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식 전기탈이온(continuous electrodeionization, CEDI)은 고순도수(high purity water, HPW)를 제조하기 위한 핵심적인 수처리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CEDI 성능 향상을 위해 이온교환수지 층의 구성과 이온교환막의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먼저, 다양한 이온교환수지 층 구성(mixed-bed, layered-bed, separated-bed)을 비교한 결과, mixed-bed 구 조가 가장 높은 염 제거율과 낮은 에너지 소비를 나타내었다. 이어서 이온교환수지 조성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chromatography 수지와 gel 수지의 부피비율(C:G) 및 음이온/양이온 수지 비율(A:C)을 조절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C:G = 25:75 및 A:C = 5:5 조건에서 가장 우수한 탈염 성능을 나타냈으며, 이는 적절한 공극 구조와 이온교환기 함량 간 균형을 통 해 물 분해 반응 및 이온 전달이 최적화된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두 종류의 상용 불균질 이온교환막(Lanxess 막과 금화정수 막)을 비교한 결과, 금화정수 막이 Lanxess 막보다 더 높은 이온전도도, 이온교환용량, 투과선택성을 나타내었고, 이에 따라 더 높은 탈염 효율과 낮은 에너지 소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효율 CEDI 시스템 설계를 위한 이온교환수지 층 조성 및 멤브레인 특성의 최적화 방향을 보여준다.
나피온은 연료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polymer electrode membrane, PEM)으로서 가장 실용적인 막 중 하나로 꾸준히 부상해 왔다. 그러나 나피온 막은 높은 온도에서의 낮은 전도도와 기체 분자에 대한 물리적 장벽과 같은 몇 가지 문 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온성 액체(ionic liquid, IL)와 결합하여 전도도와 반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나피온 막을 IL, 특히 IL-나피온 막의 다양한 종류와 구성으로 도핑한 결과, 1-butyl-3-methylimidazolium (BMI+)과 1-butyl-3-methylimidazolium trifluoromethanesulfonate (BMIMOTf)와 같은 IL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나피온 115 및 나피온 117 막과 비교했을 때 이온 전도도, 열적 안정성 및 수분 흡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밝혀 졌다. 본 리뷰에서는 이러한 효과와 나피온 막 매트릭스 내 이온성 액체의 변화로 인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해 논의하고 자 한다.
Current portable reference equipment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vehicle detectors can collect traffic volume and speed only for the outermost lanes in each direction. Passing vehicles on the other lanes are manually counted by reviewing the recorded videos. Consequently, only traffic volume—without vehicle speed—is used as a reference value. This method is time-consuming for comparing the performance data from the equipment with the reference data and can compromise the performance evaluation.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vehicle detection system (VDS) performance evaluations by developing multilane portable reference equipment that can accurately collect traffic information for lanes beyond the outermost lane or for more than two lanes. This study introduced the core technologies of multilane portable reference equipment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measurement accuracy of the developed equipment against data from fixed reference equipment operated by th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Certific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Center, following ITS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The data from the fixed reference equipment were considered the true values, providing a basis for evaluating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s by the developed equipment. First, the accuracy of the vehicle length was determined by driving four test vehicles, each measuring 7,085 mm in length, 24–29 times in each lane. The accuracy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vehicle length data obtained from the fixed reference equipment with the actual vehicle length. A confidence interval was established for this accuracy. To assess the accuracy of the speed and occupancy time in relation to the accuracy of the analyzed vehicle length, we evaluated the error range of the vehicle length according to variations in speed and occupancy time. This analysis was based on the following relationship equation: “vehicle length = speed × occupied time – sensor spacing.” The analysis used data from approximately 16,000 vehicles, including the speed, occupancy time, and vehicle length, collected between 8:00 am and 12:00 pm on August 8, 2024. The principle behind measuring traffic volume and vehicle speed using multilane portable reference equipment involves detecting a vehicle by analyz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driver and passenger tires. The vehicle speed was calculated using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tire detection sensor and trigonometric functions. An analysis of the measurement accuracy revealed that the traffic volume accuracy of the outermost lane (the fourth lane) was 100% during both day and night. The speed accuracy was 98.8% during the day and 97.7% at night, representing the highest performance in these metrics. Additionally, the traffic volume accuracy for the innermost lane (the first lane), as measured by the detection sensor from the third lane, was more than 99.3% at all times, with a speed accuracy exceeding 96% during the day and night, that also demonstrated excellent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multilane portable reference equipmen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uitable for evaluating the VDS performance. This equipment allowed the collection of traffic volume and speed data from all lanes, rather than only the outermost lanes. This capability enabled consistent analysis for each lane and enhanced efficiency by reducing the analysis time. Additionally, this is expect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s.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뇌친화적 리더십과 비효과적인 뇌친화적 리더십을 비교하고 뇌친화적 리더십 유형별 성향을 탐색함으로써 강점 강화 코칭 스킬 (skill) 및 약점 보완 코칭 스킬(skill)을 개발하는 것은 물론, 뇌친화적 리더십 역 량 향상을 위한 코칭 모델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코칭 및 리더십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한 후, CVR값, 합의도, 수렴도를 분 석하여 뇌친화적 리더십 코칭 스킬 및 모델을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 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뇌친화적 리더십 유형별로 강점 강화 코 칭 스킬(skill), 약점 보완 코칭 스킬(skill) 등 뇌친화적 리더십 코칭 스킬(skill) 개발함으로써 개별 맞춤형 리더십 역량을 향상할 수 있다. 둘째, 뇌친화적 리더 십 코칭 모델의 각 단계별로 코칭 원리 및 전략을 적용함으로써 뇌친화적 리더 십 코칭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뇌친화적 리더십 코칭 스킬 및 모델은 기존의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차원에서 벗어나 뉴로리더십 (neuro-leadership) 등 뇌과학에 기반한 리더십 패러다임 전환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의 의의가 있다.
