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

        23.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sumption and amount of red pepper used in Baechu Kimchi (cabbage Kimchi) especially the amounts used in Kimchi recipes with respect to the passage of time from the 1930s to the 2010s. In this analysis, 78 recipes for cabbage Kimchi were taken from books, daily newspapers and magazines from 1930 to 2014 and collected for comparison.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onsumption and inclusion of dried red pepper powder in cabbage Kimchi increased. The average consumption of red pepper in the 1930s was 5.75 g, and the number went up to 8.83 g in the 1940s, to 13.8 g in the 1950s, and to 20.25 g in the 1960s. The amount dramatically increased from 1970 to 1980 (53.37 g) and kept rising until 2010 (71.26 g). The average consumption of red pepper in cabbage Kimchi in the 2010s is about 12 times that of the 1930s.
        4,200원
        25.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 type of women started to appear in Germany during 1920-1930s and unlike his previous work, Klee began to create works, which related to this new type of modern woman. This paper is a study of Klee’s image of New women in the 1920-1930s, and reflects on Klee’s professional achievements and his perception of these times, based on their social background, which was reflected on the shapes of the ‘New women’ that he portrayed. The labor power shortage that resulted in the aftermath of the First World War provided women with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they were therefore able to actively contribute to the economy. Klee recognized the fact that the female gender role that had been limited to being a wife and mother at home, changed drastically as women participated more in politics and social activities. This was illustrated by the diverse images and activities of contemporary women in the performing arts, and portrayed in magazines, newspapers, and film. The liberation of bodies was expressed through dance or gymnastics and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 promoted the performances of modern female dancers. Consequently,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new women who enjoyed dancing and this led to the production of a large number of dance studios and professional dancers. Klee’s images of dancing women shown in his works at the beginning of the 1920s were formed using mysterious and erotic shapes and vibrant lines. However, towards the end of the decade, expressionistic and dark black lines were more prevalent in his dance related works. Clearly repeating straight lines and curves produced geometric and pictorial structures, which expressed perfectly the dynamic motions of dancing women. The 1920s in particular can be said to have been an innovative period of expressionistic dances, and dancers expressed the inner world of human emotions through free movements. The leaping dancers produced by Klee could also be connected to the gymnastics performed at the Bauhaus. At that time, gymnastics was seen as a link between pop culture and the practice of high class art. Overwhelmingly, many participants in gymnastics were women who embraced pop culture and saw themselves as being popular modern women. During the late 1920s, Klee focused on jumping and shifting shapes while concentrating on the creation of geometric abstraction, which meant that the geometrically simplified shapes lost their concreteness and comprised of crosses of planes. Therefore, the gymnastic rhythms that appeared in Klee’s works emphasized movements based on the geometric body shapes, which were connected to an observance of the participants in physical activities.
        5,800원
        2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structural steel, which is the most basic material for steel structures and reinforcement concrete structures in modern period. We theorized the technical data for the research of technical history of modern heritage structures by analyzing the product system and its quality control of structural steel used in modern historical herit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rounded bars were used in most of modern heritage structures. But in the case of Waegwan railroad bridge, the deformed bars were used in spit of not using in Japan after the great earthquake of Kantou. Second, the structural steel was good in terms of quality control, but It has brittle properties because it was not manufactured by heat treatment process.
        4,000원
        2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arly 20th century Singapore was faced with the problem of overcrowding. The attendant problems of a rapid increase in population density, namely the lack of proper housing and sanitation, resulted in the issue of an appropriate residential environment emerging as an important task in urban planning. It was necessary to construct housing estates in order to solve this issue. At that time, the British colonial government attempted to transplant modern technology into the construction process of a residential complex system. However, Singapore’s climate and traditional lifestyle made it impossible to apply the British modern system in a straightforward manner, and in the process, a number of transformations emerged.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Tiong Bahru estate, one of Singapore’s representative public housing projects, from the 1930s through the 1950s, this study intends to look at the way in which such residential estates were assimilated into local surroundings, and the effect of the transplantation of British concepts of modern housing theory. Therefore, the study is divided into an examination of the estate both before and after the turning point of World War II.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war and post-war planning strategies for the Tiong Bahru estate were made according to the concept of ‘open space.’
