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9

        8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에서 필자는 오늘날 철학과 신경과학, 인지심리학 등의 분야에서 풍성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공감에 대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음악에 대한 공감이란 어떤 것일 수 있으며 어떻게 가능한지, 그리고 음악적 경험을 공감이라는 개념을 통해 분석하는 것이 얼마나 유용한지를 논구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공감이 역사적으로 사고된 방식, 그리고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에 절정에 이르렀던 미적 공감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거울뉴런체계의 발견과 더불어 새롭게 제시된 공감 개념과 공감에 대한 현대적 논의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음악적 공감을 마음읽기의 시뮬레이션을 토대로 분석한다. 필자는 오늘날 많은 공감이론가들이 지지하는 공감의 이원론이 음악적 공감에서는 성립되지 않으며 음악적 공감은 단편적인 사건이 아니라 하나의 절차임을 강조하는데, 이러한 절차를 체화된 음악적 내러티브라는 개념을 통해 해명한다. 또한 필자는 발제적 입장에서 음악적 공 감은 음악 안에 미리 확정되어 있는 속성들을 청자가 시뮬레이션 하는 심적 작용이 아니라 청자와 음악 사이의 역동적이며 순환적인 상호 관계를 통해 성취되어 나가는 과정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발제적 입장에서 마음읽기의 시뮬레이션을 토대로 음악적 공감을 이해하는 것이 음악적 관여가 갖는 신체성, 그리고 청자가 음악에 대해 종종 느끼곤 하는 일체감과 음악의 타자성 사이의 긴장을 해명하는 데 다른 무엇보다 유용한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7,800원
        8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지행동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음악전공자들의 무대공포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의 음악대학 및 예술대학 3곳에서 무대공포증을 겪는 음악전 공자를 대상으로 무대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높은 점수를 얻은 음악전공자 1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 집단 5명과 통제집단 5명으로 구분하여 무선 배치하였으나, 실험집단 1명이 중도 포기를 하여 실험 집단 4명, 통제집단 5명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2018년 3월 15일부터 4월 17 일까지 주 2회 50분으로 10회기로 구성하여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무대불안 척도점수에서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제집단보다 37점 낮게 나타나 음악치료가 효과적인 중재임이 입증되었다. 양적연구와 함께 무대공포증을 겪는 음악전공자의 질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참여자들이 작성한 설문지와 연구자의 관찰기록내용, 참여자들의 경험 및 변화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내용분석의 결과, 참여자들의 무대공포에 대한 경험변화는 원인 찾기, 생각 공유, 나의 변화, 새로운 음악경험, 스트레스 해소, 새로운 다짐으로 6가지의 구체적인 하위영역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질적연구의 결과에서도 음악치료는 내담자들에게 의미 있는 치료적 경험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6,300원
        8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음악분석을 논술중심전공교과(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WAC)의 시각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본 연구는 첫째 논술중심전공교과의 시행 목표가 ‘학습을 위한 쓰기’ 와 ‘쓰기를 위한 학습’을 지향한다는 점, 둘째 글쓰기를 매개로 교과의 커리큘럼 자체를 변형시키는 프로그램이라는 점, 셋째 능동적인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추구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교육방식을 음악분석의 교과과정으로 적용해보기 위해, 음악분석의 ‘글쓰기 집중 교과목’으로서의 운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논술중심전공교과 교수·학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음악분석은 분석의 과정이 ‘글’로서 전개되는 글쓰기의 한 측면이며 논리적이며 창의적인 서술의 한 과정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글쓰기를 통한 음악분석의 방법론적 접근은 논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음악을 설득력 있게 서술하기 위한 전공 심화 차원의 학습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방식으로서 첫째 글쓰기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였고, 둘째 음악이론 영역의 학문적 입장을 통해 글쓰기와 음악분석에 관한 상관성을 조명하였다. 