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소진이 감염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요 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총 210명을 대상으로 2023년 9월 15일부터 10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heffe,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파워먼트와 감염관리 수행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임파워먼트가 감염관리 수행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14.8%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간호사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감염관리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반영이 필요하다.
        4,000원
        2.
        202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in-depth experiences of infection control liaison staff (ICLS) in hospitals. Methods: This qualitative study applied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targeted 12 healthcare workers in various occupations with experience as ICLS in the departments of a general tertiary hospital in Seoul and a general hospital in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from February 21, 2022, to April 30, 2022,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a circular structure based on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Results: A total of 32 themes and 14 theme clusters were derived from 132 meaningful statements, resulting in six categories. The six categories are “A prepared mind to infection control”, “The initial burden weighing on one’s shoulders”, “Facing difficulties due to inadequate work support”, “Overcoming with cooperation and rewarding”, “The transformed patient and work environment in my journey of personal growth”, and “Finding support measures for ICL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understand the meaning and value of ICLS in medical institution departments. Based on this,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preparing primary interventions for education and capacity development, support measures, and system improvement for infection control personnel in medical institution departments.
        5,100원
        3.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의료 관련 감염 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자신감, 표준주의 실행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표준주의 실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8년 10월4일부터 10월 12일까지 G 광역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표준주의 실행도는 감염예방 지식(r=.27, p<.001), 감염관리 자신감(r=.52, p<.001)과 정의 상관관계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감염예방 지식은 감염관리 자신감((r=.27, p=012)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실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염관리 자신감(β=0.45, p<.001), 피부 접촉 경험이 없는 경우(β=0.18, p<.004), 감염예방 교육을 받은 경우(β=-2.65, p<.009), 감염예방 지식(β=0.15, p<.019)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35%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 대로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실행도를 높이기 위하여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표 준주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4,300원
        4.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by analyzing and exploring the work experience of infection control nurses (ICNs) in response to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4 ICNs, (two in in-depth interviews and 12 in groups of six) from February 19, 2021, to March 20, 2021, and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tent. Results: In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ICNs took the lead in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where they felt pressure in doing everything. In addition, they were confused by a lack of workforce and undetailed job plans. ICNs have been exhausted by insufficient support and system, such as the lack of support in the hospital, communication with health authorities, and difficulties with patients and visitors. However, ICNs settle with the help and encouragement of those around them. For example, pride in the work that only ICN can do, change in the cooperation of hospitals, and development of ICNs’ unique method of perseverance. Conclus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CNs experienced structural, physical, and mental difficulties at work. Nevertheless, the study found that a driving force enabled ICNs to endure, and that to efficiently respond to new infectious diseas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ecure ICNs and strengthen them.
        4,600원
        5.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gree of intention to hand hygiene and hand hygiene behavior in new nurses based on education experience on infection control. Method: The participants comprised 108 new nurses working in a general hospital in S city,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with SPSS 26.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ntion to hand hygiene (F=3.39, p=.021) and hand hygiene behavior (F=3.33, p=.022) depending on education experience related to infection control during undergraduate courses. Hand hygiene intention (F=4.41, p=.008) and hand hygiene behavior (F=4.13, p=.008)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educational satisfaction with infection control during undergraduate course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ntention to hand hygiene and hand hygiene behavior (r=.21, p=.026).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education in infection control can reinforce intention to hand hygiene and hand hygiene behavior in new nurses.
        4,300원
        6.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in-depth experiences of role conflict among infection control nurses’ (ICNs) in terms of the gaps between the role expectations and actual roles. Methods: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study to explore and describe the implications of role conflict experiences of ICNs throug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CNs who worked as full-time for more than three years in the infection control department,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1978)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Topics brought up by th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hemes. The themes included "lack of awareness of infection control", "psychological burden of professional competence", "infectious control not being accepted due to different management and operational goals", "unrelentingly overworked", "shadow labor without adequate compensation", and "The process of earning mutual trust". Conclusion: In order to resolve the role conflict of ICN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areer management system for ICNs and to have an appropriate compensation system.
        4,900원
        7.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wing to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foodborne infectious diseases are becoming inevitable problems in many countries, and this is also the case in Korea. One of the causal factor of foodborne disease outbreak in the food service business(i.e. restaurant or mass feeding facilities) is inappropriate management of infected food handlers. The need for strengthening of the indications for managing infected food handlers is emphasized continuously. However, precise legal interpretations or analyzation should be done based on microbiological fundamentals before strengthening the guidelin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legal policies of Korea associated with infection control of food handlers and proposes shortcomings or supplementations to existing legal policies.
