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tried to develop Jinmal dasik using pine nuts leaf powder with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After preparing the Jinmal dasik in proportions of 0%, 2%, 4%, 6%, and 8% by varying the ratio of pine needle powder, the moisture, color, physical properties, antioxidant properties and sensory quality were measured. Except for the 8% Jinmal dasik, the L value of chromaticity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amount of pine needle powder increased (p<0.001). In addition, the 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d density (p<0.001). Based on our physical properties evaluation results, the hardness, cohesiveness, and elasticity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pine needle powder increased (p<0.001), but adhesion and chewines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pine needle powder (p<0.001).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except for the 8% Jinmal dasik (p<0.001). DPPH and ABT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pine needle powder increased (p<0.001). Our sensory evaluation, showed the 2% Jinmal dasik to have the highest degree of preferenc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proportion groups (p=0.053).
본 연구는 다양한 생리적 효능이 우수한 솔잎 분말을 첨가 (0, 3, 6, 9, 12%)한 매작과를 제조하여 매작과의 항산화 활성 을 입증하고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솔잎 분말의 총 페놀화 합물 함량은 9.93±0.2 ㎎ GAE/g이며, 이를 매작과에 첨가한 경우 시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제조된 매작과 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솔잎 분말의 첨가량 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 었다. 솔잎 분말 첨가 매작과의 품질평가를 실시한 결과, 반죽의 밀도는 솔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고, pH는 감소하였다. 매작과의 부피는 매작과의 첨가량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매작과의 색도는 솔잎 분말의 첨가 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b값이 낮아지고, a값이 높아졌으며, 수분 함량과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매작과의 기호도 검사(전반적인 기호도, 향, 맛, 바삭함, 색)에서는 6% 솔잎 매작과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저장기간 에 따른 매작과의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살펴본 결과, 솔잎 분 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산패가 지연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매작과에 솔잎 분말을 첨가하는 것은 매 작과의 기호도를 증가시키고 총 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높여 매작과의 가치를 높이는 것으로 사료되며, 솔 잎 분말을 첨가하여 매작과를 제조할 경우, 6% 로 솔잎 분말 을 첨가할 경우 매작과의 관능적인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장 최적 조건으로 생각되며, 상품 개발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건조방법에 따른 잣솔잎 추출액 분말의 항산화적 특성과 성분변화를 조사하고자 생 잣솔잎을 진공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한 후 50%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적 활성 및 페놀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각건조방법으로 건조시킨 잣솔잎 추출액 분말의 수율은 진공건조 시료가 31.0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열풍건조시료 및 동결건조 시료의 순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풍건조 시료가 유의적으로 적었으며(p<0.05), 반면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반대의 경향으로 열풍건조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전자공여능 및 ABTS radical 소거능은 1.0mg/mL 농도에서동결건조>진공건조>열풍건조 시료의 순으로 높은 활성을나타내었다. 건조방법별 아질산염 소거능은 반응조건의 pH를 1.2와 3.0으로 달리하여 각각 측정한 결과 pH 1.2의 강산성 조건에서 잣솔잎의 아질산염 소거능이 80% 이상으로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진공건조 시료가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p<0.05). 잣솔잎 추출물의 페놀산 조성과 함량은 t-cinnamic acid가 잣솔잎 중에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hloroge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방법에 따른 추출물의 페놀산 함량은 페놀산의 종류에 따라 건조방법 별 함량의 차이를 보였으나, 모든 페놀산을 합한 총 페놀산 함량은열풍건조, 진공건조 및 동결건조 순으로 나타났다.
분말을 우리밀 밀가루 중량 100%를 기준하여 각각 0.5, 1.0 및 2.0% 첨가하여 제조한 국수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 환원력, 자동산화 억제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활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부탄올 분획물에서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 환원력, 자동산화 억제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솔잎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국수의 중량, 부피, 함수율 및 국물의 탁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색도는 솔잎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과 a값은 감소하였으며 b값은 증가하였다. 솔잎분말을 첨가하여 조리한 국수의 조직감은 우리밀 밀가루만 사용하여 제조한 대조구에 비하여 경도, 응집성, 탄력성, 검성 및 씹힘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솔잎 분말 1.0% 첨가구에서 색,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향과 조직감에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sauce and seasoned pork rib to which pine needle powder was added during storage. The pH value, color value, active bacterial cell count, lipid oxidation, shear force, and sensory evaluation of seasoned sauce and seasoned pork rib to which 0, 1, 2, 3 and 4% pine needle powder was added were measured during storage at 5℃. The storage periods for the seasoned sauce were 0, 1, 3, 5, 7, 14, 21 and 30 days, and the storage periods for the seasoned pork ribs were 0, 1, 3, 5, 7 days. We determined that the pH values of both seasoned sauce and seasoned pork rib decreased with increasing quantities of pine needle powder and longer storage periods. The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of the seasoned sauce were increased and the redness (a) of that decreased with increasing pine needle powder contents and longer storage periods. The L, a, and b values of the seasoned pork rib decreased with increasing pine needle powder contents, whereas the L and b values of that were decreased and the a value increased with longer storage periods. The active bacterial cell count of the seasoned sauce was detected at between 102 to 104 CFU/mL over a storage period of 30 days, regardless of the addition of pine needle powder; additionally, the addition of 4% pine needle powder resulted in the lowest active bacterial cell count among the samples. The active bacterial cell count in the seasoned pork rib decreased with increasing additions of pine needle powder, and was increased during storage. The influence of pine needle powder contents on the active bacterial cell count of seasoned pork rib were minimal, and the active bacterial cell count of that was suppressed by the addition of only 1% pine needle powder. Lipid oxidation in the seasoned pork rib was suppressed by the addition of more than 2% pine needle powder. We noted no difference in the shear force of the seasoned pork rib to which pine needle powder was added. In our sensory evaluation, the intensity of color (greenish brown), flavor (herbal flavor) and taste (bitter & herbal taste) of the seasoned pork rib increased with increasing pine needle powder contents, whereas the texture of the seasoned pork rib evidenced no differences.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seasoned pork rib with 0, 1 and 2% added pine needle powd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easoned pork rib with 3 and 4% added pine needle powder. Thus, the addition of 2% pine needle powder to seasoned pork rib sauce yielded appropriate results with regard to antibacterial, antioxidative, and sensory properties.
We investigated changes in quality during storage of cookies prepared with pine needle powder these are functional foods. We chose the quantity of pine needle powder (0%, 3%, 6%, or 9%, by weight) and storage time (1 day, 3 days, or 5 day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onducted sensory tests, measured chromaticity, and investigated physical properties. Differences in sweetness (p
본 연구에서는 솔잎분말을 첨가하여 기능성식빵을 제조하기 위한 반죽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 성분측정 결과 생 솔잎은 수분 58.1%, 조단백질 4.5%, 조지방 3.9%, 조회분 0.9%, 식이섬유량 9.3%로 나타났다. 반죽의 pH 측정 결파 대조구의 pH는 5.9, 솔잎분말 첨가시에는 범위로 나타났다. 반죽의 호화도는 솔잎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화 개시 온도는 증가하였고 최고 점도는 감소하였다. 반죽의 falling num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