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3

        41.
        200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 (마 28:18-20, 막 16:15, 눅 24:47, 요 20:21, 행 1:8)은 인류의 구원을 위하여 생명의 복음을 땅 끝까지 증거 하라는 것이다. 이 기독교의 복음은 우리를 위해서 십자가에 돌아가시 고 삼일 만에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수천 년의 기독교 역사는 이 복음을 증거 하는 역사였다. 이 동일하고 고유 한 복음은 인류의 다양한 문화 속에서 증거 되어 왔다. 히브리, 희랍/ 로마 문화 속에서 기록된 이 복음은 절대로 변할 수 없는 진리이다. 그러나 그것을 받아드리는 인간의 문화는 항상 변화하고 있으며 지역 별로 다양하다. 본 연구는 이 동일한 생명의 복음을 다양한 문화 속에 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증거 할 수 있을지에 관하여 살펴본다. 이미 조지 헌터가 주장한 바와 같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은 기 독교 복음의 효과적인 증거를 위하여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아리스토 텔레스는 커뮤니케이션의 목적을 설득으로 이해하였다. 그에 의하면, 청중은 세 가지 방법에 의하여 설득 당할 수 있다. 첫째, 그들은 메시 지를 전하는 화자의 인격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으며 화자의 신뢰성 을 통하여 설득 당할 수 있다. 둘째, 그들은 메시지 자체의 논리성에 의하여 설득 당 할 수 있다. 메시지는 연역적으로도 전개될 수 있으며 귀납적으로도 전개될 수 있다. 셋째, 그들은 자신들의 감정의 변화에 의하여 설득 당할 수 있다. 메시지가 강렬하게 청중의 감정을 움직일 때 그들은 설득 당하며 의지를 갖고 화자가 주장하는 바를 실천할 수 있다. 기독교 선교에 있어서 화자는 교차문화적 선교사이다. 교차문화적 상황 속에서 선교사가 복음을 전할 때 그/녀는 예수 그리스도를 본 받 아 성육신적으로 복음을 증거 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 선교사는 자신이 섬기기 위해 부름을 받은 해당 문화를 존중하고 그 문화 속에 사는 토착민을 사랑해야 한다. 민족적, 문화적 우월감을 버리고 그들 과 함께 거하면서 복음을 전할 때 그들과 일치를 이룰 수 있으며 그 일치 속에서 성육신적 사역을 감당할 수 있다. 선교사가 전하는 유일 한 복음은 구원의 기쁜 소식이다. 이 생명의 기쁜 소식을 받아드리는 자는 살고 거부하면 죽는다. 그러나 이 복음의 메시지는 청중이 알아 듣기 쉽고 분명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이 복음의 메시지는 토착민은 물론 토착민이 구성하고 사는 사회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이 복음은 화자중심이 아니라 청자중심으로 전해져야 한다. 선교사는 자신의 문 화적 형태-교단적 그리고 교리적 특징-를 받아드리라고 토착민에게 강 요할 것이 아니라 순수한 복음을 그들의 문화적 형태를 통하여 받아드 리도록 격려해야 한다. 교차문화적 상황 속에서 효과적인 복음증거는 기독교의 토착화를 요구한다. 기독교의 토착화는 궁극적으로 토착화를 통하여 선교지에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하는 것이다. 이 하나님의 나라는 선교지에 토착 적 교회들이 세워질 때 이루어지며 확장된다. 건전한 토착화는 복음 과 문화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면서 복음을 문화적 형태를 빌려 의미 있게 전하되 복음의 진정한 의미를 상실하지 않도록 성령과 성경의 안 내를 받는 노력을 요구한다. 효과적인 교차문화적 복음증거는 토착민 의 문화적 형태를 통하여 복음의 의미를 더욱 분명하게 증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같이 현대 기독교의 교차문화적 복음증거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 기초하여 그의 설득 모드를 활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복음 증거를 기대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의 삼대요소인 화자, 메시지, 그 리고 청자가 구성되어야 의사소통이 가능하듯이 교차문화적 선교에 있 어서도 선교사, 메시지, 그리고 토착민이 준비되어야 복음증거가 가능 하다. 화자로서 선교사는 종으로서의 인격을 갖추고 섬길 때, 예수 그리스도가 중심이 되는 메시지는 의미가 분명하도록 논리적으로 제시 될 때, 그리고 청자인 토착민이 메시지를 자신의 언어와 문화적 형태를 통하여 들으며 감정을 포함하여 전인격적으로 하나님을 만날 때 진정 한 회심이 일어나며 사회가 아울러 변화한다. 그리고 변화된 토착민들 이 중심이 되어 토착적 교회가 세워진다. 이 토착적 교회들이 선교지 여러 곳에 세워질 때, 하나님의 나라는 확장되며 “여호와의 영광을 인 정하는 것” (합 2:14) 이 세상에 가득할 것이다.
