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원예작물에서 화분매개곤충의 의존도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우리는 사과, 딸기 등 화분매개곤충의 의존도가 높은 주요 과수와 시설작물에 대하여 화분매개곤충의 사용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21년부터 2022년까지 딸기, 키위 등 5가지 주요 농작물에서 화분매개벌을 적용한 결과, 딸기에서 뒤영벌의 적용결과 기존 꿀벌과 통계적으로 같은 수준의 화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하우스에서 농약적용시 하우스 밖으로 벌통을 위치시키는 것이 방치보다 벌의 소실을 20% 더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인공수분 에 의존하고 있는 씨없는 수박에서 수분수 식재와 꿀벌을 이용함으로 기존 벌 방사보다 16% 착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시설고추에서 꿀벌과 뒤영벌의 혼합사용시 기존 꿀벌 방사보다 고추 수량이 10% 향상되었고, 토마토 에서 660㎡당 뒤영벌의 봉군량을 1.5배 증가시 토마토 수량은 4.4% 향상되었다. 키위는 꿀벌로 기존의 인공수분 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었고, 인건비가 60%이상 절감되었다. 또한 현재 시판중인 30종의 살충제와 27종의 살균제 에 대하여 24시간내 반수치사를 보인 농약은 각각 살충제 6종와 살균제 4종 이었다. 이어서 2023년부터 참외, 멜론, 사과, 단감에 대한 현장적용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arious eco-friendly seed disinfection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global demand for organic food. In order to produce sustainable and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seed disinfection 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wholesome seedlings have been researched in diverse ways compared to how they were examined in advanced countri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eco-friendly seed disinfection technologies to secure the horticultural crops have been treated by biological or physical methods, such as hot water treatment with ultrasonic disinfection technology, or applying organic agricultural materials like organic acids in plant extracts. However,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various applied technologies can be implemented in farm fields to disinfect significant agricultural crops, such as lettuce, Chinese cabbage, radish, watermelon, cucumber, paprika, red pepper, ginger, ginseng, and sesame seeds.
        4,800원
        4.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리랑카는 채소의 주년 생산에 적합한 기후를 갖고 있는 열대국가이다. 열대, 아열대 채소의 재배면적은 전체 농지(105,062 ha)의 약 3%이다. 지난 50년 동안 스리랑카에서 채소 육종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졌고 채소 부문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채소 육종, 재배 및 가공과 관련된 기술이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떨어져 있는 형편이다. 전통 육종법을 통해 개발된 다양한 농업적 형질을 가진 품종이 현재까지 스리랑카의 채소 생산에 이용되고 있지만 생명공학적 방법을 접목한 채소 품종 육종법의 중요성이 점차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은 스리랑카에서 중요한 채소 작물인 토마토, 고추류, 콩류, 가지 및 여주의 육종과 품종 현황을 소개하고 향후 스리랑카 육종 전망에 대해 논의하였다.
        4,000원
        5.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태국은 아시아 국가 중에서도 채소 생산에 적합한 기후를 가지고 있어 자국 내에서 소비뿐만 아니라 주변국에 수출을 목적으로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태국의 채소 육종 재배 기술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아직 초기 발전 단계이다. 2. 태국에 적합한 채소 육종 전략 및 재배 기술을 수립하기 위하여 태국의 주요 5대 채소 작물인 고추, 배추, 샬롯, 롱빈, 상추의 형태적 및 재배적 특성을 소개하였다. 3. F1 종자를 이용하여 채소를 재배하면, 품질이 좋고 생산성이 높아 이를 이용하는 채소 농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 F1 종자의 가격이 비싸 개발도상국의 일반 농가에서는 F1 종자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태국을 포함한 아세안 국가에서는 균일도는 다소 떨어지더라도 가격 경쟁력이 있는, 삼원교배 또는 사원교배 등 복교잡을 이용한 F1 종자를 재배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몇 가지 채소(비트, 쑥갓, 상추, 케일, 무, 시금치, 단옥수수, 토마토)의 제염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위적으로 처리한 염류 집적 토양에서 재배후 작물 생육과 토양내 염류 함량을 조사하였다. 채소작물별 초장으로 본 생육은 EC 5dS·m-1의 염류토양에서 상추와 쑥갓의 생육이 가장 크게 억제되었다. EC 5dS·m-1수준의 염류토양에서 EC 잔존율은 토마토, 옥수수, 케일 순으로 낮았으며 비료 성분별 제염효과는 NO3의 경우는 옥수수, 토마토, 케일, K는 옥수수, 토마토, 비트, P2O5는 옥수수와 토마토가 가장 우수하였다. 제염효과는 재배기간이 60일이었던 토마토, 옥수수가 가장 우수하였으나, 염류토양 재배시 수확물의 상품성 저하와 재배시기 주작물 재배시기와 겹치는 문제가 있고, 생체중당 제염효과는 낮았다. 이에 반해 케일은 재배기간 30일로 짧고, 생육억제효과가 적으며, 생체중당 제염효과가 가장 우수하여 제염효과가 있는 전작 작물로 적합하리라 사료된다.
