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we comparatively analyzed the efficiency of conventional image recognition methods and propose a digital information provisioning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 traffic safety facility recognition. We evaluated the practicality of both approaches from the perspective of autonomous vehicles' capabilities of processing regulatory inform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legal responsibility. Comprehensive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9 major intersections in the Pangyo Techno Valley area of Hwaseong City over a 10- day period from July 12-23, 2021. Three test vehicles equipped with in-vehicle terminals and video cameras collected data through 300 driving scenarios, including 240 during peak hours and 60 during off-peak periods. The proposed digital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exhibited superior performance, achieving a 100.0 % recognition success rate across all test scenarios and road conditions. In contrast, the conventional image recognition method exhibited significant variability in performance, ranging from 56.9 % in underpass conditions to 95.9 % in areas with communication interference, with an overall average of 70.8 %. The digital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demonstrated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conventional image recognition approaches for autonomous vehicle regulatory compliance. The proposed approach delivered consistent and reliable information regardless of physical obstacles or environmental conditions. This method ensures complete comprehension of regulatory information, which is essential for establishing clear legal responsibility frameworks in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regarding the functions of AI-based digital English textbooks.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f 96 elementary school teachers. First, a paired sample t-test was first use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perceived importance and current implementation.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was then applied to identify priority item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as followed visualize them. Finally, a comprehens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most urgent needs. Results showed that among five categories—Diagnostic and Evaluation Functions, Support for Personalized Instructional Design, Adaptive Learning Support, AI Tutor and Assistant Teacher, and Dashboard and User Interface—the highest need was in Diagnostic and Evaluation Functions. Personalized Instructional Design and Adaptive Learning Support also showed high deman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I-based digital textbooks remain in a developmental phase, requiring further discussion on how to implement them effectively according to subject-specific needs.
본 연구는 한국어 기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외국인 유학생의 디지 털 리터러시 역량과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 남도 소재 4년제 대학에서 한국어 통합 수업을 듣는 외국인 유학생 17 명을 대상으로 3주간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 제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역량별 사전-사후 평균 및 표준편차 분석, 독립표본 t-검정, 문항별 사전-사후 평균 및 표준편차 분석을 실시한 결 과 모든 영역에서 수업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특 히 ‘데이터 활용 역량’과 ‘디지털 활용 학습 역량’에서 뚜렷한 역량 향상 을 보였다. 이는 학습자들이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생성하거나 분석하고, 자료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하고 발표하는 능력을 수업 과정에서 실질적으 로 습득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다만 본 연구는 소규모 표본과 익명 성 유지로 인해 개별 학습자의 사전-사후 변화를 추적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큰 표본을 확보하여 개별 학습자의 변 화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연구는 MZ세대 취업준비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과 디지털 참여 활동이 잡크래프팅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잡크래프팅의 주요 하위 역량인 과업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관계 크래프 팅과의 연관성에 초점을 두었다. 주요 연구문제는 첫째, 취업준비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과 디지털 참여 활동에서 과 업 크래프팅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취업준비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과 디지털 참여 활동에서 인지 크래프팅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취업준비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과 디지털 참여활동에 서 관계 크래프팅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등 세 가지다. 연구의 주요 변수인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 디 지털 참여 활동, 잡크래프팅 역량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탐색하였고, MZ세대 취업준비생 364명의 설문 응답을 통계 분 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의 하위 요인인 디지털 정보 역량, 디지털 의사소통 역량이 높을수 록 과업 크래프팅 역량과 관계 크래프팅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디지털 활용 역량, 디지털 정보 역량, 디지털 의 사소통 역량이 높을수록 인지 크래프팅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참여 활동의 하위 요인인 정보 취득, 정보 선택, 정보 전달이 높을수록 과업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관계 크래프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MZ세대 취업준비생의 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지속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 향상과 디지털 참여 활동 확대를 통해 취업준비생들의 잡크래프팅 역량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평생교육 및 사교육 프로그램 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igitally reconstruct five representative traditional male costumes of Peking Opera—Mang (蟒), Pi (帔), Go (靠), Seup (褶), and Ui (衣) using 3D virtual clothing production software. Peking Opera costumes are rich in symbolic meaning, reflecting traditional Chinese aesthetics, theatrical hierarchy, and cultural heritage, but their preservation is challenging due to material fragility, deterioration over time, and limited public access. To address this issue, the study first extracted detailed structural features, patterns, colors, and embroidery motifs from historical visual references and traditional design materials. Garment patterns were then developed in a digital format, with decorative elements digitized, imported into CLO 3D, and applied to the garments with precision. Each costume was reconstructed with careful attention to accurate proportions, fabric texture, color fidelity, and traditional decorative layout based on authentic examples. The resulting digital garments effectively represent the visual, structural, and symbolic characteristics of the five selected traditional Peking Opera costumes. Our research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3D virtual clothing technology as a valuable tool for preserving, documenting, and communica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providing high-fidelity digital reconstructions, the study contributes to building accessible digital resources for virtual exhibitions, cultural education, academic research, and future applications in heritage conservation, while th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gital tools in supporting the long-term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traditional costume knowledge.