        6,700원
        42.
        200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1974 nation's christianizing reform had become an important long-pending question for Korea's unification. During 1980 and 1990 the KNCC and WCC established, using democracy and the people as a medium, roads for independent unification. It was then, when the liberative and conservative fractions of the Korean Christianity had disputes about the view toward the identification of North Korea. At the end there will be a nation's christianizing reform in a shell of liberative unification which is actually filled with conservative thoughts. This is the mission and the way of the Korean Church. Following below, there are results from analyzing treaties worked by ten South Korean Christian scholars themed on this issue. 1. The nation's christianization in the perspective of unification based on international and domestic situation studies. The direct experiences of the unification research workers, studies based on nation's christianizing reform about the North Korean Church and data from North Korea are the most reliable research materials. 2. Korea's unification plan and nation's christianizing reform established through evangelism'sliberalism. The liberalism's way of the nation's christianization reform has been to pursue for news about who actually holds the power for independency and democracy and thus create a road for unification. 3. The North Korean MissionPolicy Researcher's view of actualization of nation's christianization reform is not based on unification but missionary strategies. Their idea is to set up the whole nation's christianization reform concept and doing social work and spreading the good news to revive followers for strategic purposes and afterwards proceeding with a spiritual movement. The question here is having this vast discourse on the unification what news to put into the nation's christianization reform. If it had been only for strategic purposes, now is the time to set aside differences between fractions and concentrate on reconciliation, forgiveness and a unified settlement on how to proceed. How to achieve that is still left to solve. Although in the liberal's unification approach, may not be the direct statement about nation's Christianization reform so apparent, it is significant in creating a road for unification. What is left to solve in the future is how to get an agreement of the North Korean Mission Policy Organizations and graft every Christian societies together to cooperate and get an integreated statement.
