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하우스와 하우스 사이에 비닐 멀칭이 참외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양수분은 무처리구의 26.0%에 비하여 흑색부직포 및 흑색필름 처리구에서 각각 1.2%, 2.9%정도 적었으나, 지온은 무처리구 2.4℃에 비하여 흑색부직포 및 흑색필름 처리구에서 각각 0.8℃, 1.8℃ 더 높았다. 무처리구에 비하여 흑색필름 처리구에서 초장, 엽수, 엽록소 함량, 엽면적 및 일비액량 등 초기생육이 우수하였으며, 개화도 빠르고 성숙 소요일수도 단축되었다. 과중, 당도 등 과실의 품질도 흑색필름 처리구에서 우수하였고 발효과율 및 기형과율이 감소하여 상품과율이 증가하여 10a당 상품과수량은 무처리구의 1,864kg에 비하여 흑색필름 처리구에서 28%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흑색필름 처리구에서 참외의 과중이 무겁고, 당도가 높고 발효과 발생이 감소하고 상품수량이 증가한 것은 하우스 동간 멀칭으로 수분 유입이 차단되어 지온이 상승하여 뿌리의 활착이 빨라 생육이 촉진됨에 따라 과실의 품질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3.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optimum seeding dates for selecting a double-cropping system and to assess the effect of polyethylene film mulching on the yield of Proso millet. Seeds of the varieties Hwanggeumgijang and Ibaegchal were sown in Miryang on five different dates: 1st (May 25), 2nd (June 15), 3rd (June 25), 4th (July 5), and 5th (July 15), with and without polyvinyl mulching. The varietie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example, Hwanggeumgijang is an early-maturing type and more sensitive to temperature, whereas Ibaegchal is a medium-maturing type and more sensitive to the duration for which it is exposed to sunlight. Late-sown Hwanggeumgijang had a short heading date from seeding and required a low accumulated temperature. It also had a shorter period of heading, a shorter culm length and a shorter diameter of stem. In contrast, it had had a higher number of ears per m2 although similar ear length and similar 1000-grain weight. The yield potential of Hwanggeumgijang was found to decrease at a late seeding date. In particular, it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seeding date of July 15. In the case of cultivation with polyvinyl mulching, the period of heading was shorter by 2–4 days and the yield potential w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12–32%. The length and diameter of culm in Ibaegchal were slowly decreased, but the length of ear, the 1000-grain weight and the yield potential were similar for all seeding dates (except July 15) and cultivation with and without mulching. When sown late, the length and diameter of the culm of Ibaegchal very rapidly decreased by the July 15 seeding date. The protein content of Ibaegchal was higher but the amlyose content of Ibaechal was lower compared to Hwanggeumgijang. At late seeding dates, the protein contents of the two varieties increased but the amylose contents were similar.
        4.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건강 기능성 농산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면서 수요와 재배면적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기장의 생산량 증대와 자급률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재식밀도와 PE 멀칭에 따른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1. PE 멀칭에 따른 간장은 1년차 PE 멀칭구에서 138 cm로 17 cm 길게 나타났으며, 간경은 8.33 mm로 2년차 PE 멀칭구에서 굵게 나타났고 지상부생체중은 무멀칭구보다 PE 멀칭구에서 연차간 모두 37.7%, 9.0% 많이 나타났다. 2. 연차간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특성에서 간장은 1, 2년차 모두 재식밀도가 높은 10 cm처리구에서 130, 142 cm로 가장 길게 나타났으며 재식밀도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간경은 2년차에서는 간장과 반대로 재식밀도가 가장 낮은 20 cm처리구에서 가장 굵은 8.43 mm로 나타났다. 3. 이삭장은 PE 멀칭구에서 34.1, 40.7 cm로 무멀칭구 대비 20.1, 13.7%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종실중 2년차에서는 PE 멀칭구에서 무멀칭구 대비 8.6% 더 무겁게 나타났으며, 천립중에선 무멀칭구에서 5.3% 더 무겁게 나타났다. 종실수량은 1·2년차 모두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1년차에서는 PE 멀칭구에서 305 kg·10a-1, 2년차에서는 242 kg·10a-1으로 나타났다. 4. 재식밀도에 따른 이삭장과 이삭당 종실중은 1·2년차 모두 재식밀도 낮을수록 길거나 무겁게 나타났으며 종실수량은 연차간 모두 15 cm처리구에서 265 kg·10a-1, 253 kg·10a-1으로 수량구성요소에서 높은 값을 보인 20㎝처리구 보다 10.0, 15.