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한문 교과서에 구현된 ‘학습 용어’ 관련 교육 내용과 방법을 검토하고 효과적인 학습 용어 교육을 위한 발전 방안을 제언한 것이다. 중학교 한문 교과서 17종에서 학습 용어의 구성 방식, 과목과 용어의 제시 방법 등을 정리하였다. 17종 가운데 5종에서는 학습 용어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았으며, 소단원의 본문 학습으로 구성한 것은 2종에 불과하였다. 학습 용어의 수록 현황을 정리해 본 결과, 16개 과목의 480여개 학습 용어를 수록하고 있었는데 중학교 교육과정 편제에 없는 과목과 학습 용어를 수록한 경우도 있었다. 본고에서는 과목과 학습 용어의 선정, 단원 구성과 교육 방법 등의 측면에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중학교 교육과정의 편제를 고려하여, 국어‧사회‧역사‧도덕‧수학‧과학 등 6개 과목으로 한정 할 것을 제안하였다. 학습 용어의 선정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6개 교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내용 요소, 학습 요소’에 나오는 용어와 한국어 교육과정의 ‘교과별 학습 어휘 목록’을 토대로 ‘학습 용어 목록’의 작성을 제안하였다. 학습 용어의 실질적인 교육을 위해 적어도 1개 소단원 이상에서 본문 학습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어휘 교육의 기본이 되는 ‘단어의 짜임’을 함께 학습하고 ‘나만의 학습 용어 노트 만들기’와 같은 학생 중심 학습 활동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본고가 차후 교육과정을 새롭게 개정하고 이에 따른 교과서를 집필할 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8,700원
        2.
        201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거꾸로 수업을 통해 중등학교 한문과 수업 개선과 교수·학습 방법 모색에 의의를 둔다. 거꾸로 수업의 본질은 수업의 중심이 교사에서 학생 중심으로 옮겨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수업의 내용을 미리 학습한다는 소극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수동적 배움에서 능동적 배움으로의 전환이며 학습자가 배움을 주도하는 수업을 의미한다. 거꾸로 수업은 한문과 수업 개선 방안 중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거꾸로 수업은 수업의 공간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확장한 것이며, 학습자들이 한문 교과에 흥미를 갖도록 하는 것에 매우 좋은 수단이다. 한문 수업에서 거꾸로 수업이 활성화 된다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가 증가될 수 있으며 학습에 대한 정보의 양이 증가되어 수업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한문과의 거꾸로 수업은 한자와 한문 문장의 풀이에 대한 반복학습이 가능하게 하며, 이로 인하여 확보된 시간으로 학생과 더 많은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다. 거꾸로 수업의 성공 요인은 교사가 준비하는 동영상에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교사의 수업 설계가 더 중요하다. 따라서 교사가 준비하는 수업 동영상은 수업 설계의 수단으로서의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거꾸로 수업과 관련한 학습지의 내용은 ‘메모하기, 요약하기, 질문하기, 학습 확인 문제 제시, 마인드 맵, 확장하기’ 등으로 구성한다. 한문 교사가 직접 동영상을 제작할 때 동영상 시간은 7분 내외가 적절하다. 한문과의 거꾸로 수업 동영상의 제작 방법은 칠판에서 강의하듯 시행하는 방법, 파워포인트를 활용하여 자료를 화면에 띄어 놓고 교사가 설명하는 방법, 수업 자료를 책상 위에 올려놓고 필요에 따라서 백지 위에 써가면서 설명하는 방법 등이 있다.