        4,500원
        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연하장애재활치료를 수행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손 씻기와 개인 보호 장비 사용에 대한 영역에서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연하장애재활치료를 직접 시행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시행하 였으며 설문 작성 시 목적을 충분히 설명하고 설문에 대한 동의를 얻었다. 총 423부의 설문지를 배부하 였으나 356부가 회수 되었고 결측지가 많은 11부를 제외하고 총 345부의 자료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손 씻기와 같은 손 위생 활동은 잘 수행되고 있었으나 성 인 및 소아와 같은 치료분야와 임상경력에 따른 손 씻기 수행률에서도 일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개인 보호 장비 사용여부에서 마스크 및 보호복의 착용이 가장 소홀히 시 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연하재활 영역에서의 감염관리에 있어 손 씻기는 대체적으로 잘 이루어지는 실정 이나 기관별로 손을 씻을 때 사용하는 비누 및 건조방법에 대한 차이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하장애 재활치료 시 보호 장비 사용에 대한 인식이 저하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작업치 료사들의 감염관리 실태를 인식하고 기관 내 감염관리를 위한 보다 체계적인 노력들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4,500원
        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박과류(오이, 참외, 멜론)를 공시작물로 하여 친환경 육묘시 친환경 제제와 시용조건에 따른 흰가루병의 방제효과를 구명하고 기존 등록된 농약과 대조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친환경제제는 유효 미생물로서 Ampelomyces quisqualis 94013(AQ94013)과 Bacillus subtilis Y1336(BS Y1336), 식물추출물로서 님오일(Neem oil)과 대황(Rheum undulatum)추출물, 미네랄 제제는 황수화제와 석회보르도액(Lime Bordeaux mixture)을 단용 또는 혼용처리하여 병 발생시기(발생전, 초기, 중기)에 따라 처리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시설내 일 평균온도 30oC 이상, 하루 중 최고기온이 40oC 이상의 조건이 일주일 이상 지속되는 기간 동안 유묘의 흰가루 병의 발병도는 감소하였고, 대조구인 무처리구에서의 발병도도 크게 감소되어 10% 미만으로 나타났다. 발생 전 처리시 방제효과는 모든 작물에서 황수화제가 가장 높았고, BS Y1336는 방제가가 20~40%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오이의 경우 발생전 처리시 님오일과 황수화제 처리는 살균제보다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멜론에서는 농약과 비슷한 방제가를 보였다. 대황추출물은 전 생육 기간 동안 미생물제제보다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었고, 오이와 멜론작물에서 발생초기 처리시 효과가 우수하였다. 물살포구는 무처리구와 비슷한 발병도를 보여 방제 효과가 없었고, 참외와 멜론에서 물살포 처리는 무처리보다 더 높은 발병도를 보였다. 병발생후 친환경제제 처리시 방제효과는 처리하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친환경제제의 혼용처리에 의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을 때, 대황추출물(1주차) + 황수화제(2주차) + 님오일(3 주차)의 조합으로 한 가지의 친환경제제를 주당 1회씩 총 3주 동안 혼용처리 했을 때, 전 육묘기간 동안 오이에서는 90% 이상, 모든 작물에서 평균 8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어 다른 조합의 처리에 비해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본 실험결과를 통해 박과채소의 친환경 육묘시 흰가루병에 대한 친환경제제의 방제효과는 단용처리 했을 때, 병발생 전후 처리에 상관없이 모든 작물에서 황수화제 처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혼용처리시에는 대황추출물(1주차) + 황수화제(2주차) + 님오일(3주 차)의 조합이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0.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남지역 의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감염관리에 대한 연구로 감염관리에 대한 인 지도와 수행도를 분석하여, 지역의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의 감염관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도구는 설문지로 2018년 04월01일부터 08월31일까지 경남에 소재하는 의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총150부를 배부하여 연구에 적합한 131부를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감염관리에 대한 요인으로는 감염관리에 대한 특성 12문항과 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 및 수행도로 총60문항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기준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감염관리에 대한 인지요인에 대한 총인지도는 4.13±.05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행요인에 대한 총수행도는 4.05±.05점으로 높게 나타나 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 및 수행 도에서 경남지역 의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들의 감염관리 수준은 수행도가 인지도에 비해 조금 낮게 나타 났지만, 비교적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의원 방사선사의 감염관리는 병원을 운영하는 의료진의 지속적인 감염교육 활동과 예방활동을 통해 의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 역시 감염관리의 전문가로 자리 매김하여야 할 것이다.
