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78

        1.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stable continental regions, selecting appropriate ground motions for seismic design and dynamic response analysis presents significant challenges. This study evaluates the liquefaction potential of the Nakdonggang delta region, South Korea, by generating synthetic ground motion scenarios and applying a scenario-based liquefaction assessment approach. We utilized a hybrid broadband ground motion simulation method proposed by Graves and Pitarka (2010, 2015) to create bedrock ground motions for three hypothetical earthquakes (Mw 6.2 and 6.0) occurring along the Dongrae and Miryang faults. The generated synthetic ground motions were used as input for onedimensional nonlinear site response analyses, incorporating shear wave velocity profiles derived from surface wave inversion. The simulated ground motions demonstrated higher responses at short periods and relatively weaker responses at long periods compared to the Korean design spectra. This amplification of long-period components was attributed to the dynamic response of deep sedimentary layers, while high-frequency components were generally deamplified due to damping effects in shallow silty layers. Liquefaction susceptibility was assessed using surface ground motions derived from the site response analyses, following the SPT-based simplified method proposed by Idriss and Boulanger (2008). Results indicated high liquefaction potential across most sites for the Dongrae earthquake scenario, while liquefaction was unlikely for all sites under the Miryang-1 scenario. For the Miryang-2 scenario, liquefaction was predicted at some sites. Overall, liquefaction is expected at PGA values of approximately 0.13 g or higher, with sites exhibiting lower shear wave velocities being more vulnerable to liquefaction
        4,300원
        2.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체인 형태의 코발트(Co) 메조스피어를 템플레이트로 활용하여 금(Au) 및 팔라듐(Pd) 전구체와의 2단계 갈바닉 치환 반응을 통해 비백금 기반의 AuPd 복합 촉매를 합성하였다. NaAuCl4 전구체로부터 합성된 AuPd-Cl(50) 촉매는 높은 비표면적과 다공성 구조를 통해 산소환원반응(ORR)에서 우수한 촉매 활성을 나타냈으며, 상용화된 Pt-20/C 및 Pd-20/C 촉매 대비 낮은 개시(onset) 전위와 높은 한계 전류 밀도 및 향상된 n 값을 보였다. Koutecky-Levich plot 분 석 결과, ORR이 4-전자 전달 메커니즘에 근접함을 확인하였으며, 메탄올 내성과 안정성 실험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AuPd-Cl(50) 촉매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백금 대체 촉매로서 알칼리 연료전지 및 메탄올 기반 연료전지 응 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4,300원
        4.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tholes, one of the main causes of road-surface damage, pose a physical hazard to drivers, cause vehicle damage, and increase road maintenance costs. Hence, a model that enhances the accuracy of pothole detection and improves the real-time detection speed is required. A new model based on dilat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was developed using a dataset that considers various lighting conditions, road conditions, and pothole sizes and shapes. Although the existing YOLOv5 model demonstrated high speed, it exhibited some false-positive pothole detections. In contrast, the proposed dilat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chieved both high accuracy and an appropriate inference speed, making it suitable for real-time detection. Compared with traditional models, the proposed model demonstrated efficiency in terms of model size and inference speed, indicating its potential suitability for systems performing real-time pothole detection when installed directly in vehicles.
        4,000원
        5.
        202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tegrate and synthesize the recovery experiences of stroke patients through a qualitative meta-synthesis methodology. Methods: By searching through Korean databases(RISS, DBpia, KISS, NDSL), we compared 12 qualitative studies on recovery experiences of stroke patients. The meta-synthesis process was primarily guided by Noblit and Hare’s approach. Results: The common central experience of stroke patients was “reaching the world again”. Findings from the literature reviewed were synthesized into four themes: ‘earnest desire for recovery’, ‘rediscovery of family’, ‘duet of hope and despair’, ‘designing a new life’.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s a deeper understanding of recovery experiences of stroke patients. And this finding will serve as the basis for educational programs for health care personnel and families caring for stroke patients, development of programs to promote recovery of stroke patients, and self-help groups.
