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haphidophoridae (Orthoptera: Ensifera), commonly known as cave crickets, are a wingless family and considered the most ancient lineage within Tettigoniidea. However, previous molecular phylogenetic studies and morphological hypotheses have shown inconsistencies. Although their fossils have been found in Baltic amber, their systematic placement remains unrevealed. This study reconstructed a comprehensive phylogeny integrating both extant and fossil lineages. Initially, we revealed relationships within extant lineages through molecular phylogenetics including all extant subfamilies for the first time. Subsequently, using a cladistic approach based on morphology, we confirmed the systematic position of fossil taxa †Protroglophilinae with a report of a new species. Integrating molecular and morphological phylogeney by total evidence tip-dating, we present the comprehensive phylogeny of Rhaphidophoridae considering both extant and fossil groups.
        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morable documents written in Dongba scripts, such as diaries and travels, record events in chronological order, which strongly reflect the value of Dongba applied documents. At present, few documents of this type can be seen. In January 2005, dongba He Xiudong, who comes from Tacheng Township, Lijiang City, Yunnan Province, accompanied Mr. Li Zaizhong to visit Aming Ling cave, after that He Xiudong wrote a travel note in Dongba scripts, which is a typical record. This article translates and interprets this travel note, and studies the writing phenomenon, phonetic complement, different graphs of the same word, multiple words in one graph, homographs and allographs of this document.
        5,800원
        3.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oads in Korea are equipped with PMS (Pavement Management System) computation data that runs on highway, national highway and municipal road. PMS is a program that selects and manages the road pavement optimal maintenance alternative as a indicator of the road pavement structural and functional performance. PMS is a system that has been developed for the primary purpose of maintaining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road pavement, and so far does not include any indicators associated with the safety of road users. However, the road cave-in, which have recently become an issue on social networking sites, mass-media, and other issues, should pose systematically because it can make a safety risk to road users, and in particular lead to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failure of the PMS program in view of the road pavement. Accordingly, this research has developed a practical use case for developing an integrated road cave-in management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various studies on the exploration, analysis, assessment and handling of the existing road cave-in in Korea.
        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establishing system components and optimizing operational procedures in order to systematically manage road cave-ins in urban areas.METHOD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alternative comparison, optimization methods is suggested.RESULTS : Throughout the study, location referencing system, database structure, and operation strategy(procedure) were clarified, and the optimization methods for each item were suggested.CONCLUSIONS: Road cave-in management should be focused on user safety rather than focusing on economic aspects. The occurrence of road cave-in should be addressed thoroughly by road management system(location referencing system, database structure, and operation strategy(procedure), and the optimization methods), since they are closely related to road users' safety.
        4,200원
        5.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otential risk level of road cave-ins due to subsurface cavities based on the deflection basin measured with falling weight deflectometer (FWD) tests. METHODS: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tests were conducted to detect road cavities. Then FWD tests were conducted on 13 pavement test sections with and without a cavity. FWD deflections and a deflection ratio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geometry of the cavity and pavement for road cave-in potentials. RESULTS: FWD deflection of cavity sections measured at 60 cm or a closer offset distance to a loading center were 50% greater than more robust sections. The average deflection ratio of the cavity sections to robust sections were 1.78 for high risk level cavities, 1.51 for medium risk level cavities, and 1.16 for low risk level cavities. The relative remaining service life of pavement with a cavity evaluated with an surface curvature index (SCI) was 8.1% for the high level, 21.8% for the medium level, and 89.8% compared to pavement without a cavity. CONCLUSIONS : FWD tests can be applied to detect a subsurface cavity by comparing FWD deflections with and without a cavity measured at 60 cm or a closer offset distance to loading center. In addition, the relative remaining service life of cavity sections based on the SCI can used to evaluate road cave-in potentials.
