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작곡가 칼 필립 엠마누엘 바흐의 건반 협주곡은 장르사적, 양식사적 중요성에도 불구 하고 음악사와 음악이론에서 간과되었다. 고전시대에 소나타 형식을 바탕으로 한 교향곡의 중요 성이 부각되면서 독주 협주곡은 교향곡의 파생 장르처럼 여겨졌고, 이중 제시부를 갖는 모차르트 의 피아노 협주곡이 표준화되면서 이전의 건반악기를 위한 협주곡은 소외된 듯 보였다. 1999년 징-아카데미 악보의 새로운 발굴은 엠마누엘 바흐에 대한 음악계의 관심을 촉발하였고, 활발한 학 술활동이 진행되었다. 북미 학자들의 연구 동향에 발맞추어 본 연구는 엠마누엘 바흐의 건반악기 협주곡 형식에 대한 1970-80년대의 논문들을 재점검하고, 과거에 제시된 형식 모델들의 효용성에 주목함과 동시에 이들을 보완하였다. 엠마누엘 바흐의 몇몇 건반 협주곡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자 는 1980년대 데이비스(Shelley David)에 의해 제시된 3개의 협주곡 형식 모델을 검토하였고, 2개 의 모델을 추가적으로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건반 협주곡의 올바른 역사를 밝혔고, 엠마누엘 바흐의 건반 협주곡의 정형성과 독창성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모차르트와 하이든의 피아노 소나타 작품에서 악구확장을 포함한 주제가 다시 등장 할 때 더욱 확장된 모습으로 나오는 경우를 다룬다. 첫 단계의 악구확장과 둘째 단계의 악구확장을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삽입된 아이디어를 더욱 확대 발전시키려는 작곡가의 의도를 가늠해 보며, 작곡가의 세밀한 작곡과정을 관찰할 수 있다. 필자는 둘째 단계에서의 추가확장 방식을 다음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선 1) 첫 단계 악구확장의 삽입된 부분 안에서만 새로운 내용을 추가 삽입한다(모차르트의 K. 581/3악장과 K. 333). 2) 첫 단계의 삽입된 부분을 그대로 두고, 악구의 다른 곳에서 새로운 삽입을 추가함으로써 단락을 확장한다(모차르트의 K.533와 하이든의 두 소나타,Hob: 33, 43). 3) 삽입의 규모를 늘려가면서, 인접 악구와 단락 간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며 결국 전체 단락의 재구성을 가져온다(모차르트의 K. 576과 하이든의 Hob: 34). 각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을 하이퍼박자와 화성진행 위주로 자세히 살펴보았다. 첫 번째 유형의 경우 삽입된 아이디어가 변주 또는 발전되어 악구의 종결을 최대한 연기하고 있다. 따라서 제시부를 끝맺는 종지(EEC)보다 재현부를 끝맺는 종지(ESC)를 훨씬 강조하고 있다. 둘째 유형에 속하는 악구확장에서 기존의 삽입은 주변 악구들 사이에 또 다른 삽입을 야기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수용하며 단락을 확장시킨다. 한편 마지막 유형에서는 삽입된 아이디어가 형식적 단락들 사이를 넘나들어 등장하면서 매우 파격적이고 흥미로운 작곡과정을 보여준다. 모차르트의 D장조 소나타(K. 576)에서는 종결주제 단락을 확장하면서, 제2주제를 종결주제의 후행악구 중간에 포함되는 거대한 삽입으로 처리하고 있다. 또한 하이든의 경우(Hob: 34) 여러 차례에 걸친 삽입으로 인해 거대한 코다 단락을 새로 형성하기에 이른다. 즉 악구의 삽입에서 시작한 지엽적인 현상이 단락간의 삽입이라는 거시적 현상으로 확대 해석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첫 단계에서의 삽입은 둘째 단계에서의 거대한 삽입을 이끌어내는 일종의 촉매제가 된다.
