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produce super sweet corn sikhye, substituted for sweetener, the ratio of rice and super sweet corn was adjusted and processed with complex enzymes during saccharification, and thei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were analyzed. The soluble solid content of the control and Corn-5 showed significantly high content at 13.50 °Brix, and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Corn-5 showed the highest content at 9.45%. The control showed the lowest free sugar content among all the experimental groups, excluding maltose content. In the enzyme-treated corn sikhye group, as the amount of super sweet corn increased, the content of sucrose decreased and the contents of glucose and fructose increased. The content of ascorbic acid and polyphenol compounds increased as the amount of super sweet corn increased.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increased with increasing ratio of super sweet corn and enzyme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In the case of sensory evaluation, Corn-3, which substituted 30% of super sweet corn for rice and treated with enzymes, showed higher evaluations in taste, sweetness, and overall preference than those of the control.
        4,000원
        2.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khye is a traditional rice beverage, produced from steamed rice, barley or wheat malt and water. Nine varieties of barley and seven varieties of wheat cultivar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quality characteristics, diastatic power, and activities of α- and β-Amylase. For barley malt, the crude lipid and protein content of malt 1.74~2.42% and 10.71~14.36%, respectively. Also, the crude lipid and protein content for wheat malt 1.57~1.71% and 10.07~13.59%, respectively. The ‘Dahyang’ barley showed the highest diastatic power with 117.61 °L, while for wheat, ‘Baegjoong’ produced the highest diastatic power with 85.25 °L. The enzymatic activities, α- and β-Amylase for barley cultivar was 110.17~214.70 μnit/g and 869.73~1,638.43 μnit/g, respectively. Likewise, α- and β-Amylase for wheat cultivar was 73.19~132.23 μnit/g and 726.70~ 889.30 μnit/g, respectively. The highest sugar content of Sikhye from barley was 11.10 °Bx (‘Hyeda’), while from wheat, was 10.20 °Bx (‘Baegjoong’). Among the four free sugar components analyzed from Sikhye, maltose was the highest in all cultivars. The highest maltose content was produced in ‘Dahyang’ Sikhye at 6.91%.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correlation among the diastatic power and enzymatic activities of malt and free sugar components in Sikhye.
        4,000원
        3.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 the hangover relieving drink market has been expanded, there have been efforts to produce traditional drinks that can be easily taken through reducing material costs after finding materials with high alcohol-degrading activity from agricultural products and manufacturing drinks in a way to produce sikhye. Studies were made to know quality, the ability to relieve hangover and preference of drinks for which seven kinds of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shiitake mushrooms, were added in the forms of fresh juice, extracts and powder. Farm products showed the highest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when they were added in the form of powder before saccharification and shiitake mushrooms showed the highest enzyme activity when they were added in the form of powder. When added in the form of powder, people showed the lowest preference except when radish and hericium erinaceum were added. When bear puree was added to a mixture of powdered shiitake mushrooms, radish, bean sprouts and dadagi cucumber, enzyme activity got higher and people showed higher preference. An experiment of animal behaviors showed that the mixture had a high ability to relieve hangover in one or two hours after 10% or 40% alcohol was orally administered to mice due to long traveling distance of mice.
        4.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늘을 이용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식혜를 제조 조건을 확립하고자 동결건조한 생마늘 분말 및 증숙마늘 분말을 마늘식혜 제조 시 농도별로 첨가하여 당화 1, 3, 6 시간 후 시료를 취해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마늘 식혜의 pH는 당화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생마늘 및 증숙마늘 분말을 첨가한 식혜는 대조구에 비해 알칼리화 되는 경향이었고 증숙마늘 분말 2% 첨가군(6.65±0.56)이 가장 높았다. 당화 1시간 후 당도는 1.60±0.10~ 2.03±0.06 brix에서 당화 6시간 후에는 3.60±0.2 brix 이상으로 높아졌으며, 마늘분말 첨가군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당 함량은 마늘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더 높았고, 당화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환원당은 총당과 유사한 경향으로 당화 1시간에는 마늘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나, 당화 6시간 후에는 대조군이 7.20±0.10g/100 g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탁도와 착색도는 당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마늘 식혜의 관능평가 결과 당액의 색은 대조군이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 마늘냄새는 증숙마늘 첨가군보다 생마늘 첨가군이 더 높았다. 감미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군과 마늘분말 첨가군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생마늘 및 증숙마늘 분말의 첨가는 식혜의 초기당화를 지연시키지만 무첨가군과 동일한 당화 경향을 나타내며, 6%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관능적인 특성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6.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centration of malt extract in Sikhye manufacture on saccharification time, shapes of saccharified rice(the cooked rice) and sensory evaluation score of Sikhye.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malt extract to reduce saccharification time and to keep desirable shapes of saccharified rice was 4 times (rice 24g, malt 28g and D.W. 240ml) as suitable as base composition formula(rice 6g, malt 7g and D.W. 240ml). The shapes of saccharified rice were influenced by the concentration of malt extract, the saccharification time and the shapes of steamed rice before saccharification. A good taste(softness) of Sikhye rice and the desirable shapes of saccharified rice were more suitable in the case of a small amount of unsaccharified starch than in the case of finishing saccharification. The optimum saccharification time to keep the desirable shapes of saccharified rice was 240min and also was desirable between 210 and 270min. To keep a good taste(softness) and the desirable shapes of saccharified rice,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time, it is desirable to in mass production of Sikhye add 3 times more water after making Sikhye in the ratio of rice 24g, malt 28g and water 240ml. In this case the whole amount will become 4 times as much as the original one.
