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관 및 공공기관(이하 정부공공기관) 근무자는 직무수행 시 투철한 공공의식이 필요하며, 국민은 정부공공기관 근무자에 대해 일터에 대한 소명의식, 정체성 확립 및 일터 봉사정신을 깊이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때에 일과 직장에 대한 영성을 가치 있게 여기고 대국민 서비스와 정부정책 수행 및 성과를 창출 할 수 있는 일터영성이 중요한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공공기관 근무자의 일터영성이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정부공공기관 근무자의 일터영성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직무몰입의 매개역할 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정부공공기관 근무자의 일터영성을 수반한 직무몰입과 직무성과는 국민의 삶의 질과 국가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연구의 중요한 의미가 있다. 따라서 전국에 근무하 는 정부공공기관 근무자 320명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조사된 자료는 SPSS 22.0과 SPSS PROCESS Macro 4.2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공공기관 근무자의 일터영성 은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묵상(기도)과 명상을 통하여 업무에 대한 성찰을 수시로 함으로써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쉽게 도출하고 업무수행 시 지속적으로 반영할 때 직무성과는 향 상됨을 검증하였다. 둘째, 정부공공기관 근무자의 일터영성은 직무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명의식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나의 일은 나의 가치, 행동과 조화를 이루고 내가 하는 일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가치와 즐거움을 준다라는 인식이 강하므로 일에 대한 몰두를 하게되고 직무 몰입을 촉진한다. 셋째, 정부공공기관 근무자에 대한 직무몰입은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는 것 으로 나타났다. 활력과 헌신과 몰두를 기반으로 하는 직무몰입의 촉진을 통해 유관기관 대응과 대국민서 비스를 제고하고 직무성과를 제고할 수 있다. 넷째, 일터영성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직무몰입은 매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부공공기관 근무자의 일터영성은 직무성과와 직무몰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조직문화 개선, 인사정책 및 성과관리제도 개선 및 일터영성 내재화를 위한 단계별 전략의 실행 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의 상사 코칭리더십이 부하 직원의 직 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하 직원의 혁신행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매개효 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후속 연구에서 활용할 기초 자료를 제공하 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국내 직장인 324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상사의 코칭리더십이 부하 직원의 혁신행동과 직무성과 모 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의 코칭리더십이 부 하 직원의 혁신행동을 매개하여 부하 직원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코칭리더십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경로에서 혁신행 동이 매개 역할을 수행하며,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견기업과 종소기업에서도 코 칭리더십의 영향이 유사하게 작용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대기 업에 비해 조직의 시스템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에 근무하 는 상사의 코칭리더십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뷰티종사자가 지각하는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지향성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경기지역 소재 뷰티 종사자 227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 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델 및 부스트레핑기법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 구 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 종사자의 서비스스케이프는 직무만족에 통계적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뷰티 종사자의 서비스스케이프는 고객지향성에 통계적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뷰티 종사자의 서비스스케이프는 경영성 과에 통계적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뷰티 종사자의 직무만족은 경영성과 에 통계적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뷰티 종사자의 서비스스케이프와 경 영성과와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직무환경을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제공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교육의 효과성 분석을 위하여, K사 디 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교육에 참여한 수료자 679명을 대상으로 2023년 11월 20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설문 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학습자들의 나이, 직급 등 일반적인 특성을 포함하여, 개인특성으로 자기효능감, 학습 민첩성,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과정 특성으로 교육 만족도, 내용 이해도, 강사 전문성, 업무 관련성, 조직풍토 특성으로 전이기회, 상사지원, 그리고 현업적용도, 직무몰입, 직무성과에 대한 질문을 포함한 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현업적용도 평균 차이 분석결과, 성별, 연령대, 직급, 수강영역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지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교육 참여 횟수, 교육 전/후 학습모임 참여 경험, 교육 전 파이썬 프로그램 활용 경험 수준에 따른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특성, 교육과정 특성, 조직풍토가 현업적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특성 중에서는 자기효능감, 교육과정 특성에서는 내용 이해도, 조직 풍토에서는 전이 기회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력의 크기는 내용 이해도, 전이 기회, 자기효능감 순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업적용도와 직무몰입, 직무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현업적용도는 직무몰입과 직무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업적용도와 직무 성과와의 관계를 직무몰입이 완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교육 프로그 램에 참가한 학습자가 교육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현업에 적용하고, 직무에 몰입함으 로써 직무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하위변인을 반영한 최적 모형 도출 결과, 개인특 성인 자기효능감은 교육과정 특성의 내용이해도와 조직풍토의 전이기회를 매개로 현업적용 노력과 실제 현업적용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현업적용 노력에는 내용이해도가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실제 현업적용에 는 전이기회가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 수행을 위한 시사점과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직에서 관리자의 행동 방식은 구성원의 성과 및 조직 전체의 성과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조직에서 상사의 피드백 방식인 육성적 피드백을 중점을 두고 직무성과에 어떤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 펴보고,이들 간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와 잡 크래프팅의 다중 직렬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 및 직무요구-자원 모델을 바탕으로 상사의 육성적 피드백은 구성원의 내재적 동기 를 유발하여 잡 크래프팅을 수행하고 직무성과에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각 기업의 근무하는 직원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6.0 및 AMO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상사의 육성적 피드백이 직무성과에(+)의 영향을 미친 것을 검증하였다. 둘째 육성적 피드백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 혔다. 셋째, 잡 크래프팅은 육성적 피드백과 직무성과 간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넷째,육성적 피드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과정에서 내재적 동기와 잡 크래프팅이 다중 직렬 매개 역할을 한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하여 상사의 피드백의 가치성을 밝히며, 구성원의 성과를 효과적 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경로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에서 연구의 시사점, 한계점과 함께 제시하였다.