동형건반배치는 타일 형태의 건반 악기에서 음의 배치를 일관되게 하는 방법으로 같은 방향의 이웃 건반에 같은 음정차이로 배치함으로써 일관된 음계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비교적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 다양한 현대적인 악기 설계나 소프트웨어적인 악기의 인터페이스에서 적용함으로써 주목받아오는 방법이다. 여기에는 서로 다른 다양한 배치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으나 몇 가지가 존재하는 지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 지 등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동형건반배치에 대해 분류 방법을 제시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 대해서 분석한다. 이는 기존에 알려져 있는 것보다 훨씬 적은 수의 동형건반배치 종류가 존재함을 보이고 분류의 틀을 마련하여 동형건반배치에 대한 연구의 기반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좀 더 체계적인 분 석과 연구가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되며 다양한 음악용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연구는 음악 교육용 게임에서 기본적인 요소인 음정, 화성, 화음, 음계 등 을 이해하도록 트레이닝 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While composers in the Classical period fundamentally focused on compositional techniques of repetition and alteration of motives, W. A. Mozart not only further refined these techniques to make large-scaled ‘singing’ melodies but also developed his own distinguished ones beyond the scope of traditional motivic work.
Moreover, although the existing studies on Mozart’s thematic melodies have widely admitted the importance of Mozart’s distinguished melodies, they have more narrowly focused on a specific work or the first movement. Especially, no studies have investigated all the slow movements of his keyboard sonatas as a whole to systematically analyze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Mozart’s compositional techniqu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m systematically classifying compositional techniques of Mozart’s thematic melodies into three groups of motive(s)-based, variation-based, and through-composed ones.
In this paper we offered a new UI design for Chinese input method on smart devices during Gameplay. Currently the well-known conventional stroke-based Chinese input method using only five basic stroke types could achieve low leaning curve and small keypad implementation, we made the UI design base on this stroke-based input method compensating the problem that input speed is limited and finally relatively higher the input speed. For experiment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new UI for input method by Unity3D. Input by pressing or typing keys is replaced by more using sliding. To improve the input speed of the stroke-based method slide direction arrows are used and selected character will be intuitively shown to user in real time as designed. And the Four Tones(四声) in Chinese pronunciation is also been used to improve the input speed for this input method. In addition, to evaluation the new input method UI, we have conducted experiments on smart device comparing with four basic Chinese input methods. Through the numeric values recorded in the evaluation by inputting random 20 Chinese characters and two-letter Chinese words, comparing the input speed, click times, the typo rate shows the advantages of the new UI and proved that the new UI is better than others for using in smart device game.
목적 : 본 연구는 완전척수손상자(C5∼C6) 3명을 대상으로 목과 상지의 근활성도, 근골격계의 피로인지도, 그리고 보조도구로 인한 작업수행도와 만족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휠체어용 키보드 작업대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3명의 척수손상자는 손바닥 지지용 키보드 포인터를 착용한 채 두 가지 작업대(일반책상, 휠체어용 키보드 작업대)에서 5분간 초 당 1타 정도의 속도로 문서 입력 작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동안 목세움근, 위 등세모근, 중간 등세모근, 그리고 손목 폄근군의 근활성도(%RVC)를 표면근전도로 측정하였다. 근골격계의 불편함은 Borg RP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COPM은 휠체어용 키보드 작업대의 작업수행 증진도와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사용하였다.
결과 : 휠체어용 키보드 작업대를 사용한 결과 목, 어깨, 그리고 손목폄근군의 근활성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피로인지척도 점수가 감소하였으며 COPM의 작업수행도와 만족도도 증가하였다.
결론 : 일반책상과 휠체어용 키보드 작업대를 비교한 결과, 척수손상자의 키보드 입력 작업시 휠체어용 키보드 작업대가 유용 하였다. 이러한 과제 조정은 척수손상자의 상지 통증과 누적외상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인간공학적 접근을 기초로 이루어져야 한다. 차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기능수준의 척수손상자를 위한 인간공학 도구의 개발과 객관적 효과 검증이 필요하다.
