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환경측정용 센서 위치에 따른 온실 환경의 공간· 수직적 특성을 조사하고 온실 종류에 따른 온도, 광도 및 CO2 농도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벤로형 온실의 공간적인 5지점을 선정한 후 각 지점에서 대표적 작물의 수 직적 높이 4지점과 지면부, 지붕 공간에 온도, 상대습도, CO2, 엽온 및 광센서를 설치하였다. 벤로형 온실과 반밀폐형 온실 에서 온도, 광도 및 CO2 농도 변화의 관계성을 Curve Expert Professiona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벤로형 온실 의 공간적 위치에 따른 편차는 CO2 농도가 다른 요인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CO2 농도는 평균 465-761μmol·mol-1 범 위였고, 편차가 가장 큰 시간대는 오후 5시였으며, 최고 농도 는 액화 탄산가스 공급장치의 메인 배관(50∅)과 가까운 위치 인 중앙 후부(Middle End, 4ME)에서 646μmol·mol-1, 최저 농도는 좌측 중앙(Left Middle, 5LM)에서 436μmol·mol-1이 었다. 수직적 위치에 따른 편차는 온도와 상대습도가 다른 요 인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기온의 편차가 가장 큰 시간 대는 오후 2시대이며, 최고 기온은 작물 위 공기층(Upper Air, UA)에서 26.51℃, 최저 기온은 작물의 하단부(Lower Canopy, LC)에서 25.62℃였다. 평균 상대습도의 편차가 가장 큰 시간 대는 오후 1시대로 나타났으며, 최고 습도는 LC에서 76.90%, 최저 습도는 UA에서 71.74%이다. 각 시간대에 평균 CO2 농 도가 가장 높은 수직적 위치는 지붕 공간 공기층(Roof Air, RF)과 시설 내 지면(Ground, GD)이었다. 온실 내 온도, 광도 및 CO2 농도의 관계성은 반밀폐형 온실의 경우 결정계수(r2) 가 0.07, 벤로형 온실은 0.66이었다.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온실 내 CO2 농도는 공간적 분포, 온도와 습도는 작물의 수직 적 분포 차이를 측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고 환기율이 낮은 반밀폐형 온실의 경우 목표 CO2 시비 농도가 일반 온실과 다 르게 설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조 건전도 모니터링 시스템과 응답기반모드해석 기법의 발전과 함께 토목구조물의 고유진동수나 감쇠비, 모드형상과 같은 동특성의 변화를 통해 구조물의 상태를 평가하거나 손상도를 추정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온도나 풍속, 진폭 같은 환경 및 거동조건에 따른 동특성의 변동성으로 인해 구조물의 손상이나 상태 변화에 의한 영향만을 파악하는 데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공기역학적 특성을 보이는 장대교량의 동특성과 환경 및 거동조건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한 다중선형회귀분석 기반의 예측모델을 제안하였다. 응답기반모드해석 기법을 적용하여 3달간의 계측데이터로부터 대상 구조물의 고유진동수와 감쇠 비를 추정하고 온도나 풍속, 구조물의 진폭 등 환경 및 거동조건과의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각 요인의 변화가 동특성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였다. 또한, 랜덤 추출한 80%의 데이터를 토대로 다변수 회귀모델을 구축하고 나머지 20% 데이터의 환경 및 거동조건으로부터 예측한 값과 실제 추정치를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모델의 예측 성능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기여도가 높은 독립변수를 파악하고 예측 성능을 개선하였다.
        4,000원
        3.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esents the estimation of crack depth by analyzing temperatures extracted from thermal images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such as air temperature, air humidity, illumination. The statistics of all acquired feature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thermal images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are presented. The concrete crack depths were predicted by four different machine learning models: Multi-Layer Perceptron (MLP), Random Forest (RF), Gradient Boosting (GB), and AdaBoost (AB).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re validated by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ccuracy, and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 The AB model had a great performance among the four models due to the non-linearity of features and weak learner aggregation with weights on misclassified data. The maximum depth 11 of the base estimator in the AB model is efficient with high performance with 97.6% of accuracy and 0.07% of MAPE. Feature importances, permutation importance, and partial dependence are analyzed in the AB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marginal effect of air humidity, crack depth, and crack temperature in order i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s.
