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지질공원 추진 과정에서 지역주민, 지질 전문가 및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사이에서 나타나는 갈등 프레임의 양상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각각 부안과 고창에서 실시된 국가지질공원 추진 관련 주민 공청회의 진행 과정을 참여자들의 사전 동의를 얻어 녹음한 후 텍스트 형태로 전사하였다. 이후 문헌연구를 통해 갈등 프레임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 프레임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3명의 연구자에 의해 갈등 프레임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갈등 프레임은 다시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지역별로 갈등 프레임 간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부안 지역에서는 ‘Sagree’ 프레임, ‘Snot’ 프레임, ‘Sdisagree’ 프레임이 높은 위세중심성을 보였고, 언어네트워크의 중심에 위치한 ‘Snot’ 프레임에 Cmexample 프레임, Gharm 프레임, Cmeconomy 프레임 등이 긴밀하게 연결되었다. 반면 고창에서는 ‘Aresource’ 프레임, ‘Cmexample’ 프레임, ‘Gharm’ 프레임이 높은 위세중심성을 보였고, 언어네트워크의 중심에 위치한 ‘Aresource’ 프레임에 ‘Cmexample’ 프레임, ‘Gharm’ 프레임, ‘Cmproblemsolution’ 프레임 등이 긴밀하게 연결되었다. 이를 통해 부안 지역에서는 아직 이해당사자 사이의 갈등이 진행되고 있고, 고창 지역에서는 자신들의 자원을 자랑스럽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부안의 이해당사자들은 갈등 해소에 있어서 경제적 이득에 초점을 둔 반면, 고창의 이해당사자들은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가지질공원 추진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갈등 관계를 해소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5,100원
        4.
        201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the winter of 2017/2018, significantly low water temperatures were detected around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WSCK). In this perio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n the Korea Waters was about 2℃ lower than mean temperature. Using the real-time observation system, we analyzed the temporal variation of SST during this period around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Low water temperature usually manifested over a period of about 10 ~ 20 days. The daily Arctic oscillation index was also similarly detectable with the variation of SST. From the cross-correlation function, we compared two periodic variations, which were SST around the WSCK and the Arctic oscillation index. The cros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both variations were approximately 0.3 ~ 0.4. The time lag of the two time series was about 6 to 7 days. Therefore, significanlyt low water temperatures during winter in the Korean coastal areas usually became detectable 6 to 7 days after the negative peak of Arctic oscillation.
        4,000원
        9.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해안림의 식생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다층구조의 혼효림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파악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에 위치한 기지포, 춘장대, 장항 및 구시포 등 4개 지역의 해안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와 식물상을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4개의 조사지역 교목층에서 곰솔이 우점하고 있으며 조사지역에 따라 일부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소나무, 아까시나무, 졸참나무, 산벚나무, 상수리나무 및 밤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4개 지역 해안림의 곰솔군락은 전반적으로 어린 개체와 큰 개체의 밀도보다 중간 개체의 밀도가 높아 곰솔군락으로 계속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구시포 해안림의 경우는 지형적인 입지여건에 따라 장기적으로 참나무류의 군락으로 천이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조사대상지에서 총 205종의 식물 종이 조사되어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층구조의 해안림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곰솔림의 간벌, 통행로 설치, 이용구역 제한 등의 관리를 통해 다양한 식생이 침입하여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4,800원
        1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서해안 어청도에서 조간대와 조하대에 생육하는 해조류의 생물량과 군집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8년 6월부터 2009년 4월까지 계절별로 총 4회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녹조류 12종, 갈조류 23종, 홍조류 66종이 출현하여 총 101종 채집되어 동정되었다. 이중 19종은 일 년 내내 출현하였다. 총 생물량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우점종은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 우뭇가사리(Gelidium elegans),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톳(Sargassum fusiforme),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neri), 고사리모자반(Sargassum filicinum)이었다. 연간 평균 건중량은 237.5 gm-2이었으며, 최대값은 겨울에 272.1 gm-2, 최소값은 여름에 204.5 gm-2을 기록하였다. 조하대에서의 출현종과 생물량은 조간대에 비하여 많았다. 어청도에서 출현종수와 생물량은 투명도가 낮은 한국 서해 연안의 일반적 특성과 반대로 높은 투명도와 자연 암반의 발달로 인하여 한국 서해안의 다른 도서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보인다.
