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rban areas in watersheds increase the impervious surface, and agricultural areas deteriorate the water quality of rivers due to the use of fertilizers. As such, anthropogenic land use affects the type, intensity and quantity of land use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amount of substances and nutrients discharged to nearby streams. Riparian vegetation reduce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entering the watershed and mitigate the negative impacts of land use on rivers. This study analyzes the data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rough point data measured twice a year in spring and autumn in 21 selected damaged tributary rivers within the Han River area, and then us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determine the area land use. In the negative impact on water quality, the mitigation effect of riparian vegetation was estimate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gricultural area and water quality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urban area, and the area ratio of riparian veget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water quality.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agricultural areas had a negative effect on water quality in all models, but th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urban areas. As a result of the model estimat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BOD, COD, TN, and TP showed a mitigation effect due to the accumulation effect of river water quality through riparian vegetation in agricultural areas, but the effect of riparian vegetation through riparian vegetation was found in urban areas. There was no Thes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having a fairly low distribution rate in urban areas, and in the case of the study area, there was no impact due to riparian forests due to the form of scattered and distributed settlements rather than high-density urbanized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judged to be unreasonable to generalize by analyzing the rivers where most of the agricultural areas are distributed, and a follow-up to establis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expanding the watershed variables in urban areas and encompassing the variables of various factors affecting water quality research is required.
        4,000원
        2.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낙동강하굿둑 개방으로 인한 하구 인근의 식생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현재 식생에 대해서 조사하고, 하구수변식생평가지수를 통해서 식생의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장기모니터링의 첫 번째 조사로 낙동강하구 인근의 6개 구역에 대해서 2021년 7월과 10월 2차례 수행하였으며, 식생모니터링 및 수생식물, 수변식물, 육상식물의 종조성, 분포밀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구역 내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82과 192속 230종 1아종 28변종 3품종 262분류군으 로 파악되었다. KREVI를 통한 식생건강성 평가 결과는 1, 6번 구역이 두 차례 조사에서 모두 ‘매우 좋음’ 등급이었고, 2, 4번 구역은 ‘매우 좋음’에서 ‘좋음’으로 2차 조사결과가 낮게 산정되었으며, 3, 5번 구역은 1차 조사에 비해 2차 조사결과가 1등급 상향되었다. 조사구역 대부분의 건강성 등급이 대체로 높게 평가되었다. 기수역 조성을 위한 수문개 방 후 잠재자연식생의 대부분은 갈대군락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수역과 인접한 버드나무군락의 경우 다소 면적이 좁아질 수 있으나 군락 형태를 유지하고, 염분농도가 매우 낮은 내륙지역 담수역의 경우 갈대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일부 물억새, 부들 등의 군락이 분포할 것으로 사료된다. 장기모니터링을 통해 이런 예상되는 변화를 관찰하 며, 건강한 기수역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하굿둑 개방 운영방안 등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800원
        6.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금강의 하천관리의 실질적인 자료를 얻고자 본류와 미호천의 30지소에서 수변식생지수를 이용하여 건강성평가와 다변량식생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금강본류와 미호천에서 출현한 식물군락은 54개이었고, 식물상은 75과 185속 243종 2아종 21변종 2품종 268분류군이었다. 수변식생지수는 평균 38.3(3.3;G-D1 ~ 66.7;G-U2, G-U4, G-M3)으로 이 지역의 하천의 건강성은 보통(C등급)으로 평가되었다. 하천의 건강성은 금강본류의 상류가 가장 높았고, 금강본류의 하류에서 가장 낮았다. 수변식생지수와 수질의 클로로필-a의 함량과의 관계는 관련성이 낮게 나타났다. 집락분석결과, 식생은 바랭이군락 그룹, 갯버들군락 그룹, 개망초군락 그룹, 환삼덩굴, 버드나무, 물억새 그리고 달뿌리풀 군락이 우점하는 그룹, 망초와 물피 군락이 우점하는 그룹 등의 5개 집단으로 나누어졌고, 지소들은 비슷한 건강상태를 갖는 것들끼리 가까이 나타났다. CCA분석결과, 식생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은 식생면적, 인공구조물 면적, 수로면적, 지점폭, 수로폭, 제방높이 등의 물리적인 조건과 생물학적 요인의 출현종수였다. 이상과 같이 하천의 건강성이 높은 지역은 모니터링을 통하여 하천 식생의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고 건강성이 낮은 지역은 생태복원과 같은 적극적인 시행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500원
        8.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둑중개가 서식하는 장소의 식생 환경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물푸레나무군락, 버드나무-신나무군락, 갯버들-달뿌리풀군락, 갯버들군락, 달뿌리풀군락, 아까시나무군락, 고마리-미나리군락이 분류되었다. 특히 물푸레나무군락, 버드나무군락, 갯버들-달뿌리풀군락, 갯버들군락이 고빈도로 관찰되며, 최고빈도 식물군락은 갯버들-달뿌리풀군락이다. 식물사회는 제방권에서 물푸레나무군락과 버드나무-신나무군락으로, 고수부지권에는 갯버들-달뿌리풀군락으로 대표되었다. 하천복원의 적용 우선대상 순위인 식물종의 상대기여도는 제방권에는 느릅나무, 버드나무, 신나무, 갯버들, 물푸레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고수부지권에서는 갯버들, 달뿌리풀, 쑥 순이었다. 식생의 공간분포는 하천 단면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입지의 물리적 안정성으로 이해되었다. 식물종다양성 역시 입지의 물리적 안정성 정도에 따라 확연히 구별되었다.