셋째 글쓰기 및 음악분석 관련 교과에 대한 우리나라 대학의 운용 현황 검토를 통해 논술중심전공교과로의 현실화 방안을 구상하였고, 넷째 이를 중심으로 음악분석의 논술중심전 공교과로의 수준별·단계별 적용에 대해 구체화하였다. 끝으로, 이 같은 시도는 학문적 전문성과 의사소통 능력을 동시에 꾀하기 위한 융·복합 시대의 음악이론 교육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교수적 관점에서 해석되어야 하겠으며, 음악분석의 논술중 심전공교과 강의 개설을 위한 첫걸음이란 시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음악분석의 교과 운용은 현실적으로 대학별, 전공별로 편차가 클 뿐만 아니라 교과의 내용은 실제 강의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의해 상이하게 진행되기 때문이며, 더욱이 음악분석을 논술중심전공교과로 지정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이란 학술적인 연구결과들의 축적 없이는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6,900원
        84.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보노보(Bonobo)의 6집 앨범 「마이그레이션(Migration)」에 수록된 곡 ‘Outlier’를 선행 연구곡으로 선정하여 스터터 기법의 사용에 대해 연구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선행 연구곡을 스펙트로그램을 통해 스터터 효과가 나타난 부분을 살펴보았다. 스펙트로그램을 통해 보노보의 음악이 특정 구간을 반복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에 따라 스터터 기법이 쓰였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보노보가 그의 음악에 적용한 것은 오디오 조각이 반복되면서 리듬을 만드는 스터터 기법이었다. 스터터 기법을 사용함에 따라 나타나는 음악적 효과도 함께 연구해 보았다. 하나의 악기가 아닌 여러 음색이 겹친 오디오 조각이 반복되어 독특한 음색을 만들어 냈다. 어떤 오디오 조각이냐에 따라 돋보이는 음색이 달랐다. 스터터 기법은 이펙트 플러그인을 통해 재생 속도나 방향을 조절하는 등의 더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스터터 기법을 활용하면 흥미로운 음악을 제작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4,000원
        8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술가곡 장르에서 독보적인 평가를 얻었던 슈베르트의 창작세계에서 오페라 및 무대음악은 현재까지 크게 관심 받지 못했다. 그의 무대음악이 일반 대중이나 학자들 또는 연주자들에게까지도 주목을 받지 못했던 이유나 근거조차 아직 분명하게 설명된 경우도 그리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글에서는 성악음악에 그렇게 커다란 업적을 남긴 슈베르트가 오페라나 무대음악에서 어떤 시도나 구체적인 창작작업이 있었는지, 그리고 그에 대한 평가나 연구가 심도 있게 이루어지지 못했는지에 대한 이유를 확인해 보려고 한다. 다양한 종류의 슈베르트 관련 문헌들을 살펴보면, 비록 작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나 분석은 없지만 그의 무대음악이나 오페라 장르 작품은 상당히 다양하고 그 숫자도 적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그의 오페라 창작과 연관된 기존의 영향이나 교육 그리고 창작 당시의 시대적 상황 등을 작품 의 실체와 창작배경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흐름을 고찰했다. 그의 오페라나 무대음악 작품이 오페라 사에서 두드러지지 못한 데에는 여러 가지의 이유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본 글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본의 문제점, 비엔나에서의 당시 오페라 상황 그리고 오페라 창작의 구체적인 롤모델을 찾지 못한 점 등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슈베르트가 남긴 많은 오페라나 무대음악 작품들은 분명 그의 창작에 중요한 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연구는 19세기 초반 비엔나를 중심으로 한 유럽의 오페라사의 한 부분을 채울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모차르트 이후 독일 오페라의 발전과정을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6,100원
        86.