        3,000원
        9.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액재배시 배지 및 양액종류의 차이가 백경채, 탑채, 상추, 쑥갓 및 잎들깨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반적으로 순수담액처리구와 혼합상토의 생육이 크게 차이나지는 않았으나 순수담액처리구의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고, 모래배지에서의 생육이 가장 저조하였다. 백경채, 탑채, 상추와 잎들깨의 생육은 순수담액의 산기양액처리구에서 가장 좋았으며 쑥갓의 경우 양액종류에 관계없이 순수담액처리구에서 생육이 양호하였다. 2. 엽록소의 상대적 함량은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3. Vitamin C의 함량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공시작물 공히 전반적으로 양액의 종류에 상관없이 혼합상토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모래배지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잎들깨에서는 모래배지와 순수담액배지간에 차이가 없었다.
        4,000원
        10.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연광과 자연광에 인공광을 이용한 보광처리시 형광등, 백열등, 고압나트륨등으로 인공광의 종류를 달리하였을 때 백경채, 탑채, 상추, 쑥갓 및 잎들깨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반적으로 대조구보다 보광처리구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2. 고압나트륨등처리구에서는 생육이 양호하여 엽중량비가 낮고, 엽면적이 넓으며 엽중이 무거워 외관상 상품가치가 높았으며 백열등처리구에서는 생체중은 무거웠으나 도장하여 상품성이 저하되었다. 형광등처리구에서는 고압나트륨등에 비하여 생육이 크게 떨어지지 않았다. 3. 엽록소의 상대적 함량은 전반적으로 큰 차이는 없었으나 고압나트륨등의 처리구에서 다소 높았다. 4. Vitamin C의 함량은 처리간 큰 차이는 없었으며 광 종류에 따라 작물마다 다른 반응을 나타내었다.
        4,000원
        11.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야온과 시용질소의 형태를 달리한 양액이 탑채와 백경채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탑채, 백경채 모두 야온 15℃ 에서 생육이 왕성하여 생체중이 무거웠으나 건물율과 vitamin C의 함량은 온도가 낮아질수록 증가하였다. 2. 양액의 N형태 비율에 따른 백경채의 생육은 NO3- : NH4+ 의 비가 0 : 8에서만 극히 생육이 저조하고, 다른 처리구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3. 양액내 NO3--N의 함량이 높을수록 vitamin C의 함량이 많고, NH4+-N의 함량이 높을 때는 건물율이 높았다.
        4,000원
        12.
        198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우, 배추, 고추, 오이에 기생하는 진딧물의 종류와 주요종의 발생소장을 의 3개년간 살충제 무살포 조건에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우와 배추의 기생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 무우테두리진딧물, 싸리수염진딧물, 목화진 디물의 4종으로 주요종은 복숭아혹진딧물과 무우테두리진딧물 2종이었다. 2. 고추의 기생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싸리수염진딧물의 3종으로, 복숭아혹진 딧물과 목화진딧물 2종이 주요종이었고, 오이에서는목화진딧물, 싸리수염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이 기생하나 목화진딧물 1종이 우점종이었다. 3. 순별강우량이 200mm 이상일 때, 진딧물의 밀도는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4. 무우와 배추의 복숭아혹진딧물과 무우테두리진딧물, 고추의 복숭아혹진딧물과 목화진딧물은 두 종간의 상대밀도에 있어서 봄에 다발생한 종은 가을에 소발생하였다.
        3,000원
        13.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increasing interest in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that can be discharged emerging from inland water cultures, problems in the processing of effluents are recognized as environmental pollution sources are difficult accordingly. As a result, in this study, the effluent water as such a source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rried examine the availability of as organic fertilizer to be used for cultivation of crops. The study tested using 3 types of crops, As a method of using as a fertilizer in a particular solution that was created and practices to liquid fertilizer solution used to the concentration of the effluent. After you grow crops in a certain amount of irrigation once every week for each processing it was analyzed for the differences of content of the functional substance and growth of crops. As a result a certain amount of the effluent water in the stock solution, the content of functional materials and growth of crops were found to be superior to other processes in irrigation which was treated weekly.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effluent water from BFT inland water culture has been found to give a positive effects on the contents of the functional materials and growth of crops. Studies on a method for utilizing the effluent water as a fertilizer is considered further required.
