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sidering the dearth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medicinal properties of Luffa cylindrica, we assessed the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hyperplasia inhibitory activity of cancer cells from Luffa cylindrica extracts by employing biological and biochemical assays. Ethanol extracts of Luffa cylindrica inhibited MDA-BSA (malondialdehyde-bovine serum albumin) conjugation reaction (66.38±2.65), DPPH (1, 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production (60.13±0.42) and lipid peroxidation (56.04±3.24). In this study, Luffa cylindrica is believed to exert possible antioxidative effects. The direct and indirect antimutagenic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s of Luffa cylindrica were examined by the Ames test using Salmonella typimurium TA98 and TA100. The inhibitory effects on indirect and direct mutagenicity shows an weak tendency, particularly in direct mutagenicity mediated by 2-nitrofluorene in Salmonella typimurium TA98 (5.82±5.74) and in indirect mutagenicity mediated by 2-anthramine in Salmonella typimurium TA100 (5.76±2.15). The ethanol extracts of Luffa cylindrica on cancer cell hyperplasia inhibitory activity via MTT (3-(4, 5-dimethylthiazol-2-yl)-2, 5 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exerted cytotoxic effects on Hela cells (55.83±3.83) and MCF-7 cells (33.03±2.09), which were used in this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it believed that the ethanol extracts of Luffa cylindrica have antioxidative capacities as well as hyperplasia inhibitory activity of cancer cells. Furthemore, Luffa cylindrica is a candidate for the prevention and dietetic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and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4,000원
        3.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tioxidant activities of Hericium erinaceum was in vestigated in subfractions of methanol extract such as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butanol and water subfractions. Chlorofrom fraction exhibit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nd showed the highest level of total phenolic contents. The level of total phenolics may be correlated with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ubfractions. Therefore, the phenolic compound in the chloroform subfractions exhibiting high antioxidant acticity was identified by mass spectrometry using LC-MS/MS. In addition, hot water extract of this mushroom were tested for antimutagenic activity by Ames Salmonellaassay.Thisextractshowed inhibitiory effect on the mutagenesis induced in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 TA100 and TA98 by the directly actingmutagen 4-nitroquinoline-1-oxide(0.15μg/plate) and sodium azide (0.5μg/plate). The extract also inhibited mutagenesis induced in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 TA100 and TA98 by the indirectly actingmutagen 2-aminoanthracen(2μg/plate) at 5000μg/plate and 200 μg/plate, respectively.
        4.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섬오갈피 뿌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돌연변이 유발을 관찰하기 위해 S. typhimurium TA100, TA98, TA1535, TA1537과 E. coli WP2 uvr A를 이용해 Ames test을 하였고 또한 S. typhimurium TA100, TA98을 이용한 항돌연변 이원 억제 시험을 시행하였다. Ames test에 필요한 시험물질들은 최고농도 결정을 통해 5000 μg/plate, 2500 μg/plate, 600 μg/plate의 시험물질을 양성대조군, 실험군, 음성대조군을 비대사활성계와 대사활성계로 나누어 시험을 시행하였다. 시험 결과 모든 농도에서는 집락군의 일관성 있는 증가는 보이지 않았고 이 점으로 미루어 보아 복귀돌연변이는 일어나지 않았고 음성으로 판정하였다. 항돌연변이원 시험에서는 양성물질의 농도결정과 시험물질의 최고농도결을 통해 양성대조군, 실험군, 음성대조군을 비대사활성계와 대사활성계로 시험을 하였고 시험결과 S. typhimurium TA100, TA98 두 균주 돌연변이 억제를 보였으며 TA98에서 더 높은 억제율을 보였다. 시험결과로 섬오갈피의 뿌리는 항돌 연변이 억제효과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4,000원
