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에서 과거와 비교하여 인지재활의 발전현황을 조사하고, 현재 인지평가와 인지중재에서 문제와 제도적 난제를 밝히며, 한국의 인지재활 발전을 위해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등 정책 제안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최초 조사대상자는 현재 작업치료 현장에서 직무수행을 하고 있고, 인지재활에 관심 있는 대한인지재활학회 정회원 3,448명을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22년 9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이루어졌 다. 이들 중 본 조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성실하게 답변한 154명의 참가자가 최종 조사대상이다. 조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인지재활 발전현황과 문제점 및 향후 발전방안을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하고 타당성을 갖춘 104개 항목을 5점 리커트 척도로 정량화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인지재활은 작업치료에서 지속적 발전을 거듭하였다. 법적으로 작업치료 업무범위로 보장을 받았고, 전문성 확보를 위한 전문 교육이 강화되었으며, 인지재활을 시행하는 기관과 치료사가 늘어났다. 그러나 작업수행 기반 인지재활 평가도구와 작업치료 시간 내 평가가능한 평가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제도적으로는 인지재활 의료보험 수가 확대와 인지재활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하다. 임상현장의 작업치료사들은 인지요소별 중재보다 작업수행 기반의 기능인지가 임상현장에서 실현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결론: 인지재활은 작업치료사의 주요 직무이고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인지재활 발전을 위해 지난 과거부터 해결하지 못하고 난제로 남아있는 의료보험 수가 등의 제도 문제의 해결이 시급하다. 작업치료 현장의 발전을 위해서는 인지평가도구, 중재기술, 기능인지 중심 인지재활 적용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In recent years, India has consistently increased its production of small fruits. India is the second-largest producer of fruits and vegetables globally, with a diverse range of small fruits grown across the country. Small fruits, such as kiwifruit and blueberries, are in high demand due to the growing popularity of healthier food options and increased awareness of their associated health benefits. However, the current status of small fruit production in India is substantially lower than that of other fruit crops. Nonetheles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small fruit production, particularly in regions with suitable climatic conditions. Currently, only two types of small fruit are commercially produced in India: grapes and Indian jujube/ber. Three other fruit types, strawberries, blueberries, and kiwi, have production areas of less than 10,000 ha each.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in small fruit production, several challenges, such as the lack of good planting materials, productivity issues, lack of packaging facilities, and marketing networks for farmers, need to be addressed to enhance the prospects for small fruit production in India.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several areas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Firstly,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specific resource constraints that small fruit producers face and develop strategies to improve their access to essential resources, including planting materials, land, water, and financial support. Secondly, innovative marketing strategies tailored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mall fruit production in India should be employed to exp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 opportunities. Lastly, adopting appropriate technologies and sustainable production practices is necessary to improve productivity and mitigate environmental impacts. Overall, the prospects for small fruit production in India appear promising, given the growing demand for healthier food options and the expan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s for small fruits.
바티칸과의 단절이 오래되었지만 중국의 천주교는 기본적으로 가톨릭 보세(普世) 교회의 원칙을 따르고 있다. 때문에 중국 천주교의 사제양성 교육과정 또한 세계 각 국에서 보편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교육과정과 비교했을 때 큰 차별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중국의 특수한 상황 때문에 다음과 같은 특징 을 지니고 있다. 첫째, 종교학교의 설립과정과 운영에 있어 정부기관의 개입이 광범 위하고 영향력 또한 크다. 둘째, 교육과정은 보편적 교육과정을 지키고 있으나, 중국 정부의 종교중국화 정책에 따라 중국 철학사상 방면의 교육이 강화되고 있다. 결론 적으로, 중국 천주교 종교교육이 지닌 특징은 교육기관의 설립에서 교육내용에 이르 기까지 사회주의적 종교정책이 관철되도록 다양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장치가 어떠한 실질적 효력을 발생할 지에 대해서는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곤충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6조에 따라 국립농업과학원에서는 2020년도에 곤충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 였다. 곤충산업 종사자의 유형은 생산업이 가장 많았고(98.5%), 남성 비율이 높았으며(80.4%), 연령은 50대가 36.4%로 가장 많았다. 산업곤충 의 생산 유형은 식약용 곤충 66.5%, 사료용 12.8%, 애완용 20.7%였으며, 식약용 곤충 중 흰점박이꽃무지는 69.6%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었 으며, 사료용으로는 귀뚜라미류가 31.2%, 애완(정서)용으로는 장수풍뎅이가 45.6%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었다. 제품의 형태는 분말이 68.5% 로 가장 높았고, 생물로 판매되는 경우는 40.9%로 조사되었다. 연간 소득이 있는 곤충농가는 77.3%이고, 그 중에서 연간 판매금액이 2천만원 미 만인 경우가 65.4%를 차지하였다. 곤충산업 종사자들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판로 확보로 조사되었다(84.0%). 이와 같이 곤충산업 종사자는 매 년 늘어나고 있지만 20대~40대 청년 곤충농가 대표는 줄어들고 있고, 생산은 특정 대표 곤충 종에 한정되어 있으며, 매우 영세하게 농가가 유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곤충 농가에서는 판로확보에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어 산업곤충 소비 촉진을 위한 이용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고 판단된다.