        5,200원
        3.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사회는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맞이하여 다양한 인재를 요구함에 따라 창의성, 문제 해결 능 력, 의사소통, 협업, 유연한 사고 능력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는 급변하는 교육지형 속에 다양한 인재 양성을 위한 여건이 마련되었는지 살펴보게 되었으며, 학교교육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자는 自省의 목소리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교실은 현재 개인주의, 이기주의 등으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학생들의 학교생활은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보이지 않는다. 나아가 교실에서의 학생들은 무기력감을 적극적으로 표출하고 있고 교사는 이로 인해 자기효능감을 상실하여 자존감마저 잃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일련의 수업국면은 결국 공교육에 대한 위상저하를 초래하였다. 대안으로 ‘거꾸로 교실’을 제안하였다. ‘거꾸로 교실’의 가치는 교사는 조력자의 역할, 학생은 학 습의 주체가 되어 활동하며 학습자가 주체가 되는 수업, 학습자가 깨어 있는 수업이 이루어져 무기 력감이 사라지게 되고, 나아가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들에게 적재적소에 교과전문지식을 제시하여 완전학습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교사는 자기효능감을 회복할 수 있다. 한편, 한문과는 한정된 시수 안에 많은 학습내용을 전달하기 때문에 질적인 학습보다 양적인 학 습에 구애된다. 그래서 단순한 지식전달수업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한문과에서의 ‘거꾸로 교실’을 제안하고 그 수업사례를 제시하였다. 그 이유는 한문 과에서의 ‘거꾸로 교실’은 교과 핵심내용을 동영상으로 담아내어 한정된 시수를 최대한 활용함과 동시에 학습자중심수업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고, 디딤 영상과 관련하여 교사가 재구성한 학습지를 제공하여 교사마다 개성 있는 수업이 가능하며, 학생 상호간의 지식을 창출하는 과정에서 현대 사회 에 필요한 각종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기 때문이다.
        4,600원
        4.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대상의 한자교육의 학습 효과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연구의 주요 내 용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향후 한자교육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언어교육적 관점에서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거시적 관점에서 한자 교육 연구의 현황을 살핌과 동시에 지향해야 할 몇 가지 화두를 제시함으로써 한자 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사고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자 교육의 현황과 과제에 대하여 크게 4가지 범주에서 논의하였다. 첫째, 미래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한자 교육 연구이다. 미래핵심 역량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교육을 둘러싼 환경이나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한자 교육의 철학과 정체성을 정립해야 한다는 접근이다. 둘째, 문식성 발달 단계를 고려한 한자 교육이다. 한자・한자어 학습에 대해 학생들이 보이는 문식 적 특징을 귀납화하여 객관적이고 타당한 발달 지표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과학적 증거에 기반을 둔 교수 행위로서의 한자 교육이다. 한자 교육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기초로, 연구의 설계에서부터 검증에 이르는 과정과 그에 따르는 결과가 객관적이고 타당하 며, 신뢰할 만한 수준을 보여주어야 한다. 넷째, 한자 의미의 스펙트럼에 대한 연구이다. 한자 교육이 어휘 교육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고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어의 정의뿐만 아니라 의미 구조, 의미 관계, 의미 확장 등 한자 의 미에 대한 심도 있는 탐구가 요구된다.
        4,600원
        5.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弟子規』는 기초한자 교육 및 인성교육을 위한 童蒙書다. 그 중에서도 한자 학습보다는 윤 리도덕교육에 더 큰 목적을 둔 책이라 할 수 있다. 책은 “總敍”를 포함하여 총 여덟 항목으 로 구성되어 있지만, 주제는 셋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부모에 대한 효도와 長者에 대한 공경, 둘째는 사회생활과 처세의 방법, 셋째는 배움과 실천에 관한 내용이다. 대부분 孔子를 대표로 하는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의 기본 도리와 처세법을 자세히 설명해 놓고 있다. 내용 중에는 21세기 현실생활과는 다소 부합되지 않는 낡은 사상과 행동지침이 포함되 어 있어 논란이 되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아 전통문화 창달과 인성교육에 유익한 교재라고 판단한 중국 교육계에서는 현재 『弟子規』 閱讀과 교육을 활발하게 전개시키고 있다. 중국 의 ‘國學’ 열기와 함께 인성교재의 핵심으로 활용하고 있는 『弟子規』는 개인주의와 황금만능 주의가 팽배한 현대사회의 아동들에게 전통문화를 이해시키고 바람직한 가치관과 인간성을 회복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런 현상에 대한 치밀한 분석은 우리나라에 서 『四字小學』 등과 같은 교재로 한자 및 인성교육을 시키는데 있어서도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5,100원
