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orms and demands of language learning are changing in the pandemic era. Learners no longer rely solely on a formal language curriculum. Instead, they are using various informal language learning (ILL) channels. Although informal language learning has been in the spotlight and is growing, more research on ILL is needed. In this study, ILL taking place through an online community was analyzed. Articles from the Korean learning community (r/Korean in Reddit) were collected, and the topic modeling technique, Latent Dirichlet Allocation,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seven major topics were selected. The most common topics in all posts were issues faced by beginner learners, followed by vocabulary and sentence meanings, interest in Chinese characters and applications of Korean language skills, culture and daily life, translation, online learning materials, and Korean phonics. Through this, the interests of ILL learn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could be identified. Due to the nature of ILL, in which a formal curriculum does not exist, it was found that questions about general strategies for learning and questions that could not be solved in formal language education were most prominent.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ILL learners who actively sought learning content and materials were also found.
        6,100원
        2.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it is essential for companies to develop their capabilities for sustainable growth. To this end, informal learning at work plays an important role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at are having difficulties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If the GRIT of workers and the spiritual leadership of leaders ar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the effect of informal learning will increase.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through a survey of workers participating in the Work-learning Dual System in Korea. First, experience and feedback among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mpetency development.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the GRIT of workers, the greater the magnitude of the positive effect of experience and feedback on competency development, showing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Third, in the case of workers with high GRIT, capacity development is strengthened as experience or feedback increase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piritual leadership, the greater the scope of reinforcemen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workers with low GRIT, competency development weakens as experience or feedback increase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piritual leadership, the greater the extent of the weakening.
        4,600원
        3.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enthusiasm, informal learning,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formal learning,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crafting through job enthusiasm. A survey was conducted on 451 safety workers at large domestic compani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model suitability, influence 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mediating effects with AMOS 23.0 using SPSS 23.0. Through research, we found five important results. First, the structural model of job crafting, job enthusiasm, informal learning,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roperly explained the empirical data. Second,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enthusiasm, but informal learning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enthusiasm. Third, informal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while social suppor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crafting. Fourth, job enthusiasm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Finally, job enthusiasm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crafting. These suggest that continuous environmental efforts and systematic management measures are needed to promote job crafting of safety workers so that informal learning, social suppor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enthusiasm can be expressed. Therefor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various sub-factors of informal learning that can promote job crafting of safety workers was suggested as a follow-up study.
        4,300원
        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북아 문화권에서 문화적 자아개념(관계중심적자아·독립적자아)과 귀인양식(내적·외적)이 연고(緣故; 사적 관계망)현상에 대한 개인의 인식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는 문화에 따라 연고의 심리사회적 기능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개방적 질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서울·경기·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직업을 갖고 있는 중국인과 한국인 184명을 대상으로, 문화적 자아개념(관계 중심적·독립적), 귀인양식(내적·외적), 공정성 인식(분배·절차·상호작용)에 대하여 설문조사한 결과, 관계중심적 자아개념과 외적귀인양식을 가진 개인들은 독립적 자아개념과 내적귀인양식을 가진 개인들보다 연고에 대한 공정성 인식에서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기능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관계 중심적 자아 개념을 가진 중국인들과 한국인들은 연고 집단으로부터 도구적·정보적 지지를 기대한 반면에 독립적 자아개념을 가진 중국인과 한국인들은 정서적 지지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고 압력과 조직 내 개인의 무기력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귀인양식 훈련을 비롯한 조직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논의하였다.
