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 주거문화의 특성을 반영한 가정환경개선 평가항목을 개발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문헌검색을 통해 기존 평가도구의 문항을 고찰하고, 전문가 그룹의 토의 및 서술식 의견수렴 과정을 통해 초기 문항을 작성하였다. 수정된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총2회기의 전문가 패널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가정환경개선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13명의 작업치료사 및 작업치료학과 교수를 대상으로 문항적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1차 델파이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위원회를 통해 문항 수정을 하였고,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개발된 항목들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 평가문항은 주거양식에 따라 공동주택형과 단독주택형의 2가지의 다른 항목들을 개발하였다. 공동주 택형은 9개 영역의 56문항 이었고, 단독주택형은 10개 영역의 62 문항이 선정되었다. 공동주택형 문항의 내용타당도는 .99, 안정도 .12, 수렴도 .26, 합의도 .89이었고, 단독주택형 문항의 내용타당도는 1.00, 안정도 .11, 수렴도 .28, 합의도 .72이었다.
결론 : 본 연구는 한국의 주거환경 및 생활양식을 반영하여 노인의 가정환경을 평가하는 항목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형 가정환경개선 평가항목이 추후 지역사회 가정환경개선 서비스에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distant-water longline fishing vessels in the Pacific Ocean and the gap in efficiencies among individual vessels. In order to estimate the efficiency, the dependent variable is set as an amount of catch and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number of crew, number of hooks, number of vessel size, and vessels engine power associated with fishing activities of distant water longline fisheries. Analytical result was shown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fficiency of distant-water longline fishing vessels in the Pacific Ocean was found to be 94%. Second, the number of hook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ach input variable and the appropriate control of the number of hooks would b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fficienc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of a vessel and the efficiency was not found statistically.
This study applied the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to estimate which independent variable affects to efficiency of aquaculture household. This study used wage and facility scale as input variables, sales volume as an output variable to estimate efficiency. Also, the study used region, species, water quality to estimate technical inefficiency factors of the model.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ere obtained by the operating costs survey using 1:1 interview method.
The study selected translog production model with technical inefficiency term estimated as half-normal distribution. In addition, the study used pearson an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efficiency estimating models. Also, the study analysed differences among estimated efficiencies through t-test, and showed us 0.1793 in species, 0.4677 between Geojae and Masan.
목적 : 본 연구는 한글판 School Function Assessment (SFA)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한 목적으 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35명의 지적장애 아동과 14명의 전반적 발달장애로 진단 받은 초등학생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글판 SFA의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적응행동검사(Korea Adaptive Behavior Scale; K-ABS)와 사회성숙도(Korea-Social Maturity Scale; K-SMS)를 준거로 비교하였다. 또한 한글판 SFA가 지적 장애 아동과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을 판별할 수 있는 도구로서 적합한지 알아보 기 위하여 판별분석을 통하여 두 집단 간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글판 SFA의 검사- 재검사 신뢰도 및 측정자간 신뢰도 검증을 통하여 한글판 SFA의 신뢰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 준거타당도 연구 결과 한글판 SFA는 K-ABS (r=.84)와 K-SMS (r=.77)와 높은 정적 상관관계 를 보였다. 한글판 SFA의 점수를 바탕으로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적장애와 전반적 발달장애를 유의 미하게 판별할 수 있었다. 신뢰도 검증 결과 검사-재검사 신뢰도 (r=.83∼.95)와 측정자간 신뢰도 (r=.75∼9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이 산출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한글판 SFA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시한 것과 더불어 임상 및 학교 에서 치료 계획 및 중재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타당한 도구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목적 : 본 연구는 평가도구 SFA(school function assessment)를 이용하여 저학년, 고학년의 차이에 따른 학교생활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 연구방법 : 2013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일반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만 5~12세의 남아11명, 여아 13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부모와 담당교사와의 관찰 및 면담을 동의한 자에 한하여 실시하였으며 저학년과 고학년의 학교생활의 기능적 과제 수행을 비교하였다.
◉ 결과 : 고학년이 저학년에 비해 학교생활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이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항목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영역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영역Ⅱ와 영역Ⅲ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더 높은 학교생활의 과제 수행 능력이 요구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좀 더 많은 대상으로 한 학교생활 기능적 과제 수행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According to the rapid evolu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salesperson's business efficiency and faster information sharing within the enterprise that need to improve competitiveness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In general, many companies has been managed the sales through the ERP system. However, the ERP informations as a result of operating activities can not perform customer maintenance activities from strategic planning. Therefore, a series of sales activities information as corporate intellectual assets is needed strategic business solutions for managing it. In this study, the web-based SFA systems were designed for salesperson. Salespersons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business through management and improvement activities of sales information. The systematic customer information management contribute to improving the company's revenue through improved customer service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