        8,100원
        43.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ospel of Mark was written around A.D. 70 earlier than other Gospel Books. This Gospel reflected the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in which Mark the author of the Gospel lived. Mark did not merely write about the life and work of Jesus Christ, but also contextualized His life and ministry theologically for his community of faith. This paper focuses on how Mark's view and his understanding of Jesus' mission can be interpreted and applied to modern cross-cultural mission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Gospel of Mark is significantly missional and therefore his community of faith was mission-oriented. The center of the Gospel is Jesus Christ who died on the cross and rose again among the dead three days after his death. When He died, the curtain of the Temple was torn in two, from top to bottom. Then a Roman centurion confessed, "Surely this man was the Son of God" (Mk15:39). When He rose on the first day of the week, the sun shone brightly. The power of darkness disappeared. Jesus' disciples were called and trained by their Master to become fishers of men (Mk1:17). For about three years they were always together with their Lord. However, they were scattered when their Lord Jesus Christ was arrested and persecuted by Jewish leaders under Pilate. Some women from Galilee followed Him to Golgotha, where He was crucified. Judas betrayed Him. Peter confessed that he would never leave Him alone. However, he denied Him three times before the rooster crowed twice (Mk14:30). The disciples were rebuked by their Lord because they did not understand God's salvific will, that is, Jesus' death and His resurrection for the whole mankind (Mk10:45). The Gospel of Mark reveals that the primary purpose of His incarnation was to proclaim the Kingdom of God, the core of the Gospel (Mk1:38). The Kingdom of God was already initiated through His ministry among the people who were physically sick, economically poor, and socially isolated. It can be established and expanded through His presence and the work of the Holy Spirit. Jesus Christ was forsaken completely by His Father, the God Almighty, for our sins. The Gospel of Mark denies any forms of imperialism in which Christendom, rather than Christianity is expanded through weapons under the name of Jesus Christ. The Gospel does not show the easy or successful ways of mission. Rather, to follow Jesus Christ the Gospel points to the cross which every Christian should bear. Jesus Christ will come again in clouds with great power and glory (Mk13:26). Whoever follows Him to die with Him will rise with Him on the Day of His coming. The Lord will gather His people from the ends of the earth to the ends of the heavens (Mk13:27). The work of God enables the Gospel to meet receptive hearts and the Kingdom of God will be accomplished.
        7,700원
        45.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46.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thesis is review on a study for the relation Gospel and local culture in Korea. There were theological efforts to searching for the relation between Gospel and traditional culture since transmitting christianity to Korea. I call the discussion of the relation between Gospel and traditional culture theology of inculturation. The notion of inculturation is a term that is mainly discussed in the context of encounter between the Christian Gospel and the local culture. Inculturation also means that Christianity takes root within a particular culture, bears fruit and continues to thrive. It is to be lived and evangelized in the life of korean people. Thus when the local culture of Korea have received the evangelical values of Christianity, it had undergone the process of being renewed and perfected. The inculturation of Christianity brings about mutual progress and renewal. When the Gospel meets the culture of Korea, it renews and perfects local culture. In turn, the Gospel gains the richness of the proper value of the local culture. The objective of inculturation is to embody the spirit of Gospel in hope that its Christian message permeate the lives of the people. IncuIturation needs to undergo the process of local and historical adaptation. This presentation will examine the literature on inculturation and focus on the reality of inculturation, what contemporary Koreans desire concerning the inculturation of the Christianity, and the direction that Inculturation needs to take at this time in history. Inculturational theology in Korea is a result of searching for the relation between Gospel and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this Thesis I also share putting the question of inculturational theology in Korea. At first I will review the styles of inculturational theologies by korean theologians. An next I will also look upon theological duties which we should have take. There are much studies on the progress of inculturation in Korea. I am proud of that. In conclusion, I will propose some tasks for the theology of inculturation in korean Christianity. At first, there must be relevance of context in the inculturation. And We must study christian culture which has been inculturated since the first age of mission to Korea. I think that the Korean Church is expected to take root in Korean society as Korean Christianity is always being inculturated according to time and place.
        8,000원
        47.