제올라이트, 특히 ZSM-5는 독특한 구조와 분자 체 특성으로 인해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하며, 우수한 가스 분리 및 투과 증발 성능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ZSM-5 막의 제조 공정을 일관되게 재현하는 것은 여전히 도전 과제 로 남아 있다. 본 연구는 수열합성 조건(합성 시간: 24~72 h, 온도: 180~220°C)을 제어하고, 다양한 알루미나 지지체 비교하 며, 수열 처리 시 유기 구조유도체의 영향 분석을 통해 ZSM-5 막 제조의 신뢰성 향상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 결과, 합성 온 도 및 시간의 변화는 막 두께나 결정 크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180°C에서 48 h 합성 조건에서 가장 우수한 가스 투과 성능이 나타났다. 다양한 알루미나 지지체 중에서는 N5 α-알루미나 모세관 지지체가 가장 높은 투과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유기 구조유도체인 테트라프로필 암모늄 브로마이드(tetrapropylammonium bromide, TPABr)의 존재는 합성의 신뢰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스 투과 성능 평가 결과, 본 ZSM-5 막은 SF₆에 비해 N2 및 CO2에 대해 선택적 인 투과 특성을 보였으며, TPABr을 사용하여 합성한 막은 CO2/N2 선택도(α)가 약 4.6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nhance kiosk accessibility for digitally vulnerable users by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new type of kiosk interface that integrates AI-based motion and speech recognition technologies with gamification elements. Users can explore functions without touch using hand gestures and naturally learn how to operate the system through immersive interactions with mini-games. To evaluate the system’s effectiveness,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older adults, and a heuristic evaluation was carried out with UI/UX exper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interface effectively lowered entry barriers and encouraged repeated use. However, some improvements were identified in visual guidance elements. This study goes beyond conventional UI improvements and serves as an experimental attempt to innovate kiosk user experience through AI technologies and gamified design.
Maintaining probiotic viability during storage, freeze-drying, and gastrointestinal transit is essential to ensure efficacy. The present study evaluated VitaShield Coating® (VSC), an innovative stabilization technology incorporating vitamins A, C, and E, for enhancing the viability of Bifidobacterium strains. VSC-coated B. bifidum BGN4 exhibited a significantly higher freeze-drying recovery rate (43.91±4.69%) compared to that of the uncoated group (15.31±6.53%, p<0.0001),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confirming preservation of structural integrity. Gastrointestinal stability also improved, as coated cells retained 26.21±2.41% viability in simulated gastric fluid, significantly outperforming uncoated cells (3.20±2.30%, p<0.0001).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reveal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in coated cells, indicating enhanced membrane stability. Furthermore, storage stability of four Bifidobacterium strains (AD011, BORI, BGN4, and RAPO) was evaluated over 16 weeks at 25℃ and 30℃.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VSC coating effectively protects probiotic strains under harsh storage conditions, mitigating viability loss over time. Overall, this study showed that the VSC coating serves as a multifunctional stabilization technology that provides mechanical, osmotic, and oxidative stress protection. Its ability to improve probiotic survival under harsh conditions enables its practical and scalable use in formulations and enhances stability.
최근 실용음악 교육은 기술 중심의 훈련에서 벗어나 음악적 표현력, 무대 집중력, 심리적 안정 성 등 정서적·심리적 요소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연구 목적은 가창력과 관련된 몰입의 하위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촉진할 수 있는 심리적 및 교육적 전략의 가능성을 탐색하여 실질적인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제언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실용음악 교육에서 ‘몰입’경험이 가창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설계 유형, 연구 대상 및 표본 크기, 몰입 측정 도구의 활용 여부 및 주요 하위 요인, 가창력 평가 방법 및 지표, 몰입 경험과 가창력 간의 주요 연구 결과와 결론의 관점으로 연구하였다. 프리스마 지침에 따라 2004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국내외 연구 중 28편의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몰입은 음악적 표현력, 무대 집중력, 음정 정확도 등 가창력의 주요 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집중력, 도전-기술 균형, 자기 인식 소실은 가창력 향상에 주요한 하위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자기 효능감과 내재적 동기는 몰입을 촉진하는 반면 공연 불안은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였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