        6.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하 943 m(3 호공)로부터 취수한 경산 광천수의 유·무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17종류의 성분 중 무기물은 11종류가 검출 되었으며 무기성분 중에서는 나트륨과 칼슘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징 이었다. 그리고 구리와 납과 같은 중금속과 탄산가스 및 유화수소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항산화 활성, 항돌연변이원성 및 인간 암세포 성장억제 실험 결과 항산화 활성에서는 비교적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MNNG, 4NQO, Trp-P-1 및 B(α)P와 같은 돌연변이원을 이용한 미생물 수준에서의 항돌연변이원성 실험 결과 S. typehimurium TA98에 대해서 간접변이 원인 Trp-P-1은 시료 농도 200μg/plate 첨가 시 54%의 억제활성을 보였으며 B(α)P 및 Trp-P-1에 대해서도 각각 67%와 63%의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광천수의 항암활성을 규명하기 위한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에서는 시료농도 50 μg/well 첨가 시 A549, Hela, AGS 및 MCF-7에 대해서 각각 66%, 45.6%, 37.7% 및 47.6%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인간 정상 신세포 293에 대한 온천수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효과는 20% 이하는 낮은 생육 억제율을 보였으며 이것은 광천수가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독성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7.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garooligosaccharides were produced by β-agarase from Bacillus cereus ASK 202. LD_(50) of Agarooligosaccharides was determined to be 1359 mg/kg which corresponded to GRAS material. Agarooligosaccharides at 5% level exhibited 88.3% inhibition on TA98 and 54% on TA100, indicating agarooligosaccharides to be potent antimutagenic substance. Immunologic activity of agarooligosaccharides was also confirmed by mouse spleen cell culture. Agarooligosaccharides addition of 200 ㎕/ml stabilized spleen cells (2.5 × 10^6 cells/ml) as compared to control (6.4 × 10⁴ cells/ml).
        4,000원
        8.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timutagenic effects of juices and methanol extracts from cruciferous vegetables (cabbage, red cabbage, Korean cabbage, kale, cauliflower, broccoli, radish root, leafy radish, rape leaves and shepherd's purse) on the mutagenicity induced by aflatoxin B₁ (AFB₁) and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were studied using Salmonella assay system. In the case of juices from the cruciferous vegetables, the juices of cabbage, kale, cauliflower and radish root in the concentrations of 50, 200 and 500 ul/plate considerably decreased the mutagenicity induced by AFB₁, and the juices of cabbage and broccoli in the concentrations of 200 and 500 ul/plate significantly reduced the mutagenicity induced by MNNG. The antimutagenic activities of the juices against AFB₁ were stronger than those against MNNG. In the case of methanol extracts from the cruciferous vegetables, the methanol extracts of kale, broccoli and shepherd's purse appeared to inhibit the mutagenicity induced by AFB₁ and MNNG in Salmonella typhim,urium test strains. The effects of the juices against mutagens quite different from ones of the methanol extracts. The juice of cabbage showed antimutagenicity, but its methanol extract was less effective. However, both juices and methanol extracts from kale and broccoli exhibited strong antimutagenic activities against the mutagens.
        4,000원
        9.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timutagenic effects of 46 kinds of medicinal plants that have been used as traditional folk antitumor agents in Korea were studied by using Ames mutagenicity teat. Most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the plants which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showed strong antimutagenic activity toward atlatoxin B₁(AFB₁) in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and TA98. However, N-methyl-N'-vitro-N-nitrosoguanidine (MNNG) induced mutagenicity was not blocked by adding the methanolic extracts of the plants except persimmon leaves (Diospyros kaki Thunberg) and Elaeagnus umbellata.
