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비사시성 수평 안위 이상안을 대상으로 원, 근거리 사위군에서 폭주부족을 CISS(Convergence insufficiency symptom survey)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남 김해에 거주하고 굴절이상이 구면도수 ±6.00 D 이하, 원주도수 ±2.00D 이하인 대학생 94명 (남; 36명, 여; 58명, 평균나이 22.56 ± 3.72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신질환 및 안질환이 있거나, 양안의 차이가 2.00 D 이상인 굴절이상안은 제외하였다. 비사시성 수평안위이상 검사를 위해 완전융합제거사위는 마 독스 로드를 이용하였고, 일부융합제거사위는 Wesson 주시시차 카드를 이용하였으며, CISS 설문결과에 따라 폭주부족의 증상군과 비증상군으로 나누었다. 통계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였고, CISS 증상군과 비증상군의 사위도에 따른 평균 값 비교는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으며 사위의 분류에 따른 비율은 교차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ROC curve는 통계프로그램 Medcalc version 17.5.5(Medcalc Software, Mariakerke, Belgium)를 사용하여 민감도, 특이도 및 AUC 값을 구하여 비교하였고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원거리 완전융합제거사위 검사에서 외사위군(n=62)에서는 CISS 증상군이 36명(43.4%), 비증상군 이 26명(31.3%)이며, 내사위군(n=21)에서는 증상군이 12명(14.5%), 비증상군이 9명(10.8%)으로 나타났으며, 원거리 사위 종류에 따라서 CISS 폭주부족 증상군과 비증상군의 비율은 차이가 없었다(χ2 =0.131, p=0.937). 근거리 완전융합제거사위 검사에서 외사위군(n=64)에서 증상군 37명(39.4%), 비증상군 27명(28.7%), 내사위 군(n=18)에서 증상군은 12명(12.8%), 비증상군은 6명(6.4%)으로 근거리 사위종류에 따라 증상군과 비증상 군의 비율은 차이가 없었다(χ2 =0.424, p=0.809). 일부융합제거사위 검사에서 외편위군(n=61)에서는 증상군 이 36명(38.3%), 비증상군은 25명(26.6%), 내편위군(n=10)에서 증상군은 6명(10.7%), 비증상군은 4명(10.5%) 으로 나타났으며, 편위의 종류에 따라 증상군과 비증상군의 비율은 차이가 없었다(χ2 =2.474, p=0.290). 사위검사방법의 민감도와 특이도 및 AUC는 각각 원거리 완전융합제거검사 41.3%, 75.2%, 0.542, 근거리 완전융합제거검사 69.7%, 53.1%, 0.560, 일부융합제거검사 87.2%, 특이도 2.4%, 0.541로 나타났지만 검사법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결론: 원, 근거리 완전융합제거사위 검사로 분류한 사위의 종류에 따라 CISS 설문지로 조사한 폭주부족 증상군과 비증상군의 비율은 차이가 없었고, 일부융합제거 사위 검사로 분류한 편위의 종류에 따라서도 차이가 없었다.
목적: 폭주부족안을 선별할 수 있는 CISS 설문결과를 사위량과 폭주근점 및 조절용이성 등의 결과와 비교하여 CISS 설문의 점수와 양안시기능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고, 교정시력 1.0 이상의 대학생(20-29세) 39명을 대상으로 CISS 설문을 진행하여 얻어진 점수를 4개의 그룹(Group1 : 10점 이하, Group2 : 11-20점, Group3 : 21-30점, Group4 : 31점 이상)으로 분류하고, 모든 대상자들의 원거리 및 근거리 사위도, 폭주근점, 조절용이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CISS 설문 결과에 따라 분류한 4개의 그룹에서의 원거리 및 근거리 사위량과 폭주근점, 조절용이성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원거리 사위량은 각 그룹별로 서로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근거리 사위량은 Group1보다 Group4에서의 사위량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CISS 점수가 높아질수록 근거리에서의 외사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폭주근점 검사 결과에서도 마찬가지로 점수가 높은 그룹에서 폭주근점이 더 멀어짐이 나타났으며, 조절용이성 검사에서도 CISS 점수가 높을수록 조절용 이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CISS 설문지는 근거리 작업에 불편함을 느끼는 폭주부족안의 자각증상들로 이루어진 설문지를 활용하여, 이 설문의 결과와 실제 근거리의 조절 및 폭주량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독서 또는 근거리 작업 시에 불편한 자각증상이 있는 경우, 근거리에서 외사위량이 크게 나타나거나 폭주 및 조절 능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폭주부족안의 자각증상을 줄여줄 수 있는 양안시기능 처방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목 적: 초등학생의 폭주부족 유병률과 증상에 대해 알아보고 근시안경에서 유발되는 프리즘과의 상관성 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서울지역 초등학생(4~6학년)에서 안질환, 사시나 약시가 없고, 교정시력이 모두 1.0 이상인 경우 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등가구면굴절력이 -3.00D이상인 중등도 근시안, 부등시(양안의 등가구면 굴절력 차이 2.00D이상)인 경우는 대상자에서 제외하였으며 최종 7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총 15문항, 0~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는 CISS 설문지를 활용하여 양안시기능의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CISS 점수와 근 업에서 유발되는 프리즘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대상자에서 CISS 선별기준에 따라 34명(43%)가 폭주부족군으로 분류되었다. 