        4,300원
        4.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후변화로 인하여 이상 기상이 잦은 빈도로 발생하고 있어 사계절 균일한 규격의 채소 접목묘를 생산하기 위한 새로운 시스템이 필요하다. 인공광 이용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은 사계절 외부 기상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균일한 모종을 생산할 수 있어 공정육묘장에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인공광 이용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의 환경 프로파일을 위하여 광량(수직 분포; 광원으로부터의 거리 255, 205 및 105mm, 수평 분포; 150 × 150mm 간격으로 총 45점), 광질, 기온 및 상대습도(수직 분포; 지면으로부터 615, 980, 1,345 및 1,710mm, 총 12개 지점)에 대하여 프로파일을 하였다. 오이 육묘 및 환경 프로파일 기간 육묘 모듈의 광량은 150μmol·m -2 ·s -1 , 일장은 16/8h, 기온은 25/20℃ 및 상대습도는 70/85%로 설정하였다. 인공광 이용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이 균일한 모종을 생산하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조은백다다기’ 오이를 파종 후 8일에 생장을 조사하였다(n=20). 육묘 모듈의 광량은 광원으로부터 거리가 255mm였을 때 167.2 ± 35.7였으며 설정치와 유사하였다. 광원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워진 곳에서 광량은 각각 11과 23% 증가하였으나, 표준편차가 1.8배 증가하였다. 인공 광원의 적색광/근적색광의 비율은 3.6이었다. 지면으로부터 615, 980, 1345 및 1710mm 떨어진 곳에서 육묘 모듈의 주/야 기온은 각각 24.7/19.5, 24.6/19.5, 24.7/19.4 및 24.7/19.6℃였다. 육묘 모듈의 높이에 의한 위치별 기온의 차이는 없었으나, 주/ 야 기온의 설정 값과는 각각 0.3 및 0.5℃의 차이는 있었다. 육묘 모듈의 상대습도도 위치별로 차이가 없었으며(71/84%), 상대습도의 설정값과 비교해도 1%의 차이로 매우 정밀하게 제어되었다. 파종 8일 후 오이 모종의 초장,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은 각각 4.1 ± 0.1cm, 24.1 ± 3.7cm 2 , 0.7 ± 0.13g 및 0.05 ± 0.008g이었으며, 초장의 변이 계수가 약 2.4%이하로 매우 균일한 오이 모종을 생산하였다. 인공광 이용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에서 모종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들 을 수직· 수평으로 프로파일하여 분석하였을 때 기온 및 상대 습도는 매우 정밀하고 정확하게 제어되었으며, 광량 및 광질도 오이 모종을 생산하기에 충분히 적절 하였다. 본 인공광 이용 식물공장형 육묘시스템을 보급한다면, 연중 균일한 우량 접목묘 생산을 위한 접수· 대목을 육묘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4,000원
        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rge-scale cultivation of Microcystis aeruginosa in different light conditions was conducted for verifying the cell growth in a greenhouse system. Environmental and chemical parameters of the large-scale culture medium were measured for analyzing the interaction between M. aeruginosa and its symbiotic bacteria. During cultivation, a difference in cell growth pattern was observed between control (natural light) and lightlimited groups (reduction of blue, green, and blue/green light, respectively). Comparing the control group, the light reduced groups showed slow and delayed cell growth through the cultivation period. Also, there is differences in the consuming pattern of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which indicated that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between M. aeruginosa and symbiotic bacteria.
        4,000원
        7.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8개월령과 31개월령 사이의 암소 56,487두의 판독 결과를 이용하였으며, 환경요인과 유전적 요인들에 대해 분석이 이루어졌다. 2011년 1월에서 2018년 8월까지의 기간 동안의 국내 농가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WOMBAT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Multi-trait animal model을 통해 각 형질들의 유전력, 유전상관 및 표현형상관을 추정하였다. 모델식들의 환경적인 요인들의 대해 유의성이 나타났다; 측정년도, 측정월, 지역, 암소개월령. 초음파 등지방두께, 초음파 등심단면적, 초음파 근내지방도의 유전력은 각각 0.364, 0.499, 0.104로 추정되었다. 유전상관과 표현형상관은 각 형들간에 있어 강한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각 형질들간 유전상관은 초음파 근내지방도와 초음파 등심단면적, 초음파 근내지방도, 초음파 등심단면적과 초음파 근내지방도는 각각 0.551, 0.485, 0.486으로 나타났으며, 표현형상관은 0.594, 0.490, 0.514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결과로 초음파측정결과를 이용하여 농장운영에 있어서 육질 개선을 위한 유전적 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라 보며, 한우의 개량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로서 이용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8.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trends of the widely used stability indices (SIs)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EPs) were examined by using the 30-year routine rawinsonde data observed in three upper air observatories (Osan, Gwangju and Pohang) over South Korea. To take into account of the contribution of water vapor to a parcel density, we applied the virtual temperature correction in calculating the SIs and EPs. The trends of SIs and EPs indicated significant increases of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s, especially at the low-to-mid troposphere during the last 10 years. The warming trend in the lower troposphere shows about 3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global average (+0.10- +0.20˚C/10 years), whereas the cooling trend of lower stratosphere demonstrates a similar trend with the global average (-0.33- -0.60˚C/10 years). The vertical stability is clearly reduced due to the unsymmetrical change of atmospheric elements. The unstabilizing trend with the increased moisture contents gradually changed the atmospheric environment in South Korea into the conditions favorable for the occurrence of severe weather or intensifications of such events. These trends are consistent with the recent observations, which showed clear increase in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heavy rainfalls.
