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4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려동물은 점차 인간 삶의 중요한 동반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반려동물 상실과 이에 따른 애도에 주목하고 있다. 반려동물의 상실은 다른 상실과 달리 대개 그 부적응이 오래 지속되는 복합 애도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은 사람(vs. 반려동물)과의 관계가 더 중요하다는 사회적 인식에 기인하며, 이는 반려인이 자신의 상실 경험을 타인에게 제대로 이해받지 못한다고 여기게 만드는 일종의 ‘제약’으로 작용한다. 즉, 반려인의 지각된 사회적 제약은 이들의 반려동물 상실에 대한 회복을 저해하고 복합 애도를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려동물의 죽음을 경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지각된 사회적 제약이 초기 상실 이후 적응을 방해함으로 써 그 충격이 복합 애도로 이어지는 과정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연구 결과, 예상대로 지각된 사회적 제약은 상실의 충격과 복합 애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반려동물 상실 충격으로 인한 복합 애도는 사회적 제약을 크게 지각할수록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반려동물 상실 경험과 애도를 이해하는 데 지각된 사회적 제약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을 보여줌으로써 사회적 인식 변화 및 개선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4,600원
        2.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riginal third places concept conveyed the offering of much-needed settings for social comfort, thereby complementing the absence of equal opportunities at home (1st place) or in the workplace (2nd place). 3rd place is a crucial term to connect customers’ social needs, perception of service encounters, and the service provider’s managerial operation. Following the Covid-19 outbreak, various distancing forces have impeded previously intense social interactions featuring human-human contact. The increased use of contactless services and social distancing measures has impacted these. Such measurements refer to mandatory actions to maintain a fixed physical distance from others (i.e., two meters or six feet) via seating arrangements or suggested signage. While such compliance practices successfully limited the spread of Covid-19, they were also a signal of regulated behaviors and acceptable personal boundaries. The current study addressed this question by conducting experiments in three scenarios: a café, restaurant, and sports stadium. Following Pine and Gilmore’s experience typology, the three represent a passive absorptive experience, an active absorptive experience, and an immersive experience.
        3.
        2023.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consumers with high (vs. low) usage of social networking sites (SNSs) prefer NFTs representing a partial but the only digital piece (vs. one of the limited digital copies) of artwork. NFT uniqueness is identified as the psychological mechanism underlying the SNS usage effect on NFT preference.
        4,000원
        4.
        2023.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cent years, social media influencers (SMIs) have brought dramatic shifts to the marketing trend. Apart from product endorsement and ad campaigns, they are increasingly hired by brands for promoting social causes including Black Lives Matter movement, COVID-19, and LGBTQ+ issues owing to their perceived authenticity and expertise (Open Influence, 2022). As such, brands promoting social causes to take ethical obligations to the society, namel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has become an indispensable business practice (McWilliams & Siegel, 2001). Accordingly, past studies revealed that SMIs’ capability of creating authentic connection with target consumers and the fact that stakeholder awareness and authentic motives are preconditions for the success of CSR initiatives can create a synergic effect (Yang et al., 2021).
        4,000원
        5.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re is a growing trend towards consumption of meat alternatives. In response to rising demand, many brands add meat alternative options to their offerings (e.g., Impossible Whopper from Burger King, McPlant from McDonald’s). Consistent with this trend, a growing literature explores how to encourage consumers to reduce meat consumption and increase acceptance of meat alternatives. However, there are two major limitations in literature. First, most studies in this area do not employ real behavioral outcomes as the focal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we cannot be certain that such findings can be extrapolated into real-world settings. Second, the majority of studies have focused on cognitive factors in investigating acceptance of meat alternatives. Hence, there is a need to attend more to affective factors when investigating how we can advertise meat alternatives. Against this backdrop,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s the interactive effect between regulatory mode (a motivational factor) and positive emotion (an affective factor) for driving social media engagement in advertising meat alternatives. Regulatory mode theory posits that consumers engage in goal pursuit by adopting locomotion (a motivation to “just do it”) and assessment orientations (a motivation to “do the right thing”). We propose that different, discrete positive emotions could interact with regulatory mode to create “fit” effects. Specifically, the fit between assessment orientation and the emotion of awe, and between locomotion orientation and the emotion of love will lead to increased social media engagement.