지난 10년 동안, 이중 가닥 RNA (double-stranded RNA, dsRNA)를 이용한 특정 유전자 발현 간섭(RNA interference, RNAi) 기술은 의약품 개발뿐만 아니라 작물보호 분야에 해충방제부터 익충보호까지 다양하게 그 기술이 사용되어 왔다. 그동안 학계 및 산업체에서 활발히 연 구되어 온 RNAi기술을 이용한 작물 및 익충보호제는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미래 농업 시장에서 해충방제제와 익충보호제로써의 개발을 위한 RNAi의 기술적 응용은 상당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현장에 직접 사용되기에는 아직 여러 가지 한계점이나 극복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 다. 본 리뷰에서는 최근에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작물보호제 및 익충보호제(protection of crops and beneficial insects)로써의 dsRNA의 다양 한 활용과 그 잠재성(potential)을 소개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천적 연구는 1995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25여 년이 지난 지금 1990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응용곤충학회지에 발표 된 논문은 약 130편으로 전체 약 1,550편의 8.4%가 천적에 관한 논문이었다. 이들 논문 중에는 1990년대에는 천적을 탐색하여 생물적 특성 연구에 관한 논문의 비율이 높았고, 2010년대에는 개발된 천적을 농가 현장에 적용하는 논문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국내 토착 천적이 24종, 도입 천적이 13종이 개발되어 총 37종의 우수 천적이 개발되었다. 또한 개발된 천적이 현장에 활용될 수 있도록 천적 활용 기술서 및 매 뉴얼을 약 28종 이상 개발되었다. 이처럼 지금까지 천적 탐색, 생물적 특성 연구, 및 생산·이용 기술 측면에서 많은 성과가 있었으나 앞으로 추진 하여야 할 과제도 많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 농작물 재배상황에 맞는 우수 천적을 탐색하거나 도입하는 연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연중 대량생산 기술, 천적의 생산 및 유통 과정에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 및 천적과 저독성 작물보호제를 조화롭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지구온난화를 포함한 환경 변화는 생태계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도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온상승과 같은 기후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자연 환경이 변화하고 이와 밀접한 관련이있는 동식물상 변화 역시 예상된다. 변온동물로 종 다양성이 풍부한 나방은 분류학적 정보가 비교적 자세하고서식지 특이성이 높으며 자외선등 트랩을 이용하여 쉽고 정량적인 채집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경변화를 모니터링하기에 적절하다. 우리는 2001년부터 최근까지 한반도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지리산, 무안 승달산, 제주 한라산 등지에서5월부터 10월까지 매달 1회씩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남부지역의 나비목 종 다양성을밝혀낼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환경변화에 따른 특정 개체군의 감소 또는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나방 모니터링을통하여 얻었던 중요한 연구결과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할 계획이다.
지명의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으나 지명의 관리체계가 해양조사원과 국토지리정보원으로 이원화되어 있고 인터넷 상의 오류표기의 증가에 따른 대응은 양 기관 모두 적극 대응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지명관리체계에서 국토지리정보원과 국립해양조사원의 역할을 현황분석과 더불어 재정의하고, 해외에서 오류지명이 배포되는 체계를 분석하여 대응방안 및 액션 플랜을 제시하였다.