        201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우리나라의 대중음악은 매년 많은 곡이 발표되고 있으며 그 영향력도 국내외로 확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매년 국내 대중음악의 표절 논란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많은 곡이 표절 논란에 휩싸임에도 논란으로만 그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논란이 소송으로 이어져 저작권 침해가 인정된 사례는 현재까지 단 1건에 불과하다. 또한 두 음악 저작물 간에 유사성이 매우 높은 경우에도 표절이 성립 되지 않은 판결이 다수 존재한다. 이러한 현상은 양심적인 창작자들로 하여금 창작 의지의 저해를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중과 음악업계가 판단하는 표절 의혹과 전문가의 분석 및 법원의 판결에는 간 극이 존재한다. 이는 우리나라의 관련 판례에서 관용구에 의하여 저작물의 창작성이 비교적 쉽게 부정되며, 실질적 유사성은 보통의 관찰자 관점 보다는, 음악적 분석과 해석에 중점을 두는 전문가 관점에 의해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에 창작자의 권익을 보호하면서 표절의 부당 이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음악 저작물 침해소송에서의 창작성 및 실질적 유사성 판단 기준에 대한 엄격한 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4,600원
        87.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한국 불교음악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과제를 정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동안 많은 연구가 있었고 그에 대한 연구사 정리도 여러 차례 있었기 때문에 그것을 바탕으로 통계적 정리와 큰 흐름을 정리하여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찾아보려 하였다.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교음악 연구의 추이는 문화재 지정과 같은 외부적 요구와 깊은 관련이 있다. 연구자의 수도 적고 그들의 연구 성향은 다양하지 않다. 더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연구 주제의 설정에 있어서도 평면적인 경향, 특정 주제에 집중되는 경향이 강했고, 깊이 없이 개관에 그치는 연구, 쉽게 진행할 수 있는 연구에 집중하는 경향들도 상당수 확인되었다. 다양한 주제로의 확장,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연구 주제 설정이 필요하다. 셋째, 연구 재료의 한계와 방법의 획일화 문제를 다루었다. 불교음악, 특히 범패 전승의 특성으로 인해 구전음악의 보편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가장 넘기 어려운 점이라 보았다. 무엇보다 현재 불교음악 연구에 필요한 것은 특별한 ‘결론’이 아니라 논문작성을 위한 자료집의 축적이다. 음원 자료의 축적과 악보 자료의 구축이 시간별로 가창자별로 중복적으로 누적되어야만 한다. 학자들이 자유롭게 가설을 세우고 그것을 증명할 수 있도록 말이다. 매우 적은 수의 학자들의 고군분투에 박수를 보내며 이들의 노력을 발판삼아 한 발 더 나아가기를 기대한다.
        6,700원
        88.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though people generally do not pay much attention to scent, background music (BGM), color, etc. in retail or service environments, these in-store factors could potentially have a subtle yet powerful influence on customers. Through two experiments, this research examined whether the scent and music made people feel physically warm or cool, and their effect on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space and social density. Regarding to participants’ subjective perception of temperature, between the warm scent (vanilla) and the cool scent (peppermint), and between the warm music (Träumerei by Schumann) and the cool music (Vocalise by Rachmaninov)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I could observe that people in warm conditions felt physically warm compare to cool condition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participants’ perception of space and density. People in the vanilla-scented environment felt that the capacity of the room was smaller, the space was tighter, and the social density was higher. In the case of the music, the results were the same. People in the room with Träumerei as a BCM felt that the room was smaller, the space was tighter, and the social density was higher. Moreover, people in warm conditions chose a cold or room temperature drink when I offered three drink options (cold, warm, room temperature) as a token of my gratitude. In addition to the effect to perception, I found that people in warm conditions (both scent and music) were more persuaded by commercial message than in cool conditions. These results would contribute to expand our knowledge of store atmospherics and customer experience through ambient scent and BGM.
        89.
        2018.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young generation that was born in the digital age grew up with digital technologies; they listen to music online on web sites like YouTube, which provides access to music by artists from all over the world. We conducted a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 experiment with fifty-six young adults. The human brain generates electrical waves as long as it lives. Since the dynamic nature of brain rhythm is at work in all kinds of human brain function, neuroscientists have used brain rhythm to understand brain function. Since the work of Gerstein and Mandelbrot (1964),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use random-walk