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1.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배와 감의 미생물 저감화를 위한 침지 세척과 버블 세척 효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세척 시 세척 보조제로 정제염과 식초를 첨가하여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정제염과 식초는 1%, 2.5%, 5% 농도로 세척수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세척 전 초기 미생물 수는 감보다 배에서 더 높게 나타나 배의 세척 전 미생물 오염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버블 세척 시 세척 시간이 증가할수록 미생물 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5), 배는 10분 버블 세척 하였을 때 일반세균수 3.85 log CFU/g으로 나타났고, 30분 세척 했을 때 3.64 log CFU/g으로 감소하였다. 감은 10분 버블 세척 하였을때 일반세균수 2.64 log CFU/g에서 30분 버블 세척 시 2.33 log CFU/g으로 나타났다. 배와 감은 모든 세척 시간에서 버블 세척이 침지 세척에 비해 미생물 저감화에 효과적이었고, 최대 1.3 log scale이 감소되었다. 배와 감 모두 최적 버블 세척 시간은 30분이었다. 정제염, 식초와 같은 세척 보조제를 사용해 침지 세척, 버블 세척 했을 때는 세척 보조제를 사용하지 않은 세척에 비해 미생물 수가 크게 감소하였다. 식초를 적용하여 배를 버블 세척했을 때 식초 농도 2.5%에서 일반세균수가 2배 이상 감소되었으며, 5% 농도에서 2.4배 감소되었다. 또한 식초를 적용하여 감을 버블 세척했을 때 식초 농도 2.5%에서 일반세균수가 2배 감소되었으며, 5% 농도에서 일반세균이 불검출되었 다. 배와 감 모두 식초를 세척 보조제로 사용하여 버블 세척했을 때 식초 농도 1%에서부터 효모와 곰팡이가 불검출되었다. 따라서 버블 세척은 배와 감의 미생물 오염 수준을 약 1 log scale 감소시켰다. 또한 세척 시 정제염과 식초의 적용이 배와 감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식초 적용 시 미생물 저감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신종 갈색날개매미충은 과실류에 대하여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야기한다. 국내에서는 이종의 관리를 위해 화학약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해충에 대한 살충제의 사용시기과 종류는 꿀벌 개체군에 악영향을 일으킨 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감에 있어 살충제의 사용을 감소시키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제의사결정 수준을 평가하였다. 공간분포 분석을 통하여 감귤의 피해관련 요소인 신초, 과실형성수, 수확량에 어떤 발육단계가 영향 을 주었는지를 확인하였다. 갈색날개매미충 알의 분포는 감 열매 수와 공간적으로 관련되어 있었다. 그러나 갈색 날개매미충 알의 밀도와 감의 피해와 관련된 요인들 간에 어떠한 선형 관계를 발견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갈색날 개매미충의 밀도와 산란된 죽은 가지와의 상관성은 확인되었다. 난괴 밀도에 근거한 죽는 가지 추정 발육 모델 (Developed model of branch death possibility)로부터 새롭게 발달된 가지당 5.75개의 난괴가 방제의사결정 수준으 로 제안되었다. 위의 결과들은 과원내 갈색날개매미충 관리의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다른 곤충에 대한 방제의사 결정수준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6.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탈삽된(CO2처리) 청도반시의 MAP저장에 따른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고품질을 유 지할 수 있는 적합한 조건을 규명하였다. 시료인 떫은감은 “청도반시”를 탈삽하여 사용하였으며, LDPE(60㎛), ceramic(30, 60㎛)필름을 사용하여 하였다. 저장온도는 5℃에서 140일간 저장을 하면서 저 장 조건에 대한 떫은 감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포장내 CO2 및 O2의 농도는 저장 18일까지는 CO2의 농도가 5.2%까지 증가하고 O2농도는 6.7%까지 감소한 후 저장 말기까지는 거의 일 정한 농도를 유지되었다. 저장 중 중량 감소율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중량이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 을 보였으며, ceramic 60㎛ 가장 낮은 중량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과육의 경도, 과피의 색도는 ceramic 60㎛ 포장군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 중 탄닌 함량, 가용성 고형성분은 포장조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중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 드 함량변화의 경우 탈삽 직후 다소 상승 하다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 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탈삽감의 유통에 가장 적합한 포장군은 ceramic 60 ㎛ 필름으로 확 인되었다.
        4,000원
        7.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온진공건조 조건에 따른 곶감의 건조특성 및 품질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곶감의 건조 특성 은 전형적인 항율건조기간과 감율건조기간이 존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진공압력이 높을수록 가열온 도가 높을수록 곶감의 당도, 당 함량, 경도 값은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비해 명도 값은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천일 및 열풍건조를 대처할 수 있는 진공건조의 최적 조건은 진공압력이 40~50kPa abs., 가열온도 30℃, 건조시간은 3~4일 이었다.