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low release fertilizers (SRF), crotonylidene diurea (CDU) and latex coated urea (LCU), on nitrogen (N) use efficiency (NUE) and nitrate-N leaching in a silty clay loam soil under polyethylene film mulching (PFM) for sesame cultivation. In PFM plot, concentrations of NO3-N and NH4-N in SRF applied soils were less than that in the urea plot during the whole growing period. However, NO3-N and NH4-N in all the non-mulched plots (NM)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Urea-N in soil treated with SRF was higher than urea plot until 50 days after application and was comparable in all the treatments after 50 days. NO3-N concentrations in leached solution in 21 days after urea fertilization in PFM and NM were 26 mg L-1 and 83 mg L-1 , respectively. However, NO3-N in leached solution at applied CDU and LCU was less than that of urea similar to nitrate concentration in soil. NO3-N in leached solution in applied CDU and LCU in 44 days after application was about 25% lower than that urea plot and PFM, while the NO3-N concentration of CDU and LCU treatment in NM did not changed. Application of SRF increased the yield of sesame and N recovery compared to urea and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SRF and N levels. In conclusion, application of 80% N level with SRF increased N recovery and reduced nitrate leaching without reduction of yields compared with urea application.
        6.
        2003.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effectively more leaves of Angelica acutiloba through year-round production system by using various mulching materials and polyethylene(PE) tunnel. Soil temperature by covering treatment was higher in PE mulching and PE tunnel than in rice straw mulching, especially showing the highest temperature in PE tunnel from April through May. Water content of soil was higher in PE mulching than in non-mulching. Leaf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through year-round production showed the highest in PE tunnel and root production in PE mulch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f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can be maximized through PE tunnel cultivation system.
        7.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흑색 비닐피복과 재식밀도에 따른 지황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지황 1호를 시험재료로 흑색 비닐피복과 재식밀도를 달리하여 재배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출현율은 무피복 78.0%에 비하여 흑색 비닐피복에서 3.1%더 높았고, 재식밀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생육은 흑색 비닐피복과 소식에서 생육이 왕성하였으나, 단위 면적 당 엽 중, 근경 수는 밀식 할수록 무겁거나 많았다. 건근경중은 무피복 402 kg/10a에 비하여 흑색 비닐피복재배에서 28% 증수되었으며, 개체 당 건근경중은 소식할수록, 단위면적 당 수량은 밀식 할수록 증가하였다.
        8.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varietal differences on growth characteristics under the conditions of PE film-mulching and non-mulching in sesame. At maturing stage from 76 to 95 days after sowing, Yangbaeckkae, non-branching plant type, under non-mulching showed larger leaf area index (LAI) than that of film-mulching, while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were similar to those of film-mulching. LAI of Ahnsankkae, branching plant type, under non-mulching was similar to film-mulching, while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were smaller than those of film-mulching. Net assimilation rate (NAR) of two varieties under non-mulching was lower at seedling stage from 25 to 35 days after sowing but higher at flowering stage from 45 to 55 days after sowing. At maturing stage from 66 to 77 days after sowing, NAR and crop growth rate (CGR) of Yangbaeckkae under non-mulching were greater than those of film-mulching, whereas those of Ahnsankkae under non-mulching were lesser than those of film-mulching. Yield under non-mulching was decreased by 7 % in Yangbaeckkae and 33 % in Ahnsankkae compared with that of film-mulching, therefore Yangbaeckkae was more adaptable for non-mulching than Ahnsankkae. Main factors decreasing yield of Yangbaeckkae under non-mulching were small LAI, NAR, and CGR at the stage of young seedling, and small number of capsules at early maturing stage from first flowering to 20 days after first flowering.