        5,100원
        5.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육훈련과 직무성과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 교육훈련이 어떻게 전이되는지에 대해 초점을 두고 학습 자 특성, 교육 프로그램 설계와 개발, 업무환경 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다. 특히 업무 환경의 여러 요소 중(Baldwin & Magiuka, 1991; Kontoghiorghes, 2002) 사회적 지원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일부 연구들만이 수행되어져 왔으므로 연구의 확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학습지원인 상사 학습지원과 동료 학습지원이 무형식 학습과 조직정치 지각을 통해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과 상황/맥락을 설명하였다. 무엇보다 학습에 대한 전이결과로 혁신행동을 살펴보는 것은 의의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학습지원, 무형식 학습, 혁신행동과 조직정치 지각과 관련된 기존 문헌을 검토하였는데 조직정치 지각은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것과 임금/승진 정책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은 직접효과 가설, 매개효과 가설 그리고 조절효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일반병원과 종합병원 등을 대상으로 병원간호사와 의료기사 그리고 행정직원들로부터 설문지를 수거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총 406개의 설문이 최 종분석에 활용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 학습지원과 동료 학습지원은 무형식 학습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형식 학습은 혁신행동을 높이고 있었다. 셋째, 무형식 학습의 매개효 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학습지원인 상사 학습지원, 동료 학습지원과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직정치 지각은 무형식 학습과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를 조절 하고 있었는데 조직정치 지각: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기가 높은 경우 무형식 학습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더욱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정치 지각: 임금/승진 정책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무형식 학습의 중요한 선행요소로 사회적 학습지원이 의미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사 뿐만 아니라 동료의 학습지원이 무형식 학습활동을 높인다는 것이다. 또한 학습전이와 관련하여 사회적 학습지원은 무형식 학습을 촉진시키며, 높아진 무형식 학습의 학습전이 결과로 혁신행동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조직정치가 높은 경우는 무형 식 학습이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을 낮추고 있어 조직정치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5,800원
        6.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한국의 3가지 평생학습결과인정 제도가 등장하게 된 정치경제적 배경과 이러한 정치경제적 조건들이 어떤 방식으로 학습인정제도의 성격에 영향을 미쳤는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독학학위제는 1980년대 후반 고등교육 수요 팽창 요구에 따른 정치적 대응으로 등장하였고,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신속하게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독학학위제는 ‘순수 독학’으로만 설정되었다. 이에 독학학위제는 고등교육 전반을 재구조화할 수 있는 평생학습결과인정제도로서의 잠재력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였고, 표준화된 선다형 평가를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무형식학습을 포괄하지 못하면서 협소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학점은행제는 1990년대 문민정부의 교육개혁과 평생학습사회 담론의 영향으로 부상하였으며, 1995년 5.31 교육개혁의 대표적인 정책으로 제안되어 이후 빠르게 제도화되었다. 학점은행제는 다양한 비형식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던 교육과정이 ‘학점 인정 과정’ 평가인정될 수 있는 길을 열었지만, 시장 중심, 표준교육과정을 통한 비형식교육의 경직화, 기존의 학력/학벌주의 속에서 왜곡 현상 등이 나타났다. 평생학습계좌제는 2000년대 인적자원개발 정책 관련 국정과제로 채택되면서 급속에서 부상하였다. 구체적인 평가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채, 지나치게 이상적인 ‘포괄적 학습결과인정제도’의 급속한 추진으로 인해 평생학습계좌제의 성격과 위상이 모호해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결론 부분에서는 한국 평생학습결과인정제도의 성격으로 정치적 동력을 주요 모멘텀으로 활용한 점, 국가를 중심으로 한 학점 및 학력 인정 중심, 사회교육 패러다임의 유산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그동안 정책의 필요성이나 개선 방안 등의 논의에 비해서 학습결과인정제도를 둘러싼 인식론적, 교육학적 논쟁이 미미함을 지적하였다. 정치경제적 조건 속에서 그동안 학습결과인정제도가 협소한 방식으로 작동해온 것을 돌아보며, 향후 학습결과인정제도의 진화 양상과 미래교육의 변화상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5,700원
        7.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찰의 가시성과 지역사회의 비공식적 사회통제와 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집합효율성 이론에 의하면 주민들의 응집력이나 결합력, 그리고 비공식적 사회통제가 강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범죄율을 보인다고 하였다. 따라서 비공식적 사 회통제를 향상시키면 지역사회 범죄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에서 주민들 사이의 유대, 신뢰, 집합적 효율성이 높을 때 경찰에 대한 신뢰 또는 만족도 또한 높 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따라서 주민들 간의 비공식적 사회통제 역량강화에 경찰의 활동이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설을 도출할 수 있다. 공식적 사회통제를 담당하는 경찰의 가시적 활동이 비 공식적 사회통제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조사하였 다. 이 연구의 데이터는 2012년 형사정책연구원에서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서 실시한“지역사회 범죄위험에 관한 조사”를 활용 하였다. 종속변수로 비공식적 사회통제를 사용하였고, 여기에 영 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인 경찰활동 인식은 경찰의 가시성을 사용 하였다. 통제변수로 응답자의 연령, 성별, 수입, 학력, 거주형태, 거주기간, 사회적 무질서, 물리적 무질서를 투입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인 경찰의 활동인식은 비공식적 사회통제와 정적(+)인 관계를 나타났다. 통제변수로 사 용된 변수 중에서는 사회적 무질서와 성별, 거주기간은 부적(-) 인 관계를 보였으며, 연령은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에서 비공식적 사회통제의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한다.