정상군의 CISS 평균 총점은 14.38±1.15점이었고 폭주부족군은 24.31±5.27점으로 두 군간의 총점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정상군에서 1점 이상을 보인 증상은 설문지 1번(눈 피로감)과 5번(집중력 저하)으로 각각 1.037점과 1.074점이었다. 폭주부족군에서는 1번(눈 피로감), 4번(근업 시 졸림), 6번(독서 시 기억장애) 항 목에서 각각 2.173점, 2.327점, 2.096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정상군과 폭주부족군의 CISS 설문점수 결과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근업 시 우안과 좌안의 유발프리즘은 각각 0.42±0.26△과 0.39±0.25△이었고, 총 유발프리즘은 0.81±0.51△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폭주부족군은 정상군에 비해 높은 자각증상을 보였고 군 별로 불편함을 호소하는 증상이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목 적 : Constructive interference in the steady state(CISS) sequence는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으로 감마나이프(Gamma Knife)수술 환자의 검사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T2 강조 영상기법의 하나인 CISS에서 조영제 사용 전과 사용 후의 영상을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연구대상은 2013년 8월부터 2014년 2월까지 Gamma knife 시술환자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장비는 Siemens Magnetom Avanto 1.5Tesla MRI System이며, transmit/receive (T/R) head coil 이용하였다.사용된 protocol은 T2 axial, T1 axial, MPRAGE, CISS영상을 획득하였으며, CISS영상은 조영제 전, 후 영상을 획득하였다. 조영제는 meglumine gadoterate을 0.2mL/Kg을 정맥투여 하였다. CISS영상의 조영제 사용 전ㆍ후의 영상과 조영제 사용 후 MPRAGE영상의 신호강도를 image j로 측정한 후,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SNR과 CNR을 비교분석 하였다.
결 과 : 연구결과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인 CISS영상의 병변부위 조영제 사용 전, 조영제 사용 후 평균 SNR은 65.62±7.19, 170.80±39.51, 정상부위의 평균 SNR은42.34±24.67, 66.78±5.94로 측정되었다. 정상조직과 병변의 CNR은 조영제 사용 전 7.87±6.29에서 조영제 사용 후 64.93±22.87로 측정되었다. 조영제를 사용한 MPRAGE영상의 평균 SNR은 병변부위 52.70 ±24, 정상부위 35.91±14.03으로 측정되었고, 정상 조직과 병변의 CNR은 16.79±12.22로 측정되었다. CISS영상에서의 정상조직 조영제 사용 전, 후 병변부위와 정상조직의 SNR과 CNR에서 모두 유의수준 P=0.000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증가하였다. 조영제를 사용한 MPRAGE와 CISS에서의 SNR 측정결과 병변부위에서는 p=0.002로 유의하였으나 정상조직에서는 p=0.240으로 유의하지 않게 분석되었다.
결 론 : 감마나이프수술은 기존의 머리를 절개하는 뇌수술과는 달리 파장이 짧은 감마선을 병변 부위에 조사함으로써 종양이나 혈관기형 등을 제거하는 방사선 수술법으로 MR검사는 병변 확인 및 좌표 확인에 이용되고 있다.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인 CISS의 경우 T1조영제를 사용하면 조영효과가 없을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CISS sequence의 구성은 True and reversed fast imaging in steady state precession(FISP)가 혼합된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조영 효과를 영상에서 확인 할 수 있다.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인 CISS의 경우 조영제 전 영상보다는 조영제를 사용한 영상에서 병변 및 정상부위의 SNR과 CNR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감마나이프 MR검사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목 적: 이 연구는 눈모임부족과 관련된 증상의 정도를 정량화하거나 눈모임부족에 대한 치료효과를 평가 하기 위한 것으로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도구인 Convergence Insufficiency Symptom Survey(CISS) 의 한글판을 제작하여 검사-재검사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한글판 CISS를 사용하여 2주 간격으로 실시한 2회의 설문조사에 모두 응답한 20대 132명 을 대상으로 한글판 CISS의 내적 일관성과 검사-재검사의 급내상관계수 및 95% 일치도 범위를 분석하였다. 결 과: 한글판 CISS의 Cronbach alpha 계수는 0.88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고, 각 항목별로도 0.86에서 0.88까지 모든 항목이 고른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반복 측정한 한글판 CISS의 급내상관계수는 0.88이었고, 95% 일치도 범위는 -10.90∼10.50으로 좁게 나타나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결 론: 한글판 CISS는 내적 일관성과 반복성 및 일치도에서 높은 신뢰도를 보여 국내의 임상현장에서 젊은 성인의 눈모임부족과 관련된 증상을 정량화하거나 치료효과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