        4,200원
        13.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land-use change including reclamation cause effects on the ecosystem seriously. Present study investigated community structure of hemipterans in several reclaimed lands from western coast of South Korea in 2010, because among arthropods, hemipterans are more influenced by land-use change which caused the change of dominant plants. Six reclaimed lands were selected for our study based on the ages of reclaimed land (0, 5, 12, 16, 20, and 31 years). Dominant plant species of reclaimed lands were belonging to Poaceae, Phragmites communis and Oryza sativa in Yeongsangan II, Sabkyocheon, Geumgan I and Gyehwado, Secale cereale in Seokmun, and Imperata cylindrica and Calamagrostis epigeios in Sihwa. A total of 31 species in 10 families were identified from 4475 collected hemipterans. In Sihwa, Shannon’s diversity was very low compared to other 5 reclaimed lands due to dominance of Paromius exiguus. Because I. cylindrica and C. epigeios were 1st and 2nd host plants of P. exiguus (2824 individuals only collected from Sihwa). In multivariate analysis, 6 reclaimed lands grouped into 2 major groups showing 49.8% in Bray-Curtis similarity between 2 groups. From these results, land-use change such as reclamation project may cause the outbreak of insect pests by destruction of ecosystem functions and simplification of plant community, although community structure of hemipterans may be stable over age of land reclamation.
        14.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views the implementation of the STCW 78/95 in the Philippine MET including the effects of the revised 2010 Manila Amendments. It discusses the country’s maritime environment and the structures, quality of maritime education in the country and the effects on the maritime human resource. Among the various resolutions adopted at the conference, the standards of training and certifications, and promoting skills and competency will be more emphasized in this report. These will be compared with the existing curriculum mandated by CHED and upgrade STCW trainings advised by MTC for maritime institutions. A brief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other Asian countries’ maritime training shall be offered. The recommendation pinpoints to the weaknesses of the present maritime regimes in certification and evaluation of maritime institutions. It concludes with the need to have mutually acceptable evaluation standards in view of developing a competent human resource for the future.
        3,000원
        15.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상에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항해상의 조건 중 하나인 항해구역은 선박안전법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평수구역,연 해구역, 근해구역 및 원양구역 등 4개의 구역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항해구역제도는 1961년 입법되어 2002년 선박항해구역의 합리적 조정방안 연구 이후 변화된 해상교통 요소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평수구역을 항해하는 소형선들의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서해 중부해역의 항해구역 실태를 조사하고 해상교통 환경을 평가하여 현행 항해구역제도의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항해 안전성평가를 통하여 항해구역 조정방안을 제시하였다.
        3,000원
        16.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서해 중부 안면도 사질 조석대의 퇴적 환경을 연구하기 위해서 142점의 표층 퇴적물을 분석하였고, 12개 측선에서 수준측량을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의 퇴적상은 소량역질사, 사, 소량역사질니 등 다양하게 나타났고 외해방향으로 세립해진다. 조직변수는 조상대와 조간대에서는 평균입도가 조립하고 분급이 양호하며 양의 왜도를 갖는 특징을 보이고, 조하대에서는 평균입도가 세립하고 분급이 불량하며 음의 왜도를 갖는 특징을 보인다. C-M도에 의하면 퇴적 기작은 조상대와 조간대의 퇴적물은 밑짐이동과 점이부유가 혼합된 형태로 이동하고, 조하대의 퇴적물은 점이부유와지속적부유의 형태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상도표에서 하부조하대의 퇴적물은 밑짐과 뜬짐 2가지의 이동모드가 모두 나타나는 이중모드의 형태를 보인다.
        4,300원
        17.