        2002.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48.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49.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50.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51.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52.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53.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1930년 이전 한국장로교회의 신학이 개혁신학이 아니라 복음주의신학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이 논문에서 복음주의의 특징을 세 가지로 핵심요소로 규정한다. 그것은 성서, 회심체험, 영적인 생활의 변화이다. 1930년 이전으로 시대를 한정한 이유는 1930년 이후 신학이 분화되기 때문이다. 장로교와 감리교는 선교초기부터 예배공동체, 성경번역, 순회전도를 함께 했는데, 이런 연합사역이 가능했던 것은 복음주의신학이라는 공유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1907년 대부흥운동은 성서를 통한 사경회를 기초로, 기도를 통한 체험, 말씀과 기도를 통해서 은혜 받은 자의 새로운 생활을 통한 도덕성이라는 복음주의신학의 모습이 나타난다. 이런 성서, 회심체험, 영적인 생활의 변화는 한국교회신학을 복음주의 전통으로 견고하게 뿌리 내리게 한다. 1907년 한국장로교회는 4개 선교부가 하나의 장로교 치리회인 독노회를 조직한다. 이때 채택한 대한장로교회신경은 장로교회와 감리교의 연합정신과 복음주의신학의 산물임을 통해서 초기 한국장로교회의 신학이 개혁신학이 아니라 복음주의신학임을 다시 한 번 규명하게 된다. 한국장로교회 신학이 개혁신학이라면 신학교와 학계에서 칼뱅에 대한 교과과정이나 연구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교과과정과 칼뱅연구를 보면 교과과정은 성경중심이며, 칼뱅연구사에서 1930년 이전까지는 이에 대한 깊은 연구는 없음을 알 수 있다. 한국장로교회의 복음주의 영성은 개인구원과 체험을 강조한다. 즉 부흥적 특성으로 인간의 감정을 강조한다. 그러나 개혁신학은 그렇지 않다. 복음주의는 개인구원, 개인윤리, 사회관심으로 자연스럽게 발전되어간다.
        54.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양심에 대한 루터의 가르침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서 루 터의 양심 개념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다. 첫 째, 루터는 양심의 문제를 단순히 도덕·윤리적 차원이 아닌, 근본적으로 인 간과 하나님의 관계, 특히 구원론의 틀 안에서 다룬다. 둘째, 양심의 판단 대상이 되는 것은 개별적 행위이기 전에 한 인간 전체다. 셋째, 양심은 하 나님의 판단을 따를 때 제대로 기능한다. 넷째, 양심에 대한 루터의 가르침 은 법과 복음, 믿음과 사랑, 그리고 ‘~으로부터의 자유’와 ‘~을 향한 자유’ 라는 신학적 주제들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여섯째, 루터는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서 양심의 문제를 정립하고 나서, 이 토대 위에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양심 문제를 다룬다.
        55.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코틀랜드 연합장로교회에 의해 만주에 파송된 선교사 존 로스 (1842-1915)는 1877년부터 한글복음서를 번역하기 시작하였으며, 1882년 부터 1887년까지는 복음서와 신약성서를 최초로 발행하고 보급하기 시작 하였다. 그는 󰡔예수셩교요안복음젼셔󰡕 초판(1882)에서 소위 ‘간음한 여 인 이야기’(Adulteress Pericope)로 불리는 7:53-8:11 부분을 의도적으로 삭 제하였다. 그 이유는 무엇이었는가? 그는 󰡔예수셩교요안복음젼셔󰡕 초판 을 발행할 때에, 단순하게 기존에 번역되었던 중국어 문리역본이나 북경관 화역본, 영어 역본들, 또는 역사적인 그리스어성서 개정역본 가운데 바로 전(前)해에 옥스퍼드대학교 (University of Oxford)에서 발행되었던 역본을 그대로 번역하지 않았다. 이 연구가 살펴본 문헌적 증거들은 로스가 성서 사본비평학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옥스퍼드 판 그리스어성서 개 정역본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시내산 사본(Codex Sainaiticus)의 요한복음 본문 취급을 따랐음을 암시한다. 1881년에 발행된 옥스퍼드 판에서는 요한 복음 7:53-8:11의 소위 ‘간음한 여인 이야기’가 그 앞뒤의 꺽쇠괄호 표시와 함께 여전히 본문에 포함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고대사본들이 이 부분을 생략했음을 표시하는 각주가 첨부되어 있다. 로스는 옥스퍼드 판의 이러한 소극적인 편집을 넘어서서 해당 구절의 과감한 삭제를 감행하였다. 기왕에성서번역의 원칙으로서 그리스어 용어들을 음역하는 등 그리스어 성서원 문을 최대한으로 존중하는 원칙을 보여주었던 로스는 요한복음 초판에서 시내산 사본(the Codex Sinaiticus)의 본문을 따라 ‘간음한 여인 이야기’를 삭제하였으며, 이는 주해를 첨가한 옥스퍼드 판의 원판인 웨스트코트(B. F. Westcott)와 호트(F. J. A. Hort)의 The New Testament in the Original Greek (1881)과 그 궤를 같이 하는 것이다. 이러한 삭제의 결정은 특별히 이제 복음을 향하여 ‘새로운’ 선교지인 한국을 위하여 당대 최선의 성서번 역본을 제공하겠다는 로스의 학문적 노력과 선교사적 열정의 반영이라고 보여진다.