analyses to account for brain responses like the spiking of neurons, cell migration, and motor variability. Like any other biological system, the brain pursues functional efficiency at all levels of operation—in the brain’s case, from the neuronal cell level to the neural network level. Before one can determine the presence of a periodic rhythm versus a random state in brain activation, one must determine whether external stimuli can shape the brain’s modulation pattern. Brain-wave patterns are affected by whether the neural circuit that governs a particular set of brain functions reaches a significant level of activation. The bottom-up processing of external stimuli can be affected by top-down processing; in other words, the execution of higher-order cognitive attention can affect the degree of randomness in the bottom-up processing of external sensory inputs like that of music. Unlike EEG signals, the rhythms of hemodynamic signals are not commonly calculated, possibly because hemodynamic signals are sluggish. The random-walk test on neural time series has been applied only recently to magnetoencephalography (MEG) data (Kipiński, König, Sielużycki, & Kordecki, 2011), and it has rarely been applied to hemodynamic signals measured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r near-infrared spectroscopy (NIRS). However, since hemodynamic responses are the result of neurovascular coupling—a dynamic event among the brain’s neurons, glias, and vasculatures—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degree of randomness of hemodynamic signals as surrogates for neuronal activity. While brain activities are inherently random and noisy in their natural state, when the brain rhythm is modified by music that provides appropriate levels of sensory stimulation, the brain’s signals will begin to reflect the music’s rhythms. This reflection is called “attunement.” The effect of sensori-neural stimulation on hemodynamic responses measured by fNIRS has been reported in neuroscience research that found that auditory stimulation and music elevated the concentrations of oxygenated hemoglobin (HbO2) and total hemoglobin (HbT) in blood flow to certain regions of the brain (Hoshi & Tamura, 1993; Kotilahti et al., 2010; Sakatani, Chen, Lichty, Zuo, & Wang, 1999). However, studies have shown decreases (increases) in children’s (adults’) prefrontal cerebral volume after they play computer games. For example, one study suggested that the level of attention may modulate the directional changes in HbO2 and HbT concentrations (Nagamitsu, Nagano, Yamashita, Takashima, & Matsuishi, 2006). The brains of children who find that a game lacks adequate levels of perceptual stimulation do not require an additional supply of oxygen, but adults who find playing the same game a cognitive challenge require more effort to perform the same task, so they require elevated levels of oxygen in their brains (Ferreri et al., 2014). According to musical theorists, when the brain is entrained, the attention follows the music (London, 2012). When members of the digital generation listen to music, the perceptual stimulation level is likely to related to the degree of randomness in brain responses as well as the quality of the sensory experience. Drawing on the literature review, we predict that TBF is higher for a stimulus that is above OSL than the TBF for a counterpart stimulus that is below OSL. We also predict that the hemodynamic rhythm of related brain regions to music that is above OSL adopts a regular predictable pattern. Hence, we propose the following research hypotheses: H1: Digital music that provides acoustic stimulation near the OSL creates brain responses in the form of higher TBF and lower randomness in HbO2 concentrations than does digital music that provides acoustic stimulation that is below the OSL.