        4,200원
        2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서울이라는 특정한 공간과의 상관관계와 교우관계를 중심으로 한용운의 사회활동과 삶의 의미를 고찰했다. 정치적·사회적 지향이 강했던 한용운에게 서울은 사회적 실천의 무대이자 핵심적 공간이었다. 한용운의 서 울에서의 활동은 심우장 시기를 전후로 두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북촌시 대 한용운은『유심』이나『불교』발간을 통해 여러 방면의 저명인사와 교류하 면서 3·1운동 참여, 불교청년운동, 신간회 참여 등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이 기간 동안 한용운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사회활동에 매진했고, 그 결과 몸 과 마음이 극도로 쇠약해졌다. 1933년 한용운은 결혼을 계기로 성북동 심우장이라는 곳에 난생 처음으로 자신의 명의로 삶의 공간을 소유하게 되었다. 심우장에 거처를 마련하면서 한용운은 처음으로 주거공간과 사회활동(업무)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었다. 불교도로서 초심을 잃지 않고 끊임없이 참된 구도를 통해 사회적 실천을 이 어가겠다는 의지의 표명이 심우장 이사의 중요한 동기였다. 성북동 심우장은 한용운의 주활동 무대였던 북촌지역과 도보로 왕래가 가능할 정도로 서울 도 심과 가까우면서도 참선 수행이 가능한 조용하고 인적이 드문 곳이라서 한용 운은 지론인 생활선의 실천공간으로 안성마춤이었다. 심우장시대는 한용운의 자유로운 영혼을 더 이상 허락하지 않았다. 일제의 협박과 회유로 많은 민족지도자들이 변절하고 전향했으나 한용운은 일제의 어떠한 유혹이나 협박에도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지조를 지켰다. 한용운은 변절자들과 공개적으로 절교를 선언하고 서대문형무소에서 옥사한 김동삼의 유해를 모셔와 장례를 지내는 등 소극적인 저항을 계속했다. 그런가 하면 일 제의 온갖 회유와 협박에도 민족의 지조를 지킨 소수의 지사들과 마음을 열 어놓고 교류하면서 엄혹한 시기 민족의 앞길에 희망을 던져주었다. 그런 의 미에서 심우장은‘전시총동원체제기’라고 불리는 일제의 마지막 수탈과 발 악의 시기에 민족지조의 상징적 공간으로서 기억되고 있다.
        7,800원
        29.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1운동 당시 민족대표였던 한용운은 1920년대 국내 항일운동의 지도자로서 활약하였다. 그러나 1930년대 초 신간회의 해체와 일제 의 만주사변으로 인한 국내외의 정세 변화는 한용운이 대외활동을 접은 채 심우장에서 집필활동에 전념하게 되는 외적 영향으로 작용 했다. 이 시기에 한용운은 냉철한 시국인식과 민족적 자각을 바탕으 로 불교개혁을 주장하는 글들을 많이 발표하였다. 이때의 개혁론은 1910년대『조선불교유신론』에서 주장했던 일반적인 불교근대화론과 는 달리 식민지 불교의 모순을 극복하고 조선의 사찰을 통일해야 한 다는 자주성에 기반하고 있다. 그리고 그 요지는 크게‘총본산의 건 설’과‘불교의 대중화’로 정리할 수 있다. 총본산 건설은 분산된 조선 사찰의 통일과 통제기관의 설립을 뜻하 는 것으로, 사찰 주지의 임면권(任免權)을 확보해야 한다는 자주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 따라서 그 전제조건은 조선불교의 모든 권리를 철 저히 장악하고 있던 일제의 사찰령을 철폐하는 것이었고, 그 이론으 로서 서구 근대화의 특징인 정교분리의 원칙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정교분리에 따라 사찰령을 철폐하고 총본산을 건설하는 주체로서 불 교청년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불교 대중화는 경전의 한글 번역과 인출, 그리고 불교 잡지의 발행 사업에 의한 문서포교의 실천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일찍이 한글의 중 요성을 자각하고 평소 한글로 된 교리의 전파를 강조했던 한용운은 1930년대 초반 안심사 한글 경판의 인출사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불교계뿐만 아니라 사회 일반에 큰 관심을 끌기도 하였다. 한용운의 불교 대중화 사업은 그 스스로‘조선운동’이라는 표현을 쓴 적이 있 었던 것처럼 문화운동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불교의 대중 화 주장도 조선적 전통의 인식과 실천운동을 바탕으로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한용운의 현실 인식과 대응은 일제의 통제에서 벗어나 한국 불교의 자주성을 회복하는 것에 있었고, 바로 이러한 점이 당시 불교 교단에서 그의 개혁론이 지니는 역사적 의의라고 할 수 있다.