목적 : 본 연구는 상위흉수손상군, 하위흉수손상군, 정상군을 대상으로 체간과 상지의 컴퓨터 사용과 관련된 여덟 가지 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흉수손상자에게 적절한 키보드의 위치를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미국 척수 손상 협회(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ASIA) A 또는 B의 흉수손상자 중 상위흉수손상자(T2-T8) 9명, 하위흉수손상자(T9-T12) 11명, 그리고 정상인 9명이었다. 적절한 키보드의 위치를 알아 보고자 두 가지 위치 즉, 팔꿈치 굽힘 100°위치와 팔꿈치 굽힘 70°위치에서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2분간 메트로놈의 박자에 맞춰 키보드 중간열의 키를 1초에 4타의 속도로 타이핑하였으며 이때 표면근전도기를 이용하여 목과 어깨의 목세움근, 위등세모근, 앞어깨세모근, 뒤세모근, 중간등세모근과 손목폄근군, 그리고 척수손상자의 체간유지 보조근육인 넓은 등근과 큰가슴근의 근활성도(%RVC)를 측정하였다. 결과 : 상·하위흉수손상군의 측정치는 정상인과 동일하게 팔꿈치 굽힘 100°의 자세에 비해 팔꿈치 굽힘 70°인 위치에서 위등세모근, 손목폄근군, 앞어깨세모근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하위흉수손상군의 경우 정상인과 다르게 팔꿈치 굽힘 100°높이에서 목세움근과 넓은등근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 흉수손상자의 체간과 상지의 근긴장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적절한 키보드 위치는 팔꿈치 굽힘 70°정도의 높이였다. 차후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척수손상자를 대상으로 장시간의 포괄적 컴퓨터 작업을 적용하여 장애특성에 적합한 VDT 환경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prevent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disorders, effective keyboard selection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upp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ransverse plane angle changes during vertical keyboard typing. Sixteen healthy men were recruited. All subjects had a similar typing ability (rate of more than 300 keystrokes per minute) and biacromion and forearm-fingertip lengths. Four different types of keyboard (vertical keyboard with a transverse plane angle of 60˚, 90˚, or 120˚, and a standard keyboard) were used with a wrist support. The test order was selected randomly for each subject.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was used to measure upper extremity muscle activity during a keyboard typing task. The collected EMG data were normalized using the reference contraction and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RVC).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EMG data, a repeat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5, was used. Bonferroni correction was used for multiple comparis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MG amplitude of all seven muscles (upper trapezius, middle deltoid, anterior deltoid, extensor carpi radialis, extensor carpi ulnaris, flexor carpi radialis, and flexor carpi ulnaris) assessed during the keyboard typing task. The mean activity of each muscle ha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transverse plane angle increased. The mean activity recorded during all vertical keyboard typing was lower than that recorded during standard keyboard typ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and error score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ansverse plane angles of 60˚ and 120˚ with regard to comfort. In conclusion, a vertical keyboard with a transverse plane angle of 60˚ would be effective in reducing muscle activity compared with vertical keyboards with other transverse plane angle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video display terminal (VDT),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work has improved. However, VDT syndrome is threatening the health of workers as a side effect of prolonged use of a VDT. Among various VDT syndromes, the musculoskeletal disorder, especially, the cumulative trauma disorder (CTD) is the common research topic related with upper extremities fun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wrist-hand orthosis (WHO) on fatigue in middle deltoid, anterior deltoid, serratus anterior, and upper trapezius during one-hour computer keyboard typing. Twelve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assess the localized muscle fatigue (LMF), and the LMF was calculated at 10 minutes, 20 minutes, 40 minutes, and 60 minutes in each muscle, with and without the WHO.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with a level of significance of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t 10 minutes, the LMF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applied WHO in the middle deltoid, anterior deltoid, and upper trapezius (p=.001, p=.026, p=.019, respectively). 2) As the computer keyboard typing period increa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LMF differences, except for the upper trapeziu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WHO can be applied to decrease the LMF for the initial 10 minute period in the middle deltoid, anterior deltoid, and upper trapezius' but that the long term effect of WHO in reducing the LMF was proven only in upper trapezius during continued computer keyboard typing.
