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자율운항선박의 도입이 기존 감항능력 개념의 변화를 초래함에 따라 자율운항선박에 요구되는 새로운 감항능력의 요건을 분석하고 그 법적 개 념이 어떻게 재정립되어야 하는지를 탐구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로 인해 발 생할 수 있는 상사법적 분쟁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상사법적 쟁점을 파악하 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선행 연구로서 기여하는 데 그 목 적이 있다. 자율운항선박은 자율운항 수준에 따라 Level 1∼4로 구분되며 각 단계별로 요구되는 감항능력이 상이하여 선원과 원격운항자에 대한 인적 측면 과 인공지능 시스템과 사이버 보안에 대한 물적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율운항선박의 운항에 수반되는 주요 상사법적 쟁점에 관한 주 요 법적 문제를 다루었다. 인적 감항능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율운항 기술의 도입으로 선원의 수와 역할이 축소되는 한편 원격운항자의 역할이 강화됨에 따라 발생 가능한 상사법 적 쟁점을 자율운항 단계별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Level 2 이하에서는 선원, Level 2 이상에서는 원격운항자에 대한 감항능력 확보 방식과 그 평가 기준 마 련이 중요한 과제로 논의되었으며 국내외 규정과 판례 분석을 바탕으로 적절한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특히, 원격운항자의 등장은 기존 법적 체계에 존재하 지 않던 인적요소로서 보다 심도 있는 검토가 요구됨에 따라 연구 사례 분석을 통하여 원격운항자의 정의와 역할을 명확히 규정하고, 원격운항자에 대한 자격 신설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해상운송인의 인적 감항능력주의의무에 따른 법적 책임과 항해과실에 대한 면책 규정의 제외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물적 감항능력에 대해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안전 운항에 있어 소프트웨어 시 스템과 사이버 보안의 감항능력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상사법적 쟁점을 분석하였다. 특히, Level 4에서는 인공지능 시스템에 대한 감 항능력 확보와 평가 부분에서 법적 미비점이 존재하며 상사법적 분쟁의 소지가 많을 것으로 판단하여 소프트웨어 시스템 중에서도 인공지능 시스템을 중심으 로 고찰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인공지능 시스템에 대한 제조물 책임 문제를 논의하였다. 아울러, 숨은 하자에 대한 면책 규정의 적용 가능성까지 확장하여 살펴보았다. 사이버 보안에 대한 감항능력 확보와 평가에 관해서는 감항능력주 의의무의 이행 시기 및 상당한 주의 정도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기존 해적행 위에 대한 면책 규정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a vision-based autonomous landing algorithm using a VTOL-type UAV. VTOL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UAVs are hybrid systems that combine the forward flight capability of fixed-wing aircraft with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functionality of multirotors, making them increasingly popular in drone-based industrial applications. Due to the complexity of control during the transition from multirotor mode to fixed-wing mode, many companies rely on commercial software such as ArduPilot. However, when using ArduPilot as-is, the software does not support the velocity-based GUIDED commands commonly used in multirotor systems for vision-based landing. Additionally, the GUIDED mode in VTOL software is designed primarily for fixed-wing operations, meaning its control logic must be modified to enable position-based control in multirotor mode. In this study, we modified the control software to support vision-based landing using a VTOL UAV and validated the proposed algorithm in simulation using GAZEBO. The approach was further verified through real-world experiments using actual hardware.
As a technical alternative to strengthening global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increasing domestic oil costs due to the climate crisis, the government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has been implementing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hybrid commercial fishing boats since 2021.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awareness of fisheries workers (n=568) and fisheries-related stakeholders (n=151) regarding the hybrid fishing boats and evaluates strategic competitive advantages of the boat-building technology using the VRIO (Value, Rarity, Inimitability, Organization) framework. The Korean fisheries sector currently faces worsening business conditions due to structural challenges such as resource depletion (57.6%), labor shortages (30.8%), and rising fuel costs (81.5%). Consequently, the tax-free fuel subsidy program has emerged as a critical factor for sustaining fisheries operations, with 91.9% of fishers identifying the program as essential for business stability and 63.6% indicating they would cease operations if the program were abolished. Under these circumstances, hybrid electric vessels are gaining attention as a promising alternative for reducing fuel costs, with 32.2% of respondents expressing a willingness to adopt such vessels. Conditional demand analysis revealed that 37% of fishers showed willingness to purchase if fuel savings reached 30~50%, with an average acceptable price increase of 16.8% over conventional boats and an average desired government subsidy rate of 56.3%. The VRIO results show that the technology holds competitive advantages in value, rarity, and inimitability, but falls short in the organization dimension. Th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such as dedicated organizations, process standardization, and a structured supply system.