        4,000원
        9.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한강 상류 평창군 일대의 하천을 대상으로 1999년 10월-2000년 8월까지 4차례에 걸쳐 Braun-Blanquet의 방법으로 수변식생의 구조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또한 현장에서 채취한 토양을 분석하여 하천주변의 식생과 토양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평창군 일대의 하천에서 출현한 식물은 46과 128속 144종 26변종으로 총 170종이 출현하였으며, 대표적인 하천식생 군락으로 갯버들군락, 달뿌리풀군락, 고마리군락, 뺑쑥군락이 분포하고
        4,200원
        10.
        200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하반식생이 일정 지역에 정착할 때 밀접하게 관여하는 토양환경에 주목하였으며, 특히 하반 미지형 이라는 특수 지역에서 생각할수 있는 미지형 형성의 토양구조와 하반미지형이 식물에 미치는 토양수분, 그리고 식생과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결과 각 미지형마다 그 퇴적상태가 다르며 이에따라 하반식생도 달리 나타났다. 또한 모두 조사구에 서 모래층 밑에는 반드시 자갈층의 단계를 반복하고 있는데 이는 반복된 과거의 홍수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미지형을 고려한 식생을 도입하여야 하며, 토양수분과 지라수위와 식생과의 관계는 하천마다 다르므로 현지 지형에 맞는 식생 도입이 요구된다. 앞으로 보다 지속적, 장기적 현장조사와 하천 수문, 수리학적 data의 축정에 따른 하반식생과 입지환경요인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의 축적이 필요하며, 이에 기초한 식생호안공법의 개발이 향후과제라 할 수 있다.
        4,000원
        11.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를 대표하는 모래하천 낙동강에서 하안식생의 분포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경상북도 안동시의 낙동강 일대에서 자연제방 5곳을 실험구간으로 선정하고 84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식물상, 식생피도, 평수위기준상대고도, 토양의 수분함량, 유기물함량, pH, 전기전도도 및 토성분석을 실시하였다. 식생단면조사의 피도값과 환경자료를 바탕으로 정준대응분석(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각 식물종은 평수위기준상대고도, 유기물함량, 모래함량 등에 의하여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하천의 식생분포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환경인자는 평수위기준상대고도로 나타났다.
        12.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하천에서 사주 상 식생 활착 현상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196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 이전 우리나라 하천은 모래, 자갈이대부분인이른바 'White River (백사장하천)'이었으나, 1970년대이후댐건설, 하천정비등으로유황과유사이 송특성이 교란되어수변에 식생이번무하게 되는이른바 'Green River (식생하천)'가진행중이다. 본 연구는비조절하천사주 상 식생활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에서 수위, 수온, 강우, 토양수분, 토양입경 등의 상호연관
        13.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변구역에 분포하는 식물상 및 수생태계의 군집구조 규명과 하천유역의 생태계 변화 예측을 통한 수생식물군락 보전대책 수립을 위해 거창군 위천강 유역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조사구간을 통틀어 분포하고 있는 관속식물은 총 67과 161속 162종 27변종 3품종 총 192종류로 목본류 보다 초본류의 출현종 수가 높게 나타났다. 정수식물과 부엽식물대는 조성되지 않았으며, 습생식물로는 고마리, 여뀌, 닭의장풀, 산둑사초, 갯버들, 키버들, 달뿌리풀, 미나리 등이 확인되었다. 식물군락으로는 대표적인 우점군락은 달뿌리풀 군락이었고 다음으로 갯버들 군락이 형성되어 있었다. 5개의 조사지점을 분석한 결과, 달뿌리풀, 수크령, 산둑사초 등의 중요도가 높았으며, 종다양성지수는 0.890~1.337, 군집유사도는 0.33~0.60을 보였다. 조사대상지는 농경지, 답압, 가축방목, 돌망태, 콘크리트 옹벽 등의 호한공사 등에 의한 다양한 교란요인에 노출되어 있었으며, 강우에 의해 유실되는 토양이 하상 내 광폭부를 중심으로 일시적인 퇴적지를 형성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퇴적토사를 제거하고, 미나리, 갈대, 부들 등 수질정화수종 조성 및 수변구역 식생안정화 유도 및 수질을 정화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낙동강 상류에 위치한 안동, 임하 댐 하류 하천에서 두 댐에 의한 충적하천의 변화와 식생이입 현상을 정성적, 정량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하천형태 및 하상재료 분석 결과, 댐 하류는 전반적으로 저하되었고 일부 구간은 최대 3m 이상 세굴 되었다. 하상재료도 전반적으로 임하댐 건설 전 평균 1.5mm에서 건설 후 2.5mm로 조립화되었다. 댐 건설로 인한 하상소류력의 감소는 사주에 식생 활착을 촉진시켰으며, 그 결과 사주의 식생이입률은 1971년 자연
        15.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parian vegetation gives basic habitats for animal and other biological organisms. It is one of essential landscapes in river ecosystem. This floral study was conducted to give basic information for management of the Geum river ecosystem. We discovered total 69 plant communities out of 40 sites studied and mean 8 plant communities were analysed per study site. Salix koreensis and Salix subfragilis community were dominant of all communities at tree layer and Salix gracilistyla and Rubus parvifolius were dominant communities at shrub layer. Phalaris arundinacea, Phragmites japonica, Miscanthus sacchariflorus an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ppeared most as perennial grasses and Humulus japonicus, Persicaria thunbergii and Persicaria hydropiper appeared most as annual grasses. Robinia pseudoacacia, Amorpha fruticosa and Bidens frondosa were frequently present as exotic species. Grass communities were higher than tree communities because of human disturbance by artificial banks. The number of species was 182 appeared as 53 families 144 species, 34 varieties and 4 forma and mean species number was 25.5 per site. The most abundant site was Yanggang bridge site (14 vegetation association, 49 species) and the least abundant site was Namdaechon, Muju site (3 vegetation association, 12 species). We suggest that continuous riparian vegetation monitoring should be carried out to manage water environment ecologically.