        6.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콩에서 시행되는 언어교육 정책에 따라 중문과에서는 보통화와 광동어 중 어 떤 언어도 자유롭게 선택하여 교육 언어로 사용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문헌 연구 를 통해, 보통화만 사용하는 경우, 광동어만 사용하는 경우와 보통화와 광동어를 혼용하는 경우에 따라 15개의 언어교육형식을 설계하였다. 동일 소학교의 5개 소 그룹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언어 학습 교육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한자습득 능 력 발전에 대한 영향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여러 개의 안과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삼각 논증의 방식으로 상호 비교 검증하였다. 질적 연구 방면으로는 교실 수업 분석과 교사와 학생 면담자료 등 다양한 개별 측정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업 언어가 학생들의 교육에 미치는 영 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양적 연구 방법으로는 실험연구와 두 번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수업 언어가 학생들의 한자 능력 발전과 학습 흥미와 동기에 미치 는 영향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한자능력에 대한 시험은학교와 가정, 사회의 세 개의 범주로 나누어, 학생들이 특정한 시험 시간에 사용하는 심리적 어휘를 측정하였다. 이상을 통해 우리는 다 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동일하지 않는 교육 언어 형식은 학생들의 한자습득 능 력의 발전 전체에 모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오로지 동일하지 않은 교육 언어를 사용한 반에서도 반별로 학생들의 한자능력의 발전에서도 각기 다른 표현 이 보였다. 방문면담의 결과를 취합하고 새로 적용한 후 시행한 2차 측정에서 이 미 이 결과를 알고 있는 교사는 서로 다른 교육 언어로 한자교육을 진행하면서 교사의 교육 목표, 교육 전략, 교육 시간의 설정과 배분에 영향을 받고 있었고, 학 생들 또한 한자습득 능력의 발전과 어문 교육의 흥미도에 영향을 받아 이전과는 다른 현상을 보여주었다. 요컨대 본 연구를 기초로 삼아 미래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 뿐 아니라, 본 연구의 성과가 언어 교육의 정책 결정자와 교사들에게 참고가 되어 향후 중문과 교육의 교육 정책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6,100원
        7.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를 구성하는 단위는 완정한 형태의 자형과 부건, 필획의 세 개의 구조로 구 성되어 있다. 본고는 이 세 개 구조의 층차 및 그들의 관계를 밝히는 한편, 한자 쓰기의 규칙성을 발견하여 한자 쓰기에서 드러나는 오류 현상을 살펴보았다. 홍콩에 거주하는 제2언어 모국어 사용 학생들이 한자를 서사할 때 나타나는 오 류는 모국어가 중국어인 홍콩 출신의 학생들과는 다른 경향성을 보였다. 이 연구 는 홍콩에 거주하는 2언어 모국어 사용 학생들이 한자를 습득하는 과정을 기초로 하여 진행되었으며, 필획 쓰기, 부건 쓰기, 글자 쓰기, 단어 및 문장 쓰기의 방면에 서 조사하고, 한자쓰기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설계하여, 홍콩에 거주하는 2언 어 모국어 사용 학생들의 쓰기 모양과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5,500원
        8.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원봉사자들의 통계에 의하면 홍콩에 거주하고 있는 비화어(非華語:중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이민족) 가정들 대부분의 경제 상황은 그리 부유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홍콩 정부는 12년의 무상교육(초1부터 고등학교)을 제공하고 있으 나, 여기에는 유아교육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유학교육의 학비는 매우 비 싸다. 일반적인 홍콩의 비화어 가정에서는 유아교육비를 감당할 만한 경제적 능력 이 없으며, 이로 인해 비교적 적은 숫자의 비화어 가정에서만 어린 자녀를 유치원 에 보냈었다. 2007년부터 홍콩교육부는 “유치원 의무제”를 시행하여, 정부가 일정 정도의 유아 교육비를 제공하기 시작하였고, 이로 인해 점점 더 많은 비화어 가정 의 가장들이 아이들을 유치원에 보내어 중국어를 교육시키고 있다. 이 아이들의 모국어가 중국어가 아닌 까닭에 그들에게 중국어는 제2언어가 되면, 이로 인해 그들의 학습 동기나 과정, 어려움 등은 본국 학생들과 전혀 다르게 나타나고, 이는 교사들이 학생들을 지도할 때 많은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綜合高效識字』과정과 제2언어 학습이론, 홍콩 유아들의 언어 발달 과정 연구와 비화어 유아들의 학습 동기 및 난점 등을 참고하여, 유치원용 중국어 한자 학습과정과 교재, 학습법을 설계하였다. 이는 홍콩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졌던 가장 큰 규모의 비화어 유아들의 한자 교육 연구이다. 본 연구의 과정을 설계할 때, 유아들이 일상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어휘의 종류와 빈도를 기준으로 삼아, 교육 주제에 따라 순서를 두고, 그들에게 비교적 간단한 한자의 부건과 구조를 인식시켰다. 이외에도, 교사는 遊戲識字, 情境輔助識字法, 部件識字, 集中識字法, 字根識字法, 韻語識字, 生活經驗識字법 등 다양 한 한자교육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유아들의 한자 학습 효과를 증대시키고, 학습 흥미를 높이는 동시에 한자 자형과 구조에 대한 민감도를 증대시킴으로써 유아들 의 식자교육은 효과를 보였다. 본 논문은 본 연구의 설계와 교재, 연습과 교수학습방법의 내용 등을 소개하고, 비화어 유아들의 식자교육에 있어 효과적인 과정과 방법을 제시해 보았다.
