2018년 9월 8일부터 2018년 11월 10일까지 진행이 되었으며, Y지역아동센터 중 동물매개활동을 희망하는 학생 5명을 선발하여 진행이 되었다. 연구진행은 주 1회 총 8회기를 매 60분씩 실행하였다. 연구도구로 한국형 아동 독서태도 검사 도구를 이용한 사전·사후 검사를 별도 측정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사 전·사후검사간의 점수 차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독서에 대한 흥미가 높아 졌으며 자발적인 독서태도가 형성되었다. 또한, 발표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켰고 책의 내용에 대해 몰입하여 공감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살펴볼 때, 동물매개활동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독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600원
        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nges in perception concerning nutrition labeling and students' availability of processed foods and is to investigate parents'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through the 'Education program on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 conducting directly to the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4,105 persons) by the nutrition teacher in each school. The part that checked when purchasing processed food before and after the students' education, the name of manufacturer (p<0.05), raw material and content (p<0.001), food additives (p<0.001), nutritive components (p<0.05) etc.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n idea about nutrition labeling has increased after the education, the question items in 'it is reliable' (p<0.001), 'satisfied' (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articularly. In spite of one time education, it showed positive changes such as it can be possible to get desired nutrition information. Thus, although it was one time training conducted in the situation that can not be carried out formal education due to school environment, a variety of practical education of children's dietary life is required targeting comprehensive senior students, the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conducted for children as well as parents.
        4,300원
        4.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erms of awareness of Korean traditional food, elementary students are most affected by their par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parental awareness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in the Chungnam Area. In a survey of 126 parents, 58% of subjects were interested in Korean traditional food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bout 87% of parents thought that inheritance of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foods was needed. The reasons for inheritance of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foods were ‘To stick to styl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68.2%), ‘Palatable’ (21.8%), ‘Education for children’ (6.4%), and ‘Beautiful and fine custom’ (3.6%). The awareness point of ‘Korean traditional foods are easy for cooking’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p<0.01). In all age groups, subjects highly recognized that Korean traditional foods are good for health.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overall preferences for Tteok and Hankwa (r=0.351, p=0.001), Hankwa and Korean traditional drink (r=0.374, p=0.001), and Korean traditional drink and Tteok (r=0.406, p=0.001). As a result, preferences for other items also increased when preference for one of the three traditional foods increased. Therefore, education on Korean traditional foods is necessary in order to satisfy parental preferences.
        4,000원
        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식습관 및 기호도를 조사하고, 저학년과 고학년의 식습관 및 기호도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1. 일반사항 조사 대상자는 남학생 435명, 여학생 435명이었고, 학년별 인원은 1학년이 120명, 2학년 150명, 3학년 151명, 4학년 150 명, 5학년 149명, 6학년 150명이 응답하였다. 식구 수는 4~5 명이 가장 많았고, 주거 형태는 아파트가 가장 많았다. 2. 식습관 조사 식사의 규칙성은 항상 그렇다가 가장 많았고, 주로 아침을 결식하는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학년과 저학년의 차 이를 분석한 결과, 저학년은 점심을, 고학년은 저녁을 결식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을 남기는 버릇에서는 항상 남긴다 가 가장 높았고, 음식을 먹을 때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은 차려 진 대로, 맛있는 음식, 영양가 있는 음식, 위생적인 음식 순이 었다. 저학년의 경우는 영양가 있는 음식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고학년은 그냥 차려진대로 먹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사 종류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밥을 더 많이 먹는다고 답하였다. <음식을 골고루 먹는가>에서는 가끔 그렇다가 가장 많았고, 학년이 낮을수록 음식을 골고루 먹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 중 TV 시청이나 독서 여부 에서는 가끔 그렇다가 가장 많았고, 맵고 짠 음식 선호에서도 가끔 그렇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저학년보다 고학년이 맵고 짠 음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비만 정도에서는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자신이 비만하다는 응답을 많이 하였다. 하루 운동 정도에서는 30분이 가장 많았고, 고 학년이 운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 준비자에 따른 식습관 태도 변화에서는 어머니가 식사를 준비하는 경 우 아침 식사가 규칙적이었으며, 음식을 적게 남겼다. 3. 기호도 조사 밥․면․국류에서 쌀밥, 자장면, 라면 등을 선호하였고, 콩 밥, 팥밥, 호박죽 등을 기피하였다. 국류는 떡국, 갈비탕을 가 장 선호하였고, 순두부찌개를 저학년이 더 싫어하였으며, 된 장국의 기호도가 비교적 높게 나왔다. 찜․조림․구이․볶음 류에서는 튀김이나 찜 조리방법을 선호하였다. 구이․전에서 는 연근전, 밀전병쌈, 녹두전을 기피하였다. 볶음․튀김류에 서는 돈가스를 가장 선호하였고, 연근튀김, 단호박튀김을 선 호하지 않았으며, 나물류에서는 취나물, 오이, 도라지무침 등 을 선호하지 않았다. 김치류에서는 배추김치를 가장 선호하 였으며, 저학년과 고학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는 대상 아동이 대전지역 초등학교 학생들로써 우 리나라 전체 초등학생에게 적용할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었 다. 그러나 저학년과 고학년, 남학생과 여학생의 다양한 식습 관과 기호도의 차이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 상으로 올바른 식생활지도와 올바른 식품의 선택을 위한 영 양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시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4,800원
        6.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references for seafood in school lunch menu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A survey was carried out on 303 male/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for the preferences for seafood in school lunch menus, ‘like (47.2%)’, ‘fair (30.7%)’, and ‘dislike (22.1%)’ were observed in that order (p<0.01). Concerning the appropriateness of seafood serving frequency, ‘1~2/week (44.9%)’, ‘3~4/week (33.7%)’, and ‘everyday (10.2%)’ were observed in that order. When the preference of favorite seafood was evaluated using a Likert scale (strongly like 5-points, strongly dislike 1-point), ‘crustacea (4.34)’, ‘mollusk (4.21)’, and ‘processed food (4.11)’ were observed in that order. In terms of cooking methods for seafood, 5th grade students showed higher frequency of ‘grilling’ and ‘frying’ seafood compared to others (p<0.05). As for the occurrence of seafood leftovers, 4th and 6th grade students showed higher frequency of ‘sometimes’ than 5th grade students (p<0.001). As for certain desires for seafood in school lunch menus, ‘improvement of taste (39.3%)’, ‘various kinds of seafood (20.1%)’, and ‘variable cooking methods (18.5%)’ were observed in that order.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intake of seafood, students should attempt to achieve proper intake though nutrition education.