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The transparency of biological tissue to light in the near-infrared wavelengths makes NIRS possible. NIRS is non-invasive and portable, and it has a cost advantage. The incident near-infrared light from a transmitting optode (source) is scattered through the tissues, and the reflected light is detected by a receiving optode (detector). The amount of the source light that a tissue absorbs depends on the light’s wave length, and the oxygenation status determines the brain’s absorption of the light. The loss of the intensity that is due to the absorption of the photons can be measured in units of optical density (Zaramella et al., 2001). The changes in [oxy-Hb] and [deoxy-Hb]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modified Beer-Lambert law (Kocsis, Herman, & Eke, 2006) using two wave lengths of near-infrared light—in our case, 780 and 850nm. We used a 12-channel wireless fNIRS system (Biomedical Optics Lab, Korea University) with sampling rates of 8 ~10 Hz to measure the participants’ hemodynamic response while they watched the videos. The system consists of three light sources and five detectors (a 3×7 grid). The fNIRS probe was attached to each subject’s forehead. The detectors of the lowest line were set along the Fp1 and Fp2 electrode line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10/20 system. Measurements from channels 1, 2, 11, and 12, which contained noise from movements of the subjects’ heads, hair, and sweat, were excluded from further analysis. Neuroscience research has recorded acoustic stimulation in various regions of the brain, including the temporal brains of newborn babies (Hoshi & Tamura, 1993) and the frontal brains of adults (Sakatani et al., 1999). Since infrared light cannot penetrate hair, brain regions that are not covered by hair, such as the prefrontal cortex, are well-suited to an fNIRS study. When a member of the digital generation listens to music online, the motivation is usually enjoyment, so brain activity changes that are due to popular music should occur in brain areas that are associated with reward-related processing—that is,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mPFC) (Haber & Knutson, 2010). As the mental function of pleasurable experience that is modulated in the medial frontal cortex increases, TBF to this region increases. In particular, the processing of sounds is dominantly modulated by the brain’s right hemisphere (Kaiser, Lutzenberger, Preissl, Ackermann, & Birbaumer, 2000). We analyzed TBF to the right brain area of the mPFC at channel 5 using fNIRS. The research hypothesis predicts that songs that provide strong sensory stimulation above the OSL increase the TBFs of those in the digital generation more than do songs that present a sensory stimulation level that is much under the OSL. TBF can be directly obtained as a product of HbT (Wyatt et al., 1990). After the music began in the experiment, the subjects’ concentrations of HbT increased until HbT reached its peak at around five to eight seconds; then it decreased for the next thirty seconds. There was a divide of hemodynamic responses between the two songs that had more than a million hits per day (A and B) and the remaining three (C, D, and E). We conducted repeated measures of ANOVA on TBF, measured at forty seconds, for the five songs, since TBF at the end of each set of song segments can represent the digital generation’s level of sustained attention. The multivariate test for the model was significant, and the main effect of songs on TBF was significant (Wilk’s Lambda 0.75, F(4,51)=4.249, p=0.005,  ). After the forty seconds of each song were over, the TBF levels remained at the highest level for song A, followed in order by Songs B, C, D, and E. Pairwise comparisons after the Bonferroni correction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vide in the length of time that the TBF levels remained at the highest level between songs A/B and songs C/D/E (p<0.05). Other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possibly because the neural data contained large individual difference variances (between-subject F test: F(1,54) =38.501, .p<0.001, ). The results support hypothesis 1. Next, we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BF and daily hits, and BORP and daily hits.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BF and daily hits was 0.88 (p<0.05),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ORP and daily hits was -0.96 (p<0.05). Pairwise comparisons after the Bonferroni correction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vide in the length of time that the TBF levels remained at the highest level between songs A/B and songs D/E (p<0.05). Other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possibly because neural data contains a large portion of individual variance (between-subject F test: F(1,54) =372.675, p<0.001,  ).