        7,000원
        8.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지생태계사업은 주민의 참여, 관계, 연대, 협력을 통하여 복지공동체를 구축해가는 전통적인 지역사회조직사업이다. 복지생태계사업의 성과는 주민들간의 응집력 형성과 지역사회 네트워크 활동의 확대로 이를 통해 마을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이다. S복지재단 에서 지원한 복지생태계 구축 사업 중 3개 지역의 마을살이를 대상으로 주민들을 조직하는 비공식 조직들과의 네트워크 형성 정도를 2013년 및 2014년에 걸쳐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3개 지역 모두 주민 중심의 비공식 네트워크의 성장이 나타났으며, 그 유형은 초기 성장의 모습이었다. 앞으로 마을의 강점을 토대로 주민들의 지역사회조직의 수준을 성장시키고, 협력적 관계 구축을 통한 공식적인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6,000원
        9.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배려행동이 상사신뢰형성을 통해 상사-부하 간 교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식적 비공식적 배려행동이 상사신뢰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베트남 기업을 대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배려행동을 공식적 배려행동과 비공식적 배려행동으로 나누고, 공식적 배려행동은 발전기회제공 을, 비공식적 배려행동은 호의적 행동을 변수로 선정하여 이들 변수가 상사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다시 상사신뢰는 상사-부하 간 교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구조방정식모델을 활용한 연구모델을 설정 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베트남 하노이 및 타이응웬 지역의 5개 기업에 근무하는 195명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공식적인 배려행동인 발전기회제공과 비공식적 배려행동인 호의적 행동 모두가 상사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사신뢰는 상사-부하 간 교환관계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상사-부하 간 교환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공식적인 부문에서의 배려행동과 비공식적 부문에서 의 배려행동 모두가 상사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카자흐 스탄 기업을 대상으로 한 이전의 연구에서 비공식적 배려행동이 신뢰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는 것과는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4,800원
        10.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opportunities for Korean EFL students at a Korean university to use English as their L2 in their informal social networks. Through interviews as well as analysis of the students’ interactions in an informal environment, the study focuses on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construction of these opportunities. The findings show that the students expanded their social networks with English speakers during their first year of university. More importantly,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same students sometimes had difficulty constructing interactions in English in these networks. This difficulty can be attributed to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learners’ history as an L2 learner/user and some norms in the community where the learners were situated. However, the analysis of L1/L2 selection and its negotiation in their interactions shows that the construction of L2 interactions also appears to be mediated by certain factors, such as accommodated goals of interaction and specific discourse strategies. Research implications are provided at the end of the research paper.
        6,700원
        12.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has been increasing evidence of the positive effects in informal science programs to promote the youths' positive development. However, relatively a small number of informal science programs target specific student populations such as youth in poverty with little research done about the important program factors. This case study presents an exemplary informal science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Earth Science Education or more specifically, water in urban environments) for youth in poverty in a midwest city of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explored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that could lead to positive development for the youth. Through a number of observations of the program and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his study employs inductive and interpretive research methods. Findings show that the program managers' beliefs about the youths' knowledge and experiences, their relationship building skills, and their cooperative work are very important. A concrete mission for the program and structured institutional support to hire the youth as paid museum staff are also important in assuming their responsibility and building identity as an active social member.
        4,000원
        13.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visitor behavior at science museums differs across various exhibit styles and between Family and Non Family groups. Eight exhibits in the natural history sections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located in Daejeon were identified to hav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styles. At each selected exhibit, visitor behavior was observed for an hour. An average of eighty people stopped by each exhibit. Descriptive analyses of visitors behaviors showed that: 1) families spent more time than non-family visitors; 2) families paid more attention to exhibits, for instance, they talked and commented about the exhibits; 3) exhibit characteristics related to holding power and attention span; 4) families more frequently visited exhibits related to school curriculum rather than ones that looked attractive, fun or novel. Visitors did not play with sensory simulation types of exhibits as much as expected. This implicates that exhibit style does not guarantee long visitors holding time and attracting power. Non-significant results are explained in terms of environmental and exhibit-related factors. Several potential factors including visitor factors, setting factors, and exhibit factors are discussed and explored with topics proposed for future study.
        4,000원
        16.