Nursing research in veterinary hospitals is critical to the work of veterinary nursing and is necessary for continued advancements that promote optimal nursing care. Since the work of veterinary nursing involves animals with whom communication is difficult, the level of work performance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experience, knowledge, and abilities of each animal nurse. In addition, veterinary nursing might establish a successful work environment through collaboration with veterinarians, and smooth work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among hospital members are direct factors in improving the work performance of animal hospitals. Because the work of nursing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individual, much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develop tools to measure work performance in the veterinary nursing field of medical assistants. In the present study, we attempted to develop a work performance measurement tool that is useful and suitable for veterinary nursing using the Delphi method. As a result of this study, an 18-item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work performance of veterinary nursing, and these evaluation items were found to have excellent suitability in terms of content and construct validity. The evaluation scale of work performance of animal nurse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believed to be useful in evaluating work performance in terms of work performance ability, attitude, and work performance relationship. Additionally,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ctively used to understand and develop the work relationships of veterinary nursing.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 종사자의 프리젠티즘이 직무성과와 이직이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소진 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 이였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는 서울·경기 뷰티 종사자 272명이였으며, 자 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 bootstrapping 기법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 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일련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 종사 자의 프리젠티즘은 직무소진과 통계적 유의하게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 종사 자의 프리젠티즘은 이직의도와 통계적 유의한 정적(+) 영향을 보였으나, 직무성과와는 유의미한 관련성 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셋째, 뷰티 종사자의 직무소진은 직무성과와 이직의도에 통계적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뷰티 종사자의 프리젠티즘이 직무성과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소진 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프리젠티즘이 직무소진을 통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이직의도와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요양시설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가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인 돌봄 이행의 질적 제고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으며, 이 를 위해 직무스트레스와 돌봄 이행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조직유효 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임의 표집 방식을 통해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2023년 8월 한 달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140명의 자 료가 수집되었으며,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 석을 도출하고, Process Macro 4.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Macro Model 4와 Model 6을 통해 개별 매개 및 순차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돌봄 이행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조직 유효성의 개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 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돌봄 이행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 본과 조직 유효성의 순차 매개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의 돌봄 이행의 질적 제고를 위하여 직무스트 레스를 감경하고, 이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자본 및 조직 유효성의 긍정 적 강화 방안의 필요성에 대하여 제언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소진이 감염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요 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총 210명을 대상으로 2023년 9월 15일부터 10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heffe,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파워먼트와 감염관리 수행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임파워먼트가 감염관리 수행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14.8%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간호사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감염관리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반영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among school food service dietitia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00 school dietitians from March 1 to 31, 2022. Of the personality type factors, extraversion, openness,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whereas neuroticism was negatively correlated. Extraversion, openness,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performance, whereas neuroticism was negatively correlated.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ersonality types on job satisfaction revealed conscientiousness predicted satisfaction with items of the job, agreeableness predicted satisfaction with supervisor’s supervision, and extraversion predicted satisfaction with colleagues. On the other hand, neuroticism was a negative predictor of satisfaction with the job, supervisor’s supervision, colleagues, and work environment items. Analysis of the effects of personality types on job performance established that openness was a positive predictor of satisfaction with roles of the organization and team, and of conscientiousness for the job, innovator, and organizational roles. In contrast, neuroticism negatively predicted satisfaction with job role item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xplore these relationships more closely by incorporating other major factors related to personality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dietitians working in various fields.
