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진로전담교사의 평생학습 촉진역량을 구체적으로 규명하고 평 생학습 촉진역량을 진단할 수 있는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개발된 척도의 신 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진로전담교사 29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개발된 평생학습 촉진역량 척도, 학습동기, 긍정심리자본 척도를 사용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델파이 조사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생애설계역량, 디지털조절역 량, 디지털활용역량, 기업가정신역량, 자기계발역량의 5개 요인 22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둘째,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공인타 당도 검증을 위해 개발된 척도와 학습동기, 긍정심리자본 간에 상관을 살펴 본 결과 유의미하게 나타나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학교 현장의 진로전담교사를 대상으로 평생학습 촉진역량의 구성요인을 탐 색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 서 개발된 평생학습 촉진역량 척도는 평생학습 촉진역량 강화를 위한 유용 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평생학습 참여에 관심과 변화를 일으키고, 평생학습 촉진역량을 강화하고 계발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평생학습 촉진역량의 발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통해 교사의 융합교육역량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교사의 융합 교육역량 증진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Textom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교사 + 융합교육 + 역량을 키워드로 rawDATA를 수집하였 다. 수집된 데이터는 1차2차 정제과정을 마친 데이터들 중 빈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200개 핵심 키워드 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1-모드 매트릭스 데이터 셋으로 변환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 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에서는 교육, 인공지능, 강화, 연수, 수업이 가장 빈번하게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교육, 학생, 연수, 강화, 대상이 모든 중심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에고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교사, 융합교육, 역량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융합교육역량과 관련된 후속연구 및 증진방안에 대해 제 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democratic citizenship. This study utilized the democratic citizenship frame to assess 17 participants’ comprehension of this concept. The researcher designed a method course where participants in groups analyzed science activities to identify democratic citizenship components. Through the analysis of two science activities—one on energy and the other on climate change—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panels addressing various global issues,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democratic citizenship was enhanced. Preservice teachers showed a good understanding of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nd STS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nd the most enhanced understanding of empathy, which was the least perceived in pre-survey, compon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The democratic citizenship frame proved to be a valuable tool for teaching and learning this topic, particularly when applied to socioscientific issues in the classroom. More research-based revisions of the science curriculum are necessary, and more systematic practices with reflections are essential in teacher education.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코칭역량을 보다 신뢰롭게 측정하여 자신의 교수역량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도록 돕고, 향후 코칭역량에 기반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아교사의 코칭역량 척도를 개 발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 유아교사의 코칭역량 척도의 문항 구성은 1차 예비문항선정 과정, 2차 척도 개발 과정, 3차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총 3차의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으며 긍정역량, 성장역량, 관계 역량, 질문역량, 경청역량, 인정․피드백역량의 6가지 구성요인, 36문항이 선별 되었다. 두 번째, 유아교사의 코칭역량 척도의 Cronbach‘s α계수와 모형적합도 지수를 통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개발된 6가지 구성요인은 긍정심리학을 이론적 배경으로 한 유아교사의 코칭역량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인으로서 유아교육기관에서 코칭에 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입증하여 자기평가도구로서 유아교사의 코칭역량을 증진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어린이집 원장 85명과 보육교사 26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 인식 차이는 어린이집 원장이 근무하고 있는 기관유형과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공립 어린이집 원장이 가정어린이집 원장보다 직무역량 인식이 더 높았고,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가진 원장의 직무역량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원장의 직무역량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민간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보다 가정, 직장, 국․공 립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가 원장의 직무역량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고, 원장과 보육교사 모두 원장의 위생 및 안전관리 영역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 차이는 직무역량의 하위요인 중 비전 및 목표관리 영역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어린이집 원장보다 보육교사가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스스로 자신의 코칭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고, 개발된 척도를 활용하여 교사 스스로자신이 갖춘 교사역량의 강점을 이해하고 개발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이다. 