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국제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 여부에 따른 화훼장식 자격증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 100명과 미취득자(일반인) 210명, 총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화훼장식 자격증 선호도 조사에서는 화훼장식기사(3.27)와 화훼장식기능사(3.13)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자격증 선호 이유로는 자격증이 주는 자신감(3.56)과 다양한 실무에서의 활용(3.43)이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반면,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 에 대한 선호도는 가장 낮았으며, 특히 자격증 취득자의 선호도가 미취득자에 비해 더 낮았다.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가 보유하고 있는 자격증에 대한 만족도는 국제 화훼장식 자격증 (3.70)이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3.03)보다 높았으며, 특히 미국 화훼장식 민간자격증(4.03)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반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 보유자는 많았으나 본 자격 증 만족도는 보통 이하로 낮은 수준이었다. 자격증 취득의 만족 이유로는 해당 자격증이 능력개발 및 전문성에 도움을 주며(3.61), 자격증이 주는 신뢰도(3.45), 실무에 도움(3.41)을 제공하기 때문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장식 자격증 별 신뢰도에서는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2.80)을 제외한 모든 자격증을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국내 화훼장식기사(3.44)는 유럽, 일본과 한국의 민간자격증에 비해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의 발전 방향을 살펴본 결과,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취업과 실무와의 연계, 실기 심사에 대한 공정성, 시험 및 평가방식의 강화 등이 자격증 발전에 필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자격증 취득 시험 출제 기준 및 자격증 취득 후 국가적 복지혜택에 대한 보완이 바람직한 화훼 장식 자격증 제도의 정착을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절화 수국 ‘Ruby’의 보존화 가공 시 탈수 및 탈색 시간과 보존및 착색 적정 조건을 구명하고자 실 시하였다. 탈수 및 탈색의 적정 처리 시간은 18 ~ 24시 간으로 판단되었으며, 24시간 후부터 무게가 감소하고 Hunter value a 값이 낮게 조사되었다. 24시간 처리의 Hunter value a 값은 0.94로 0시간 보다 낮게 조사되었으 며, 36시간 처리는 꽃잎의 갈변 현상이 나타났다. 보존 및 착색 처리 결과, 관능평가에서 Solution II와 Black 염료 처리한 보존화가 65%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받았으며, Solution II, Red 6.7mL + Yellow 6.7mL+ Blue 6.7mL + Black 10mL 처리와 Red 5mL + Yellow 5mL + Blue 5mL + Black 15mL 처리가 각각 25%, 10%의 선호도를 받았다. 또한, Solution I은 건조과정 중 형태변형이 나 타나 Solution II의 형태유지성, 유연성, 질감이 Solution I(제작용액)에 비해 다소 높게 조사되었다. 그에 반해, Solution I의 색상재현성은 다른 처리보다 높은 점수를 받 았으며, Hunter value L 값도 15.33으로 가장 낮게 조사 되었다. 따라서, Solution II(시판용액)가 절화 수국의 보존 화 가공 시 적정 처리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색 재현성 을 위해 검정색 표현을 위해 Black 염료 단독처리가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설치”란 평면회화나 조각처럼 이미 제작된 작품을 전시공간(실내, 야외)에 걸거나 놓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전시공간의 여건에 맞추어 작품을 설치하는 이른바 현장 위주의 작업경향을 가리킨다. 물론 예외의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설치작가들은 이런 기준에 의존하여 작품행위를 한다. 따라서 이들에게 있어 장소의 문제, 재료의 문제, 그리고 발상의문제가 다른 장르에 비해 훨씬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두말할 것도 없다.본고는 화예디자인의 새로운 형식의 모색으로 화예디자인과 조경예술의 융합적인 시도를 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실제 설치작업을 통한 이론의 구체화를 시도하였고 설치작업은 크게 세 가지 방향의 주제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설치작업의대상지로는 서울시 서초구 신원동 일원의 양재조경(주)의 농장부지이며 선정된 주제는 ‘휴식’, ‘인연’, ‘생명’이다. 각각의주제를 잘 표현할 수 있는 환경과 장소성을 고려하여 선정하고 설치작업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설치예술로서화예디자인의 표현 양식과 조경예술이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최근 급격한 성장을 하고 있는 인터넷 쇼핑이 보편적인 소비채널로 자리잡아 가며 소비자의 의사 결정 구조까지 변화시키고 있음을 인식하고 화훼디자인 상품의 인터넷 마케팅과 소비자와의 관계를 살 펴보고자 하였다. 현재 인터넷 시장의 현황과 화훼디자 인 상품 소비에 대한 문헌고찰 후 설문을 통해 서울·경 기 지역을 중심으로 총 448부의 실증 조사를 실시하였 다. 화훼디자인 상품의 인터넷을 통한 구매자는 전체 설문 조사자 중 34%로 31~35세의 여성의 회사원이 가장 많았으며, 월평균 가정의 수입, 결혼 유무, 거주 지역에 따른 구매차이는 없었다. 