        6,300원
        9.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는 중국어 학습의 기초이며, 동시에 외국인이 중국어를 학습할 때 가장 크 게 느끼는 어려움이기도 하다. 만약 문자라는 측면에서 말한다면 한자는 표의와 표음이 혼합되어있어, 순수한 표의문자라고 말하기 어렵다. 실질적으로 세계의 어 떤 문자도 순수한 표의문자로 존재하지 않는다. 한자는 중국어의 어소를 표기하고 있으나, 매 한자마다 번체와 간체의 자형이 존재하며, 심지어 역대의 이체자와 필 기체 등이 존재하고 있다. 자음에 있어서도 일반적으로 하나의 음절을 나타내지 만, 哩나 吋의 경우처럼 쌍음절인 경우도 있고, 異讀字나 破音字등과 중국 대륙 과 대만이의 표준 등이 같지 않은 문제들도 가지고 있다. 역사적 원인으로 보자면, 하나의 한자는 통상적으로 많은 서로 다른 자의를 표기함에도 어떤 것들은 서로 상관되기도 하고, 상관되지 않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한자를 습득한다는 것은 실제 중국인이라 하더라도 쉬운 일이 아니다. 우리의 어문교육 중 한자는 유아 교육의 기본 영역이다. 중국어의 사전류들은 전통적으로 글자를 단위로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단어가 결합되는 형태로 표 제자 아래에 단어들이 표기되어 있다. 디지털 미디어의 시대 속에서 중국어의 이 러한 한자 단위 위주의 기초 교육법은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 본문에서 소개하는 点画流形와 汉字1000는 한자학습과 한자의 자원을 통해 구성된 시스템, 자형의 변화 애니메이션 등은 학생들로 하여금 한자의 조자 원리와 자형의 변화를 더욱 바르고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문에서는 이러한 기초적 논의 후에 어떻게 기존에 이미 구축해 놓은 한자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학 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학습 방법의 길을 제시하여 한자 학습 효과를 증대화시킬 수 있는가 등을 논의하였다.
        5,400원
        10.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hinese language is a kind of language developing with the growth of Han nationality. In history, Chinese language and Chinese character, symbol of words recording, have greatly impacted on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Chinese langua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aussure said: “language is a system of signs that express ideas”. Lenin said: “The language is the most important tool”. For human communication Chinese, as a major tool of thinking and communication, records the splendid history and culture of Chinese nation, accumulates abundant communication experience and forms the complete language system of signs with its own features. Along with the advancing of Chinese national power, upgrading of international status and the expanding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Chinese language has been listed as one of working languages by the UN. More governments and nongovernmental give more attention to the Chinese language and more and more people are keen on learning Chinese.From scientific development point, according to principles of “cognitive rules, regulation of Chinese language and discipline of education”, the thesis adopts effective approaches for comprehending basic knowledge of modern Chinese characters encouraging students to experience the language practice and to cultivate the ability of using language In addition, the article puts forward the experiments on “literacy, reading and correction”. to contribute to “student orientation, un-separated words while learning character, non-disjunction when studying words, studying language while learning characters and vice versa.” This is to “putting knowledge into practice”, “learning efficiently and reading as soon as possible”, so as to improve the level of learning the knowledge and to breakthrough scientific phase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anguage.Results of education experimental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language:Case: I rapid reorganization of Chinese characters.Case: II correcting words mistakes.Chinese language, as the important carrier of Chinese culture heritage, will become one of the most developed languages, which is used by the largest amount of people. Let’s share the beauty and civilization brought for human by Chinese language.