초등교사의 코칭역량 척도 예비요인 및 예비문항을 추출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초등교육․코칭을 전공한 전문가 10인의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여 초등교사의 코칭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코치자격증을 가진 초등교사로 구성된 전문가의 내용타당도를 2회 실시하여 내용의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133문항의 2차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초등교사 245명의 예비설문 과정을 통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코칭마인드셋 역량, 자기이해 역량, 관계형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성장촉진 역량의 5가지 구성요인과 42개 문항을 추출하였으며, 초등교사 530명의 본조사 설문 과정을 통해 초등교사 코칭역량 42개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를 검증하여 타당성이 결여되는 문항 8개를 추가적으로 제거하고 최종 34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연구결과 추출된 최종 문항은 코칭마인드셋 역량 6문항, 자기이해 역량 7문항, 관계형성 역량 5문항, 의사소통 역량 7문항, 성장촉진 역량 9문항으로 총 5가지 역량과 34개 문항이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어린이집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코칭역량이 보육교사의 보육헌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어린이집의 효율적인 운영과 보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남부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수집된 373부의 설문지를 빈도분석과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일원변량분석 및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보육헌신, 자신이 근무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코칭역량의 인식수준을 살펴 본 결과, 교사들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코칭역량에 대해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스스로의 보육헌신정도에 있어서도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보육헌신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연령, 경력, 보유자격, 직위, 학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및 코칭역량과 보육교사의 보육헌신과의 상관을 살펴 본 결과, 보육교사의 보육헌신은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및 코칭역량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for the efficient enhancement of teaching competency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teaching competency of ph
Ambitiously introduced by the Hong Kong government in 1998, all pre-service teachers are to attain the upper intermediate level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competency in education as a qualification before entry into the teaching profession (Education and Manpower Bureau, 1998). This level focuses on the effective use of IT across the curriculum and using IT in a meaningful educational context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instructional process. This article discusses how the proactive strategy of information technology competency education (ITCE) empowerment and the teaching subject study (TSS) portfolio assessment system have been successfully implemented in the post-graduate program of primary teacher education at the Hong Kong Institute of Education. It also examines how students begin to make sense of their newly acquired IT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nd how they have demonstrated their competency in the use of I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data were gathered and it was found that students were accomplished in gaining positive and valuable insights in the use of IT in education.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놀이 중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할 때 필요한 유아교사 핵심역량을 개발하여 이를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총 4단계의 연구절차가 수행되었다. 1단계에서는 영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관련된 국내ㆍ외 문헌을 분석하여 핵심역량을 도출하였고, 2단계에서는 영유아교육기관 원장(11명), 대학교수(4명), 유치원 교사(13명)을 인터뷰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과 학과의 특성화 방향을 반영하여 핵심역량을 개선하고 수정하였다. 이후 3단계에서 B시, U시, G도의 영유아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의 필요도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이 중 누락된 답변이 없는 124 부의 요구도가 분석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분석하였고, 각 분석에서 제시된 핵심역량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10개의 핵심역량을 선정하였다. 이후 유아교육과의 인재상과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유아교사 핵심역량으로 교직윤리, 의사소통, 영유아이해 및 지도, 영유아교수학습, 교육평가의 이해 및 활용, 영유아교육 기관 운영, 창의적 문제해결력, 예술적 감수성의 8개 핵심역량을 확정하고 전문가 안면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8개의 유아교사 핵심역량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예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20학년도 2학기에 ‘창의·인성 교육과정의 이해’ 강좌를 수강한 26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젝트 기반 협동학습이 예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는 대응표본 t검증과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 과 같았다. 첫째, 프로젝트 기반 협동학습은 예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에 유의하게 효과가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의 하위 변인 중에서 세계시민성 태도와 세계시민교육 교수역량에서 효과가 있었으나, 세계시민성 지식과 세계시민성 태도에는 효과가 없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프로젝트 기반 협동학습이 예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에 있었다. 