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

        2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양만 대도주변에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2009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소형 빔트롤을 이용하였으며, 동일 해역에서 실시된 이전 연구결과(1990~1991, 1995~1996)와 비교, 고찰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74종, 8,133개체가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주둥치, 보구치, 점줄망둑, 청보리멸, 열동가리돔, 풀반지, 돛양태, 베도라치, 도다리, 쥐노래미, 문치가자미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11어종은 전체 개체수의 89.5%, 총 생체량의 58.9%를 차지하였다. 우점종이었던 개체들은 주로 작은 크기의 어종과 대형 어류의 치어였다. 종조성 및 출현량은 계절에 따라서 크게 변하였다. 2009년 5월과 10월에 가장 많은 종수가 출현하였으며, 2009년 5월에 개체수와 생체량이 가장 높았다. 출현 개체수 및 생체량은 모두 2010년 1월과 2월에 가장 낮았다. 어류군집의 계절변동은 수온변화와 연관이 있었다. 이전 연구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단위면적당 전체 개체수와 생체량은 더 높았으며, 주둥치의 출현량은 급격히 증가한 반면에 꼼치의 출현량은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어류군집의 종조성 변화는 광양만내의 전반적인 해양환경 특성의 연간변화에 기인하였다.
        4,000원
        22.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mmunity structure of ground beetles between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 in rural landscapes along latitudinal gradient, such as Miryang-si, Yeongdong-gun, Icheon-si, and Cheolwon-gun from April to October in 2009. A total of 19 species belonging to 15 genera of 9 subfamilies were identified from 6,253 collected ground beetles. Between forest stands, 14 species belonging to 10 genera of 7 subfamilies were identified from 2,874 ground beetles in coniferous forests and 14 species belonging to 11 genera of 7 subfamilies were identified from 3,379 ground beetles in deciduous forests. Dominant species from 4 regions were Synuchus nitidus (59.4% of total) and Synuchus cyloderus (28.5%) respectively. Analysis of similarity (ANOSIM)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forest stands, but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region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showed that 8 study sites were divergence to 2 major groups between Miryang-si and the others. Overall, community structure of ground beetle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forest stands. In conclusion, rural forests is being discussed about important role in biodiversity conservation such as refuge from human activity, and thus, studies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ground beetles in the rural forests will be important to manage the biodiversity in agricultural landscapes, because ground beetles are well known for general predator groups in the ecosystems.
        23.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in Sacheon marine ranching, Korea were examined. Sampling was seasonally made by a shrimp trawl from February 2009 to November 2009. A total of 55 species were collected. Of these, five species was dominant species comprising 51.1%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Nine species represented 57.3% of the total biomass. While total abundance (number of individuals) was high in spring, total biomass and species richness (number of species) and diversity were high in autumn. Cluster analysis, based on seasonally abundance data of the 21 most common species, showed that the species were separated into 4 different groups. Group A composed of Pholis nebulosa, Pleuronectes yokohamae, Hypodytes rubripinnis, Hexagrammos otakii, Tridentiger trigonocephalus and Paracercis sexfasciata, which were year round residents, group B Congr myriaster, Leiognathus nuchalis, and Platycephalus indicus, which were abundant in autumn, group C Sillago japonica, Pseudaesopia japonica, Zoarces gilli, Pholis fangi, and Pleuronichthys cornutus which were abundant in spring, and group D Sillago sihama, Cociella sp., Johnius grypotus, Cynoglossus joyneri, Cynoglossus robustus, and Pennahia argentata, which were abundant in summe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vealed that seasonal variation in the fish assemblage was attributed to the abundance of temporal species such as conger and sand smelt fishes, which were abundant in summer, due to seasonal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4,200원
        24.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ltitudinal distribution of the ground beetle community in a mountain area during 2007 to 2009, and to examine what habitat characters are most relevant to the distribution of mountain ground beetle species, and finally to identify potential biological indicators for monitoring in forest. The study area was Mt. Sobaeksan National Park (1439 m elevation), in Punggi-up, Gyeongsangbuk-do, Korea. Ground beetles were collected by pitfall traps, which were installed along the altitudinal gradient 437, 757, 1100 and 1420 m. In total, 3,259 individuals were identified as 32 species in 18 genera. The dominant species were Synuchus cycloderus (29.4%), Eucarabus sternbergi sobaeksanensis (15.4%) and Pterostichus orientalis (9.7%) in order. Overall, the ground beetle community structure was different along the altitude (similarity 65.2%) by NMDS ordination, but also were clustered into 2 groups, 437 and 757 m, and 1100 and 1420 m (similarity 57.9%). Therefore, the ground beetle assemblage c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orest management. In this study, some ground beetle species were suggested to potential biological indicators along altitudinal gradient.