        4,000원
        6.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전 세계적으로 SNS, 매스컴 등을 통해 싱크홀(Sinkhole)이 사회적 이슈가 됐다. 특히, 포장도로 하부 동공으로 인해 발생하는 도로함몰은 도로이용자에게 직접적인 안전상의 위험이 되기 때문에 시민들의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서울시(2014)는 도로함몰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을 조기에 해소하고 보다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는 도로환경을 조성하고자 ‘도로함몰 특별관리 대책’을 수립하여 발표했다. 환경부(2015)는 노후관로 약 40,000km 구간을 대상으로 정밀조사를 실시했으며 ‘하수관로 정밀조사 매뉴얼’을 발간했다. 국토부는 2018년부터 예방형 재난피해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하시설물의 안전관리에 대한 특별법’을 공포했다. 이는 도로함몰의 사후 대책, 하수관 및 지하시설물의 관리 법률 등의 개선이다. 그러나 각 기관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도로함몰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는 시스템은 미흡한 상태이다. 도로함몰은 도심에 대규모로 발생하는 경우 도시의 이미지를 실추하고 도로이용자에게 안전상의 직접적 위협과 물적 피해를 야기하기 때문에 도로함몰에 집중된 관리전략이 필요하다. 전략에는 도로함몰의 조사, 분석, 예측, 평가, 보수, 모니터링, feedback의 체계적인 운영 절차와 구성요소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로함몰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위치정보, DB, 운영전략, 운영절차의 정의와 최적화 방안을 정리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그림 1.은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도로함몰 관리 시스템의 Tracking Tool과 Analysis Tool 사이의 System Framework의 구성이다
        7.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국내 석회동굴 내부에서 형성되고 있는 종유관에 대한 기재학적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종유관의 특징을 기술하고 그 원인에 대해 논의하였다. 백룡동굴의 주요 굴로부터 북동방향으로 분기하는 가지 굴인 B굴에서 성 장하는 종유관 156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종유관의 평균 길이는 3.05 cm (표준편차 ±1.7 cm), 평균 직경이 약 6.0 mm이다. 이러한 결과는 종유관의 직경이 기존 문헌에 기록된 것보다 약 20% 넓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유관의 끝 부분(tip)으로부터 떨어지는 동굴수의 낙수율(drip rate)은 85.3%의 종유관에서 낙수 1회 당 10분 이상으로 측정되어 매 우 느린 동굴수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종유관에서도 낙수가 발생된다는 것을 보여준 다.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유관의 성장선은 조사된 종유관 중 85.3%에서 관찰되었다. 따 라서 해당 구역의 종유관의 경우, 성장선 형성이 매우 일반적인 종유관의 특징임을 보여준다. 또한, 각 종유관 별로 성 장선 형성 부위 및 조직이 매우 다양하다는 점도 확인되었다. 종유관 내부에 형성되는 2차 침전물(secondary precipitation)의 경우 68.6%의 종유관에서 관찰되었다. 성장선과 2차 침전물의 형성 유무 사이에서는 강한 역의 상관관 계(전체 종유관 중 70.5%)가 관찰되는데, 이는 동굴수 공급의 계절적 불연속성 또는 2차 침전물에 의한 불투명도 증가 에 의한 결과로 해석된다. 각각의 특징을 바탕으로 개별 종유관은 일반적인 종유관 유형과 기형 종유관 유형으로 분류 가 가능하며, 이번 백룡동굴 종유관에 대한 조사결과는 향후 다른 동굴의 종유관 기재를 위한 기초자료 및 종유관의 고기후학적 활용을 위한 선행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900원
        9.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study identifies the causes and the mechanism of the occurrence of underground cavities. METHODS: A case study on cave-in and a series of model tests with a small soil chamber were conducted. RESULTS: A hypothesis about the mechanism of the cave-in in road was established, and the basic influencing factors on underground cavity expansion were identified.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hear strength of soil and direction of water flow had a larger influence on cavity formation and expansion tha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l erosion. In addition, large cavities suddenly expanded when cavities were caused owing to breakage of buried sewer pipe.
        4,000원
        1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known that sewer problems are the major causes of road cave-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isk of road cave-in due to storm sewer laterals. We investigated 174 storm sewer laterals using a zoom camera at O-dong area in Seoul. The causes of road cave-in were classified into five cases: breakage of rigid pipe, deformation of flexible pipe, out of pipeline alignment, changing pipe material or changing pipe diameter, and a poor linkage between lateral and sewer. In addition, all defects were sorted into five grades based on the severity rating at storm sewer laterals. In this study, the most fragile pipe materials were found to be concrete pipe and polyethylene pipe, which recorded 2.3 and 1.69 defect rates. With regard to the causes of road cave-in, deformation of flexible pipe has a large influence on road cave-in at present. On a long-term basis, the two causes, out of pipeline alignment and a poor linkage between lateral and sewer, could have more influence on road cave-in.