        4,000원
        10.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vitro antimutagenic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brown rice and it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 and SOS chromoteat. Methanol extracts of brown rice were not mutagenic compared with direct and indirect mutagenicities of 4NQO (4-nitraquinoline oxide), 2NF(2-nitrofluorene), Trp-p-1(3-Amino-1,4-dimethyl-SH-pyrido-[4,3-b]indole), and Trp-p-2(3-Amino-l-methyl-SH-pyrido[4,3-b] indole). Antimutagenic activity against the indirect mutagenicitiea induced by Trp-p-1, Trp-p-2 and AFB₁ (aflatoxin B₁) was found in methanol extract. Even though antimutagenic activity showed dose-dependent, it remained constant at inhibition rate ranging 60%-90% when the concentration was above 3mg/plate in the S. typhimurium reversion assay and 0.2-0.6 mg/assay in the SOS chromotest. The antimutagenic activity of the methanol extracts was stable at various pH (2, 7 and 10), temperatures (60, 80 and 100℃) and heating times (2, 4, 6, 8 and 10 min at 100℃).
        4,000원
        11.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 whether mulberry leaves (MLs) have the potential to inhibit the mutagenic effect of cigarette smoke condensates (CSCs). Methods and Results: ML powder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and a yield of 35.1% by weight was obtained. The 70% ethanol extract of ML was further extracted sequentially using diethyl ether, chloroform, butanol, dichloromethane and water. The crude 70% ethanol extract of MLs and its solvent fractions did not show any mutagenic effect when tested at concentrations up to 1 ㎎/ plate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TA98. In contrast, the crude 70% ethanol extract showed an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mutagenicity of CSCs in the presence of S-9 mixture. Among the solvent fractions, the diethyl ether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which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hibiting mutagenesis by approximately 97.1% at a concentration of 1㎎/plate.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a crude 70% ethanol extract of MLs and the diethyl ether fraction themselves are potentially not mutagenic, but inhibit the mutagenic effect of CSCs.
        13.
        201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 고추장 제조시 발효가 항돌연변이 효과와 in vitro 항암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고추장 제조 재료인 원료 밀, 1차발효밀, 2차발효밀, 최종발효밀, 고춧가루와 최종발효밀로 제조된 고추장의 Sal. Typhimurium TA100을 이용한 Ames test를 실시하여 MNNG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HT-29 인체 대장암세포와 AGS 인체 위암세포의 성장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한 결과 원료 밀보다 1차발효밀, 2차발효밀보다 최종발효밀이 발효진행에 따라 점차 증진된 항돌연변이 효과와 in vitro 항암효과가 나타났으며 최종발효밀과 고춧가루로 제조된 고추장이 가장 높았다. 15, 30일 발효시킨 고추장이 발효되지 않은 고추장보다 더 높은 항암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발효과정(기간)이 고추장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항암효과에 중요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고추장의 주재료인 고춧가루의 capsaicin, 비타민C와 β-carotene 등의 작용만이 아닌 밀에서 온 발효 숙성 중에 많이 증식된 미생물 그리고 발효에 의한 생성된 다른 활성물질이 항돌연변이와 항암 효과에 관련되어 있다고 하겠다.