There were two purposes of this study. The first was to research the effects of standard and fixed-split keyboards on wrist posture and movements during word processing. The second was to select optimal computer input devices in order to prevent cummulative trauma disorder in the wrist region. The group of subjects consisted of thirteen healthy men and women who all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Kinematic data was measured from both wrist flexion and extension, and wrist radial and ulnar deviation during a 20 minute period of word processing work. The measuring tool was an electrical goniometer, and was produced by Biometrics Cooper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wrist flexion and extension at resting starting posi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5), however the angle of radial and ulnar devi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tandard and split keyboard use during word processing (p<.05). 2. In the initial 10 minutes, the dynamic angle of wrist flexion and extens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5), however the dynamic angle of radial and ulnar devi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standard and split keyboard use during word processing (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plit keyboard is more optimal than the standard keyboard, because it prevented excessive ulnar deviation during word processing.
Among Mozart's numerous individual keyboard works, the fantasias, K.394, K. 396, K. 397, and K. 475 comprise the freer forms of composition written for the keyboard. The keyboard fantasias of Mozart preserve in written-out forms the incredible power of improvisation in which the composer displayed his innermost expressiveness and his utmost delight at the keyboard. As an eminent keyboard player and great improviser Mozart was immensely successful in his fantasias in uniting the variety of sentiments and fanciful keyboard techniques that the eighteenth-century audience so favored.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stylistic traits contained in Mozart's keyboard fantasias: the idiomatic keyboard figurations, the expressive idioms, and the overall formal structures. It is evident that Mozart's fantasias show much influence of C. P. E. Bach's free fantasias in their adoption of improvisational procedures and expressive languages of the empfindsamer Stil. Nevertheless, in the fantasias, there are many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that are uniquely Mozart's: his language of style galant, his talent for dramatic power, and his predilection, as a Classical master, for the clarity of formal structures. Mozart's keyboard fantasias, especially K. 397 and K. 475, are unique and original creations in which the subjective force of expression is welded into the objective logic of formal beauty; in these small spheres of fantasias Mozart brings rich diversity of musical resources into a unified whole. In short, Mozart's keyboard fantasias exemplify a perfect union of expressive content and structural balance suited to the eighteenth-century ideal of Classicism.
바로크의 리토르넬로 형식은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의 클라비어협주곡에서 여러 혁신적 시도를 거치며 그 내부로부터 중요한 변혁을 이루었다. 물론 카덴차의 부재, 불완전한 형태 의 재현부, 투티 리토르넬로의 반복과 같은 리토르넬로 형식의 잔재로 인해 바흐의 클라비어 협주곡은 과도기적 성격을 완전히 벗지 못한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소나타 형식의 틀을 점차 현저하게 구축해나가는 솔로부분의 형식적 중요성은 '이중제시부'와 '발전부', '재현부' 의 거시적 형태로 그 조성적 움직임까지 포함하여 고전주의의 협주곡 형식에 근접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주제의 이원성과 공존하는 유기적 구성, '발전'을 모색하는 작곡기법, 리토르넬 로와 솔로의 내적 통일성, 나아가 독주악기로서의 피아노포르테, 유연하고도 가창적인 선율, 관악기들의 투입을 통한 음향확대 시도 역시 새시대적 구상에 속한다. 이로써 바흐는 다음 세대의 피아노협주곡 형성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작곡가들 중 하나로 자리매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