        2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진강 수계 중 동진강 본류의 상∙중∙하류의 3개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여 이∙화학적 수질 및 서식지 분석을 통하여 생태 건강도 및 어류 분 포특성을 진단하였다. 생물통합지수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모델 분석은 국내 하천의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8개 다변수 메트릭 모델을 이용하였고, 물리적 서식지 평가 지수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분석은 11개의 다변수 메트릭 모델을 적용하였다. 이∙화학적 수질 분석은 동진강 수계의 환경부 수질 측정망 자료 중 2005년부터 2008년까지 4년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내성종이면서 잡식성 어종인 피라미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동진강의 생물통합 지수는 평균 19 (n=3)로서 “보통상태” (Fair)로 나타났다. 지점별로 지점 1에서 28 “양호상태” (Good)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에 지점 2와 3은 각각 18과 12로 “보통상태”(Fair), “불량상태” (Poor)로 나타났다. 서식지 평가 지수는 평균 117 (n=3)으로 “보통~양호상태” (Fair~Good)로 나타났으며,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화학적 수질자료의 분석 결과 지난 4년간 평균 BOD는 2.3 mg L-1 (범위: 0.1~8.9 mg L-1)로서 우리나라 수질기준 (2007년 1월의 환경부 기준고시)에 의거할 때 II (약간 좋음) 등급을 보였다. COD는 평균 5.5 mg L-1 (범위: 1.8~12.6 mg L-1)로 나타났고, 계절 및 지점별로 큰 변이폭을 보였다. TN의 평균값은 2.7 mg L-1 (범위: 0.9~7.5 mg L-1)이고, TP의 평균값은 0.127 mg L-1 (범위: 0.01~0.391 mg L-1)로 TN과 같이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EC는 평균값 174.9 μs cm-1 (범위: 6.7~ 547 μs cm-1)이고, SS는 17.7 mg L-1 (범위: 0.5~62.7 mg L-1)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생물통합지수와 물리적 서식지 평가, 이∙화학적 수질 분석에 따르면, 동진강의 수환경 건강 상태는 악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서식지와 농업 배수의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
        26.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전기 청동기시대에 출토된 무문토기 가운데 취사에 사용된 토기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중서부지역의 천안 백석동, 운전리 유적을 중심으로 취사의 용도로 사용된 토기를 살펴본 결과 주로 발형토기가 그 기능을 담당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취사용 발형토기와 취사용으로 사용되지 않은 발형토기의 형태적 특징을 비교해 본 결과‘취사’라는 특정한 용도에 알맞도록 제작되지 않았음을 알 수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그 당시 천안 백석동, 운전리 유적에서 토기를 만들어 사용한 집단의 토기 제작및 사용에 대한 관념과 관련이 있다. 취사용토기가 용도에 적합한 특정화된 속성을 가지고 제작되지않았음은 전기 청동기시대 당시 천안 백석동과 운전리 유적에 거주했던 사람들이 토기를 제작할 당시 취사의 기능을 의도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토기를 제작할 때 그 쓰임새가 미리 부여되는 것을‘의도된 기능(intended function)’이라 본다면 그것이 실제로 사용되는 것은‘행위적 기능(actual function)’이라 볼 수 있다(James M. Skibo 1992). 토기의 크기, 구연부형태, 구순형태, 동최대경의 위치, 저부형태, 문양 등은 토기 제작 당시 결정되는 요소이다. 속성의 차이는 기능의 차이를 반영하는데, 토기에 나타나는 속성들은 정해진 기능에 알맞도록 그 당시‘의도된 기능’에 따라 적합하게 제작되었을 것이다. 이렇게 제작된 토기는‘행위적 기능’으로 처음 제작 의도에 맞게 사용되기도 하고 다르게 사용되기도 한다. 취사용토기가 특정화된 형태로 제작되지 않았음을 볼 때‘취사’는‘행위적 기능’의 맥락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전기 청동기시대 천안 백석동, 운전리에서 거주하던 집단에 있어 취사 기능이 토기 제작이라는 범주에서 독립적인 위치를 차지하지 않았다고 여겨진다.