        200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rine algal flora of three uninhabited islands of Sipidongpado, located in the middle western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in regarding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vertical distribution at intertidal zone during July 2008. A total of 27 marine algal species (3 green, 8 brown and 16 red algae) was identified from the three islands. Among them, 15 species occurred at Byeongpungdo, 17 at Keunssangseom, 22 at Deungdaeseom. Eleven species were found at all three islands: Ulva pertusa, Ulva conglobata, Hizikia fusiformis, Sargassum thunbergii, Gelidium divaricatum, Corallina pilulifera, Caulacanthus ustulatus, Chondria crassicaulis, Polysiphonia morrowii, Symphyocladia latiuscula and Symphyocladia linearis. The total biomass of macroalgae in July at Deungdaeseom was 2,387.2 gm−2. Dominant species was S. thunbergii showing highest biomass (1,512.1 gm−2) in the intertidal zones at Deungdaeseom. Thus we can conclude that S. thunbergii is the representative species of this island.
        4,000원
        18.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함평만 해역에서 CTD, 조류 및 조석 자료를 이용하여 해수의 물성구조 및 조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 지역 대기의 계절적 변화에 따라 수온, 염분은 여름철에 고온, 저염의 저밀도 상태를 나타내었으며, 겨울철에 저온, 고염의 고밀도 상태를 보였다. 특히, 여름철 소조기에 중심수로를 따라 조석전선과 유사한 수온 구조가 형성되었으며, 조석전선 위치를 나타내는 SH(=log10(H/U3), 여기서 H는 수심, U는 M2조류진폭)값은 2.4-3.5로 평가되었다. 또한 성층계수(φ)는 0.985-6.998 Joule/m3으로 내만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전선구조 발생은 함평만 내부의 넓은 갯벌을 포함하는 독특한 지형학적 특성과 조류 세기의 지역적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함평만 입구에서 관측된 조류는 수심이 증가할수록 창조시간 보다 낙조시간이 짧았다. 이러한 조류의 비대칭적인 낙조우세현상은 넓은 대조차 조간대가 분포하고 있는 함평만에서 천해조의 발달로 인한 조석 왜곡 현상 결과로 해석되어진다.
        4,000원
        19.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태안연안 국립공원의 조간대에 서식하는 어종과 어류분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2005년 3월부터 10월 사이에 족대와 뜰망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모두 8목 15과 27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모래로 이루어진 백사장의 조수웅덩이에서는 망둑어과의 날개망둑이 우점종이었고, 자갈이 깔린 바닥에는 미끈망둑이 주로 서식하였다. 바위와 암벽으로 이루어진 조수웅덩이에는 우베도라치를 포함한 베도라치류와 망둑어과의 별망둑, 점망둑이 우점하였다. 한편
        4,000원
        20.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세-후기 플라이스토세의 부정합적 경계면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국 서해 경기만 조간대에서 심부시추와 탄성파 탐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된 모든 시추 퇴적물에서 현세 퇴적층(Unit I) 하부에 놓이는 최대 4m두께의 산화되고, 반고화된 특징을 보이는 황갈색의 산화대층(oxidized-sedimentary layer)이 발견되었다. 이 세립질의 산화대층에서 나타나는 황갈색의 퇴적물 색, 높은 N 값과 낮은 함수율의 준고화된 상태, 동토구조, 스멕타이트 광물의 부재 그리고 높은 퇴적물 화학적 풍화지수(Ba/Sr 비) 등의 다양한 특성은 퇴적물의 대기중 노출과 풍화의 중요한 증거로 제시된다. 탄소동위원소 연대와 함께 이러한 여러 증거들을 고려할 때, Unit II의 상부 산화대층은 초기 현세까지 계속되는 저해수면 동안 대기중에 노출되어 풍화 및 산화작용으로 인하여 퇴적물의 특성이 변질되어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산화대층의 상부 경계면은 현세와 선현세(후기 플라이스토세) 퇴적층을 구분하는 부정합면으로 제시되며, 탄성파 자료에서 나타나는 강한 반사면(prominent near-surface reflector)과 잘 일치한다.
        4,2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