인터넷 쇼핑몰 화훼디 자인 상품의 구매 시 불안요소 또는 구매하고 싶지 않은 이유로는 인터넷상과 실제로 구매했을 시의 색감, 디자인, 신선도 등의 차이점에 대한 우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훼디자인 상품의 인터넷을 통한 구매자와 쇼핑성향을 살펴보면 경제적 쇼핑성향이 가장 높게 나 타났고 다음으로 유행추구 쇼핑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종류로는 꽃다발, 꽃바구니, 식물류, 난, 개인연회, 기 념일 이벤트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인터넷 사용 목적과 쇼핑성향을 살펴보면 인터넷을 통한 화훼 디자인 상품의 구매자의 모든 쇼핑성향은 인터넷쇼핑 과 상관관계가 높아 인터넷쇼핑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 들의 화훼디자인 상품의 구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인터넷 시장의 높은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며, 변 화하는 소비자의 다양한 특징과 화훼디자인 제품의 연 관관계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화훼장식교육프로그램을 분석 하고 화훼장식가의 직업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현직 화훼장식사 60명과 지망생 60명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화훼장식가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대상자가 경험한 직종 등에 대한 만족도, 관련 교육에 대한 내용, 사회적 인식도, 사회적 대우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직업선택 시 고려하는 사항, 일에 대한 관련전공자와 비 관련전공자의 만족도, 현재 직업에 대한 만족도, 교육기간 에 대한 만족도, 화훼장식사 능력에 대한 중요도, 직업의 발전요건에 대한 중요도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현직 화훼 장식가와 지망생이 직업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은 모두 원예적성 그리고 장래성으로 나타났고, 화훼장식사 들의 전공별에서는 화훼장식관련 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는 없었다. 지망생들의 전공별 분석결과에서도 현직 화훼장식가와 마찬가지고 만족도는 화훼장식관련 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현직 화훼장식가와 지망생의 경력과 교육기간에 따라 만족도에 차이를 보면 화훼장식 관련 교육 또는 수업경험과 강사의 교수법에 대한 만족도는 경력이 적을수록 더욱 낮은 만족도를 보였 으며, 화훼장식 지망생의 교육기간에 따른 결과를 보면 일에 대한 만족도는 교육기간과 관계없이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직 화훼장식가와 지망생의 전공에 따 라 능력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본 결과는 현직 화훼장식가의 전공별 분석결과는 화훼부문과 장식 품제작부분에서 관련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해 더 중 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품질유지 부문, 화훼장식부문, 그리고 화훼유통 및 경영부분에서는 관련전공자와 기타 전공자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지망생들의 전공별 분석결과를 보면 화훼부문, 화훼장식부문, 장식품제작, 화훼유통 및 경 영에서 관련전공자가 기타전공자에 비해 전반적으로 중 요도를 높게 평가하였다. 품질유지에 대한 중요도는 전 체적으로 관련전공자가 기타전공자에 비해 중요하게 생 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화훼장식가로 활동을 하는 데 있 어서 화훼장식전공자가 비전공자들에 비해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교육내용 중에서 원예관련 교육이 가 장 중요하다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가적인 화훼장식가를 양성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 적인 교육프로그램이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시대에 화훼장식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론과 실기가 통합된 체계적인 교육내용에 따른 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value of traditional floral wall patterns reflecting the distinct aesthetic consciousness of Korean people and reinterpret the images of floral wall patterns in simplified forms. In addition, the study created new floral patterns to apply them to the design of neckties and scarves. In a methodological aspect, the computer design software programs Adobe Illustrator CS2 and Adobe Photoshop CS2 were used to make the traditional floral wall patterns motifs. Four basic motifs for a new formative image were set using graphical functions such as omitting, simplifying, overlapping, repeating, and/or reducing shapes based on floral wall patterns, and each motif was developed in two variations with different colors applied to them. Each of the set motifs was expressed in a repeated arrangement and in a modified pattern of 45 degrees. Necktie design with a floral wall pattern made use of the motifs developed through a variety of effects such as simplification, repetition, size variation, and gradation and the pattern modified at a 45°for application. Scarf design employed and applied the existing motifs in an appropriate manner for design purposes and reconstructed and expressed them through such effects as repetition, rotation, compositional variation and gradation.