        56.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에서 복음주의는 보수주의와 단순하게 동일시되어 왔다. 하지만 1980년대 중반에, 정치적 진보주의자들의 민주화운동과 근본주의적 기독교인들의 반동적 행동에 대한 반작용으로, 새로운 유형의 복음주의가 출현하기 시작했다. 보수적 복음주의와 구별하기 위해서, 나는 그것을 ‘진보적 복음주의’라고 칭한다. 이 새로운 유형의 복음주의는 몇 가지 중요한 기관과 조직들을 통해, 자신의 신념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기 시작했다. 기독교학문연구회(기학연, 1984), 한국헨리조지협회(1984), 기독교문화연구회(기문연, 1986), 기독교윤리실천운동(기윤실, 1987),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1989) 등이 대표적인 예들이다. 1990년대 이후, 이것은 다양한 조직, 기관, 운동으로 더욱 확대·발전되었다. 예를 들어, 잡지 「복음과 상황」(1991), 기독법률가회(1999), 교회개혁실천연대(2002), 성서한국(2002), 기독연구원 느헤미야(2010) 등이 연속적으로 출현했으며, 한국헨리조지협회는 1996년에 ‘성경적토지정의를위한모임’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2010년에 ‘희년토지정의실천운동’(희년운동)과 통합하여 ‘희년함께’로 거듭났다. 뿐만 아니라, 미국과 영국에서 비슷한 운동을 개척하거나 주도했던 학자들이 IVP를 포함한 여러 복음주의 출판사들을 통해, 국내에 꾸준히 소개되었다. 존 스토트, 크리스토퍼 라이트, 로날드 사이더, 리차드 마우, 짐 월리스, 토니 캠폴로, 브라이언 맥클라렌, 존 하워드 요더가 그런 흐름의 대표주자들이었다. 이 운동의 발전과정에서, 우리는 이 운동의 신학적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끼친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신학적 원천들을 발견할 수 있다. 즉, “하나님의 나라 신학,” 로잔언약(1974), 기독교세계관운동, 해방신학, 민중신학, 마르크스주의, 그리고 미국 복음주의 좌파가 한국에서 진보적 복음주의의 탄생과 성장에 지속적으로 강력한 영향을 끼쳤다. 그 결과, 진보적 복음주의는 주요 쟁점들에 대해 비교적 진보적·개방적인 견해를 갖게 되었다. 예를 들면, 진보적 복음주의자들의 성경관은 근본주의자들의 것보다 진보적이며, 사회적·정치적 문제들에 대해선 좌파적 경향을 보이고, 행동 방식은 명백히 엘리트주의적 혹은 학문적이다. 이처럼, 진보적 복음주의는 한국의 복음주의 역사에서 대단히 독특하고 중요하다. 하지만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 혹은 극대화하기 위해선, 특히, 대중을 포용하기 위해선, 자신의 엘리트주의와 학문주의를 극복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자신이 처해 있는 독특한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그리고 종교적 환경에 근거하여 자신의 신학을 발전시키기 위해선, 서구신학에 대한 지나친 의존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57.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inquire into the doctrine of papal primacy in Gregorius VII and Martin Luther, focusing on their biblical interpretations of Matthew 16:18-19 and John 21:15-17. Gregorius VII refers to these passages as the scriptural evidence for Petrine primacy and monopolistic privileges. Furthermore, unambiguously revealing an invincible conviction of himself as the vicar of Christ and Peter's successor, Gregorius VII materializes an unprecedented form of papal primacy, not only in theory but also in practice. He plays his role as the head in the secular realm as well as in the spiritual one. He demands the kind of obedience that should be shown to Christ or St. Peter, the Prince of the Apostles, from both religious and secular leaders. Luther advances divergent interpretation of these passages.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his interpretations is that they are Christological, or more precisely, Christocentric. This reveals that the essence of Luther's Reformation thought, that is, his theological stance on Jesus Christ and faith in him, is functioning as the interpretive key to these passages. The “rock” is defined as Jesus Christ or faith in him. He builds a Christian community comprised of those who believe in him. So Christ is the sole head of this spiritual community of believers, who properly wield the power of the two keys to bind and loose sins. Luther argues that, when Jesus asked Peter to tend his sheep, his command is irrelevant to papal primacy in both spiritual and secular realm. Luther pays heed to the question “Do you love me?,” which Jesus Christ asked Peter three times. Based on this question, Luther contends that no one can tend Christ’s sheep without loving him genuinely in the first place. Tending Christ’s sheep means following his steps and offering voluntary service to others.