        4,000원
        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ting habits and eating behaviors, nutrition knowledge of students in 4, 5 and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in Jeonju Area. The subjects for questionnaire were 2,568 elementary school students (boys 1,364, girls 1,204).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and were as follows. In anthropometric dat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eating habits and eating behavi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e of 'Hasty eating habit(p<0.01)', 'Most heavy meal(p<0.01)', 'Eating when receive stress(p<0.05)', and 'Frequency of snack eating per day(p<0.01)' between boys and girls. In total scores of nutrition knowled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nutrition knowled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e of 'Carbohydrate and fat give heat and force.(p<0.001)', 'Carbohydrate is nutrient that make muscle and blood of our body.(p<0.01)', 'Overeating of carbohydrate does not contribute gain of weight. (p<0.05)', To intake vitamin, it is good to eat fresh fruit and vegetable.(p<0.01)', 'Calcium deficiency is leading to anemia.(p<0.001)' between boys and girls. In conclusion, systematical educational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at elementary school. These should include information about achieving a balanced diet, good eating habit and behavior, meal management and Korean dietary culture. Also, nutritional education at home must be emphasized.
        4,000원
        9.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grade and gender differences in dietary behavior, food preference and perception about body image of students in 4, 5 and 6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in Kwangju. Anthropometric data showed that mean height and weight were 137.98±6.79cm 32.69±6.09kg, in the 4th grade, 144.11±6.91cm, 36.88±7.60kg in the 5th grade and 151.52±7.47cm, 42.68±8.06kg in the 6th grade. Height and weight of male and female students of each grade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the Korean standard Growth data. Females in the 5th and 6th grades were taller than those in male students, which suggested the height growth spurt in females. Furthermore, both genders showed marked variability even in the same group. All the three different obesity indices(BMI, Rohrer and % of ideal body weight) showed higher value in males than in females consistently. Male respondents desired taller and heavier body shape while females perceived they were heavy and desired only taller and thinner body im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height, weight and body image by grade(p〈0.05). 36.7% of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eat despite hunger. In higher grade they felt guilty after eating sweet things. Strikingly, it was noted a small number of students tried to take a diet pills or vomited on purpose. Data on food preference showed that female did not like sweet food and pork. While male students preferred red meat and chicken. Thus result indicated that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food preference by gender.
        4,300원
        10.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카드를 활용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는 C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실험집단 11명의 학생들에게 방과 후 시간을 활용하여 교우관계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주 2회씩, 총 12회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김지은 (2012)이 초등학생의 발달단계에 맞게 재구성한 ‘교우관계 검사’가 사용되었으며, Mixed ANOVA 로 자료 처리하였다. 양적 결과에 따른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 참여자들이 작성한 경험보 고서와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설문지 및 상담자의 회기별 관찰내용을 정리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성격강점카드를 활용한 교우관계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은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의 교우관계 증진에 효과가 있었으며 내용 분석 결과 실험 참가자들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둘째, 교우관계의 하위영역인 친밀감, 신뢰감, 존중감이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살펴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 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의 교우관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11.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다문화수용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전래동화 기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문화수용성의 차원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세계 여러 나라의 전래동화를 선정하여 총 12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우리나라 체류외국인과 결혼이민자 수를 고려하여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태국 각 나라별로 이야기의 구조, 주제, 교훈 등이 유사하며 문화적 특성이 잘 나타나 있는 각 나라의 대표 전래동화를 선정하였으며, 다문화수용성의 세 가지 차원인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과 2015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중 다문화적 요소인 심미적 감성 역량과 공동체 역량에 중점을 두어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인식-내면화-행동’의 3단계로, 활동주제는 각 단계에 맞춰 ‘세계 전래동화 비교, 분석을 통해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찾기’, ‘다양한 활동을 통해 타인의 감정 이해하고 공감하기’, ‘차별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기르기’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서울특별시 성동구 소재의 E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적용하였을 때,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다문화수용성 지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p<.05), 실험집단의 다문화수용성 사후검사 평균은 사전검사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활동지와 소감문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질적 효과성 평가도 병행한 결과, 다문화 가족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타인의 감정 이해, 차별에 대한 반성과 다짐, 행동 변화와 실천의지 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학생 스스로도 자신의 인식이 개선되었음을 느끼며 반성과 다짐 등을 통해 공언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세계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문화수용성 제고 교육 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으며, 향후 다양한 세계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학교현장에서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12.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은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의 5단계를 거쳐 개발되었으며, 조사단계에서는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다문화가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목적, 회기별 목표, 회기 수를 결정하고, 설계 및 구안단계는 목표 달성을 위해 선별된 활동 안을 이론전문가 및 현장전문가의 자문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다. 적용단계에서는 충청 남·북도의 군 소재 초등학교 4~6학년 다문화가정 학생 중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1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배치하여 실험집단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전과 후의 대인관계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입증되었으며 하위 영역에서도 신뢰감 및 개방성 영역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