        6.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tudy investigates how the presence of blockchain technology affects social fairness and selfish monetary decision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blockchain technology enhances transparency and traceability in social exchanges, the study predicts that individuals will make less selfish decisions when blockchain is present. To test these predictions, the study conducted three experiments us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dictator game scenario where participants decide how to divide a sum of money among themselves. In Study 1, the results show that individuals took less money for themselves and allocated more to the third player when blockchain technology was present, and the importance of social fairness was higher under the blockchain-presence condition. The mediat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increase in social fairness mediates the effect of blockchain technology on monetary decisions. Study 2 replicated Study 1 with real monetary incentives.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s took less money for themselves only under the blockchain-image condition, and the importance of social fairness was higher only under the blockchain-image condition. Study 3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first player's allocation on participants' behavior under the presence or absence of blockchain technology. The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blockchain technology can positively influence social fairness and reduce selfish monetary decisions. Th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and blockchain developers to design and implement blockchain systems that promote transparency and traceability in social exchanges, thereby enhancing social fairness.
        7.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정서지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요인인 정서인식명확성이 노인들의 낮은 사회적 상호작 용 불안을 예측하는지를 확인하고, 그 경로에서 자존감과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노 인 217명을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자존감,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 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정서인식명확성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매개분석 결과, 자존감은 정서인식명확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를 매개한 반면, 자기효능감은 결과가 일관되지 않았다. 즉,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은 개인의 자존감을 높여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줄이지만, 이러한 매개효과는 자기효능감을 통해서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었다. 이 결과는 노년기에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는 명확한 정서인식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것이 특히 건강한 자기 개념 중 자신에 대한 존중감을 높이기 때문이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5,200원
        8.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독일에서는 사회보장수급권의 법원을 통한 소송적 실현이 매우 활성화 되어 있다. 2021년 독일의 1심 사회법원에 새로 접수된 소송사건 수는 2 80,953건이었다. 2021년 접수된 독일 법원의 전체 소송 중 9.6%가 사회 법원을 통하여 처리되는 사회보장소송이었다. 주요분쟁유형을 살펴보면 구직자를 위한 기초보장 사건 82,000건, 건강보험 사건 76,000건, 연금 보험 46,000건, 장애확정 절차 41,000건, 실업보험급여 등의 연방노동청 사건 17,000건, 법정 재해보험 16,000건, 사회부조 사건 12,000건 등의 순이었다. 가구제 절차도 매우 활발히 활용된다. 본안소송 사건 5건이 제 기될 때 1건의 가구제 신청이 이루어질 정도이다. 2021년에 처리된 1심 소송 사건 313,448건 중 원고나 신청인을 소송대리인이 대리한 건수는 2 33,546건(74.5%)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소송구조 제도도 매우 활발 히 활용되고 있다. 2021년에만 50,353건의 소송구조 결정이 내려졌다. 사회정책에 관한 시민들의 이해를 대변하는 단체인 Vdk나 독일 노동조합 총연맹 산하에 노동법, 사회법, 행정법에 관한 법률자문 및 법정 절차의 대리를 위하여 별도로 설립된 권리보호 협회(DGB Rechtsschutz Gmb H)도 사회보장소송 절차에서 수급자를 활발하게 지원하고 있다. 반면 한 국은 사회보장소송에 대한 별도의 통계가 없다. 행정소송에 관한 여러 통 계에 의하면 전체 소송 사건 중 사회보장소송이 차지하는 비율은 0.2∼0. 3% 정도로 추정된다. 적은 수의 사회보장소송은 실질적인 소가가 상대적 으로 높은 산업재해, 국가유공자 등의 사건에 몰려 있다. 국민기초생활보 장 등 공공부조 사건처럼 실질적 소가가 낮은 사건은 그 수가 극히 적다. 한국에서 법원을 통한 사회보장수급권 구제절차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법률상담, 소송비용, 소송구조 등의 측면에서 수급자의 소의 제기를 용이 하게 해줄 사회보장소송절차에 관한 특칙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사회보 장법 분야에서의 지나친 하위 행정입법에의 위임을 줄이고 법률에 구체적 인 수급요건 등을 규정하여 법관이 사회보장법에 관한 법해석론을 발전시 킬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사회보장소송에 대한 체계적인 통계를 작성하여 공간할 필요가 있다. 사회보장 분쟁에 대한 이 의신청 등 행정적 구제절차에서의 결정례의 정기적 공간도 필요하다.
        9.