        8,100원
        32.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論文主要考察1930年代前半華北漢族的東北移動及其與大連、大連腹 地勞動力供需之間的關系。該時期流入東北地方的漢族數量每年達到40萬名 以上。華北漢族主要從山東省的農村經山東半島與遼東半島的海港城市流入 東北各地。大連卽是主要的關戶,也是勞動力的吸收地。華北漢族的移動目 的可分爲勞動短期移動與永久移住,其中短期勞動移動的比率不少是其特 征。大連及其背後地的勞動者構成,反映了這一點,全體勞動者的半數以上 是由華北漢族構成的。伴隨著域外華北地區衆多勞動者的供給,圍繞勞動者 募集而産生的勞動力供需關系也成爲該地區産業界最爲費心的部分。以華北 出身者爲中心進行的把頭與中介人的勞動者募集,作爲該時期主要募集方法 之一,能夠反映出該區域的勞動者構成與其特征。
        5,400원
        3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cotton and silk textile production in Honam district, especially in Gurye, Jella Province from the 1930s to the 1980s. To do this,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was both literature and fieldwork research an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cotton fiber cultivation of Gurye, Chinese Cotton(在來綿) has been substituted for America Cotton(陸地綿) and additionally, Yellow Cotton (黃綿) has been cultivated in the 1930s. Also, in terms of silk fiber cultivation of Gurye, Joseon Silkworm has been substituted for Japanese Silkworm by inflowing the Japanese mulberry tree. Second, in terms of spinning method, cotton spinning has been conducted at every house by an individual tool from the 1930s to the 1950s and has been gradually changed to mechanization by market shop equipped with mechanized cotton gin and cotton whipping tool. However, there have been no changes in silk spinning method from the 1930s to the 1980s. Third, loom type has been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Korean back-strap loom to the treadle loom between the 1930s and the 1940s. Fourth, dyeing was conducted by chemical dyestuff after weaving. The circulation of textile was done through the joint market by Japan in the 1930s~1950s and has changed to the market sales by producers since the 1950s. Fifth, since the 1970s, the outputs of cotton and silk textile of Gurye have been reduced. This was connected with the westernization and the inflow of the synthetic fiber and cloth in cotton and was related to the changes of the nation policy and silk fiber inflow from the china to the Korean farm villages.
        4,900원
        3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의 후기시(1920-1939)를 탈식민주의 입장에서 보려고 한다. 1920 년대 그의 시적 성향은 그 동안에 잠복되어 있던 영국에 대한 저항정신이 되살아나지 만, 만년으로 접어든 1930년 이후에 발표된 “동양시편”에서 영국에 대해 새로운 전기 를 맞는다. 이들 “동양시편”에 재현된 시적 표현에서 예이츠는 “상상의 동양”을 식민 주의자나 피식민지인의 도피의 공간으로 보지 않는다. 오히려 그는 영국에서 받은 유 산과 아일랜드인으로서의 정신적인 분열에 마침내 마침표를 찍고, 화해를 암시하면서 극복과정의 일환으로 제3의 공간을 “차분한 대안”으로 제시한다.
        6,000원
        35.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채만식의 <沈봉사>(1936)는 고소설 <심청전>을 패러디한 작품이다. 지극 한 효심에는 용왕과 국왕, 부처님까지도 감동해 많은 복덕을 받게 된다는 <심청전>의 이야기골자는 <심청전>이 청ㆍ관중들 사이에 유통되던 시기, 유효한 가치를 발산할 수 있었다. 반면 <沈봉사>에는 이러한 초월적 힘을 행사하는 존재 가 사라진다. 인당수에 빠져 죽은 심청이 다시 환생하지 않는 이유에서이다. <沈 봉사>는 원천텍스트 <심청전>의 신화적 성격을 걷어내고 일본에 의해 이식된 서 구근대화를 배경으로 삼는다. 이 과정에서 심청의 죽음과 환생은 심봉사의 눈뜸에 대한 욕망과 좌절이라는 명제로 치환되었다. <沈봉사>의 주인공인 심봉사는 자구 권을 상실한 조국의 무능함에 비유될 수 있으며, 그의 자발적 안맹은 비로소 현실 을 인식하게 된 조국의 상황과도 흡사하다. 곧 심봉사의 욕망과 좌절은 근대화 공 포에 휩싸인 식민지조선의 욕망과 좌절이다. <沈봉사>는 심봉사의 욕망과 심청의 죽음을 대립시킴으로써, 일본식 근대사회를 갈망하는 권력주체의 욕망에 의해 일 개 수단으로 전락한 개개인의 도구화에 대한 문제점들을 지적했다. 반면 채만식은 <심청전>의 근대적 변형에 있어 원전이 지닌 전통요소들을 배척하지 않고 오히려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沈봉사> 텍스트에 등장한 방상시(防喪氏), 상여소리, 판소리기법, 운문 낭독대사 등의 차용은 그의 전통문화에 대한 관점을 극명하게 해준다. <沈봉사>에 표현된 전통요인들은 ‘조선적인 것’의 계승을 통해 독자들에 게 민족정서를 환기시켜주었다. 이 전통요소들은 일본제국주의가 열망했던 전근대 적 전통사회의 붕괴와 의식의 식민지화에 대항하는 민족정체성의 복구이자 민족적 유대감을 진작하려는 민족의식의 발현이라 말할 수 있다.