이 연구는 공공기관에서 도입하고 있는 일‧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친화적 제 도의 활용과 공직만족도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성과와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화적 제도 활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공직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 친화적 제도 활용 만족도와 공직만족도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성과와 직무스 트레스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친화적 제도 활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아지고, 직무성과가 높을수록 공직만 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친화적 제도 활용에 대한 만족 도가 높을수록 직무 스트레스가 낮아지고,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공직만 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공무원의 직 무성과를 높이고, 직무 스트레스를 낮춤으로써 공직만족도를 높여 공직 수행 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조직의 차원에서 가족친화적 제도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헤어미용전문가의 자기관리가 직무성과 및 미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서 자기효능감의 매개검증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지역 헤어미용전문가로 재직하고 있는 미용전문가를 대상으로256명 설문조사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SPSS 28.0, AMOS 2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정규성 검증을 실시하여 평균, 표준편차, 첨도, 왜도 의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상관관계, 매개효과 분석은 부트스트레핑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헤어미용전문가의 자기관리가 자기효능감, 직무성과, 미용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의(+)영향을 미쳤다. 헤어미용전문가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성과, 미용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 쳤다. 헤어미용전문가의 자기관리와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 었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수준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직무만족, 교육신념, 조직몰입,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직업적합도와 근무 기관유형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주요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 가 자신의 역할수행을 원활하게 수행함으로써 영·유아교육기관이 교육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3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직무만 족, 교육신념, 조직몰입의 수준은 보통이었고, 역할수행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는 직업적합도가 높을 수록 직무만족, 교육신념, 조직몰입,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보육교사가 국·공립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경우, 민간 어린이집 또는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보다 직무만족, 조직몰입(정서적몰입),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은 교육신념과 조직몰입에, 교육신념은 역할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역할수행에, 교육신념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만 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육신념은 매개효과가 존재하나, 조직몰입은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영·유아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이 국·공립어린이집 수준으로 개선 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수준을 높이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보육교사의 교육신 념을 제고시키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필라테스 리더-멤버 간의 교환관계(TMX)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히고 자 2023년 4월 1일~7월 12일까지 커플자료 82팀(164명 : 리더 82명, 멤버 82명)을 편의표본 추출하여 다 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자기효과는 리더 교환관계가 높을수록 리더 직무성과도 높아지는 것 으로 나타났고, 상대방 효과는 멤버 교환관계가 높을수록 리더 직무성과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상대방효과는 리더 교환관계가 높을수록 멤버 직무성과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과는 멤 버 교환관계가 높을수록 멤버 직무성과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호적 관계가 의존적 관계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교환관계(TMX)에 대한 시스템적 요구가 반영된 결과라 볼 수 있다.