건조 후 장식용 리스를 만들기 적합한 자생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2004년 4월부터 12월까지 한국 여러 지역을 탐사하여 21cm×21cm×6cm의 포장상자에 맞는 크기로 제작한 장식가치가 있는 자생식물은 46종류로 조사되었다. 이 중 가장 손쉽게 구할 수 있으며 건조 하기 쉽고 제작하기 쉬우며 외국에서 제작 판매하지 않는 식물은, 비름과의 비름, 국화과의 사철쑥, 산쑥, 물쑥, 화본과의 참억새, 갈대, 금강아지풀, 강아지풀, 꿀풀과의 배초향, 향유, 꽃향유, 마편초과의 순비기나 무, 그리고 글리세린 처리 잎을 이용한 측백나무과의 향나무, 눈향나무, 소나무과의 구상나무, 오엽송, 주목 과의 주목, 그리고 가지를 이용한 노박덩굴과의 화살나 무인 18종류로 조사되었다.
대나무를 이용하여 화훼장식품을 개발하고 그 작품을 전시하였다. 대나무의 길고 굵은 가지를 교차시켜 현대적 디자인을 하고 그 사이에 식물을 고정시켜 작 품성을 높였다. 대나무 선단부의 긴 가지와 잎을 밀집 시켜 숲을 만들고 그 속에 안정감 있는 분화류를 배 치하였다. 대나무를 세로로 잘라 기둥을 만들고 그 선 단부에 대나무 용기를 부착시켜 식물을 심었다. 대나무 기둥의 움직임에 의한 리듬감을 표현하였다. 대나무의 잔가지들을 서로 엮어 면을 만들고 그 면에 식물을 매 달아 벽장식 작품을 구성하였다.
화훼장식에서 프레임 디자인 작품의 교육과 적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론적 체계 확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서울, 부 산, 대구, 경기, 광주에 장식된 프레임 디자인 작품 120개를 대상으로 동사적 표현기법의 적용실태와 기법 간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25개 이상의 작품(20.8%)에 사용된 기법에는 세우기(44.2%), 연결하기(42.5%), 둘 러싸기(28.3%), 묶기(27.5%), 덧씌우기(20.8%), 엮기 (20.8%), 교차시키기(20.8%), 조립하기(20.8%)가 있었 다. 작품 당 사용된 동사적 표현기법의 수는 42.5%의 작품에서는 5-7개가, 31.7%의 작품에서는 2-4개가, 23.3% 작품에서는 8-10개가, 2.5% 작품에서는 11-13 개가 사용되었다. 작품에 적용된 기법 중 빈도수가 높 은 세우기, 연결하기, 교차시키기, 묶기, 덧씌우기, 감 싸기는 서로 간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프레 임 디자인을 이용한 작품 제작이나 교육 등을 위해서 는 이들 기법들을 우선적으로 익혀야 될 것으로 생각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작가의 개념과 계획에 의한 주관적 연출로 대부분 이루어지는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에 대한 작가와 관람자 상호 호응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유도로서 관람자의 선호요인, 즉 선호 디자인, 디자인이미지, 디자인요소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실증연구로 off-line의 대인 면접에 의한 일대일로 설문 조사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의 관람자 선호도에 대한 조사 분석으로는 조화로운, 따뜻한, 여성적인의 디자인 이미지의 유사색 조화가 선호되었다 디자인 선호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이미지 형용사는 '조화로운과 조화롭지 않은'으로, '조화로운'의 디자인 요소는 유사 색 조화로 '조화롭지 않은'은 혼합 색 조화로 나타났다 따라서 '색채'가 선호 디자인 요소로서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본 연구의 제 1보에서는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두 레이아웃 변인 (모티브 크기와 반복 배열 방식)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 감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이러한 분석결과를 시장현황 조사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레이아웃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 2보네서는 제 1보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만족시키는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을 위한 지침과 디자인의 프로토타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레이아웃 기법이 감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스카프 디자인에 있어 레이아웃 기법 전개에 관련된 실증적 지표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사변적 또는 미학적 접근이 주류를 이루었던 기존의 스카프 디자인 연구 분야에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최근 주목받고 있는 감성과학 이론이 섬유 제품 디자인 개발에 유용한 방편으로 적용될 수 있는가에 관한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최근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도시환경개선사업을 추진하면서 환경조형물이나 벽화 등으로 미관을 개선하는 사례를 빈번히 볼 수 있으나, 역사성이나 장소성, 지역 고유의 정서를 대표하는 변별적 특성을 살리지 못함으로써 어디를 가든 획일적 풍 경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인류의 역사에서 이미 공공미술로서 인류와 가까웠던 화훼(花卉)가 오브제 위주의 기존 공 공미술의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함으로써, 화훼디자인이 패러다임 체인저(paradigm changer)가 될 수 있 는지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하였다. 