        14.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seawater on growth of fettuce(Lactuca sativa L.), leaf perilla(perilI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red pepper(Capsicum annuum L.) and cucumber(Cucumis sativus L.) seedlings were investigated in the glass greenhouse. These effects were studied on seedlings, and diluted seawater (1%, 5%, 10%, 20%, 50%, 100% v/v) was sprayed enough on feaves. The tested four vegetable crops have well grown up to 10% diluted seawater, but the tested vegetable crops were damaged from increasing salt levels. Of these, lettuce was provided salt-tolerant vegetable crop and red pepper was considered salt-sensitive vegetable crop. The salt tolerance of vegetable crops is different between crops and complicated because of additional detrimental effects caused by accumulated ions or specific ion toxicities in their leaves. These results show that agricultural use of seawater may be benefit crop cultivation in organic farming system as well as in conventional farming system.
        15.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채 자원의 이용 실태 파악과 문화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20대 남성 143명과 여성 148명을 대상으로 산채류에 대한 인식, 식별능 및 식용경험 유무를 조사하였다. 산채류에 대한 20대들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남성들은 51.1% 이상이, 여성들은 39.1% 이상이 좋아한다고 응답하였다. 산채류를 좋아하는 이유로는 ‘몸에 유익한 성분이 많다’와 ‘무공해 식품이다’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싫어하는 이유로는 ‘맛이 없다’와 ‘쓴맛이 강하다’였다. 오일장에서 유통되는 산채류 32종류에 대해 5점 척도법으로 조사한 결과 이름의 인지정도에 대해서는 11종류에 대해, 아는 정도에 대해서는 6종류에 대해 ‘안다(4.0) 수준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80% 이상이 구별할 수 있다고 응답한 산채류와 식용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산채류는 각각 6종류(고사리, 도라지, 미나리, 부추, 쑥, 죽순)와 8종류(고사리, 냉이, 달래, 더덕, 도라지, 미나리, 부추, 쑥)로 18.8% 및 25.0%를 차지하였다. 이와 같이 조사된 결과를 감안할 때 산채 이용 문화의 보존과 발전을 위해서는 산채류에 대한 유통개선과 함께 이용문화에 대한 교육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6.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예식물 530종류를 과수(36종류), 채소(55종류), 초본화훼(227종류), 목본화훼(98종류), 관엽식물(114종류)로 구분한 후 이름의 유래와 음절수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름의 유래를 어종에 따라 구분한 결과 채소, 초본화훼, 목본화훼는 한국이름에서 유래된 비율이 각각 51.7%, 43.4%, 60.0%로 가장 높았다. 반면에 과수는 중국이름에서 유래된 비율이 46.5%로 가장 높았다. 관엽식물은 한국명의 경우 학명이나 속명에서 유래된 비율이 29.3%, 17.1%로 높았으나 일본어 이름은 일본어에서 유래된 비율이 53.1%로 가장 높았다. 원예식물 이름의 유래를 의미에 따라 구분한 결과 유래원은 과수의 경우 원산지 (43.3%)와 언어명(29.7%)에서 유래된 비율이 높았으며, 채소는 언어명(32.7%)과 형태(16.3%)에서 유래된 비율이 높았다. 초본화훼는 형태(38.3%)와 생육특성(12.3%)에서, 목본화훼는 형태(38.3%)와 색깔(21.1%)에서 유래된 비율이 높았다. 관엽식물은 형태(46.7%)와 언어명(26.7%)에서 유래된 비율이 높았다. 원예식물 이름의 음절수는 과수와 채소는 1-2음절이 각각 71.4%, 68.9%로 비율이 높았다. 반면에 초본화훼와 목본화훼는 3-4음절이 각각 57.5%, 65.7%로 높았으며, 관엽식물은 44.3%가 5음절 이상이었다. 음절수와 어종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이름에서 유래된 이름은 음절수가 4개 이내가 90% 이상이었으나 학명에서 유래된 이름은 음절수 5개 이상인 것이 70%이상 되었다.
        17.
        199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자가 수분을 흡수할 경우 종자의 내용물이 밖으로 누출되는데 일반적으로 퇴화종자에서 건전종자보다 월등하게 많이 누출되는 특성이 있다. 십자화과 식물의 종자는 형광물질인 sinapine을 함유하고 있어서 수분을 흡수할 경우 퇴화종자에서 다량의 형광물질을 밖으로 배출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종자를 cellulose로 코팅하여 sinapine을 Cellulose층에 흡착토록 함으로써 퇴화종자를 쉽게 종자 개개의 단위로 선별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국내에 재배되는 십자화과 채소종자에 대해서 이러한 새로운 종자선별법을 이용하여 종자를 선별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십자화과 채소종자의 퇴화종자에서 건전종자 보다 많은 양의 형광물질이 누출되었다. 2. 종자코팅을 통하여 형광종자와 무형광종자를 쉽게 구별할 수 있었다. 3. 형광종자의 비율은 퇴화종자가 많은 품종일수록 높았다. 4. 형광종자를 분리하여 제거하므로써 발아율이 약 5∼35%까지 향상되었다. 5. 무형광종자는 건전한 종자로써 발아율 및 종자세가 무처리종자보다 월등하였고, 형광종자는 대부분 발아하지 않았으며 발아한 묘는 거의가 비정상묘 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