최근 경영환경은 경쟁적인 분위기로 변화되었고, 불확실성의 증대에 따라 성과 중심의 경영시스템을 구축해 조직 내 경쟁체제를 도입해 왔다. 국내 기업의 성과주의 시스템 도입으로 인하여 구성원들의 직무 불안정성 증가에 따른 조직상황이나 문화를 고려할 때, 경쟁분위기의 심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개인 수준의 결과들을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와 대처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 의 경쟁특성이 직무성과 및 정서적 탈진에 미치는 효과와 이들 간의 관계에 경쟁분위기의 조절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인적자원관리 연구의 이론적 확장과 더불어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검 증을 위해 국내 기업의 205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첫째, 경 쟁특성은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쟁특성은 정서적 탈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쟁특성과 직무성과, 정서적 탈진 간의 관계에 있어서 경쟁특성과 경쟁분위기의 상호작용은 정서적 탈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경쟁분위기가 높 을 경우에 경쟁특성이 정서적 탈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증폭 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소병원간호사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의료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업무 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 간호업무성과를 파악하고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S지역에 소재하는 4개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19명이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 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 용하여 분석하였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간호업무성과는 음의 상관관계(r=-0.150, p<.05), 업무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은 양의 상관관계(r=0.160, p<.05). 간호업무성과는 회복탄력성과 양의 상관관 계를 보였다(r=0.351, p<.01).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회복탄력성(β=.231, p<.01)이였으며, 설명력은 17.4%로 나타났다(Adj.R2=0.174, p<.001). 따라서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는 회복탄력성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간호사 개인의 역량에 맞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 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관공서나 기업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상명하복의 조직문화가 강한 군조직을 대상으로는 연구가 미미했던 서번트 리더십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일부 군조직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서번트 리더십 선행연구는 육군과 해병대에서 일부 계층에 대해 소 수의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본 연구는 최초로 해군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대상도 해군 전간부계층으로 장교, 부사관 및 군무원 626명을 대상으로 폭넓게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이 부하의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해군은 장교, 부사관, 병 및 군무원 등 각각의 계층 및 계급에서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계급 별 리더십 핵심역량’ 4개와 모든 계급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하는 ‘리더십 공통핵심역량’ 4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든 간부 계층을 대상으로 서번트 리더십의 효과성을 검증하였기에 리더십 핵심역량 도 해군 구성원 전 계급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리더십 공통핵심역량’인 ‘전문성, 책임감, 협력적 소통, 자부심’ 등 4개 역량을 서번트 리더십이 부하의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력 관계에서 매개효 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은 부하의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은 부하의 ‘리더십 공통핵심역량’ 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부하의 리더십 공통핵 심역량은 상사의 서번트리더십과 부하의 조직몰입·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 되었다.
JD-R(Job Demands-Resources) 모델은 직무 요구 와 직무자원이 건강 손상 과정, 부정적인 결과, 동기 부여 과정 등 두 가지 프로세스를 구성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고 명시했다. 본 연구는 종속변수로 써 반생산적 과업행동(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을 포함시키고, 조절변수로써 일-가정 갈등 (work-family conflict)을 포함시킴으로써 JD-R 모델을 독립변수로 확대하였다. 인도네시아 기업에서 일 하는 직원에게 설문지를 낸 것은 모두 110건이었다. 이 연구에서 직무 요구는 직무 요구로 인해 조정자 역할을 했던 일-가정 갈등이 다른 연구에서 발견된 다른 변수를 통해 반생산적 과업행동과 관계를 갖는 것처럼 반생산적 과업행동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직무 자원은, 일-가정 갈등이 진행자로 활동했을 때와 같이, 반생산적 과업행동과 부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직무 자원이 종업원이 더 긍정적인 행동을 하도록 동기를 부여했고, 일-가정 갈등이 높은 직원과 더 많은 부정적인 행동을 하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직의 구성원들이 자신의 직무를 주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조직은 목표를 달성하고 지속적인 경쟁우 위를 확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인적자원 관리의 효과적인 방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는 잡크래프팅 개념에 주목하고 있다. 잡크래프팅은 현대적 직무설계 방식으로 개인이 능동적으로 환경을 예측하고 변화를 주도함으로써 직무를 재설계하는 것으로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잡크래프팅을 증진시키는 선행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외재적 보상과 내재적 보상의 맥락에서, 구성원이 인지하는 보상만족과 개인-직무 적합성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선행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더해 이러한 선행요인들이 잡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조직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 주는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성과변수 중 하나인 맥락적 성과를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충청지역의 4개 대학교에 재직 중인 팀장과 직원의 310쌍의 설문 결과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외재적 보상의 하나인 보상만족은 잡크래프팅을 증가시키는 선행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보상의 측면에서는 개인-직무적 합성이 잡크래프팅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상만족과 개인-직무적합성 모두 잡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맥락적 성과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외재적 보상과 내재적 보상 모두 잡크래프팅의 선행요인이 될 수 있으며, 잡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조직과 개인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조직의 인적자원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잡크래프팅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보상만족과 개인-직무적합성이 잡크래프팅을 증진시키는 선행변수로서 역할을 하며, 조직의 성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를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규명을 위하여 수도권 소재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 으로 2020년 3월2일부터 3월 31일까지 설문 조사한 449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역할수행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역할수행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매 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역할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역할수행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연구함의를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