먼저, 공공미술의 개념과 경향 및 역할을 살펴보고 화훼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한 다음 화훼디자인이 공공미술로서 갖는 의의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일반적인 공공미술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화훼디자 인의 어떠한 특성이 공공미술로서 가치가 있는지를 논한 다음, 공공미술에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하는 실험적 방법을 제안 함으로써 본 연구의 독자성을 확보하였다. 연구방법은 공공미술과 화훼디자인의 특성 및 공공성 등 문헌 고찰을 통해 분석 하고, 대안 제시를 위해 실험적 방법론의 프로세스를 구조화 하였다. 지금까지의 공공미술은 주로 벽화나 환경조형물을 공 공장소에 설치하여 상징성과 지역성을 추구해왔고, 최근에는 도시에 문화를 입히는 수단으로 활용하여 도시브랜드화를 시 도하는 양상으로까지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환경은 조경이나 원예, 스트리트퍼니처 위주의 정책으로 인해 화훼디자인 이 공공미술의 영역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연구자는 대중이 공공미술의 창작활동에 참여하는 새로운 접 근방식을 제안하였으며, 이 방식을 통해 여섯 가지 효용을 도출하여 이를 근거로 화훼디자인이 공공미술의 패러다임 체인 저가 될 수 있음을 밝혔다.
This study analyzes the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of flower arrangement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to elementary after-school and aims to demonstrate its effectiveness through a questionnaire. For the study, analyzes of flower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through a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hat about gardening activitie’s impact on children. In addition, analyzes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extracts the flower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elementary curriculum to develop the flower arrangement program. Developed programs are proven by conducting surveys for theirs fitness as elementary after-school program and children's anticipated preference for 20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0 lecturer who directly teach the after-school classe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lower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of design and flower arrangement theory was connected with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cond, by analyzing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at can be connected flower design, develop flower design after-school programs in 15 periods. Programs are five associated with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five about color that most associated with elementary curriculum and five about trends and lifestyle associated with flowers. Developed programs are limited to the possible level that applies to the elementary after-school classes about cost, time, and technology. Third, the programs are proven by teachers and after-school classes lecturer. According to survey results, the art is the most relevant to flower design and developed 15 programs were proven their suitability to elementary after-school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