산업화 및 세계화에 따른 자살문제가 점차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부터 자살은 중국의 사망원인 중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자살문제의 심각성으로 인하여 중국인의 독특한 자살률 추세와 유행병학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최근에 학술계에서 중국인의 자살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중국의 핵심간행물에 등재된 39편 중국문헌과 11편 외국문헌을 분석하여 그동안 중국인의 자살연구 내용과 한계점을 살펴보고 최근의 핵심 이슈와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의 자살연구 과제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연구목적에서는 자살의 현황과 특징을 다루었지만 자살예방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연구대상에서는 일반인 및 청소년에 편중하였고 자살 위험성이 높은 기타 인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연구방법에서는 설문조사와 심리부검조사를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방법들은 중국인 자살 행위 원인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였다. 연구변인에서는 사회학과 인구학요인을 사용하였고 경제와 문화요인의 사용은 부족하였다. 키워드 ‘자살위해’, ‘청소년’과 ‘자살미수’가 자살연구의 핵심 이슈로 꼽혔고 키워드 ‘자살행위’, ‘대학생’과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비중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면, 첫째, 중국사회 환경이 변천함에 따라 개인 삶의 환경이 함께 변화하는 상호작용 요인을 찾아냄으로써 거시적인 각도로 자살문제를 접근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질적과 양적 연구방법의 장점을 결합하고 중국 각 지역의 문화특징과 사회 환경을 고려하여 자살 위험인구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자살 위험인구를 비롯하여 전인구에 적용할 수 있는 자살예방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동시에 이러한 프로젝트의 효율성도 함께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인터넷은 광범위한 정보를 담고있지만 실제 이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정보는 제한된다. 따라서, 정보검색 서비스는 이용자가 찾고자 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도구로서 역할을 한다. 검색사업자는 정확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는 점에서 공공적 역할을 하는 것이다. 뉴스서비스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뉴스서비스에 대한 이해관계가 다양하기 때문에 많은 논란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뉴스서비스의 역할과 바람직한 비즈니스 모델 내지 사회적 책임이라는 측면에서의 고찰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포털 뉴스서비스가 가지는 법률문제에 대해 개략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하여 포털사이트에서 진행하고 있는 개선내용에 대해 네이버 뉴스서비스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사회적영향력의 확대에 따른 책임과 규제 논의를 통하여 포털 뉴스서비스가 갖는 역할에 대해 개략한다.
무용, 영상 그리 고 음악이 컴퓨터에 의해 종합지어지는 예술의 형태는 더 이상 낯선 장르 가 아니다. 더욱이 무용과 영상, 영상과 음악, 음악과 무용 간에 얼마만의 interactivity가 구현되 었느냐에 많은 작가들의 관심은 집중 되어 지고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기술 구현이 작품의 완 성도로 비추어지는 경우 도 간혹 생긴 다. 그리하여 이러한 기술의 현황을 살펴보고 발전 방향 을 고찰 해 보는 것이 아티스트들에게는 매 우 흥미로운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Boot camp programs, frequently called "shock incarceration" programs, appeared in the early eighties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correctional programs. Offenders in these programs spend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in a quasi-military program involving physical training, drill, manual labor, and strict discipline. Since 1983, 49 boot camp prisons have been opened in 33 State correctional jurisdictions, in addition to many programs developed and being considered in cities and counties, and for juveniles. The past decade has witnessed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concept of boot camps as a potentially effective intermediate sanction for certain types of Offender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boot camps may be a useful alternative sanction to keep first offenders from offending again over the short terms, but that the long-term effects on recidivism or reduction of cost and prison crowding have not yet been determined. There is growing evidence that cost savings can be achieved if boot camps are used as an alternative to confinement. Because shock incarceration programs confine offenders for relatively short periods (3-6months), they may not be able to prepare the participants fully for readjustment to the community. More follow-up for participants in terms of aftercare services - employment assistance, drug treatment, etc - may, therefore, be an essential aspect of successful programs. Although boot camp programs are expected to remain popular for now, it is not known if growth can be sustained. Among the factors affecting such growth are political and popular interest, success in achieving program goals, and legal issues associated with the selection of program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