        202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피트니스 지도자의 직무 열의를 높이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성장 욕구, 무형식 학습, 사회적 지 지 등 관련된 변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방법: 연구 대상은 남, 여 피트니스 지도자 408명이었 으며, 이들에게 설문을 요청한 후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 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였고,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모형적 합도 검증을 하였다. 결과: 첫째, 피트니스 지도자의 성장 욕구, 무형식 학습 및 사회적 지지는 직무 열의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성장 욕구와 직무 열의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과 사회적 지지는 병렬 다중 매개효과 가 나타났다. 결론: 피트니스 지도자의 성장 욕구는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지도자 역량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지 도에 대한 열정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성장 욕구가 높은 피트니스 지도자는 동료와 상사, 가족, 고객 의 지지와 같은 사회적 관계가 형성될 때 직무에 대한 열의도 높아지며, 무형식 학습에 참여하고자 노력하는 태 도도 직무 열의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17.
        202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financial attitude links financial literacy to financial capability. To make sound financial decisions, one essentially requires a certain level of financial literacy – knowledge and skill in finance. Even more effective is when one’s financial literacy could be developed into financial capability. The samples comprised 342 individuals from informal labor in the South of Thailand. The stratified multistage sampling technique was utilized to select the respondents, while the interview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By using SmartPLS 3.0, the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one with the highest debt was Gen Y compared to Gen B and Gen X. Considering financial literacy, financial attitude, and financial capacity across generations, it was found that Gen Y had the highest average score in financial literacy and financial capacity, higher than that of Gen X and Gen B. The impact of financial literacy on financial capability through financial attitude, it was found that the impact on Gen B was higher than that of Gen X and Gen Y. With the right financial attitude, people of all generations would be equipped with a higher level of financial capability.
        18.
        2020.05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seeks to evaluate the impacts of three types of credit – formal, semi-formal, and informal credits – on the well-being of households in Vietnam’s rural areas. Based on data from the Vietnam Household Living Standard Surveys in 2014 and 2016, the research uses the instrumental variable fixed-effect models to estimate the effects of three kinds of credit on household’s per capita income and expenditure. There are some significant findings. First, in rural areas, formal credit is the most popular source with stable and cheap borrowing costs. Informal credit is a complement to formal credit to meet urgent needs. Funding agriculture activities is the most commonly cited purpose of borrowing, followed by purchasing assets. The highest misuse rate belongs to the group of loans for agriculture production. Second, the results show that credit helps smoothen consumption rather than generate income for rural households. Three types of credit have insignificant or negative effects on household’s per capita income. Formal loans significantly improve total expenditure and spending on healthcare and education. Informal and semi-formal credits show a little influence on consumption. Informal loans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healthcare expenditure. In contrast, having semi-formal loans tends to decrease spending on foods.
        19.
        2020.05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ax is the main revenue of Government, so fighting tax evasion and sustainable growth have been the primary macroeconomic goals being pursued by every developing country, Vietnam included. The existence and development of the shadow economic sector are synonymous with the national budget losing out. In Vietnam, foreign direct investment projects do not promote economic growth and is also a sector that gives way to tax evasion.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 quality of the informal institution on the size of the shadow economy in Vietnam, during the period 1991-2015. By applying the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approach and Toda and Yamamoto test, we found evidence to conclude that the quality of the informal institution harms the size of the shadow economy. The results of the causality test show that there is a unidirectional causality running from the shadow economy and the quality of the informal institution to foreign direct investment attraction in Vietnam. Political solutions need to be implemented carefully to counter the harmful effects of the shadow economy. Policymakers should adopt several economic policies to improve the ‘human capital’ and drive the shadow economy into the formal economy.
        20.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nvironmental regulations on the management of 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s (WEEE) have been strengthened in many developed countries. Improper management and disposal of such waste, especially in informal sectors, may pose serious threats to the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In Korea, there are very few available statistical data regarding distribution flow and treatment of WEEE in informal sectors (i.e., unreported private collection and recycling facilities). In order to provide additional measures related to proper management of WEE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quantitative material flow study on the amount of the waste found in the sectors. This can be achieved by conducting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low of WEEE in the sectors and by drawing significant results and implications of such analysis. In this study, the relevant data were collected from literature review and a number of field site visits to informal private collection and recycling sites with survey in Daejoen Metropolitan City.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rvey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WEEE in informal sector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quantitative flow of WEEE in the secto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3.38 kg/person/year were introduced into informal sectors in 2013, while 2.48 kg/ person/year was recycled in formal sectors in 2012. This study implies that there are significant amounts of WEEE that are present and processed in the sectors, which are not regulated by government. Small private collectors of WEEE in informal sectors received approximately 60.6 unit/month on average. The results of this statistical study indicate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actors such as the amount of treatment, the number of employee, and the degree of dismantle process. However,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WEEE category large home appliance, small-sized home appliance, and audio-video equipment. Further study may be warranted to focus the flow of WEEE in informal sectors in more large scale in order to accurately determine the final destination and disposal of such waste in th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