        6,100원
        27.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if the ground beetle (Coleoptera: Carabidae) can be used as an indicator classifying habitat types. Thirteen land use types were selected as survey sites in Jeonju. Ground beetles were collected by 3 pitfall traps (15 cm diameter) for each site from June 20 to September 22, 2008. Pitfall traps were replaced at one month interval. Total 919 ground beetles of 31 species belonging to 17 genera were collected. Land use types were classified and ordinated by 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 and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Land use types were classified and ordinated into two major groups, forest and non-forest, by Synuchus nitidus and Dolichus halensis. Two major groups were subdivided into 4 end groups; forest, riverside, upland and other sites. Other sites group including 4 sites; levee, public garden, outfield and manufacturing area were not coincided with land use types. Nevertheless, ground beetles appear to be used as indicators of habitat types.
        28.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석기는 청동기인들의 실제적인 삶의 필요에 의하여 고안되었기 때문에 기능적 속성 파악을 통한 당시인의 생활방식이나 생계수단 등의 연구에 있어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석기분석을 바탕으로 청동기시대 취락의 생계유형과 그 변화상을 검토하고, 더 나아가 취락 간의 사회경제적 측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물론 석기만의 분석을 통하여 취락의 생계경제를 언급하는 것은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지만, 고고학적 현상을 해석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나름대로 의미를 가질 것이라 생각한다. 분석을 통하여 확인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단위 취락의 생계유형은 공통적으로 농경에 기반을 둔 경제생활을 영위하는 동시에 자연지리적 환경을 최대한 활용하여 수렵이나 채집활동, 유적의 입지에 따라 어로활동까지 병행하는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논농사의 집약화에 의한 생산량의 증대와 농경 비중의 확대, 증대된 생산물을 차지하기 위한 집단 간 갈등과 교역을 목적으로 한 석기 생산량 증가 등의 변화상이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사회경제적 측면에 대해서는 특수한 역할을 담당하는 취락이 후기부터 등장하였는데, 저장 중심 유적이나 제사 관련 유적이 다른 취락과 유사한 생계경제 방식을 취한데 반하여 교역 관련 유적은 농경에 의존하는 대신 교역 등에서의 우월적 지위를 통하여 식량의 공급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 호서지역의 최상위 취락이라 할 수 있는 관창리유적과 송국리유적에 대한 조성비 비교 결과, 생계방식상의 유사성이 확인되었다.
        6,400원
        29.