        6,900원
        36.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30년대 한국의 비평가, 김환태를 중심으로 비평의 예술과 비평의 교육적 기능이 ‘언어’와 ‘자국어’의 표현과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다.김환태를 중심으로 박용철, 박영희, 윤기정, 김문집 등의 비평은 일제하의 문단에 “세계 설명”이라는 자각을 하게 하였다. 비평은 곧 예술로서 인간성의 성숙과 세계관을 넓히는 데 박차를 가하였던 것이다. 특히 이데올로기적 표현중심의 KAPF의 경향에서 벗어나 새로운 세계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순수문학의 금자탑을 세운 것은 한국문학사에서 중요한 전거로 주목하고 있는 사실이다.순수문학은 새로운 세계를 설명하고 수용할 것을 전제한다. 새로운 세계로 열려있는 지평에서 ‘자국어’에 대한 관심과 예술적 표현에 무게를 두고 영원불멸한 가치를 창조하기 때문에 자연과 인간 세계, 그리고 인간 관계의 창조를 주장한다. 이는 성리학적 측면에서 통섭의 원리를 원용하고 있는 것이다. 김환태는 참신한 비평적 국면을 설정하여 순수문학의 기치를 확고히 하였다. 특히 인상주의 비평과 유미주의(예술지상주의) 비평, 그리고 형태주의 비평을 통하여 ‘열정’, ‘관조’, ‘공감적’, ‘미적 태도’, ‘미적 경험’, ‘변별력 있는 주목’, ‘활동’ 등을 성리학Neo-Confucianism적 바탕에서 수용하여 조화를 이루고 있는 비평의식을 정립하고 실천하였다.비평은 성숙된 개성의 발견, 즐거움과 쾌락의 전달, 공감적 감각을 실생활의 변화를 가져다 주는 것임을 감안할 때, 비평은 그 시대의 ‘성숙된 인간성의 창조’, ‘열정과 즐거움의 공간 창조’, ‘실생활의 질적 변화와 창조’라는 교육적 기능을 함축하고 있는 장르임을 알 수 있다.1930년대 김환태의 비평은 순수문학의 터전을 바탕으로 인상주의와 예술지상주의, 형태주의의 요소를 수용하여 그 시대와 사회에 교육적 기능을 발휘하였다. 특히 당대의 비평의식에 미적 태도, 미적 경험, 열정, 관조 등에 대해 주목하고 세계관의 설정과 주관의 성숙을 논구함은 성리학의 이원적 요인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비평의 교육적 요건은 시대와 민족, 그리고 제반 환경의 교육적 기능을 자각하고 실천한 것으로 현재 우리의 교육 현장에 되살려야 할 것이다.
        9,800원
        37.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40.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H-shaped houses in 1930s and examines the characters and meanings of Kim, Jong-Ryang`s H-shaped houses as a new trial to urban Hanok of those days. He, who was concerned about the housing problem of Seoul, made an attempt to make various types of dwellings. Among them, this study focuses on Japanese-Korean Style H-shaped houses in Samcheong-dong. As the alternative housing type against other urban Hanok of Seoul in 1930s, the H-shaped houses of Kim, Jong-Ryang had characters as follows : 1) H-shaped house has two special characters. First, the whole space of a single house can be divided into a left region and a right region. Second, it can be divided to a front region and a rear region. In his H-shaped houses, the left/right division was expressed as folding of space-layers in parallel with urban streets. The front/rear division was used as classification of main-living space and sub-living space. 2) KJR`s H-shaped Japanese-Korean Style houses were proved to be designed as urban housing against the extreme housing shortage of Seoul in 1930s. 3) His houses however were not accepted broadly as a urban house type because the construction cost of those was higher than an average and the element of Japanese style house was not adapted to Korea. Kim, Jong-Ryang`s trial is valuable because it was the rare case of realization of many discourses as defects of existing house type. With more rigorous investigations on KJR`s experiment in modern house type, we could understand the housing condition of Seoul in 1930s and modern urban houses more than before.
        5,2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