        4,000원
        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품종별 수확시기에 따른 떫은 감의 품질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이용한 곶감제조를 통해 고품 질의 곶감 생산을 위한 곶감의 식품학적 특성을 분석 하였다. 고품질의 곶감 생산을 위해서는 품종별 떫은 감의 적절한 선택과 적정숙도를 갖춘 과육을 선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미숙과의 경우 수분함 량, 색도값이 적숙과 및 완숙과에 비해 낮은 값을 보인 반면 경도는 높게 나타났다. 고품질의 곶감의 생 산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적황색 혹은 녹황색인 적숙과 이상의 떫은 감을 사용해야 한다.
        4,000원
        9.
        2014.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곳감 생산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식초, 자몽추출물 등 총 6종의 추출물에 대한 배합비를 설정하였고, 그 결과 우수한 활성을 가지는 천연 복합 활성제의 최종적인 혼합비는 정향 18.18%, 계피 9.90%, 감초 9.09%, 천궁 4.55%, 자몽종자출물 4.55% 및 사과 식초 54.54%임을 확인하였다. 대조구 및 처리구의 수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항갈변 실험과 항진균 실험, 항갈변/항진균 실험 모두에서 전체적으로 1주차에 비해 6주차에서 수분의 함량이 증가 하였으며 측정 주차 별로 control이 처리구에 비해 수분 함량이상대적으로 낮았다. 당도 변화에서는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전반적 곶감의 당도는 증가하였다. 항갈변/항진균 실험에서 30∼39 °brix로 높은 당함량을 보였다. 경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control과 처리구는 거의 비슷하였으며 6주 뒤 평균적으로 0.5∼0.8정도 줄어들었다. 색도변화에서는 △값의 변화는 건조 기간 중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천연 추출물은 곶감의 건조기간 중에 나타나는 품질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유해성 논란이 되고 있는 유황훈증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0.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ried persimmon was effective in caring an inflammation, an ulcer and a burn and preventing hypertension and arteriosclerosis. At the Jejungsinpyun. dried persimmons gruel was beneficial to stomach and intestine and toned down voice. Based on Jejungsinpyuns and Sikryochanyo, dried persimmons gruel was developed for modern people. To standardize the dried persimmons gruel, physical properties and consumer acceptability was examined. The procedures of dried persimmons gruel was to make dried persimmons juice after soaking dried persimmons with same volume water during 24 hr and blending. To decrease the astringent taste of dried persimmons, dried persimmons juice and water with cinnamon (2%) was mixed and simmered during 3 min. Dried persimmons paste with cinnamon was added and the gruel was boiled more during 5 min. dried persimmons gruel was completed. The dried persimmons gruel were divided of 5 groups consisted of each 10, 15, 20, 25, 30 g dried persimmons. As dried persimmons content increased, lightness, apparent viscosity decreased. Acceptability test indicated the sample of dried persimmons : rice ratio at 2 : 5 ha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and flavor. Considered to each, the sample of the dried persimmons : rice ratio at 2 : 5 met the purpose of the study.
        4,000원
        12.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시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국내 유명산지의 건시를 시료로 하여 건시의 제조시험과 품질평가에 관한 기초자료로서 그 품질요소를 조사하였다. 건시의 수분함량은 30-36%였으며, 탄닌함량은 0-20%로 무처리구는 CO2와 alcohol 처리구보다 그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전당함량은 55-60%였고 그 구성은 glucose와 fructose로 구성되어 있었다. 열풍건조에 의한 건시의 제조는 천일건조보다 그 품질이 전반적으로 우수하였으며 특히 slice 한 제품의 품질은 전과의 경우보다 비교적 우수하였다.
        4,000원
        14.
        201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rice cookies added with young persimmon fruits. Effects of varying amounts (0-12%) of the fruit powder from a young astringent persimmon fruit (picked at Jul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were studied. Ingredients [rice (Oryza sativa subsp. japonica ‘Ilpum’) flours,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Cheongdobansi’) powder, sugar, butter, salt, baking powder, egg] were mixed, cut (thickness 3 mm, diameter 35 mm), baked at 170-180℃ for 9 min, cooled, and packaged in polyethylene/nylon bags. The loss rate and spread factor after baking of cookies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fruit powder added. The moisture content and color values (L* and a*) of cookie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the persimmon powder added. Phenolic compounds content and DPPH radicals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persimmon powder content; in particular, the DPPH activity of the cookies sharply increased after the addition of 3% persimmon powd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the young persimmon fruit powder affec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and this fruit powder (approximately 3%) can be utilized as an additive during rice cookie processing.