        2022.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표적인 뉴스 형태로 자리 잡은 온라인 뉴스에 나타나는 사회갈등을 알아보고 온라인 뉴스 의 사회적 역할이 무엇인지 그 바람직한 언론의 방향에 대해 배움학을 기반으로 탐색한 연구였다. 온라인 뉴스와 이미 저널리즘화한 댓글의 정보는 하나의 담론 형태로 유통되는 과정을 통해 프레임이 적용되거나 가짜뉴스를 이용해 사회의 이익관계를 대변하며 다양한 갈등 구조를 심화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긍 정적 측면에서 볼 때 온라인 뉴스는 언론의 윤리적 개념들이 지켜진 정보의 제공과 공유를 통해 바람직한 여론 형성이 가능해 공동체가 건강하게 여론을 형성할 수 있는 배움의 장(場)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온라 인 뉴스는 그러한 제 역할을 하고 있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뉴스가 공동체 를 위한 배움의 장이 되기 위해 필요한 배움학적 역할이 무엇인지에 관해 탐색해보았다. 그 결과 사회갈등 해결을 위한 온라인 뉴스의 역할은 첫째, 비판적 사고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만들고 이를 자신의 삶에 적 용할 수 있도록 개조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일상생활에서 겪는 문제를 배움을 통해 효율적으로 해결 할 수 있도록 실천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각자력을 가진 사람들이 사회를 구성하는 공동체 일원으로 서 서로 의식소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비공식적인 수탁 기관으로서 사회갈등의 조정과 관 리를 위한 배움의 비계(􈈮階)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온라인 뉴스는 언론 윤리적 개념이 담긴 사실정보 의 제공만으로 그 어떠한 영향력 행사 없이, 제시된 배움학적 역할들이 지켜지고, 그 가운데 민주적인 방 식을 통해 갈등이 조정되고 관리될 수 있도록 배움의 비계(􉳖􉪉)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역할들이 공동체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서로의 상생과 새로운 대안 찾기 배움을 실천할 수 있는 길이 된다.
        6,400원
        11.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xpansion of the online market is expected to change the purchasing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moderating effect of each characteristic on perceived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group according to product involvement and purchaser age. The first step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information sources and social media platform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Next, when perceived quality affects purchase intention, we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information sources and social media platforms. The moderating effect is verified at the stage by dividing it into a group according to product involvement and a group according to age. The following results were confirmed throughout the study: First, perceived quality significantly affects purchase inten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 the influence of the moderating effec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high-involvement product and the low-involvement product.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oderating effect of online information sources and social media platfor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age. This study intends to increa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by identifying specific age groups and product groups of involvement and establishing strategi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information sources and social media platforms.
        4,600원
        12.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취향공동체가 오늘날 가장 넓은 범위에서 사회의 구심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고 이의 형성과 확산에 관해 분석하였다. 다양성과 다원성을 존중하며, 빠르게 진전되는 비대면 사회에 적응 하기 위해 취향공동체에 관해 진지하게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1세기 취향공동체가 사회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주목하였다. 코로나로 인하여 비대면 시대가 앞당겨 다가온 현재, 취향이 기술과 결합하여 우리 사회 내 새롭게 공동체를 응집시키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본고에서는 우선 취향공동체 및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관한 선행연구를 진행하였으며, BTS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활용과 팬문화로서의 취향공동체 확산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6,400원
        15.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builds and tests a framework investigating the determinants of customer engagement with luxury brands on social media platforms.
        4,000원
        16.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builds and tests a framework investigating the determinants of customer engagement with luxury brands on social media platforms.
        4,000원
        18.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건부 자아존중감은 외재적 동기에 부합할 때 조건적으로 유지되는 자아존중감이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조건부 자아존중감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인스타그램 이용자 31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인스타그램에서의 상향비교의 간접효과를 검증하는 매개 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의 조건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일주일간 경험하는 우울 경험이 높았으며, 이는 인스타그램 내 상향 비교에 의해 설명되었다. 이는 조건부 자아존중감이 높은 이용자일수록 인스타그램에서 자신보다 우월해 보이는 이용자와 자주 비교하며 이로 인해 더 우울해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SNS 이용자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개인차 변인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확인한 결과를 바탕으로 SNS 이용자의 우울감에 대한 기존 연구를 확장한 의의를 논의하였다.
        4,300원
        19.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apture this situation within the changes that take place due to it, inside the Greek society where there is a great need for professional social workers who are able to work targeted and effectively with foreigners, both children and adults, who have or develop mental health problems for the very first time. Over the recent decades the increasing number of migration flows has exerted and continues to exert great pressure on the health system and on the welfare structures of Greece. The bases for the development of a rudimentary reception and integration system that still is in progress have been delayed, while there has been no happy medium, between the enormous pressure that foreigner users of this system put on, and the humanitarian obligation of a well-governed state towards all residents of the country. Straight through everyday clinical practice in the field of intercultural work, social work has the knowledge and techniques for a total management of emerging problems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value system with an ethical background which approaches refugees and migrants in order to provide quality services, mostly to users of mental health services.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