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반도체 산업은 디지털 전환과 지속가능한 발전 측면에서 글로벌 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한국과 대만의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디지털 동적 역량’과 ‘기업 성과’ 간의 관계에서 ‘양손잡이 경영(탐 색과 활용)’의 매개효과를 포함하여 고찰하고자 했다. 또한, ‘환경의식’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조절 효과도 포함하여, 연구 모델을 구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한국과 대만의 반도체 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된 설문 자료를 기반으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기본적으로 디지털 감지(sensing), 포착 (seizing), 전환(transforming)이라는 ‘디지털 동적 역량’이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 으며, 그 사이의 ‘탐색’과 ‘활용’이라는 ‘양손잡이 경영’이 갖는 매개효과도 검증하였다. 또한, 한국과 대만의 제도 적․문화적 기반이 다른 상황에 있어서, ‘환경의식’과 ‘CSR’의 (국가․제도․문화적 맥락에 따른) 조절효과도 고 찰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디지털 감지, 포착, 전환으로 구성된 디지털 동적 역량은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 모두 유의한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탐색과 활용으로 구성된 ‘양손잡이 경영’은 디지털 동적 역량과 기업 성과 사이에서, 긍정적인 ‘부분 매개(partial mediation) 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양손잡이 경영의 전략적 중요성을 시사한다. 셋째, CSR과 환경의식은 성과 유형 및 국가에 따라 조절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는 Hofstede (1984)가 제시한 문화적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한국은 사회적 신뢰와 이미지 중심의 지속가능 한 전략을, 대만은 효율성과 성과 중심의 전략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기업이 디지털 전환을 추진함에 있어 탐색과 활용의 균형을 갖춘 양손잡이 역량을 강화하고, 국가별 제도 및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CSR 및 지속가능성 전략을 수립할 때, 디지털 역량의 성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는 등 다양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영화 <화려한 휴가>를 민주주의와 민주화운동에 대한 기억을 보존·전승하고 재현·확산 시키는 영상 텍스트로 보고, 한국, 중국, 대만의 관객을 영상텍스트의 의미코드를 이 해하고 자신의 경험지평을 토대로 영화를 해석하는 ‘능동적 수용자’로 인식함으로서, 영화 <화려한 휴가>에 대한 해독 방식과 사회·문화적, 개인적 의미생산 방식을 살펴본다. 또한 영화 해독 방식과 관객이 영화를 해독하는 방식 저변에 깔린 사회·문화·정치·제도·역사의 영향관계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아래의 3개의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한다.
연구문제1) 한국, 중국, 대만 수용자는 <화려한 휴가>를 어떻게 해독하였는가?
연구문제2) 한국, 중국, 대만 수용자는 <화려한 휴가>의 시공간적 배경이자 시대적 배경인 518광주민주화항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연구문제3) <화려한 휴가> 영화를 접한 한국, 중국, 대만 수용자의 민주화운동에 대한 인식태도는 각각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는가?
본 연구는 한국 일본 및 대만 ,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미국, 일본, 한국, 대만, 중국 등 4개국 드라마 시청정도 및 각국별 드라마 속성에 대한 평가 결과를 살펴본 것이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을 포함해 일본, 대만 응답자들은 일차적으로 자국의 드라마를 시청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한국 및 일본 응답자들은 다른 국적의 드라마에 비해 자국 드라마 시청 정도가 매우 높게 나타난 반면 대만 응답자들은 자국 드라마와 함께 일본 드라마 시청 정도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일본 및 대만 대학생들의 각국별 드라마 시청정도 결정 요인을 드라마 속성별 평가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이들 3개국 응답자들이 4개국 드라마를 평가하는 기준은 재미라는 요인을 중심으로 대체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셋째, 한국 응답자들은 미국이나 일본 드라마에 대해 친근감을 갖고 있을 때 해당 드라마 시청 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본 응답자들이 한국 드라마에 대해 친근감을 갖게 될 때에는 반대로 한국 드라마 시청 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국 내 장르별 방송 프로그램 선호도는 미국이나 일본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영향을 끼치지 못한 반면 한국이나 대만 드라마 시청 정도에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발산업 해외직접투자 성과에 있어, 세계 신발생산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 대만 신발산업의 성과 차이가 생성되는 요인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에 15개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한국 70개 기업과 대만 50개 기업의 해외 자회사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방법은 다중회귀분석과 t-test를 사용하였으며,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대만의 해외직접투자 성과를 비교하여 대만 신발산업의 해외직접투자 성과가 한국을 앞선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둘째, 신발산업 해외직접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기술, 바이어 관계, 동반진출, 진입 시기, 생산현지화, 투자지분, 해외직접투자 경험 등 총 7개 요인이 선정되었다. 셋째, 7개 요인 중에서 투자지분, 동반진출, 진입시기, 생산현지화 3개 요인이 한국과 대만 해외직접투자의 성과의 차이를 만드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한국과 대만의 해외직접투자의 종합적 성과의 차이는 바로 이 네 변수 즉 투자지분율, 동반진출 수준, 진입시기, 생산현지화 수준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대만의 신발기업의 경우, 해외 직접투자시 한국보다 높은 합작투자 비율, 한국보다 높은 부품업체 동반진출 비율, 한국보다 빠른 해외투자 진출, 한국보다 높은 현지 부품구매 비율을 통해 한국보다 높은 해외직접투자 성과를 올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신발기업들이 해외직접투자에서 높은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연구에서 도출된 바처럼 합작투자 비율을 높이고, 부품업체와의 동방진출 비율을 높이고, 현지 부품 구매를 통해 생산을 현지화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이 글에서는 대만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운율단위에서의 음운 현상의 발음교육을 논의하였다. 단어 경계를 넘어서 하나의 운율단위 를 형성할 때 나타나는 경음화, 비음화, 격음화, 유음화에 대한 실현율 과 오류 형태를 분석하고 이를 표준중국어를 사용하는 학습자와 대조 하였다. 경음화의 실현율이 높은 반면에 비음화와 격음화는 낮고 유 음화는 매우 낮았다. 대만인 학습자는 운율단위를 이루지 못하고 단 어대로 발음하는 오류가 높았고 음절의 종성 자음을 발음하려는 경향 이 강했다. 이는 종성에 장애음이 있는 학습자의 모어의 영향인 것으 로 보인다.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대만인 학습자의 운율단위의 음운 현상과 관련해서, 운율단위의 음운현상에 대한 발음교육, 학습자 모어 를 고려한 발음교육, 운율단위를 구성하는 언어 자료를 고려한 발음 교육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Voice Thread can influence EFL learner writing by providing collaborative activities through which learners actively participated in a feedback exchange. The activity described in this paper is creating two audio books on Voice Thread during the semester. Seventy Korean and Taiw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activity. During the activity, the students collaborated in constructing and negotiating meaning. The results show that any types of feedback (teachers vs peers; forms vs contents) have an effect on Korean and Taiwan college students' writing revisions. Analysis of a posttest questionnaire also reveals that students were generally motivated throughout the task, using a relatively new technology, Voice Thread, and a well-designed online collaborative task can facilitate interaction in the target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