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our hypothesis 1b that pop music that presents stimulation above OSL can reduce the randomness in hemodynamic signals. Th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hemoglobin concentrations while they listened to popular songs show a mean-reverting tendency with low BORP—a “rhythm” such that a system recovers order and balance in due time. The brain’s response to less popular songs were random-walk processes, which represents a neural drain, a process in which brain fails to recover from oxygen depletion because of boredom.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otal blood flow to the right medial prefrontal cortex increased less when the young adults were exposed to music that presented acoustic stimulation near the optimal sensory load (OSL) than it did when they were exposed to songs with a level of stimulation much below the OSL. The degrees of hemodynamic randomness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the participants listened to online music that provided near-OSL stimulation. Online popularity, recorded as the number of daily hits,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blood flow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hemodynamic random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new digital media strategy may be required that provides a sufficient level of sensory stimulation as an essential part of marketing to the digital consumer generation.
        3,000원
        90.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한국영화는 ‘한류’라는 문화적 트렌드를 바탕으로 국내뿐 만 아 니라 아시아를 넘어 유럽, 미주 지역 등 전 세계인의 관심과 환호 속에 다양한 한류문화에 대한 소비 욕구를 촉발하고 있다. 특히 영화는 영화에 담겨있는 영화적인 이야기뿐 만 아니라 영화에 등장하는 배우의 뷰티, 영화적 공간의 일상 문화, 음악 등 특히, 영화음악은 관객들로 하여금 복합적인 정서로 작동되어 한국영화를 더욱 매력적인 호감의 대상으로 견인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매력적인 영화서사의 내러티브는 영상만으로는 완전하게 구축할 수 없어 배우의 사실적 연기, 다양한 영화적인 배경과 장치, 음악을 통한 스토리텔링 등이 포함되어 극적인 내러티브를 구축한다. 특히 음악은 관객들에게 영화의 스토리를 감성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심리를 자극하여 영화 서사 내러티브를 더욱 극대화하는데 적합하다. 영화 등 모든 예술장르에는 감독이 관객들에게 메시지 전달을 위해 특정 의도를 담은 탄탄한 이야기적 내러티브가 구축되어 있다. 본고는 영화가 탄탄한 스토리를 위해 내러티브를 구축하는 것처럼 영화 OST도 음악적인 내러티브 구축을 위해 관련 창작자들의 태도에 대해 사례분석, 연구하여 영화 서사 내러티브와 OST 내러티브의 상관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멜로장르의 장편영화인 <가을우체국>을 중심으로 관련 작업자들의 인터뷰와 학술적 이론, 영화의 서사, OST 내러티브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과정에서 학술적, 타 작품 작업자들과의 이견이 있을 수 있지만 본고는 동 영화를 중심으로 하는 한정적인 연구임을 밝히는 바이다. 또 선행연구들을 분석해보면 영화에서 음악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이 근거하고 있지만, 본고는 실제 창작자들의 현장적인 경험을 토대로 연구하는 질적 연구이다. 영화 OST 작업자들은 음악의 객관적 이론과 대중문화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당시의 트렌드 등과 창의적인 자기 주관이 적극 반영될 수밖에 없는 작업의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수성을 감안한 영화 OST 작업은 감독의 연출의도가 담긴 영상 과 소리가 각각의 내러티브를 가지고 있지만 결국 전체 영화 스토리 관점에서 하나의 주제로 연결된다는 작업의 관계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다 시 말해서 영화에서 재현된 영상이미지와 음악이 각각의 개체적 이미지가 아닌 하나의 통합적인 사유이미지를 재현한다는 말이다. 감독은 관객들에게 영상이미지만으로 의미 해독을 제시하기 보다는 음악과 더불어 재현되는 통합이미지를 해독할 수 있도록 OST를 보다 적극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8,000원
        9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중국 선진 시대 대표적인 경전인 시경에 나타나는 악(樂)과 화(和)사상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예”보다는 “악”에 집중하여 악이 어떤 규칙으로 완성되고 어떤 기능을 하였는지에 초점을 맞추려 한다. 음악의 규칙은 자연의 오행과 연관이 되어있는데 이런 철학적 원리보다는 음악이 어떻게 화를 이루는 수단이 되고 교화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시경에 수록된 시의 구체적인 예를 분석하기 전에 중국인들의 풍류의식과 더불어 제천 의식에서 가무의 사용을 먼저 다루고 군사나 전쟁 중에 음악이 어떤 역할을 담당했는지 고찰할 것이다. 고대 중국인은 예(禮)를 중시함 으로써 사회적 화합을 강조하는 화(和) 사상을 중요하게 여겼다. 이러한 인식은 시경의 여러 시를 통해 발견할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 시경에 가장 먼저 실린 시 관저(關雎) , 그리고 탕 왕(蕩王)을 기리는 시 나(那) 의 구체적 사례 분석을 통해 악이 어떻게 화를 추구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화를 추구하는 중국인의 사상을 시를 통해서 살펴 보고 분석하면서 예악과 화에 관한 사상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4,900원
        9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문화콘텐츠산업은 현재 각광을 받고 있지만 창의성의 유지가 매우 중요한 분야로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다른 산업과는 다른 접근방식과 대안이 필요한 분야이다. 상호호혜성의 원칙에 입각한 협동조합의 형태는 다른 산업과는 다른 문화콘텐츠산업의 창작자들에게 안정적인 시스템을 제공하고 문화적 창의성을 유지 시킬 수 있는 훌륭한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바른음원협동조합’, ‘자립음악생산조합’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산업과 협동조합의 연계 가능성에 대한 논의들을 정리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연구로 문화콘텐츠산업이 협동조합 형태로 운영될 때의 상황들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발전적인 문화콘텐츠 협동조합 형태에 대한 논의들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문화콘텐츠산업에서 협동조합 방식의 운영이 많지 않고 새로운 형태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시행착오와 한계도 확인할 수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줄일 수 있는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5,700원