        4,000원
        6.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축물의 대공간 및 고층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부분매입형합성보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부분매입형합성보는 휨 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내부에 철근을 보강하여 시공한다. 이는 철근의 부식으로 구조물의 내력 저하를 유발한다. 이를 보완하고자 내 부식성이 우수하고 고강도인 CFRP 보강근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CFRP 보강근은 임계온도가 250℃로 낮기 때문에 적절 한 내화피복과 철근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하부철근의 종류와 SFRM 두께를 변수로 표준화재에 노출된 부분매입형합성보의 열전달 해 석을 수행하였고 화재에 의한 저감계수를 고려하여 휨내력을 산정하였다. 또한, 열전달해석과 동일한 사이즈의 실험체를 통해 비재하 수평가열로 실험을 진행하여 열전달 해석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해석 결과 SFRM 30 mm 적용 시 1시간의 내화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시 하중 조합에 의한 내화성능 평가 시, 무피복임에도 2시간의 내화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7.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GelMA)를 합성하고 이를 기본 하이드로겔 렌즈 혼합물과 함께 교 반한 후 제조된 렌즈의 물성을 비교 분석하여 고기능성 소재로서의 적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GelMA) 합성에는 젤라틴(A형),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 solution, PBS), methacrylic anhydride(MA)를 사용하였다. 또한, 주재료인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와 광 개시제인 2-Hydroxy-4′-(2-hydroxyethoxy)-2-methylpropiophenone(Irgacure 2959), 교차결합제인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GDMA)를 각각 사용하였다. 제조된 렌즈의 물성 분석을 위해 광투과도, 굴절률, 함수율, 접촉각을 평가하였다. 결과: GelMA의 합성은 EDS를 통해 확인되었다. 제조된 렌즈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가시광선 투과도는 91.33~ 71.02%, 굴절률은 1.4383~1.4365, 함수율은 39.08~39.04%, 접촉각은 70.83~70.43°로 나타났으며, GelMA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굴절률이 증가하였다. 결론 : GelMA 첨가 시 하이드로겔 렌즈의 함수율과 습윤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굴절률 증가에 효과적이 며 UV-B 및 UV-A 영역을 차단하는 기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GelMA가 첨가된 하이드로겔 소 재는 고굴절률 및 시기능성 렌즈 소재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8.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o review systematically the qualitative research related to the patient-safety competence of nurses based on nurses’ nursing experiences, synthesizing the results understanding. Method: The well-known Thomas and Harden meta-synthesis method was applied. Five databases were searched for relevant literature: CINAHL , RISS , DBpia, KISS, NDSL. Results: Six qualitative studies were selected for review. Three themes were synthesized: patient-safety incidents and patient-safety competency of nurses in emergency situations; processes to advance patient-safety competency in nursing; advancing patient-safety competency in nursing. Eight subthemes were identified. Conclusion: This study improved the understanding of nurses’ experiences in terms of patient-safetycompetenc. Based on systematic review and meta-synthesis of basic patient-care data, study results sugges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patient-safety competencies in nursing and provide evidence for further research.
        4,900원
        9.
        202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응성 에시드 클로라이드인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 클로라이드를 이용한 2-에티닐피리딘의 무촉매중 합을 통하여 트리멜리틱 부분을 측쇄로 갖는 이온성 공액구조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2-에티닐피리딘과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 클로라이드를 1:1 몰비로 DMF 용매에서 반응시킨 결과 해당 공액구조 고분자를 높은 수율로 합성 할 수 있었다. 첫 번째 반응 단계에서 만들어진 단량체인 N-치환-2-에티닐피리디늄 염은 별도의 촉매 사용없이도 중합반응이 잘 진행되었다. NMR, IR, UV-visible 등의 분광분석기를 사용하여 합성 고분자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설계한 치환기를 갖는 공액구조 고분자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합성 고분자의 전기-광학적 특성과 전기 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본 고분자는 자외선 영역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영역에서 500 nm까지 넓은 흡수 피크 를 보였으며 PL 최대값은 539 nm에서 나타났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