        15.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angju, a city in the North Gyeongsang Province, is well known as “Three Whites”, representing its three main agricultural products: rice, silkworm, and dried persimmons. Therefor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dishes or products that can promote the consumption of dried persimmons is an urgent requirement for this reg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revitalizing community-based specialized agriculture through scientific inquiry into medicinal foods and to develop a medicinal food menu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and pre-survey. The pre-survey results and incompatibility revealed that palatability influenced people’s decision to consume dried persimmons far more than pharmacological functionality. Therefore, palatability played an important part in the development of dried persimmon puddings with acceptable texture. These dishes are in high demand as they suit the tastes of variety of consumers. The inclusion of various additives lowered the sugar content in the developed foods and made the products alkalescent (pH > 7), thereby improving functionality. Unique color and flavor additives were also important criteria that determined the selection attributes of the developed medicinal foods. In addition, the additiv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ragrance and texture of the foods.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use of additives provides significant advantages in promoting the consumption of Sangju-dried persimmons by improving both functionality and palatability.
        16.
        201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반건시의 활용성 증대를 위하여 당액침지형 반건시를 제조하였으며 당 조성에 따른 반건시의 이화학적 특성 및 갈변 저해 효과를 검토하였다. 명도와 채도는 S5(sugar 5%), S10(sugar 10%)에서 높았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당, 환원당 및 유리당 함량은 당의 농도가 증대될수록 증가하였으며, S5는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S10은 유사한 함량을 보였으며 S15 및 S20의 경우 과실에 함유하는 당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액침지형 반건시와 갈변효소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폴리페놀 산화효소와 과산화효소를 측정하였으며, 당액 농도가 증대됨에 따라 활성이 저해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S10 이후부터는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프로안토시아니딘 및 비타민 C 함량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면 S10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 식품과 당액 사이에 삼투압 때문에 당액으로 용출되는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S10에서 65.3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당액침지 시 삼투작용으로 적정 농도의 확립이 요구되며 갈변억제 및 영양적인 가치 등의 품질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10% 설탕을 첨가한 당액 침지법이 반건시 가공품을 제조하는 데 있어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17.
        2011.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냉풍건조 곶감과 천일건조 곶감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반건시 및 건시 모두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에 있어서 냉풍건조 곶감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나, 조지방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조회분과 가용성무질소물 함량은 냉풍건조 곶감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꽂감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반건시의 경우 냉풍건조 반건시, 건시가 각각 40.12 , 52.29 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
        18.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uyu' (Diospyros kaki L.) is an important sweet persimmon cultivar, and the fruits are often stored in a modified atmosphere after harvesting in South Korea. However, blossom-end browning and darkening of fruit often occur after harvest or during storage, which decreases fruit quality in the fresh fruit market. High fruit calcium concentration would reduce oxid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the cytoplasm such oxidation is responsible for fruit brown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luble calcium fertilization and foliar application, and indole-3-butyric acid (IBA) fertilization on fruit quality and browning. Trees received one of the following five treatments: 1) control (no calcium or IBA); 2) calcium fertilization (Ca FG, 2 mL per tree); 3) calcium foliar application (Ca FA, 2 mL); 4) calcium and IBA fertilization (Ca+IBA) 5) IBA fertilization (IBA, 2 mL. Fruit calcium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trees treated by Ca FA, and lowest in control trees. Generally, fruit calcium concentration was high in the stem end but low in the blossom end, which usually first develops fruit-browning symptoms. There were no apparent differences in fruit qualities such as firmness, soluble solid content, and weight among treatments. Fruit browning occurred at frequencies of about 14%, 20%, and 50% on Ca FA, Ca FG, and control trees, respectively. Therefore, the improved fruit calcium level seen when trees received Ca or IBA application tended to prevent fruit browning, which increased fruit quality and storage properties.
        19.
        2009.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판 '청도반시' 말랭이의 품질 분석과 등급화 지표를 설정하기 위하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제조사가 다른 7종의 제품을 구입하여 객관적 및 관능적 품질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전반적 기호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등급화 지표를 설정하고 검정을 실시하였다. 감말랭이의 중량, 길이, 너비, 두께, 경도 등은 제품별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제품별 차이를 보였으며, 그 범위는 로 나타났다. 기계적 색도 역시, 제품별 차이를 보였는데 L
        20.
        200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떫은감(Diospyros kaki T.)의 탈삽과 저장 병용 MAP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밀양반시'를 0.08 mm, 0.10 mm 또는 0.12 mm 두께의 LDPE 필름으로 열접착 밀봉포장하고 에서 100일간 저장하면서 포장 내부의 기체조성과 과실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포장 내부의 산소와 이 산화탄소농도는 경시적으로 각각 낮아지고 높아져 저장 10일 후 평형상태에 도달하였고, 평형농도는 포장재가 두꺼울수록 산소는 낮고 이산화탄소는 높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