본 연구는 중국상업은행을 대상으로 COVID-19로 인한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친 변수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표본을 대상으로 맘퀴스트지수 (Malmquist index) 생산성 분석을 실시하여 COVID-19 전후 생산성이 모두 양호했던과 모두 불량했던 그룹 으로 구분한 후, 각 그룹별로 패널 (panel) 분석을 수행하여 수익성 결정요인을 비교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OVID-19 전후 지속적으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한 중국상업은행 은 자산건전성이 높을수록, 수지비율이 낮을수록, 규모가 작을수록 그리고 이자수익이 높을수록 수 익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발휘하여 COVID-19를 극복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두 그룹 간 생산 성변화 차이가 은행의 경영자원 배분과 경영특성에 의한 것임을 시사한다. 향후 중국상업은행은 수 익구조 개선,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 디지털전환에 대한 적극 대응을 해나가야만 지속가능한 성장 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고추온실에서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의 이항표본추출법을 개발하였다. 무작위로 선택된 고추를 상, 중 하단으로 나누어, 각 구간에서 세 개의 꽃에 있는 꽃노랑총채벌레를 70% 에탄올이 든 바이알에 털어서 채취한뒤 실체현미경 하에서 밀도를 확인하였다. 꽃노랑총채 벌레의 평균밀도와 3가지 Tally threshold (1, 3, 5) 밀도 이상인 감염비율(PT)간의 이항관계 모형을 평가하여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꽃노랑총채벌 레의 이항표본조사를 위한 최적의 Tally threshold는 3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이항표본추출법의 검증은 이항표본추출법 개발에 사용되지 않은 독 립적 자료를 사용해서 RVSP (Resampling Validation for Sampling Plan) 프로그램으로 진행했으며, 고정 표본 크기(FSS)와 Wald의 순차적 확률비 검정(SPRT)을 사용했다. FSS는 Tally threshold를 3으로, SPRT는 상한값 0.55와 하한값 0.32로 설정해 1000번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했 다. 시뮬레이션 결과 실제 평균과 예측 평균 간의 차이가 없었으므로 개발된 이항표본조사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는 실험실 규모의 혈액투석 장치를 구성하고 국내 의료기기 제조업체에서 제작한 혈액투석기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혈액투석기 제조에 사용된 혈액투석막은 일반적으로 약 0.01 μm에서 0.2 μm의 기공을 갖는 Polyethersulfone (PES) 소재의 중공사막을 사용하였으며 중공사막의 외경은 약 270 μm, 내경은 약 200 μm이다. 혈액투석기의 하우징은 polycarbonate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약 9,600개에서 12,000개의 중공사막을 탑재시켜 제작하였다. 탑재된 혈액투석막의 개수에 따라 각기 다른 막 표면적을 가지는 3종류의 혈액투석기를 사용하여 각 혈액투석기의 구조적강도와 수투과특성, 그리고 주요 요독물질 중 하나인 urea (요소)의 제거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거된 urea의 농도는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 분 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가장 높은 1.8 m2의 막 표면적을 가지는 혈액투석막의 urea 제거 성능은 약 1시간 만에 98.3% 를 달성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dark chocolates with high cocoa content (86%, 95%, and 100%) at different temperatures (25℃, 35℃, and 45℃). The pH values ranged from 6.14 to 6.47, the soluble solids content ranged from 0.64 to 1.34 (oBrix), and the moisture content ranged from 1.29% to 1.66% (wb).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samples with 86% and 95% cocoa content in terms of all color coordinate values (p>0.05). However, samples with 100% cocoa content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coordinate values for L*, a*, and b* (p<0.05). The molten chocolate was found to exhibit non-Newtonian fluid behavior, following the Herschel-Bulkley model, with flow behavior index (n) values ranging from 0.83 to 0.89, indicating pseudoplastic behavior. The yield limit (y) decreased as the cocoa content increased at the same temperature, and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within the same sample. An Arrhenius-type relationship was used to correlate the consistency coefficient (K) to temperature. The activation energy (Ea) values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coa content, ranging from 32.54 to 39.64 kJ/mol.