        11.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根據志願機構的統計數字,生活於香港的非華語家庭,大部份的經濟環境並不富裕。香港政府提供十二年免費教育(小一至中六),並不包括幼兒教育,因此幼兒教育的學費十分昂貴。香港的非華語家庭較難負擔年幼子女的幼稚園學費,故此過去較少非華語家庭送他們的年幼子女就讀幼稚園。近年,香港推行「幼稚園學劵制」,政府為幼兒就讀幼稚園提供學費津貼,於是愈來愈多非華語家長送他們的年幼子女到幼稚園學習中文。由於這些幼兒的母語並非中文,中文是他們的第二語言,因此他們的學習需要和困難都與本地學生不同;教師教導這些學生時遇到很多困難。本研究參考「綜合高效識字」課程,並按照非華語幼兒的學習需要和困難,為他們設計適合的中文識字課程、教材、教學法、評估等;是香港第一個大規模及有系統的非華語幼兒識字研究。參與本研究的幼稚園共有三間,參與人數約110人。本研究的課程設計,以幼兒常用的口語詞彙類別及頻率作為指標,安排教學主題的次序,並教導他們認識簡單的漢字結構。此外,教師透過運用不同的識字教學法,包括遊戲識字、部件識字、基本字帶字識字法、字根識字法、韻語識字、生活經驗識字、情境輔助識字法等,幫助幼兒有系統地學習漢字,提高他們對學習漢字的興趣,加強他們對漢字字形結構的感敏度,從而促進識字學與教的成效。此外,通過讓幼兒寫字和閱讀兒童故事,進一步鞏固和擴闊他們的識字量。本論文將報告是次研究的結果,並提出促進非華語幼兒識字的方法。
        12.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종합적인 고효율 한자교육법』중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을 집중적 으로 탐구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목적은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이 한자를 배 우는 초학자들이 한자의 인식에 끼친 성과를 알아보자는 것이다. 본문은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의 학습 이론과 교육 실험, 교육의 응용 예시 등을 기술하였다.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은 부건(部件)을 위주로 제시되는 교육방법 으로, 상용되는 한자 부건의 교육과 인식을 통하여 초학자의 한자 학습을 더욱 용 이하게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홍콩의 어느 초등학교의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들은 사 실 한자교육에 있어 초학자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을 대상으로 삼아, 이 논문 의 설계에 따라 부건 한자 학습법을 이용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설계한 한자교재를 연구 도구로 삼아, 교육 시행 이전과 이후 수치에서 드러나는 학습 성적을 비교하 고,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실천에 따른 성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방법은 학생들의 한자에 대한 학습 능력을 제고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학생들은 부건을 통한 한자 교육을 통하여, 77개의 상용 부건을 자유롭게 이용하는 것을 학습하였을 뿐 아니라, 이들을 서로 분해하거나 조합하면서 다량의 새로운 한자를 학습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나타난 학생들의 한자학습량 증가율은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이 학생의 한자에 대한 민감도와 한 자학습량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5,200원
        13.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初等學校漢字敎育은 단지 漢字학습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과서에 있는 ‘敎科漢字語’의 의미를 올바르고 효율적으로 익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우리말 을 정확하게 구사하기 위해서도 漢字敎育은 반드시 필요하다. 한글 전용정책이 시행된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학생들은 교과용 한자어를 漢字學習을 통해 익혀 온 것이 아니라 한글 낱말을 그 뜻과 함께 注入式· 暗記式으로 학습하였다. 이러 한 학습 방식은 대단히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학습효과도 기대할 수 없는 것이 다. 漢字의 뜻을 알고 그 漢字語의 의미를 파악한다면 분명히 그 뜻을 정확하게 학습할 수 있다. 또한 初等學校漢字敎育이 私敎育의존도를 높이고 초등학생들 에게 학습 부담을 줄 것이라는 의견도 현재 漢字敎育을 시키고 있는 초등학교에 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 정반대의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한글의 우수성은 더 말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우리는 오랜 세월 漢字文化圈에서 살아왔으며 우리말 의 상당수가 한자어인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漢字와 한글이 수레의 두 바퀴처럼 상호 보완을 할 수 있는 文字· 言語敎育이 우리에게 가장 이상적인 것이다.