        9.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피복 재배조건에서 생육특성 및 수량성 그리고 종실의 단백질과 지방함량,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여 무피복 재배법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대광땅콩, 대풍땅콩을 공시하고 흑색 비닐 피복재배와 비교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현기는 대광땅콩, 대풍땅콩 모두 피복재배보다 6일정도 지연되었으며 개화기는 각각 9일, 6일 지연되었고 입모율도 각각 3.7%, 16%감소되었다. 2. 분지장은 피복재배보다 대광땅콩 24%(11.2cm), 대풍땅콩 17%(6.9cm) 감소되었으나 분지수는 감소되지 않았다. 3. 성숙협수,100립중, 협실비율, 주당 종실수량등은 피복재배보다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밀식재배로 인한 재식밀도의 증가로 1ha당 종실수량은 대광땅콩의 경우 피복재배와 비슷하였고 대풍땅콩의 경우는 26% 증수되었다. 4. 단백질함량은 대광땅콩의 경우, 피복재배보다 4% 증가하였으나 대풍땅콩은 3% 감소하였으며 지방함량은 두 품종 모두 각각 7%, 9% 감소되었다. 5. 지방산 조성에서 oleic acid는 대광, 대풍땅콩 모두 피복재배보다 증가하였으나 linolelc acid는 감소하였으며 O/L비율도 작아졌다.
        11.
        199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의 결명자 재배 체계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비닐 피복과 무피복재배 상태에서 시비량 차이에 따른 생육과 수량의 특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장, 경직경, 분지수, 1주협수, 협장, 1협립수 등의 모든 형질이 비닐 피복구에서 우수하였으며 이들 생육특성 중에서 경직경, 1주협수, 1협립수 등의 형질은 N-P2 O5-K2 O=8-6-6Kg /10a 구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경장, 분권수, 협장은 N-P2 O5-K2 O=8-6-6Kg /10a와 N-P2 O5-K2 O=16-12-12Kg /10a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2. 천립중과 종실수량 역시 비닐 피복구에서 높았으며 시비량 N-P2 O5-K2 O=8-6-6Kg / 10a구를 기점으로 이보다 감비하거나 증비한 구는 감수하는 경향이었다. 3. 비닐 피복과 무피복 아래에서 시비량 차이에 따른 유용 형질들의 분산분석에서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12.
        198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우리나라 참깨의 단작, 맥후작별 vinyl mulching 재배하에서의 도복방지효과를 보고자 장려품종인 안산깨. 단백깨, 광산깨를 공시하여 개화초기에 75˚ 45˚ 의 인위도복 처리와 도복방지 처리로서 개화시에 지주를 세워 처리간의 효과를 조사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초기에 75˚ 도복은 도복되지 않은 것에 비해 가장 감수정도가 커서 단작에서 75%, 맥후작에서 81% 감수되었다. 2. 개화초기의 무처리한 구에서는 단작직파에서 약간의 자연도복이 되어 18% 감수되었고 맥후작직파에서는 태풍피해로 75%의 큰 감수를 보였다. 3. 단작, 맥후작별 vinyl mulching 재배에서 개화초기에 지주를 세워 재배한 처리는 완전다수였다.
        13.
        198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대두형 품종에 대하여 파종기를 달리하고 비닐멀칭을 했을 때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코져 다마미도리 지두를 4월 13일부터 10일 간격으로 4파종기로 하고, 비닐로 멀칭과 무멀칭으로 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는 멀칭을 할 경우 무멀칭에 비하여 촉진되어 4월 13일 파종구는 11일 축진되었다. 개화일수도 멀칭을 할 경우 평균 6일이 단축되었고, 4월 13일 파종구는 12일이 단축되었다. 2. 멀칭구는 무멀칭에 비하여 주경장이 컸으며, 주경절수 및 분지수도 많았을 뿐 아니라. l0a당 건경중도 많았다. 평균 100립중은 차가 없었다. 멀칭의 경우 늦게 파종한 구에서 주경장이 컸고, 주경절수 및 분지수도 많았을 뿐 아니라 건경중도 높았으며, 100립중도 무거웠다. 이러한 현상은 일찍 파종한구에서 미이라병의 리병입률이 높았기 때문이다. 무멀칭의 경우는 멀칭구와 같은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3. 멀칭구에서 미이라병의 리병입율이 높으면 자반병 리병입율은 낮아졌다. 무멀칭구는 멀칭구에서와 같은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4. 멀칭구에서는 무멀칭구보다 평균 20%가 증수되었고, 파종기별로 보면 일찍 파종한 구에서 미이라병에 대한 리병정도가 심하여 수량이 낮았고, 늦게 파종한 구에서 수량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