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case of domestic automobile manufacturers introducing and running a make-to-order production system, JIT system is to provide a necessary number of components at a right place in time which is a specific supply chain management, is different from other occupations. This study is for establishing a efficient production planning and finding a management method to correspond with a manufacturing system and diversified supply chain management and building an information system to support it. For this, we analyze the relevant business process and utilize various informations occur in supply chain of domestic automobile components manufacturer. It will contribute to not only reliability improvement of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but also satisfaction for due date of products.
자동차의 고무부싱(Rubber bushing)은 링크의 조정역할을 행하며 충격과 진동을 완화하는 현가장치이다. 만약, 내구성이 약하게 되면 Control arm에서의 이탈사고나 차량의 떨림, 소음으로 인한 고객 불만이 발생하게 된다. 부품의 품질특성인 내구성, 정특성, 동특성, 비틀림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기술로는 재료배합설계기술, 형상설계 기술 및 공정설계기술이 중요하며, 그 중에서도 재료배합설계는 품질의 50% 이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술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혼합물설계에 대한 실험계획법(DOE)을 활용하여 가장 적은 샘플의 시험으로 최적의 설계요소를 찾아내는 방법을 연구하는데 있다. 재료배합에 있어서 어떠한 배합비율을 가질 때 특성치가 가장 높은 바람직한 반응을 얻을 수 있는가를 연구하여 최적반응 조건을 결정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an approach for analyzing brand loyalty and brand switching behavior in car insurance market is presented. A two-choice model by Blumen, et al. that uses Markov chain is adopted as a main technique for estimating brand parameters. Survey
자동차 개발 단계는, 본질적으로, 수차례의 개발 단계를 거치면서 설계 그룹들 간의 정보 전달과 교환이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복잡한 상호 정보 교환 과정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업무가 수행되지 못하면 불필요한 재작업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이는 비용 낭비 및 계획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시스템 다이나믹 모델을 개발하여 빈번한 design-built-test 싸이클이 자동차 개발 단계에 미치는 영향 및 이점들을 고찰
Acrylic adhesives for automobiles protection were prepar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Monomers used were n-butyl acrylate(BA), acrylonitrile (AN), butyl methacrylate(BMA), glycidyl methacrylate(GMA), and acrylic acid (AA). Emulsifiers used were sodium lauryl sulfate and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which are an anionic emulsifier and a nonionic emulsifier respectively. Potassium persulfate was used as an initiator and polyvinyl alcohol was used as a stabilizer. Emulsion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in a semi-batch reactor at 70℃ and agitation speed was kept at 200 rpm. Water resistance, heat resistance, acid resistance, alkali resistance and smoke resistance were examined. As a result, when each 0.03 mole of GMA and AA was introduced, the adhesion properties and various above mentioned resistances of the prepared adhesives were satisfied the standard for automobiles.
This paper was concerned about case study for preventing WMDSs(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by using Thinking Process of TOC(Theory Of Constraints), Unfortunately, the number of WMDSs are rising steadily in auto-part manufacturer. These WMDSs have on worse and worse influence not only on the competition of enterprise but on the life quality of a worker. The research results are helpful to establish the preventing WMDSs and improvement of workplace environments for small-medium sized auto-part company.
박판 구조물은 자동차를 비롯하여 항공기, 인공위성, 선박 등의 운송 수단과 건축물의 돔과 같이 효율적으로 활용되어지고 있으며 동시에 경량화를 필요로 하는 경우 널리 사용되는 구조물이다. 엔진, 변속기 등의 회전체의 부품을 보호하는 박판 구조물인 자동차 후드에서의 새로운 보강재 형상을 제시하였다. 자동차 후드는 엔진 룸에 장착되어 있는 회전체의 진동 영향을 민감하게 받아 공진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설계하중을 지지할 강성을 가지며 동적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즉, 강성을 유지하면서 공진에 의한 진동도 고려해야 한다. 이는 곧 승차감과 직결된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므로 최적의 강성증대 설계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정적 동적 강성평가와 함께 고유진동수를 고려한 보강재의 최적설계가 도입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유진동수를 고려한 대표적인 박판 구조물인 자동차 후드의 보강재 위상을 구하고, 도출된 위상에서 보강재의 형상 최적 설계 후 제시된 보강재 단면의 최적 치수를 다구찌 방법을 이용한 직교 배열표상에서의 각 설계변수의 수준과 최적의 설계변수의 조건으로 구하였다.
