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yperoxaluria is a disorder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renal stones, one of the most common conditions. For people with hyperoxaluria, there are a limited number of effective therapeutic op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n oxalate-degrading enzyme, oxalate decarboxylase (OxdC), can inhibit crystallization of calcium oxalate (CaOx) in vitro, and whether it can prevent nephrolithiasis caused by CaOx induced by ethylene glycol (EG) in rats. When OxdC was applied at various concentrations to CaOx in vitro,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crystallization of CaOx. The OxdC was found to inhibit crystal formation as well as the formation of crystals that had sharp edges. In animal experiments, rats that had been treated with EG showed impaired renal filtration functions, as well as increased deposition of CaOx crystals and the creation of kidney stones. It has been found that oral administration of OxdC to rats with chronic EG-induced nephrolithiasis that is characterized by CaOx intratubular crystal deposits with hyperoxaluria dramatically reduces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point to a potential therapeutic approach for treating human hyperoxaluria as well as CaOx nephrolithiasis that could be achieved by the oral administration of OxdC.
        4,000원
        2.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uring the operation of a nuclear power plant (NPP), corrosion products called CRUD (Chalk River unidentified deposit) accumulate on the surface of the primary system. The CRUD components of pressurized light water reactors or heavy water reactors, represented by (NixFe1-x)(FeyCr1-y)2O4, are composed of Fe3O4, NiFe2O4, FeCr2O4, NiCr2O4, etc. Radionuclide such as Co-60 are deposited within this CRUD, so the entire deposited material must be dissolved and removed for decontamination. Chemical decontamina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contaminate a wide metal surface, but has the disadvantag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secondary waste. Recently, chemical decontamination methods that add an electrodynamic process are being studied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This technology is a method of dissolving CRUD by applying an electric field in the anodic compartment of a cell separated by CEM. It is a method of accelerating CRUD dissolution by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hydrogen ions in the anodic compartment. Dissolved metal ions pass through the CEM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move to the cathodic compartment (pH > 12), where they are removed by adsorption or precipitation process. Therefore, the speci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decontamination agent (oxalic acid) and metal ions are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peciation characteristics of Fe(II), Ni(II), Co(II) - oxalate, which are important complex species in CRUD dissolution cells. The thermodynamic equilibrium constant for hydrolysis of each ion and of M(II)-oxalate were collected and specia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the MINEQL 5.0 program. From the speciation characteristics of M(II)-oxalate, effective radionuclide removal methods in an electrodynamic cell were considered.
        3.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헤이워드 다래나무의 비정상 생장 관련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건전 개체와 비건전 개체 간의 물리·해부학적 특성 및 Calcium Oxalate 형성 특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두 집단 간 밀도와 함수율 등의 물리적 요인과 연륜폭, 도관직경, 도관비율, 방사조직 높이와 너비 등의 해부학적 특성 요인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모든 요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Calcium oxalate 결정은 주로 수피 부분에 여러 개가 다발형태로 다수가 존재하였으나, 도관 주위에서는 출현율이 낮았고, Pith와 목질부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Calcium oxalate 결정체는 건전개체(9.0 ×106/g개) 보다 고사가 진행 중인 비건전개체(10.4×106/g)에서 유의적으로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0.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ltrafine TaC-5%Co composite powders were synthesized by spray conversion process using tantalum oxalate solution and cobalt nitrate hexahydrate(Co( . 6). The phase of Ta-Co oxide powders had amorphous structures after calcination below 50 and changed , and phase by heating above . The calcined Ta-Co oxide powders were spherical agglomerates consisted of ultrafine primary particles <50 nm in size. By carbothermal reaction, the TaC phase began to form from 90. The complete formation of TaC could be achieved at 105 for 6 hours. The observed size of TaC-Co composite powders by TEM was smaller than 200 nm.
        4,000원
        12.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로사이트 내의 SO4는 다른 산화음이온으로 치환될 수 있는데 자로사이트가 침철석으로 전이되는 과정은 공침된 산화음이온의 거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산화음이온과 함께 공침된 자로사이트가 환원성 용해에 의하여 상변화를 거칠 때 산화음이온 종에 따른 상변화의 양상과 이와 수반된 산화음이온의 거동을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으로 연구하였다. 다섯 가지의 산화음이온이 SO4를 5 몰% 치환한 자로사이트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암모늄 옥살레이트를 이용한 환원성 용해 시 일어나는 자로사이트의 광물상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자로사이트의 침철석으로의 전이 속도는 MoO4-자로사이트 ≥ SeO4-자로사이트 ≥ CrO4-자로사이트 > 순수한 자로사이트 > SeO3-자로사이트 > AsO4-자로사이트의 순서를 보여 치환된 산화음이온에 따라서 자로사이트의 상전이 속도가 다름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른 Fe의 용출은 시간과 산화음이온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광물의 변화에 따라 용출되어져서 나온 각 산화 음이온의 농도는 전체적으로 Mo > Se(SeO3) > As > Se(SeO4) > Cr의 농도 순위를 보였으며 시간에 따라 약 간의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광물상의 변화보다는 산화음이온 종류의 특성에 의한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 결과는 산화음이온의 종류에 따라 자로사이트의 침철석으로의 변화는 영향이 있었으나 이러한 경향이 용출되는 산화음이온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13.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가시나무 열수 추출물은 강한 항산화제로 xanthine oxidase반응을 억제하며 uric acid생성에 영향을 주어 alfacalcidol과 ethylene glycol로 결석이 유도된 흰쥐에 따르는 혈중 및 뇨의 위험요소 감소시킨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강력한 이뇨제인 furosemide군과 비슷한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참가시나무 잎 열수 추출물은 신장결석 예방과 치료를 위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14.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설재배가 증가하면서 토양 중 특정 양분이 축적되고, 이로 인하여 과잉양분에 의한 작물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시험은 염 스트레스 조건하에서 토마토의 양분흡수와 흡수된 염의 집적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립농업과학원 유리온실에서 수행하였다. 펄라이트에서 발아된 완숙토마토(품종 : 선명, 농우바이오) 건묘를 선발하여 Ross 양액에서 20일간 생육시킨 후, Ross 양액과 NaCl 및 CaCl2를 50 및 100mM로 2주간 처리하였다. 따라서 토마토 유묘를 대상으로 하여 염 종류 별 식물체 내 양분흡수 이동과 염 집적 형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염 처리 2주후에 토마토 유묘를 채취하여, 부위별(잎, 줄기, 뿌리)로 무기성분(Ca, Na)을 분석하고, 염의 집적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묘 잎을 Spurr 방법으로 전처리 한 후, SEM으로 집적형태를 관찰하였다. 토마토 유묘의 초장은 염 처리에 의해 크게 저해되었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육억제효과는 더 컸다. 염류종류에 따라 무기성분의 흡수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NaCl이 처리된 토마토는 줄기에 다량의 Na가 축적되었으며, CaCl2가 처리된 토마토는 잎에 다량의 Ca가 축적되었다. 각 부위별 무기성분함량은 무처리에 비해 약간씩 높았다. 식물체내 염의 집적형태로 Ca-oxalate crystal이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시험에서도 Ca-oxalate는 처리조건에 상관없이 관찰되었는데, 집적정도는 염 처리에 의해 다소 증가하였으며, 특히 잎의 해면조직과 뿌리의 피층 부분에서 다량이 존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