프로젝트 기반 협동학습이 예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교사의 대인관계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교사의 불안정한 성인 애착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강원도내 유·초·중·고 교사 330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척도, 대인관계유능성 척도, 대인존재감 척도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Hayes (2013)의 PROCESS Macro 모델 4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애착불안은 근무지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바, 유치원교사들은 중등교사들보다 애착불안이 낮고 대인존재감은 높았지만, 대인관계 유능성에서는 학교급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경력이 낮은 교사들(1~9년)이 10년이상 경력 교사에 비해 애착불안이 높았으며, 고경력(21년 이상) 교사들은 대인관계 유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갈등 다루기에서 나머지 경력 집단 보다 높았지만, 애착회피, 대인관계유능성, 대인존재감 전체에서는 학교급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지각한 불안정한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부적인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대인관계 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연수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동료의 수업코칭이 영어교사 교수 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주요 연구 문제는 수업코칭이 교사들의 수업 문제점 인식, 수업 설계, 수업 실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상세히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3인의 현직 중학교 영어교사들을 대상으로 7개 월에 걸쳐 수업코칭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업코칭이 영어교사 교수 역량 구성 요소 중 자기 수업 성찰과 동료와의 협력, 수업 설계와 실천,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즉, 수업코칭은 코치교사와 함께 자신의 수업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과정에서 문제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고, 수업교사들의 자기 수업에 대한 문제점 인식은 코치교사와의 협력적 상호작용 및 성찰을 통해 새로운 생각의 도출로 이어져, 발전적 수업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여 발전된 수업 설계와 실행으로 이어졌다. 또한 수업의 계획과 실천 과정에서 느껴졌던 불안감과 회의감은 코치교사와의 협력적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감이 향상되는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본 연구에 참가한 수업교사들의 수업 성찰과 동료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자기 수업 개선의 노력 은 영어교사의 교수 역량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IPA를 활용하여 학교현장 실습 전· 후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역량 중요도와 실행역량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4학년 106명(A대학 40명, B 대학 66명)이다. 이를 위해 교사역량 질문지를 사용하여 중요도와 실행역량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빈도분석과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유아와 직접적인 상호작용, 교육과정과 수업계획, 일과운영, 교사로서의 열정은 학교현장실습 전과 후, 중요도와 실행역량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 후에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근거한 계획, 교직윤리관 형성이 중요도와 실행역량을 높게 인식하였다. 유아관찰과 평가, 건강과 영양지도, 실습 후 교육활동 목표 내용 평가와 문서양식에 적합한 내용 기술, 지역사회 기관, 전문가와의 협력 역량은 개선과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방법, 평가결과 기록, 평가의 활용,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역량은 중요도와 실행역량 인식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실습전과 후에 모두 실행역량에 대한 인식이 높고 상대적인 중요도는 낮게 인식한 역량은 다양한 흥미영역 구성이었으며,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근거한 계획과 목표 유아흥미 개선이 포함된 마무리와 평가는 유지 또는 개선이 필요한 역량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원 양성 교육과정에서 학교현장실습 전 교육과 실습 후 어떠한 교육과 지원방안이 필요한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교사가 학교폭력 관련 경험을 토대로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처를 위해 중요하게 여긴 교사역량이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안 관련 유경험 교사 10명을 면접하고, CQR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폭력 예방, 대처, 추후관리 를 위해 학생, 학부모, 교사자신, 교내·외 교사 및 전문가 대상의 총 10개 영역이 도출되었다. 예방을 위해서는 학생에 대해 파악하는 것, 학생과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 학부모와 소통 하며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것, 학급 대상으로 예방교육의 지속적 실시, 일상적 예방활동과 폭 력예측 학생 관리를 통한 비폭력 풍토조성 등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대처를 위해서는 학생 간 관계회복을 돕는 것, 학부모와 자녀성장에 초점을 둔 상담능력, 공식적 사안처리 및 적극적 태 도, 교내‧외 교사‧전문가와 협력‧연계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관리를 위해서는 교 사의 자기이해 및 관리, 전문성 개발 등을 중요하게 보았다. 이 연구는 현직교사의 역량강화 및 예비교사의 교육내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대상별로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제시 한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 스트레스가 개인적 성취감과 교사역량에 미치는 직·간접효과와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성별(남교사, 여교사) 간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분석 대상은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375명이다. 본 연구 결과, 교사 스트레스는 개인적 성취감과 교사역량에 직·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별에 관계없이 남교사와 여교사 모두에게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의 개인적 성취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교사의 역량을 강화하고, 교사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필요가 있으며, 또한 교사역량 증진을 위해서는 교사 스트레스를 완화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받은 예비교사 대학생들의 다문화교육의 효과를 살펴보는 관점에서 수행된 질적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다문화교육을 수강한 대학생들 대상 심층면담과 참여관찰로 다문화 역량 변화를 조사하여 다문화교육의 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교육 전 예비교사 대학생들은 다문화이해에 대한 내용이 충분히 인지되어 있지 않았으며 다문화 역량의 수준이 낮았다. 그러나 다문화교육 후에는 다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내용들이 인식되면서 다문화 역량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정 및 다문화가정 아동의 실태 위주의 다문화인식은 다문화에 대해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를 이끌었다. 또한 다문화교육을 통해서 다문화가정 학생 대상 다문화교육의 인식 및 다문화교육의 효능감에 큰 변화를 가져왔음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