        93.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발터 벤야민의 미학적 관점을 통해 인디음악씬의 작가주의적 음악인들의 예술적 세계관을 검토하려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발터 벤야민의 멜랑콜리적 사유는 꿈 혹은 잠재적인 메시아적 가능성을 인식하는 것이 핵심이다. 대상과 세계, 텍스트의 존재를 새로운 ‘원천’으로 다르게 읽어내는 이러한 알레고리적 방법론은 파국적인 일상의 보편성과 자명성을 넘어서서 인식가능한 새로운 ‘메시아적 현재의 시간’을 추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대상이 된 텍스트인 자우림의 「꿈」과 장기하와 얼굴들의 「TV를 봤네」, 그리고 브로콜리 너마저의 「졸업」은 모두 현실을 파국으로 인지하고 이와 거리를 두는 멜랑콜리적 세계관에 기반해 있다. 이들은 모두 세계를 파국적이고 무가치한 것으로 인지하는 동시에 멜랑콜리커(Melancholiker)로서 어떻게 현실을 인식하고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을 추구할 수 있는가라는 철학적 질문을 보여준다. 이들의 텍스트는 미학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의 동일시를 통해 대중예술이 가질 수 있는 인식론적 가능성과 사유를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6,400원
        9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인 『음악과 민족』, 『음악과 문화』, 『서양음악학』, 『음악논단』, 『음악이론연구』, 『이화음악논집』, 『音.樂.學』, 『음악이론포럼』 등 8개 국내 음악학 전문학술지를 대상으로, 음악이론의 연구경향(2006-2015)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국내 음악이론 논문들의 간행시기별 빈도 분석, 연구주제 영역 분석, 연구방법 분석, 학술지별 특징 분석 등을 통해, 음악학에서 차지하는 음악이론의 비중, 연구의 주요 흐름, 주된 연구방법 등 국내 음악이론 연구의 의미 있는 추이들에 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첫째, 8개의 음악학 전문학술지에서 음악이론 연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4.8%으로, 각 학술지 별로, 33.3%(『음악이론포럼』)에서 2.3%(『음악과 민족』)에 해당했다. 둘째, 음악이론 논 문은 각 학술지 별로 28.4%(『서양음악학』)에서 2.8%(『음악과 문화』)을 보유했다. 셋째, 지난 10년간, 음악이론의 게재 비중은 18.9%(2011년)에서 11.1%(2013년)을 보였다. 넷째, 음악이론 연 구의 주제 영역을 음악이론사적 배경에 따라 13개 분야로 구분했을 때, “음악의 의미·내러티브이 론”(17.0%)을 필두로 4개 영역에 60.2%의 연구가 집중되어 있었다. 다섯째, 음악이론의 연구방법 을 분석적, 이론적, 교수법적 고찰로 분류하였을 때, 71.0%가 분석적 고찰을 따랐다. 여섯째, 음악 이론가 3명의 연구가 전체 음악이론 연구의 23.3%를 차지했다. 일곱째, 음악이론 연구의 95.5%가 단독연구로서 진행되었다. 여덟째, 음악이론 연구의 13.1%는 연구비 지원에 따른 결과물로, 연구자 들은 『서양음악학』(30.4%)과 『음악이론연구』(30.4%)에서의 게재를 선호하였다. 음악이론의 연구경향에 관한 고찰은 음악학에서 차지하는 음악이론의 학문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국내 음악이론 연구의 총체적인 변화를 깊이 있게 조망하기 위한 방법이 되며, 나아가 학문의 발전적 측면에 대한 모색을 가능하게 한다. 국내에서 음악이론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학문적으로 연구하게 된 것은 오랜 역사는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결과가, 음악이론에 대한 교육의 현장이나 연구영역에 있어, 우리나라 음악이론 전공자들 및 음악이론가들에게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 마련’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제공해주길 기대하는 바이다.
        9,800원
        9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전통인 ‘웃음’이 한국 근현대 예술음악에서 어떻게 현전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그 연구의 중심 대상을 한국 창작 희극오페라로 제한하였다. 고찰의 대상이 된 작품은 한국 오페라 수용사에서 성공적인 수용을 기록한 희극오페라들인 《춘향전》, 《결혼》, 《시집가는 날》, 《천생연분》, 《봄봄》이다. 또한 비극오페라에 내재된 한국적 웃음문화의 특성을 배제하지 않았으며, 그 대표적인 예시로 비극적인 전쟁 오페라 《산불》에 나타난 전통 웃음의 특성인 ‘웃음으로 눈물 닦기’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크게 두 가지 유형의 성격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 첫째는 한국특유의 해학과 풍자이다. 고전을 음악화한 오페라 《춘향전》이 여러 작곡가들에 의해 각각 다른 희극적인 어법으로 작곡되어 있었으며, 대표적인 해학 예술인 『맹진사댁 경사』 또한 홍연택의 《시집가는 날》과 임준희의 《천생연분》에서 각각 날카로운 풍자와 밝은 해학과 같은 다른 성격을 가진 오페라로 작곡되는 등 시대적 감성에 따라 차별화된 수용이 나타난다. 두 번째 유형은 청중을 자기성찰적인 비평적 인식으로 유도하는 웃음이다. 실내 오페라인 공석 준의 《결혼》과 이건용의 《봄봄》에서 이러한 웃음이 추구되었으며, 각각 유머적, 해학적 웃음을 통해 물질적인 삶의 우스꽝스러움을 조명하거나, 부조리한 상황에 대한 자기성찰로 청중을 유도하고 있다.
        8,100원
        96.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 process of the way music service changing from download to streaming with the improvement of internet technology, digital sound transmission was regulated as a sub-concept of public transmission that is separated with transmission and broadcasting through copyright law revision in 2006. While the scale of digital sound transmission copyrights collecting is steadliy increasing the rate of its settlement distribution is not, as it is applied to the field of bankground music in shop service way of internet streaming.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reason why the rate of digital sound transmission settlement distribution is not increasing in the same league as the increasing rate of its copyrights collecting and to propose an improvement for the rate of increasing its settlement distribution.