        4,000원
        7.
        201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ABA 함량이 증가된 섬애약쑥 발효물의 제조를 위하여 섬애약쑥 추출물을 15% 첨가하여 제조한 식혜에 MSG를 0, 0.25, 0.5 및 1.0% 첨가하고, Lactobacillus brevis(KI271266)를 접종하여 3일간 발효하면서 일자별로 시료를 취해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발효기간이 경과할수록 탁도는 점차 감소하였고, 명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고, 적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가용성고형분도 점차 낮아져 발효 3일에는 19.70-20.80 °Brix의 범위였다. 환원당의 함량은 MSG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더 높았는데, 발효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pH는 4.65-4.83이던 것이 발효 3일 후에는 3.15-3.68로 낮아졌다. MSG의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GABA의 함량도 높았으며, 발효기간이 경과할수록 그 함량도 증가하여 MSG 1.0% 첨가군에서는 354.38 mg/L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Fructose, glucose 및 sucrose는 발효 전에 비해 3일간 발효 후에 50-67%가 감소하였다. 유기산 중 propionic acid, oxalic acid, citric acid 및 fumaric acid의 함량은 발효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감소하였고, lactic acid, acetic acid, succinic acid의 함량은 점차 증가하였는데, lactic acid의 증가폭이 가장 컸다. 3일간 발효가 완료된 발효물 중의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동일한 경향으로 MSG 0.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0% 첨가군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섬애약쑥 유산균 발효물 제조시 MSG를 첨가함으로써 발효물의 이화학적 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GABA의 함량 증가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8.
        201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통 음료인 식혜의 기능성 강화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섬애약쑥 추출물을 0. 5, 10, 15 및 20% 첨가하여 식혜를 제조하고, 5시간 동안 당화 시키면서 1시간 간격으로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섬애약쑥 추출물을 첨가한 식혜의 탁도는 당화 2시간에 최고치를 보인 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당화 5시간에는 섬애약쑥 추출물 5-15% 첨가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20% 첨가군은 유의적으로 높았다. 쑥 식혜의 명도값은 당화 완료 후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적색도와 황색도는 당화시간이 경과하고 섬애약쑥 추출물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더 높은 경향이었다. 당화 전 pH는 섬애약쑥 추출물의 첨가 비율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고, 당화 완료 후 5.68-5.73의 범위로 증가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및 환원당의 함량은 당화 시간의 경과와 섬애약쑥 추출물의 첨가 비율이 많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활성도 당화 시간과 섬애약쑥 추출물의 첨가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높아졌다. 관능평가 결과에서는 섬애약쑥 추출물 5% 첨가군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20% 첨가군의 경우 강한 색과 쑥 향으로 인해 기호도가 낮았고 전체적인 기호도도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섬애약쑥 추출물을 첨가한 식혜의 경우 쑥 추출액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항산화활성이나 이화학적 특성은 향상되었지만 관능평가에서는 오히려 기호도가 낮아지므로 적정 첨가비율은 15% 이내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9.
        201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yes (SBE-5, SBE-10, SBE-30, and SBE-50) prepared using various concentrations (5%, 10%, 30%, and 50%) of Sasa borealis extracts (SBE).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f pH and total acid contents in Sikhyes prepared with various concentration of SBE. Sikhye SBE-30 and Sikhye SBE-50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ntents in sweetness, reducing sugar,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than other Sikhyes. In color, the more SBE was added, each Sikhye appeared the decreasing of L value, the increasing of b value and turbidity.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Sikhye control (SBE free) and Sikhye SBE-5. Bu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ikhye SBE-10, SBE-30 and SBE-50 increased proportionally as the concentration of SBE in Sikhyes were increased. The evaluation for taste tended to get high score in Sikhye SBE-30 and Sikhye SBE-50. The color preference decreased by additon of SBE. Overall preference showed a trend of decreasing in Sikhye SBE-50.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the SBE could be beneficiary for preparation of Sikhye due to anti-oxidative effect, and the proper amounts of SBE would be about 30%.
        10.
        201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식혜의 편이성, 유통성,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피막물질을 첨가하고 분무건조를 통하여 분말화를 하고자 하였다. 최적조건 설정을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였으며 독립변수는 피막물질 maltodextrin의 첨가량 (%), 분무건조기의 inlet 온도(℃) 그리고 분무건조기내 시 료의 공급속도(mL/min)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영향을 받는 반응변수는 분말의 흡습량(g), 용해도(%), 입자크기(μ m)로 설정하였다. 각 반응변수에 따른 회귀식은 흡습량은 p<0.001, 용해도는 p<0.05, 입자크기는 P<0.00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그리고 각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영향을 나타내는 반응표면그래프를 이용하여 최적 분말화 조건을 예측한 결과 각 종속변수 최적점인 MD 22%, 분무건 조기의 inlet 온도 140℃ 그리고 분무건조기 내로 유입되는 시료의 공급속도는 51 mL/min로 예측되었다.
        11.
        200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혜 고유의 시원한 맛과 인삼의 독특한 맛을 가미한 인삼식혜를 제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엿기름 20 g, 고두밥 400 g을 기준으로 하여 여기에 각 인삼분말을 고두밥양의 , teramyl효소 0.2 mL을 각각 첨가한 후 인삼식혜 제조에 있어 당화공정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인삼식혜의 당화공정은 일반 식혜의 당화공정과 같이 당화 온도 및 당화 시간이 증가할수록 당화력이 증가 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본 실험에서 제조한 인삼식혜의 유리당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