        200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난 최대빙하기 이후 형성된 대륙붕 퇴적체의 퇴적환경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동중국해 북부(북동중국해) 대륙붕에서 채취된 코아 퇴적물에 대한 탄소동위원소(AMS 14C) 연대측정과 함께 저서유공충 군집 변화를 분석하였다. 코아퇴적물은 최하부에서 약 16,000yr B.P.이며, 최상부 30cm에서는 약 3,000yr B.P.로 지난 최대빙하기에서 최근까지 순차적으로 발달한 퇴적충으로 구성된다. 코아 퇴적물에서 산출되는 저서유공충 분석 결과, 군집조성, 종수(S) 그리고 종다양도(H(S)) 등이 약 240cm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서 뚜렷하게 구분된다. 퇴적물 깊이 240cm 이하의 하부 퇴적층(Zone I)에서는 Ammonia beccarii와 Elphidium clavatum (s.l.)이 우세하게 출현하며, 부유성 유공충 산출율(P/T ratio, 평균 22%)과 종수(평균 44), 다양도(평균 2.9) 등이 상대적으로 낮다. 이러한 저서유공층 군집 특성과 연대측정에 근거할 때 Zone I은 최대빙하기 이후 초기 해수면 상승 동안(16∼10ka) 수심 약 20∼30m 내외의 염하구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상부의 Zons II 퇴적층은 Eilohedra nipponica와 Bolivina robusta가 우점하며, 부유성 유공층 산출율(〉40%)과 종수(〉60) 둥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Zone II는 유공충 군집 구성 특성에 따라 두 개의 구간(Zone IIa와 IIb)으로 세분되며, Zone IIa는 약 9,000 yr B.P. 이후 해수면이 빠르게 상승하는 현세 해침 동안 연구해역에 형성된 내-중대륙붕 환경에서, 그리고 Zone IIb는 약 6,000 yr B.P. 이후 해수면이 현재와 같은 수심 80m 내외의 외대륙붕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결론적으로 코아 퇴적물의 저서유공충 군집 변화 특성은 최대빙하기 이후해수면 상승과 함께 형성된 대륙붕 퇴적체의 퇴적환경 변화를 잘 반영한다.
        4,300원
        30.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mmunity analysis of oribatid mites was conducted in unburned and burned area of Samcheok-si, Gangwon province with differential burn severity that occurred in April 2000. Except control site, four sites (T1, T2, T3 and C2) were selected according to burn severity and subsequent recovery following a year after fire form T1 (heavily burned) to Control (unburned). This study analyzes the abundance, species richness, diversity and evenness, similarity, dominant species, and MGP types of oribatid mites. Oribatid mites were sampled 8times from each site from 2005 to 2007. Total of 40 families, 58 genus, 123 species and 4,638 individuals were founded.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of oribatid mites decreased as burn severity increased. Diversity index of control site was higher than all other sites and decreased as the burn severity increased. Similarity between control and C2 sites was highest among the sites and cluster analysis showed control and C2 as closely related followed by T3, T2 and T1 respectively. MGP-I analysis revealed oribatid mites of all sites as GP type. MGP-II analysis showed control as G type and all other sites as GP type.
        31.
        2008.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amasid mites are free living predators of soil mites, collembolans, nematodes and other small insects in soil surface. We studied the faunal assemblages of gamasid mites in the severely disturbed mountain sites by fire. Total 12 families 55 species were found from this study. From all sites, species in the family of Parholaspidae were dominant; Holaspina alstoni and H. dentatus. Also, Rhodacarus dentitulatus was also abundant regardless of fire disturbance. In control site, Asca aphidioides was also abundant but not in any of the fire disturbed sites. The abundance was highest in control site followed by IC2, IT3 and lower in IT2 and IT1. Species richness was in the same order of abundance ranging from 2.6 to 12.8 per site. In all sites, species diversities were relatively low ranging from 0.6 to 1.7, but it was higher in control site and lower in IT1. Further discussion will be made on the recovery process of soil inhabiting mites.