        58.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p to recently at the modern education in Namyang the christian education’s influence before 1905 has not particularly received attention. But according to Shin Hak Wol Bo, the Namyang Church was founded in 1900 and in 1902 nine churches were established around Namyang. From the time in which the churches were founded, the schools of the boys and the schools of the girls for the modern education were built. The schools of boys were Boheung elementary school and Powell school and the school of girls was Jeha elementary school and the nine day schools of boys and girls were built in the nine churches. Teachers of these schools were Lee Chang Heoi and An Elizabeth. They taught the Hangul and arithmetic. Particularly after the girls and women were participated in the Bible Class, they grew into the women leader of church and the modern education patron. After 1905’s Protectorate Treaty nineteen schools were founded. Among these schools, three schools such as Boheung girl school, Bosung elementary school, and Bomyung elementary school were set up by christians and church. Many christians such as Lee Chang Hoi, Choi Sung Dae, Kim Hyeun Jun were participating in the establishment of Sangdong elementary school, Yangsung school, Songlim school, and Junkok Private House. Moreover Boheung school was the center of many schools and held the union sport and inspired the patriotism and the military spirit. And Boheung school and Boheung girl school with YangSung school established the ordinary course and the higher course and led the middle education. These two schools with the public elementary school joined the National Debt Compensation Campaign. The Namyang branch of Daehan-Jaganghoi was set up by the leadership of christians such as Lee Chang Hoi. Christians such as Kim Hee Kyung and Kim Hyeui Kyung and An Maria founded the EuiSungHoi and they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Debt Compensation Campaign. They established Women Education Society and gave the positive support for the women education. On the contrary Buddism and the Cheondogyo did not establish even a modern school. When we observe from this side Christianity led the modern education and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in Namyang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Christians such as Hong Sung Ha and Lee Chang Hoi among Namyang church exhorters and SeoYeuDa Myeon Head Choi Sung Dae, Kim Kwan Hyeon as Kim Hong Su’s son and An Elizabeth got into the positive act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with country governors such as Jang Ho Jin, Bang Han Duck, and the enlightened confucian scholars.