용접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금속접합기술이며 조선, 자동차, 항공, 플랜트설비 등 산업현장의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근대산업의 기본적인 생산기술이다. 그러나 용접작업 자체가 강한 빛과 전류, 유해가스등을 발생하고 있으며, 다품종 소량 생산하는 작업장에서는 규격화된 물건을 만들어 내는 제조업에 비해서 자동화가 어렵다. 따라서 범용적으로 모든 형태의 용접할 부위인 용접선을 검출하여 자동으로 용접하기란 상당히 어려우며, 본 논문에서는 삼각파 형태의 굴곡을 가진 용접선을 검출하고자 스트레인게이지를 응용한 센서를 이용하였고, 이를 직선구동이 가능한 반자동 캐리지에 탑재하여 용접선을 자동으로 추적하여 용접하는 실험을 제안하였다. 캐리지는 직선 전진만 하고 있더라도 굴곡이 있는 용접선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용접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기업의 제조현장에서는 현재 많이 도입중인 자동화 프로세스들을 지원할 목적뿐만 아니라 생산효율을 높이고 생산실적 파악 등의 목적을 위해 관련 데이터의 통합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기업에서는 통합적인 정보시스템의 운영을 위해 ERP 등과 같은 Infra 시스템은 갖추어져 있으나 요구되는 데이터를 쉽게 효율적으로 모아서 활용할 방안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금까지 Database 측면에서는 Multidatabase의 도입, 프로그램 측면에서는 Corba, DCom 등과 같은 미들웨어를 활용하여 해결하려 노력하여 왔다. 국내 G사에서는 제조 프로세스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는 데이터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데이터 들은 도처에 분산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생산계획, 생산지시, 생산실적, 작업조건 파라미터 관리, RFID 관련 데이터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제조 자체를 지원하기 위해서도 접근 필요성이 존재하며 또한 제조 프로세스 라이프사이클 상에서 관련 Activity들을 지원하기 위해서도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제조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관련된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운영할 방안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자동차 제조 프로세스에 관련된 데이터들을 파악하여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조 프로세스 상에서 데이터를 표현하고 관리할 수 있는 XML Schema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렇게 통합된 기업의 정보를 현재 도입되어 있는 ERP 및 제조현장 실무 (예를 들면 작업지시서 출력, Label 출력, 출고서 출력, RFID 컨트롤러와의 연계서 출력 등)에 활용할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방법론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해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현하였는데 이때 데이터의 통합을 지원하기 위해 Altova MapForce 툴을 활용하였다. 통합데이터는 XSLT등의 기술을 이용해서 ERP 지원, Label 출력, 출고서 출력 등에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되는 통합 데이터는 자사내의 생산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JIT 시스템 도입 등을 통해 연계관계에 있는 협력관계 회사와의 데이터 연계를 위해서도 기반이 되리라 기대된다.
This paper is to Introduce guidelines for quality management.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ISO 10005, ISO 10007, ISO 10014 and ISO 10015 are considered. This study is to discuss guidelines for quality plans, configuration management, training, and managing the economics of quality.
항공기와 자동차의 운전을 중심으로 알코올이 인간의 행동과 수행도에 미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를 통해 선박의 당직 전 및 당직 중의 음주는 이어지는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승선 중 음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선택형 앙케트를 교육중인 사관들에게 배포하여 118명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를 조사하였다. 알코올 의존도에 관한 자가진단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자의 27% 이상이 알코올 남용 증세를 나타내었다. 또한, 승선 중 음주 현황 및 인식에 관한 사항을 정리하여, 선박운항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음주 운항 시나리오를 마련하였으며, 알코올이 선박운항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결과를 분석한 결과, 알코올의 섭취가 선박운항능력을 다소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앞으로 선박운항자의 피로에 의한 해양사고 발생을 근본적으로 줄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a BOM(Bill of Materials) management problem for a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company that produce automobile parts. Automobile part's manufacturers produce various products due to various automobile characteristics such as types,
자동차 생산시스템에서 택트타임의 변화에 따른 원가분석을 실시하고 자동차 업체의 원가관리 방안을 연구하였다. 또한 납입시간에 따른 대기시간 및 원가분석을 하였다. 자동차 생산라인은 양상 체제이므로 무엇보다도 택트타임관리가 이익관리와 직결한다. 현장 인터뷰와 자료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와 정보를 토대로 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