        3,000원
        32.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강하류역에서 2개 정점을 선정하여 2004년 2월부터 2005년 2월까지 갈수기에 격주 간격으로 인공기질을 이용하여 부착돌말류에 의한 수질평가를 수행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부착돌말류는 총 60분류군으로 2목 3아목 8과 18속 51종 7변종 2품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정점별 우점종은 정점 1에서 광적응성 종인 A. granulata (22.76~30.30%), M. varians (17.44~34.78%)와 호오염성
        4,000원
        33.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포천천의 부착규조 군집 분석과 DAIpo에 의한 수질을 평가하기 위해 7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1998년 4, 6, 8, 10, 12월과 1999년 2월에 각각 1회씩 채집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총 105 taxa의 규조가 출현했으며 이들은 2목, 3아목, 8과, 21속, 70종, 6변 종, 1품종 그리고 Nitzschia 속의 미동정종 1종으로 분류 되었다. Navicula subminuscula, Nitzschia palea, Navicula minima 및 Gomphonema pseudoaugur는 호오탁성 종으로서 본류의 정점 1, 2, 3, 4 및 5에서 우점종으로 조사되었다. Gomphonema parvulum은 혐오탁성종으로서, Achnanthes lanceolata, Cocconeis placentula와 Nitzschia fonticola는 광적응성종으로서 지류인 정점 a와 b에 서 우점종이였다. DAIpo의 값은 각 정점의 평균 11.6~ 46.5의 범위로서 정점 2가 가장 낮았으며 정점 b가 가장 높았다. DAIpo에 의한 포천천의 수질은 β-중부수성에서 강부수성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35.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algal assay procedure using an indigenous phytoplankton assemblage was tested to estimate the propagation of red tide phytoplankton species and determine the optimal time interval at which to measure growth yield in eutrophic marine waters where red tides frequently occur. Various red tide phytoplankton species were propagated on a large scale by adding nitrogen or phosphorous. This procedure was useful for estimating the limiting nutrient, elucidating the mechanisms underlying red tides, and determining the levels of increases in organic matter in eutrophic coastal waters. The algal assay using indigenous C. polykrikoides showed that this species did not always propagate, apparently because of very low concentrations of trigger elements that are necessary for its growth, rather than as a result of othe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e.g., water temperature or stress from sampling. In the winter, when water temperatures are lower than in spring, summer, or autumn, maximum propagation and the limiting nutrient could be estimated by measuring phytoplankton biomass at 2–3-day intervals. However, in the other seasons, when water temperatures are higher, phytoplankton biomass should be measured at 2-day intervals. In particular, daily monitoring will be required to determine precise growth yields in warm seasons.
        36.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는 호주 퀸즈랜드 주 북서부에 위치하는 은-납-아연 캔닝턴 광상은 호상편마암, 미그마타이트, 규선석-석류석 편암 그리고 각섬암으로 구성된 모암 주변부에서 발달해 있다. 모암에서 산출되는 규선석의 세 가지 다른 결정형태, 규선석을 포획광물로 함유한 아연-첨정석과 석류석 반상변정은 모암의 변성작용과 아연과 관련된 광화작용에 대한 지질학적 지시자로 사용되었다. 변성작용과 아연 광화작용과의 관계는 프로그램 THERMOCALC를 이용하여 KFMASH (K2O-FeO-MgO-A12O3-SiO2- H2O), KFMASHTO (K2O-FeO-MgO-A12O3-SiO2-H2O-TiO2-Fe2O3), NCKFMASH (Na2O-CaO-K2O-FeO-MgO-Al2O3-SiO2-H2O) 그리고 MnNCKFMASH (MnO-Na2O-CaO-K2O-FeO-MgO-Al2O3-SiO2-H2O) 화학계에서 이들 세 가지 광물의 공생관계와 규선석-석류석-부분용융의 상평형 관계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MnNCKFMASH와 NCKFMASH계에서 부분 용융은 KFMASH와 KFMASHTO계에서 보다 낮은 온도에서 일어나며, MnNCKFMASH 계에서 용융 온도는 암석 화학 성분의 Na+Ca+K)의 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캔닝턴 광상의 모암은 MnNCKFMASH계의 경우 최고 온도와 압력 환경에서(634±62℃, 4.8±1.3 kbar) 약 15% 용융되지만, KFMASHTO계하에서는 부분 용융이 일어나지 않는다. 규선석의 등변성도선과 모드 비의 변화를 근거로, 주상과 능면형의 규선석과 주상의 규선석을 포획하는 아연-첨정석 반상변정은 부분 용융을 포함하는 온도와 압력의 증가(약 550~600℃, 2.0~3.0 kbar에서 700~750℃, 5.0~7.0 kbar)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와 같은 변성작용 동안의 최대 수축 변형 방향은 남-북 그 다음 동서 방향으로 주로 D1과 D2 변형작용 동안에 형성되어졌다. 결론적으로 아연-첨정석의 성장과 관련된 아연 광화 작용은 D2 동안에 일어났고 그 후 부분 용융과 후기 변형/변성작용에 의해 재배치 또는 재농집 되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