        16.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quatic and riparian vegetation of river ecosystems are very important both in ecological and management perspectives. Vegetation survey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iparian vegetation in the mid and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Korea. A total of 68 families and 260 species were identified at eleven survey sites. The numbers of taxa were similar to those reported in a previous survey in 1996,but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plants increased more than two times compared to that in the previous survey. Survey sites near Yangsan Bridge and Nambu Park in Yangsan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Urbanization indices of the survey sites were high at 18.8% on average. Therophytes were the most dominant plant life form at the survey sites with 39.2% of total plants identified, followed by phanerophytes (19.2%), hemicryptophytes (18.9%), aquatic plants (13.9%), cryptophytes (5.8%), and chamaephytes (3.1%). The relative composition of hemicryptophytes decreased whereas those of therophytes and chamaephytes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survey in 1996. This may be due to increase in dryness of riparian soils or degradation of riparian areas. Plant compositions at sites near Jeokpo Bridge and Hwoicheon suggest that the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riparian vegetation are affected by land use pattern surrounding riparian areas or human accessibility to the areas.
        17.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classify and describe the riparian vegetation of the 6 river·stream of Korea Peninsula. As a result the vegetation was divided into nineteen communities. The vegetation uni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 A: Salix koreensis community, B: Salix gracilistyla community, C: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D: Amorpha fluticosa community, E: Brousonnetia papyrifera community, F: Phyllostachys bambusoides community, G: Rubus corchorifolius community, H: Phramities japonica community, I: Phramites communis community, J: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K: Miscanthus sinesis var. purpurascens community, L: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community, M: Humulus japonicus community, N: Zoysia japonica community, O: In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community, P: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community, Q: Juncos effusus var. decipiens community, R: Rumex crispus community, S: Persicaria hydropiper community.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riversides was recovered in the surveyed results according to river·stream basin, in other words, 10 communities in the upper river·stream riparian, 15 communities in the middle river·stream riparian, 10 communities in the down river·stream riparian. The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in the upper and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in the down was analyzed by common community of the 6 river·stream riparian, respectively, but none in the middle. The standing profile of vegetation across 6 river·stream was seen stepwise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Salix gracilistyla community,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community, shrub community by natural waterway in the upper, Salix gracilistyla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Rumex crispus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Humulus japonicus community in the middle,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in the down. The differences of distributional featurs of vegetation emerged from the riparian of the 6 river·stream, but don't from the 6 river·stream.
        18.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CA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was used so a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vegetation and soil environment of Mankyeong river located in Jeollabuk-do. Vegetation survey consulted 1:5,000 topographical map, set up 30 plot and analyzed from June, 2001, to september, 2001. Plant communities of Mankyeong river was investigated by phytosocialogical method. The species composition of plant communities showed high correlation to soil pH, soil organic matter, P2O5, total nitrogen, EC, when they were analyed by CC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CA hydrophyte communities were distributed in the region that high pH. But the vegetation of disturbed site and wetland plants were distributed in a good nutr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