        4,000원
        1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굴을 잠자리로 이용하는 동굴성 박쥐의 동면생태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2005년부터 2011년까지 6회의 동면기간 동안 수행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박쥐가 출현된 140개의 동면장소에서 관박쥐, 문둥이박쥐, 검은집박쥐, 긴가락박쥐, 관코박쥐, 대륙쇠큰수염박쥐, 흰배윗수염박쥐, 붉은박쥐, 큰발윗수염박쥐, 물윗수염박쥐, 토끼박쥐등 총 13,288개체를 확인하였다. 동굴성 박쥐 7종의 온도선호도는 종 간 차이를 나타냈다. 동굴성 박쥐 7종 가운데 붉은박쥐의 평균 체온은 13.64±0.7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관박쥐와 긴가락박쥐의 평균 체온은 9.19±2.35℃와 7.83±1.94℃였다. 반면 저온을 선택한 관코박쥐의 체온은 2.64±0.98℃, 토끼박쥐는 2.78±0.98℃, 검은집박쥐는 2.76±1.68℃, 물윗수염박쥐는 4.4±1.1℃로 다른 3종(붉은박쥐, 긴가락박쥐, 관박쥐)의 온도선호도와 차이를 나타냈다. 종 간 차이를 나타낸 7종의 체온은 대기온도(Ta)에 비해 암벽온도(Tr)와 밀접하게 상관되었다. 동굴성 박쥐 7종의 동면장소 별 출현된 박쥐의 종 수는 동면장소의 온도특성에 의해 차이를 나타냈다. 동면장소의 온도가 고온특성을 나타내고 대기온도 범위가 좁은 동면장소(HTR, 동면저의 최저온도가 7℃ 이상)에 출현된 박쥐 종수는 1.44±0.53로 가장 낮았지만, 동면장소의 온도가 저온특성이고 대기온도 범위가 좁은 동면장소(LTR, 최고온도가 7℃ 이하인 곳)에서 출현된 박쥐의 종수는 2.77±1.72였다. 동면장소의 온도가 저온과 고온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대기온도 범위가 넓은 동면장소(WR)에서 3.02±1.36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800원
        12.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at researching the cave concept of the Japanese architect Terunobu Fujimori and the result could be summarised as follows. First, a cave is Fujimori's only theme related to the interior space. He set some design guidelines for practice concerning openings of the wall and finishing materials of the interior, following the two major characteristics of a cave: 'comfortability' and 'homogeneity in material'. And 'fire' was also the premise in the cave as a 'spirit' of the space. Second, Fujimori applied the concrete guidelines to Tanpopo House (1994~95), which had in fact borne the ideas. Yakisugi House (2005~07) that took the cave as its design theme showed the transition of his cave concept, from closedness to openness. Third, though his cave concept might deserve the criticism that it is inclined to 'image' rather than 'essence', it illustrates that he seeks after an archetype of human dwelling before the purity of the original space was tarnished with rationality and abstraction. And the cave idea allows the seemingly contradictory 'sachlich' and 'surrealistic' features to coexist. Summing up, Fujimori's cave concept proves that his architecture is a rejection of the Cartesian modernist ideal and the contemporary architects' desire for dematerialisation. In a fundamental level, however, it is a result of his strategic choice induced by his own primary principle that his building must not be similar to any styles in history or any other architects' works in the world.
        12,800원
        13.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ave-dwelling springtail studies in Korea initiated during 1960s by the Japanese Collembola researcher, R. Yosii, and comprehensive taxonomic studies on Korean Collembola were conducted by B. H. Lee during 1970-1990s wherein the new family Gulgastruridae was established using the type species Gulgastrura reticulosa from the Gossidonggul cave in Gangwon-do, South Korea. Eight families of cave-dwelling Collembola are known in Korea, and the family Tomoceridae is the most abundant and diverse group of cave-dwelling Collembola with 11 known species belonging to 4 genera in Korea. In this study, 12 species of Korean Tomoceridae are reviewed, and 1 new species from the genus Plutomurus and 2 new species from the genus Tomocerus are described.
        14.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arly Buddhist rock cave temples of India, in spite of being an origin of Buddhist temples, has little been studied in Korea. After field studies and an interpretation of their forms in conjunction with religious life, precedent theories are supplemented and refuted as follows. Starting from the 2nd century B,C., Buddhist ascetic disciples digged residential rock caves, called vihara, for protection from monsoon rain and hot weather, A typical arrangement was settled -a courtyard type, with 3 side rows of tiny one-person bedroom and a front veranda with columns. Also digged were Chaitya caves, in line with viharas, to worship, which is the tumulus of Buddha's relics. I suggest that the original type of chaitya a simple circle cave with a stupa, suitable for circumambulating ceremonies. I refute the existing theory presenting Barabar caves of Ajivika as a chaitya origin, featuring empty circular room without a stupa. I also interpret a typical apsidal plan as being a simple result of adding a place of worshipping rites in front of the stupa. Enclosing columns around a cylindrical stupa is a result of reinforcing both the divine space and circumambulating ceremonies, with elongation toward hall. Finally the chaitya came to have a grandeur apsidal plan with high vault ceiling nave and a side aisle as in Western cathedrals with large frontal horseshoe arch windows. The Buddha image, which had become a new worshipping object, was integrated into the stupa and interior surface. First the stupa and then the statue was introduced to residential Viharas. Therefore, I suggest that the vihara should be renamed as 'chaitya' as a worshipping place, by establishing statue rooms without bedrooms at all. The functionally changed vihara is similar in form to a 'rectangular type of chaitya', little known and developed in different routes. A columned inner courtyard gradually becama an offering place, like Hindu mandapa, Buddhist caves ware changed to a kind of Tantric and Hindu temple by means of statue worshipping offering rituals.