This study presents energy-saving performance analysis of a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RAS) that uses seawater-source heat pumps to control the seawater temperature in the breeding tank. The analysis i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nd TRNSYS-based digital twin simulations. The complex thermal load of the RAS, which fluctuates in real time due to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s simulated using the dynamic simulation software, TRNSYS. A fuzzy logic controller (FLC) was designed based on the dynamic heat load calculated by TRNSYS and the water temperature data of the breeding tank enabling capacity control of the inverter manipulator of the heat pump. At this stage, energy is sav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variable speed compressor responding to the partial load via the inverter. Power consumption was predicted at appropriate time intervals using a custom-built ANN model. The prediction results are used to determine the optimal number of heat pumps to operate. Through the digital twin simulation, the proposed heat pump capacity control is compared with conventional operating number control in terms of temperature regulation performance and power consumpti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Matlab and significantly improves energy efficiency in RAS farms.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치료제를 활용한 직업재활 중재가 발달장애인의 사회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 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5년 1월부터 2025년 5월까지 최근 10년 동안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로 하여 문헌검색 하였다. 국내외 주요 학술 데이터베이스(RISS, KCI, DBpia, Pubmed, EMBASE)를 사용하였으며, PRISMA 가이드라인에 따라 문헌 선정 과정을 거쳐 총 8편의 문헌을 분석 대상으로 포함하였다. 결과 : 디지털치료제를 활용한 직업재활 중재 프로그램 유형에는 면접기술 훈련프로그램(VR-JIT), 직장 가상현실 훈련프 로그램(Workplace VR), 사회성기술 향상 가상현실 프로그램(VRESS), VR 바리스타 프로그램이 있었다. 중재 프로그램 에는 VR 바리스타 훈련이 가장 많이 시행되었다. 사회기술 효과에는 면접기술 및 자신감, 자기효능감, 높은 수용성과 사 용성, 작업기억 및 계획능력의 상관관계, 의사소통 기술과 수업태도, 직무 수행능력, 직무 지식·기술·태도의 습득에 효 과를 보였다. 결론 : 향후 연구에는 작업치료 관점에서 다양한 디지털치료제 기반 직업재활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는 이러한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최근 반도체 산업은 디지털 전환과 지속가능한 발전 측면에서 글로벌 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한국과 대만의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디지털 동적 역량’과 ‘기업 성과’ 간의 관계에서 ‘양손잡이 경영(탐 색과 활용)’의 매개효과를 포함하여 고찰하고자 했다. 또한, ‘환경의식’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조절 효과도 포함하여, 연구 모델을 구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한국과 대만의 반도체 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된 설문 자료를 기반으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기본적으로 디지털 감지(sensing), 포착 (seizing), 전환(transforming)이라는 ‘디지털 동적 역량’이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 으며, 그 사이의 ‘탐색’과 ‘활용’이라는 ‘양손잡이 경영’이 갖는 매개효과도 검증하였다. 또한, 한국과 대만의 제도 적․문화적 기반이 다른 상황에 있어서, ‘환경의식’과 ‘CSR’의 (국가․제도․문화적 맥락에 따른) 조절효과도 고 찰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디지털 감지, 포착, 전환으로 구성된 디지털 동적 역량은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 모두 유의한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탐색과 활용으로 구성된 ‘양손잡이 경영’은 디지털 동적 역량과 기업 성과 사이에서, 긍정적인 ‘부분 매개(partial mediation) 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양손잡이 경영의 전략적 중요성을 시사한다. 셋째, CSR과 환경의식은 성과 유형 및 국가에 따라 조절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는 Hofstede (1984)가 제시한 문화적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한국은 사회적 신뢰와 이미지 중심의 지속가능 한 전략을, 대만은 효율성과 성과 중심의 전략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기업이 디지털 전환을 추진함에 있어 탐색과 활용의 균형을 갖춘 양손잡이 역량을 강화하고, 국가별 제도 및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CSR 및 지속가능성 전략을 수립할 때, 디지털 역량의 성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는 등 다양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