        4,500원
        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환경요인과 유전적 효과가 한우의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경 남지역에서 2005년부터 2009년에 도축된 한우 22,954두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혈통이 존재하는 개체를 포 함하여 36,868두를 이용하여 유전모수를 추정하였으며, 유전모수 추정에는 EM-REML 분석법을 사용하였 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보면 각 형질의 유전력은 도체중,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 가 각각 0.39, 0.30, 0.33 및 0.62로 나타났다. 또한 도체중과 배최장근단면적의 유전상관은 0.86, 표현형 상관은 0.72로 고도의 정의상관을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형질들 간에는 대부분 중도의 정의상관을 나타내 었다. 근내지방도의 유전력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개량방향 설정시 육질 향상에 중점을 둔 결과인 것으 로 사료되어진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경남지역의 한우는 점진적으로 개량되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지 며 이는 농가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앞으로 경제형질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루 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지며 연구를 통하여 보다 명확한 결과를 얻어야 할 것이고 이를 통해 한우는 더 욱더 개량되어 질 것이다.
        4,000원
        10.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ytopathogenic fungi들에 대해 매우 공격적인 Trichoderma hurzianum은 다른 곰팡이들의 세포벽 주성분인 chitin을 분해하는 extracellualr chitinase를 분비하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인 biocontrol agent로 사용할 수 있다. Trichoderma harzianum의 생물학적 제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하여 extracellualr chitinase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batch모드에서의 적정
        3,000원
        11.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속배양방식으로 서낙동강 저서층의 영양염 용출 및 이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희석율 감소는 배양기 수층의 영양염 농축을 초래하여 저서층에서 용출되는 N과 P의 용출율을 저하시켰으며, NH4 +와 PO4 3-의 용출은 저산소 조건에서 촉진되었다. 미생물의 활성을 저해하는 저온과 중금속은 NH4 +와 PO4 3-의 용출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NO3 -의 농도에 많은 영향을 미쳐 NH4 +와 PO4 3-의 용출은 무생물학적 요인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지만 NO3 -는 질화세균에 의한 용출 NH4 +의 산화로 대부분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낮은 희석율과 용존산소 조건에서 측정한 서낙동강 저서층의 NH4 +와 PO4 3-의 용출율은 각각 평균 20.4 mg-N m-2 day-1, 8.1 mg-P m-2 day-1로, 서낙동강의 평균 수면적과 저수량 및 체류시간을 고려하면 저서층의 영양염 용출이 서낙동강 수층의 NH4 +와 PO4 3- 농도의 6.6~39.8, 63.0~100%에 해당하여 서낙동강의 부영양 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12.
        202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strawberry cultivation environment in a greenhouse located in Jeonju was monitored and internal environmental parameters were analyzed. Temperature, humidity, RAD, and PPF sensors were installed to monitor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test greenhouse. Data were collected every 10 minutes during four winter months from sensors placed across the greenhouse to assess its permeability and environmental uniformity.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greenhouse were relatively uniform with negligible deviations among the center, south, and north; however, it was judged that further analysis of gradients of these parameters f rom the east to t he w est of t he g reenhouse w ould b e needed. Both R AD (Total solar radiation) a nd P PF (Photosynthetic photon flux) had high values on the south and were low on the north and the reduction rate of these parameters was 54% and 61%,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a significant amount of light could not be transmitted. This impli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amount of light entering the greenhouse during winter.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environmental control devices and auxiliary lighting are needed to achieve uniform greenhouse environment for efficient strawberry cultivation.
        14.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roject studies marine Vibrio vulnificus in oysters in the marine environment and attempts to correlate this bacteria`s presence within various environmental parameters; we design this study to determine how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affect the survival of V. vulnificus in oysters and whether V. vulnificus is able to persist in oysters after exposure to UV light-disinfected seawater. Experimental depuration systems consist of aquaria containing temperature-controlled seawater treated with UV light and 0.2 ㎛ pore size filtration. Results showed that depuration at temperatures higher than 25℃ caused V. vulnificus counts to increase in oysters. Throughout the process, depuration water contained high concentrations of V. vulnificus, indicating that the disinfection properties of UV radiation and 0.2 ㎛ pore size filtration were less than the release of V. vulnificus into seawater. In contrast, when depuration seawater was maintained at 10℃, the numbers of V. vulnifcus were very little and multiplication in oysters was inhib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