        6,100원
        16.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굴 내 정점별 세균 군집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PCf amplified 16S rDNA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DGGE)를 적용하였다. DGGE는 동일한 분자량을 갖는 dsDNA band라고 할지라도, 각각의 염기서열 차이에 따라 전기영동 상에서 고유한 band양상을 나타낼 수 있다. eubacteria의 16S rDNA V3region을 증폭하기 위해 GC341F와 PRUN518r을 primer로 사
        4,000원
        17.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초의 한국 동굴산 생물인 등줄굴노래기(Antrokorean gracilipes Verhoeff 1938)가 보고된 이후부터 약 70여년동안 출판된 동굴 생물상에 관한 112편의 국내외 논문과 16편의 보고서 그리고 10편의 단행본을 재정리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산 동굴생물은 총 4문 10강 31목 94과 257종이 보고되었으며 36개소의 동굴과 4개의 우물에서 87종이 한국동굴(지하)산 모식종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국산 동굴생물은 절지동물류가 241종(
        4,900원
        18.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CAVE 시스템과 Arm-Master를 이용해 가상 제품의 프로토타이프를 평가할 때 효과가 있을지에 대한 실험적 검증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CAVE 시스템 상에 가상의 냉장고를 포함한 가상 주방을 모델링하였다. 실험에는 6명의 남자, 6명의 여자 피실험자들이 참여했는데, 3가지 서로 다른 형태의 냉장고 도어 그립과 가상 냉장고 도어를 열고 닫기 위한 힘의 크기 2개에 의한 조합인 6가지 실험조건에 대해 물건을 냉장고에 넣고 꺼내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했다. 각 실험이 끝나면 피실험자들은 도어 개폐의 용이성, 도어 조작시의 힘과 실제 힘과의 유사성, 전반적인 현실감에 대한 평가 설문에 응답하도록 했다. 실험 결과 평균치를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나 수직형의 도어 그립이 개폐용이성 등에서 상대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힘의 크기에 있어서 피실험자들은 5N을 15N에 비해 좋은 평가를 하였다. 그러나 예상 외로 성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여자들의 경우 Arm-Master를 조작하는 데 더 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앞으로도 기술적 측면에서 Arm-Master가 더욱 개선되어야만 디자인 평가 과정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0.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하의 공동탐사에 효과적인 지구물리탐사 기법에 대해서 연구하기 위하여 제주도 만장굴을 대상으로 복합적인 지구물리탐사를 수행하였다. 이번에 사용한 방법은 탐사장비나 야외작업이 비교적 경제적이면서도 지하 공동에 의한 반응을 잘 보여줄 것으로 기대되는 중력, 자력, 전기 비저항, GPR(지하레이더) 탐사 등이다. 현지의 탐사여건을 고려하여 7개의 측선을 선정하고, 각 측선별로 몇 종류의 탐사를 복합적으로 실시하였다. 자력탐사의 경우는 2차원 격자형탐사도 함께 수행하였다. 각 탐사자료상에는 탐사법에 따른 여러 특징들이 잘 나타나고 있어, 그 효용성을 비교 분석할 수 있었다. 이번에 사용한 방법 중 동굴 탐사에 가장 효과적인 탐사법은 전기비저항탐사로 나타났으며, 쌍극자-쌍극자 배열법은 2차원적인 고비저항대로 나타나는 동굴의 존재를 잘 보여준다. 중력, 자력 탐사의 결과는 화산암 지역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잡음의 영향으로 동굴의 위치나 규모를 해석해 내기가 쉽지 않지만, 전기비저항탐사 자료에서 인지되는 동굴의 위치와 규모가 적절한지를 검증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었다. 한편, 2차원 격자형 자력탐사 자료는 동굴의 경향성을 잘 보여주므로, 정밀 탐사측선을 결정하는데 유용하다. GPR탐사 자료에는 천부에 존재하는 미세한 틈새들과 소규모 공동들에 의한 반응이 강하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심부에 위치하는 주동굴의 존재를 확인하기는 힘들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제한 된 수의 탐사법만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어떤 결정적인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지만, 지하 동굴의 경우는 복합적인 탐사를 수행하고 그 자료들을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해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8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