        11.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의 11개 병원에 근무하는 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병원감염관리 인지도와 수행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병원 내 감염관리부서, 감염관리 지침서, 감염관리 교육의 유무에 관계없이 인지도, 수행도의 척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감염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 집단의 인지도, 수행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01). 감염관리에 대한 수행을 실천하지 못하는 주된 원인은 업무 과다와 시간부족으로 나타났으며, 99.7%의 응답자가 감염관리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하여 사회 전반적으로 병원감염에 대한 경각심이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인지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게 분석되었으며, 병원감염을 낮추기 위해서는 실현가능한 제도의 개선과 종사자 개인의 적극적인 수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2.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IP 카세트를 이용하는 이동촬영 장비의 세균오염도를 조사하여 이동촬영으로 인한 병원 감염을 예방하고 감염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결과는 IP Cassette 1번에서 CNS, VRE가 검출되었다. 2번에서는 CNS, 3번에서는 CNS, Pseudomonas aeruginosa, 4번에서는 CNS, 5번에서는 CNS, Bacillussp., 6번에서는 Enterococcus faecium이 검출되었다. 영상판독기에서는 Enterococcus faecium, Bacillus sp., 장비 이동 손잡이에서 Acinetobacter baumannii, 조작버튼에서는 Bacillus sp., 조사야 조절 손잡이에서는 CNS, Bacillus sp., X-선 발생 스위치에서는 Acinetobacter baumannii, 바코드기 에서는 CNS가 검출되었다. IP Cassette 이동테이블에서는 Bacillus sp. Acinetobacter baumannii, 납 앞치마에서는 CNS, Bacillus sp.가 검출되었다. 방사선사가 촬영 중 착용한 의료용 장갑에서는 Acinetobacter baumannii, CNS가 검출 되었다. 따라서 IP Cassette는 사용 후에는 반드시 소독하고 재사용하며, 영상판독기, IP 이동테이블은 오염된 IP Cassette를 통해 세균이 전파될 수 있으므로 사용 후에는 소독을 실시해야 한다. 환자와 직접 접촉하는 의료용 장갑도 1회 사용 후 교체하고 촬영 시 접촉이 많은 X-발생 스위치, 납 앞치마도 철저히 소독하여 이동촬영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하여야 한다.
        13.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부산지역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병원감염관리 인식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론은, 먼저, 개인위생, 장비위 생, 청소 및 환경 관리의 인지도와 수행도는 학력이 낮을수록 척도가 높았다. 또한 개인손씻기의 경우 인지 도는 1차, 2차, 기타의료기관의 종사자들이, 수행도는 의료인 집단이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유의수준 .00 1에서 통계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병원 내 위생관리 역시 의료인이 높은 인지도와 수행도를 나타냈으며, 통계적인 차이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인지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아 감염관리에 대한 개인의 적극적인 수행 과 이를 위한 현실성 있는 개선방안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4.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구 및 경북의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치과 감염관리의 인식과 실천도를 조사하였으며, 이전의 연구를 참조하여 수정 및 보완 후 설문 조사하였다. 근무지 유형에 따라 치과의원보다는 치과병원에서, 치과 감염관리 담당자 및 감염관리 교육의 프로그램의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이 나타났다. 또한 치과 감염관리의 인지도와 실천도는 근무지 유형에 따라 개인방어, 무균술식법, 방사선 장비를 포함한 치과 장비, 감염성 폐기물과 세탁물 관리에서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으며, 즉 치과 의원보다 치과병원이 감염관리 인지도 및 실천도가 높았다. 따라서 치과병원에서 감염 예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감염관리 및 감염관리의 정규 교육 및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며, 치과의 특성을 반영하는 지표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이 빨리 도입 되어야 하며, 향후 치과의원(의원급 소형병원)에서의 감염 방지 및 평가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및 정부의 제도도 필요하다.
        15.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상북도에 소재한 5개 종합병원 영상의학과의 오염도를 계수하고, 오염 원인균을 배양하여 동정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사회 영상의학과의 효율적인 감염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확인된 표면오염 균주는 Staphylococcus, Micrococcus, Pseudomonas stutzeri, Pseudomonas oryzihabitans로 병원감염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균주였고 영상의학과의 오염원으로 특이성을 가진 균주는 없었다. 조사대상 병원은 비슷한감염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병원별 오염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사대상 병원별 접촉원에 따른 오염도의 차이는 방사선사 사용, 환자사용, 공통사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환자사용이 방사선사사용, 공통사용에비해 유의하게 높은 오염도를 보였다(p<0.001).병원별 월평균 검사건수의 차이가 적은 장치는 모든 병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이에 비해 촬영건수가 가장 많은 일반촬영장치, 흉부전용촬영대의 오염도가 다른 촬영장치에 비해 오염도가 높았다. 또한 월평균 촬영건수가 많은 A, B, C 병원은 방사선사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환자와 공통으로 사용하는 방사선조사장치, 사무용책상, 출입문 손잡이에서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보였다.
        16.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Radiology departments at hospitals with 300 sickbeds throughout the Pohang region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concerning awareness and performance levels of infection control. The investigation included measurements of the pollution levels of imaging equipment and assistive apparatuses in order to prepare a plan for the activation of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hospital infections. The survey was designed to question respondents in regards to personal data, infection management prevention education, and infection management guidelines. The ATP Public Heath Monitering System was used to measure seven items for pollution levels of imaging equipment and assistive apparatuses in the Radiology Department. Data was analysed using SPSS version 12.0 for paired t-test and Pearson coefficient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of 0.05.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a total awareness level of infection management prevention education averaged at 3.73 ± 0.64 and performance levels resulted at 3.39 ± 0.83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1). Also the measurements of pollution levels for equipment with high patient contact showed a Pearson Coefficient of over 0.5 implying a focus on pathogenic bacterium.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the frequency of imaging (p < 0.05). Therefore for general hospitals with high patient contact, there is a need to supply analyzing equipment for real time monitoring and the implementation of disinfection management that uses 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pproved antiseptic solution twice every min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