        3,000원
        97.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웨덴 출신의 밴드 더티 룹스(Dirty Loops)는 퓨전재즈 장르와 신디사이저의 난이도가 높 은 결합을 보여주는 대표적 팀으로, 본 논문은 더티 룹스의 곡 중 퓨전 재즈 장르인 ‘Hit Me’를 통해 신디사이저와 장르음악과의 결합사례를 분석했다. 음악적인 측면에서 이 곡은 G 리디안 진행의 근음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토널 센터와 #4음의 강조, 다양한 방식의 모달 인 터체인지 코드들을 활용하여 곡의 난이도를 높이고, 변박과 당김음을 적극 활용하여 리듬의 다양성을 보여주려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스 활용 측면에서는 다이내믹을 강조하 기 위해 피아노와 톱니 파형을 이용한 사운드 레이어링 기법과 벌스의 주선율을 뒷받침해주는 플럭사운드, 오토메이션을 활용한 다양한 필터링 및 덕킹사운드 효과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활용 기법을 보여줌으로서, 기존 퓨전장르와는 다르게 음향적 세련미를 연주에 부여하고자함 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기기타가 없는 밴드의 특수성을 신스사운드로 어떻게 대체하고 보완 하는지 살펴보았고 이 연구를 통하여 장르음악 중 특히 그룹사운드 내에서의 신디사이저 활용 에 효율적인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4,900원
        98.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성범죄 수형자의 심리사회적 변화를 위해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 실시하여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나타내는 표본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우울조사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감지되었다. 개인의 심리정서적 측면에 해당되는 우울 정도는 음악치료를 통해 변화를 보일 가능성에 대한 증거를 보여 준 것이라 할 수 있다.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연구대상자들 가운데는 음악치료가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우울과 분노, 불안이 높아지고, 자아존중감과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이 오히려 낮아진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현상을 보이는 연구대상자에 대해서는 집중적인 관찰의 필요성과 그 이유에 대한 원인 파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음악치료프로그램의 만족도 조사에 대해서는 연구대상자들 대부분이 음악치료에 대한 소감이 매우 좋았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음악을 중재로 한 치료프로그램은 성범죄 수형자의 심리사회 재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범죄 수형자의 재범 방지를 위해 음악치료의 필요성과 방법론적인 접근법을 제시하는 데 함의를 도출하였다.
        6,400원
        99.
        2017.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ignature” project is the result of several years of study and research in the field of interdisciplinary artistic fields and phenomenology of contemporary fashion, identity, body as a means in fashion and performative arts, and the post-human condition of the body in performance. In contemporary fashion, the clothing item is morphed into a completely new identity. The real body is transformed by clothes, as well as by other forms (prosthetics, plastic surgery), called human extensions. The evolution of the body and clothes enshrining it represents a spectre of methods, theories and styles in line with every author presented in the “Signature” project. For them, the body should be in harmony with its inner and outer surrounding, since it has a need to intervene and change its nature. We live in a hyper-consumerist society in which everything is reduced to recycled, revitalised images of past historical styles. It all becomes personal styles and yet it still represents in our “spectacle” society. At the Signature exhibition of the Arts Association and Lidija Fistrek as a author, held at the Technical Museum in Zagreb in 2013 and 2016 at the Design Week in Zagreb, four Croatian fashion designers’, performance artist’s, sculptures, music producers works were presented. To these designers, clothing represents a medium, which enters visually into our consciousness and becomes significant as we communicate in nonverbal manners. The approach to clothing and bodies as mediums vividly shows how each author leaves his/her recognisable signature. The body itself, and its personal lifestyle-reflecting appearance, is already visually pre-construed. It needs to dress, to change styles, to intervene and redesign its own „natur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inner and outer environment. Fashion designers use the body surface in various ways as a territory for inscription, which erases in a rather appealing way the boundaries of belonging and offers an opportunity to leave a personal signature mark on their original work.
        100.
        2017.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in real art galleries in Lisbon to explore whether the experience lived at an art gallery with or without music background may positively influence behavioral intentions directly or through the positive emotions and the memory created. A total of two hundred and eighteen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the seven art gallery. Findings reveal that the intentions to recommend and encourage others to visit the art gallery is a function of pleasant arousal and memories. In this study we also show the influence of background music in helping encoding the information provided by stimuli, which induce visitors to incentive others to visit the art gallery.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