        5,700원
        14.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의 한자교육 연구는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과 활용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 하에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써 매체 활용 교육에 주목하였다. 이에 현재 실시되고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있어서의 매체활용 교육실태를 교육감 인정도서, 사교육 시장의 교재, 인터넷상의 교재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이에 대한 성과와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감 인정도서에 나타난 매체 활용 교육 실태를 살펴보면 사진매체, 문자매체, 놀이나 게임·조작 등의 학습활동매체, 컴퓨터 등의 전자매체가 사용되었다. 사교육시장의 한자교재는 인정도서와 비교하여 별다른 차이점은 없으나 매체 활용의 다양성면에서는 부족하고 부교재 구성에 있어서는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인터넷상 한자교재의 구성은 동영상강의,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자원이나 필순의 학습, 게임을 통한 한자·한자어 익히기, 단원평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초등학교 한자교육에서의 매체활용 성과를 살펴보면 현행 초등학교 한자교육용 인정도서들은 기존의 암기위주, 쓰기위주의 한자 학습에서 벗어나 수업의 단계에 적합한 다양한 교수매체를 활용하여 學習者의 興味를 誘發하고 自發的 參與를 擴張시킴으로써 漢字敎育의 效率化와 質的 水準 向上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반면 여러 가지 學習狀況에 대한 洞察이 다소 缺如된 상태에서 기계적이고 반복적으로 교수매체를 적용한다거나, 매체의 성격이나 교수-학습의 필요를 충분히 考慮하여 이에 適切한 敎授媒體를 選擇하는데 不足한 면이 있다. 또한 學年別로 認知的, 情緖的 發達段階에 適合한 敎授媒體의 開發이나 교사와 학생들이 활발히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교수매체의 활용 에 대한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고 본다. 초등학교 한자교육에서 바람직한 교수매체의 활용으로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敎育課程 計劃段階에서부터 이에 대한 考慮를 필요로 하며 각 학년의 발달단계와 교수-학습 상황에 적합한 정제된 매체를 개발 보급해야 한다. 특히 시대적 흐름이나 학생들의 관심, 매체의 특성, 수업의 효율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컴퓨터를 활용한 보다 다양한 학습 방법의 개발이 있어야 한다. 아울러 현재 개발되어 있는 매체나 방법들을 교사 연수 등의 기회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널리 보급하여 한자교육의 저변을 확대하는 일도 소홀히 할 수 없다. 한자교육의 발전과 漢字敎科書의 質的 向上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보다 완성도 높은 교과서를 개발하는 일에 많은 노력을 경주해야 하며 良質의 교과서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풍토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위의 모든 논의에 앞서 교사 스스로가 수업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교수방법과 교수매체는 무엇인지 끊임없이 연구해야 한다고 본다.
        8,600원
        15.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와 한자어는 우리말을 형성하고 있는 중요한 요소이며,한자와 한자어를 떠난 언어생활은 상상할 수 없다.우리의 언어생활에서 한자와 한자어가 비록 문자 언어로서 기능하고 있지만 그 쓰임은 구두 언어와 다름없다고 할 수 있다.본고는 언어 학습의 이론 가운데 하나인 스키마 이론과 문식성 이론에 기반을 두고 한자 교육을 논의하였다.먼저 독자의 인지 구조로서 ‘사전 지식’또는 ‘배경 지식’의 의미를 지닌 스키마(scheme)이론에 근거하여 한자․한문 스키마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았다.한자․한문 스키마의 활성화는 국어 교육에서 읽기 교육의 스키마 활성화 방법을 원용하여 고찰하였는데,그 방법으로 질문하기,연상하기,예측하기,추론하기 등을 활용하였다.이와 같은 한자․한문 스키마 활성화는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준다.또한 교사들에게 텍스트를 학습하기 전과 학습하는 중간,학습한 후의 활동이 각각 중요한 것이라는 인식을 하게 한다.그 결과 교사들은 텍스트를 교수하는데 동기 부여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다음으로 文識性(literacy)이론에 근거하여 한자․한문에서의 문식성을 정의하였다.본고에서는 한자․한문의 문식성이란 ‘文字의 解讀(decoding)과 意味의 理解’라고 정의하였다.