현재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한 분야로 운송수단의 무인화가 있으며, 이러한 영향은 해상운송분야에도 미치고 있다. 특히 무인선 박의 건조와 운항이 시범단계이지만 현실화되고 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에 비하여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응은 취약한 실정이며, 이에 따라 사이버 보안 문제 또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자율운항선박 상용화 이전에 사이버 위험에 대한 대응도 선결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향 후 해상 사이버 위험이 불러올 해상운송 법제와의 법리적 문제점에 대한 선행 적 연구로서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해상 사이버 위험이 심화되어 감에 따라 제기되는 문제로는 우선 “사이버 공 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과거보다 높은 사이버 보안 기준치가 요구되는 현 상황 에서 해상운송인이 ‘전통적인 감항능력주의의무’만을 갖추었을 때, 이는 선박 의 감항성을 갖추기 위한 의무를 다하였다고 볼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다. 이 를 축약하여 풀어내자면, “사이버 보안은 해상운송인의 감항능력주의의무에 포 함되는 사안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와 더불어 해상운송인의 감항능력주의의 무가 인정되었을 경우, “사이버 해킹은 우리 상법상 해상운송인의 면책사유 중 ‘해적행위나 그 밖에 이에 준한 행위’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인가?”라는 질문을 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해적행위로 인정된다면, 해상운송 인은 손해에 대한 책임이 면책된다고 볼 것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해상 사이버 위험과 관련된 상사법적 주요 쟁점인 해상운송인의 감항능력주의의무로써의 사이버 감항성과 해상운송인의 면책사 유의 포함 여부가 쟁점인 사이버 해적행위에 대한 법리적 고찰을 수행한다.
Recently, corrosion problems caused by quarantine disinfectant have occurred in the door panel of commercial trucks.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a drain hole is being drilled in the door panel, and the door panel is being designed again for this purpose. Reinforcing parts such as frames or brackets for rigidity are attached to the inner and outer door panels, and spot welding is performed for assembly. X-rays and nugget diameter measurements of the weld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results of performing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for such spot welding.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ssing force had a greater effect on the welding quality than the amount of welding current.
Onboard truck scales can accurately measure payload under static conditions. However, their performance is limited in accounting for dynamic environments encountered during driving, leading to inaccuracies in load estimation under real-world conditions. This study employs TruckCaliber, a dynamic state measurement system, to estimate real-time vehicle loads. Fusion sensor modules were installed on leaf spring suspensions and vehicle frames to collect tilt and IMU data. The system was implemented on a commercial truck, and driving tests were conducted with varying payloads. The analysis focused on curved sections under different dynamic conditions.
The Climate chamber system is an essential facility for aerodynamic performance development of commercial vehicles to investigate air flow field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climatic conditions. In particular, the analysis of airflow fields within the chamber system is an essential consideration for optimal design. In this study, the pressure characteristics and velocity uniformity in the test section area were predicted with blower impeller rotational speed using CFD. The velocity uniformity is affected by the distance from the blower nozzle outlet, reaching up to 72.7% at 695 RPM. The pressure differential between 300 RPM and 740 RPM shows an approximate difference of 2651 Pa, with a high-pressure distribution observed along the right side wall of the blower.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design data applicabl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environmental chamber systems.
漢字構形學은 한자를 구성하는 단위의 개념을 규정하고 각 단위가 맺는 공시 적, 통시적 관계를 밝혀내어 관계를 지배하는 원리를 기술하는 학문이다. 1980년대 말에 한자구형학 이론이 정립된 후 2002년에 처음 출판된 漢字構形學講座부터 10여 년이 지난 후 2015년에 출판된 漢字構形學導論까지 내용이 보완되면서 점차 늘어난 편폭 만큼 한자구형학에 대한 저자의 깊은 통찰력도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 책 서문에서 저자는 한자를 인식하는 데 필요한 두 가지 열쇠가 표의성(表意性)과 형태 구성(構形)의 체계성이라고 강조하고 있으며, 이것은 漢字構形學을 지배하는 기본 원리라고 할 수 있 다. 漢字構形學은 한자의 본체인 ‘형태(形)’에 초점을 맞추어 한자의 형태가 구성되고 변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연구하며, 그 이론을 관통하고 있는 핵심 주제는 한자의 ‘체계성’이다. 체계성의 핵심 의미는 그 체계를 구성하는 요소 간의 유기적 관계 에 있다. 이 책은 한자의 본체인 자형(字形)을 중심으로 한자 체계의 내부적, 외부적 요 소 간의 ‘관계’를 폭넓게 다루고 있다. 그리고 한자 체계 내부에 존재하는 각종 관계와 외 부 요소와의 관계는 통시적인 형태 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근거로 증명한다. 이 책은 이론적인 문제의 해결에서 ‘관계’를 기술하여 설명하고 ‘근거’를 들어 ‘증명’하는 한 자학의 학술적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