        59.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r Reformator Martin Luther hat eigentlich die Kirche, die er erneuert hat, nicht Lutherische Kirche, sondern Evangelische genannt. Da wurde das Evangelium richtig durch sie verkündigt. Es ist nicht leicht zu sagen, dass evangelicalism im 18. Jahrhundert geschichtlich auf die Evangelische Kirche im 16. Jahrhundert beruht. Aber die beiden haben die Kontinuität in der Theologie besonders auf dem Felde der Soteriologie, z. B. Gnade, Sünde, Wiedergeburt, Bekehrung etc. Eine solche theologische Kontinuität befindet sich im Pietismus im 17. Jahrhundert. Man denkt daran, dass Luther und die Pietisten in der grundlegenden Thematik der Theologie stimmen. In der soteriologischen Perspektive stimmt die Theologie von Ph. Jakob Spener mit evagelicalism über Gnade, Sünde, Wiedergeburt überein. Spener kennt das System der lutherisch-orthodoxen Theologie mit der Form ‘Loci’. Aber sie sind das dogmatische Lehrbuch für die Theologen nicht für die Laien. Wegen der Schwierikeit zum Verstehen der ‘Loci’ für die Laien braucht man einen neuen Weg zum Erreichen des Verständnisses für die dogmatischen Punkten. Damit benutzt Spener mit einer Reihe von Predigten von 1. Advent 1686 bis zum 26. Sonntag nach Trinitatis 1687 seine dogmatischen Gedanken: die Evangelische Glaubens-Lehre von 1688. In der Evangelischen Glaubens -Lehre zeigt sich, dass das Fundament der Theologie Speners zuallererst in der Heiligen Schrift und in den Schriften Luthers liegt. Spener beruft sich auf zahlreiche Bibelverse, insbesondere aus dem Neuen Testament, zum einen für den Beweis der Lehre, zum andern zur Orientierung für das praktische Leben der Christen. In die Evangelische Glaubens-Lehre beschreibt Spener die Möglichkeit der Harmonie zwischen der christlichen Lehre und dem christlichen Leben. In diesem Sinne kann die Evangelische Glaubens-Lehre als praktisch-dogmatisches Lehrbuch angesehen werden. Sie zeigt die fides quae creditur und fodert gleichzeitig von den Hörern bzw. den Lesern die fides qua creditur. Die christliche Lehre unterscheidet sich nicht vom christlichen Leben, sondern sie muss durch letzteres bestätigt werden. Speners die Evangelische Glaubens-Lehre führt das Wort des Systems der pietistischen Theologie. Auf Sicht der evangelical Theologie und des Inhaltes des evangelicalism im 18. Jahrhundert, man weiss, dass der Pietismus im 17. Jahrhundert nicht zum Ende gegangen, sondern in dem andern Ort und der Zeit weiter existiert.
        60.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evangelical movement during the 12th and 13th centuries. In the Middle Age, during these centuries, the evangelical movement, which tried to obey the teachings of the Gospel, saw its most powerful expression. Among various forms of evangelical movements from peoples of diverse classes, we focus on two kinds of people: Waldensians, “heretics” of the medieval church, who separated themselves from the church by criticizing and resisting the institutional church, and the mendicant friars, who aimed at returning to the apostolic tradition within the church. All these evangelical movements show that they placed an evangelical value to poverty. In other words, for those who wanted to live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the gospel, poverty was the first practice and the effective symbol of evangelical awakening. Thomas Aquinas, representative theologian who showed theological reflection on this evangelical poverty, says that the voluntary poverty is the first basis on the way to the perfection of Christian life. This is because the perfection of human life is the union with God,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the humanity and because the love of wealth decreases the love of God. We find that the medieval evangelical movement challenges the evangelicals today, especially those in the Korean church. The essence of the evangelical spirit shown through the evangelical movement is the unlimited obedience to the words and the acceptance of the voluntary poverty as the condition of apostolic life. This can be summarized as discipleship(sequela Christi). We believe that we can take significant lessons and insights from the emphasis on the discipleship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medieval evangelicalism. We think so in view of the context of the Korean church, where she emphasizes on sola gratia but where the sequela Christi can hardly be found. If anyone truly believes in the forgiveness of sins through the redemption of Christ and the gospel that means the eternal grace of salvation, he or she cannot but follow Christ; the Gospel can’t be separated from the discipleship.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