        15.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복숭아를 원료로 하여 항돌연변이원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L. plantaum KLAB21 균주에 의한 젖산발효 주스의 제조 가능성과 젖산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젖산발효에 미치는 온도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에서 25, 30, 에서 보다 더욱 높은 생균수의 증가와 적정산도를 나타내었다. 살균하지 않은 복숭아 주스보다는 저온에서 살균한 주스가 젖산발효에 더욱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 plantaum KLAB21 균주 단독발효의 경우가 L
        16.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괴경 내부에 적색 및 보라색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함유한 유색감자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S. typhimurium TA98과 TA100 균주의 돌연변이 유발여부를 확인하였고, 직접돌연변이원인 4-nitroquinoline-1-oxide(4-NQO)와 간접 돌연변이원인 bozo(a)pyrene(BaP)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돌연변이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과 6종의 인간 암세포주(전립선암세포주: LNCaP, 결장암 세포주: HCT-15와 SW-620, 위암 세포주: ACHN, 폐암 세포주: A549, 백혈병 세포주: MOLT-4F)를 대상으로 SRB 방법을 이용하여 항암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유색감자 중 괴경 내부에 보라색의 안토시아닌을 다량 함유한 자영 품종이 다른 품종에 비해 높은 수준의 항돌연변이활성 및 항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자영 품종의 추출물은 다른 세포주 보다 전립선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활성이 특이적으로 우수한 양상을 확인하였다. 자영 품종의 추출물은 5ug/mL 이상의 농도에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할 뿐 아니라, 전립선암 세포주 LNCaP와 PC-3에 대해 세포사멸을 유발하는 결과를 Cell Death Detection ELISA와 TUNEL Assay로 확인하였고, 세포사멸과 연관된 유전자의 발현분석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괴경 내부에 안토시아닌을 함유한 유색감자는 괴경 내부의 색상이 백색인 일반감자에 비해 강한 항돌연변이활성 및 항암활성을 나타내므로 유색감자는 기능성이 증대된 식용감자로서의 이용가치가 충분하며, 유색감자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소재개발 및 의료산업의 신규소재화가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17.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구마 용도 다양화와 지상부의 채소적 가치를 구명키 위하여, 괴근에서 자라난 싹 중 부드러운 잎과 잎자루를 포함한 줄기끝 10 cm의 끝순을 수확하여, 끝순 추출물의 페놀화합물 함량, 식중독균인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항균 활성, 식품안전성과 관련된 돌연변이원성 및 항돌연변이원성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구마 끝순에는 6종의 페놀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중 chlorogenic acid와 caffeic acid의 함량이 총페놀함량의 89~93% 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용매분획별 페놀화합물 함량은 ethyl acetate 및 buthyl alcohol 추출물이 다른 용매추출물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2. 고구마 끝순의 80% ethanol 조추출물의 수율은 12.5 g이었고, 용매분획별로는 water 분획물이 8.9 g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chloroform 분획물이 1.6 g이었고, 나머지 용매 분획물은 0.7~1.1g 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3. 고구마 끝순에는 6종의 페놀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중 chlorogenic acid와 caffeic acid의 함량이 총페놀 함량의 89~93% 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용매분획별 페놀화합물 함량은 ethyl acetate 및 buthyl alcohol 추출물이 다른 용매추출물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4. Listeria monocytogenes에 ethyl acetate 및 buthyl alcohol 추출물을 첨가한 결과 16시간까지는 3 log 이상 균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20 mg/ml butanol 추출물은 균의 성장을 억제시키다 12시간 이후에는 완전히 균을 사멸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서도 고구마 끝순 추출물은 0.5~1 log 정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5. 고구마 끝숱 추출물의 Salmonella Typhimurium TA98 및 TA100에 대한 돌연변이 활성을 조사한 결과 TA98은 29~33 CFU/plate이었고, TA100은 159~188 CFU/plate로 돌연변이 활성이 없었다. 6. 직접 돌연변이원 물질인 2-NF와 MMS를 처리하여 복귀돌연변이수를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및 buthyl alcohol에서 돌연변이로 인한 복귀변이원성 집락수가 낮게 나타남으로써 고구마 끝순 추출물이 항돌연변이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살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RC50값이 살구씨와 살구과육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 각각 과 으로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살구 에탄을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의 검토는 Salmonella typhimurium의 변이주인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 test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살구씨 및 과육 에탄올 추출물 자체의 돌연변이원성은 없었고 직접변이원인 MNNG에 대해 시료농도 에서 살구씨와 살구과육 에탄올 추출물 각각에서
        20.
        200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나무(Acer ginnala Max.) 껍질의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들의 Ames test를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 및 SRB assay에 의한 세포독성 효과를 규명하였다. 시료자체는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NNG ()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에서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해 신나무 껍질 메탄올 추출물에서 시료농도 첨가시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동일시료 농도에서 4NQO에 대하여서는 S. typhimuri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