한자의 음과 뜻을 알아야 한자어의 음과 뜻을 알 수 있고,이를 토대로 한문 문장이나 한시를 이해할 수 있으므로 한자․한문 교육에서는 일차적으로 한자를 읽고 뜻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본 것이다.본고에서는 한자의 문식성 능력을 키우기 위해 한자의 형․음․의를 식별하는 학습 방법과 그림에 맞는 한자․한자어를 연관지어 학습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학습자들이 言語를 통해 知識을 구성한다는 構成主義와 관련하여 기초 기능 수준의 문식성(minimallevelofliteracyskills)과 고등 기능 수준의 문식성(highlevelofliteracyskills)을 살펴보았다.기초 기능 수준의 문식성이란 메시지 전달의 매체인 글을 읽어 낱낱의 語彙나 文章의 意味를 讀解하는 내용 위주의 읽기와 머리 속에 떠오르는 대로 생각을 글자로 옮기는 단순한 쓰기 수준의 문식성을 말한다.한문과 敎育課程과 관련하여 볼 때,①한자의 음과 뜻 알기 ②자전에서 한자의 음과 뜻 찾기 ③한자로 이루어진 한자어를 이해하고,언어생활에 활용하기 ④한자를 이용하여 문장의 내용 이해하기 ⑤한자어의 음과 뜻 알기 ⑥한자어를 바르게 읽고 쓰기 ⑦학습한 한자어를 언어생활에 활용하기 등이 기초 기능 수준의 한문 문식성이라고 할 수 있다.고등 기능 수준의 문식성이란 글을 읽고 글의 내용이나 구조를 학습자 나름대로 構成하고 分析하고 批判하는 수준의 문식성을 말한다.한문과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볼 때,①한자의 음과 뜻을 한자의 짜임을 통해 알기 ②한자어의 짜임을 통해 한자어를 바르게 이해하기 ③성어를 풀이하고 속 뜻 이해하기 ④한자어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 이해하기 ⑤격언․속담,명언․명구를 풀이하고 일상생활에 활용하기 ⑥한문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 이해하기 ⑦문장의 형식을 알고 문장 풀이에 활용하기 등이라고 할 수 있다.본 논의는 언어학습 이론을 한자 교육에 적용해 본 시론적 탐색이라고 할 수 있다.한자․한자어․한문이 우리 언어생활에서 사라진 언어가 아니라 살아있는 언어로서 기능하고 있기에 언어 학습 이론과 한자 교육을 접맥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8,600원
        16.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등학교에서 ‘漢字’교과를 가르칠 수 있는 법적 토대가 마련된 이후 지금까지 36종의 초등학교 한자 교과서가 각 시․도교육청의 認定을 받아 사용되고 있다. 初等學校漢字․漢文敎育이 名實相符한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良質의 한자교과서를 개발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漢字字源을 교과서에 정확하게 밝히고 이것을 토대로 한자를 학습하도록 안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먼저 현재 초등학교 교과서로 사용하고 있는 교재를 대상으로 하여 字源學習이 어떻게 記述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東․ 西․ 左․ 右․ 兄․ 弟․ 民․ 主․ 文․ 化’ 등 10개 漢字의 字源제시와 설명을 살펴본 결과 교과서에 따라 字源說明이 千差萬別이며 상당부분 學理的근거가 빈약하고 恣意的, 便宜的記述이 이루어져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字源을 통한 한자 교수․학습 방법의 槪念과 方法, 實際, 用例등을 고찰하였다. 한자의 字源을 알기 위해서는 한자의 文字學的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해야 한다. 주지하듯이 漢字는 한자를 구성하는 3대 요소인 形․音․義를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다. 字源敎授․學習은 한자의 形․音․義가 형성된 과정을 탐구하여 학습자가 체계적․조직적으로 한자를 이해할 수 있도록 가르치고 학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정신의 하나인 학생들의 自己主導的學 習能力의 伸張에 중점을 두고, 자원 학습의 방법을 탐색해 보았다. 따라서 교사중심의 직접 교수 방법에 의한 학습보다는 학생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과제분담 학습(Jigsaw) 모형을 활용한 협동학습이 되도록 교수․학습 지도안을 계획하였다. 과제분담학습(Jigsaw)모형의 소집단 학습은 학생들이 相互依存하는 가운데 同等하게 참여하고, 同時多發的인 相互作用을 할 수 있는 학습 방법으로 자원을 통한 한자 학습에도 유효하다. 그리고 본고에서 제시한 자원 학습의 용례는 초등학교 수준에서 교사가 재구성하여 지도할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初等學校단계의 한자 교육은 한자를 흥미롭게 익혀 언어생활에 유용하게 활용하도록 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으므로 지나치게 문자학적 자료에 의존하는 것은 불필요하다고 본다. 다만 문자학적 지식은 교과서에 노출하지 않더라도 교사용지도서를 통해 교사가 지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교과서는 문자학적 지식을 고려하되 學習者의 理解를 돕는 水準에서 융통성 있게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9,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