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82

        741.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교과서의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의미’ 통일 방안」의 후속 연구로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중학교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의 문제점을 살펴보아, 앞으로 시행될 제8차 교육과정의 한문교과서를 집필하는데 일조를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고는 한문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한자어의 문제점을, 첫째, ‘한자어 짜임의 문제’, 둘째, ‘한자어의 내용 문제’, 셋째, ‘同音異義語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그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한자어 짜임의 문제’는 ‘명칭과 분류 문제’와 ‘특이한 한자어의 짜임의 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명칭의 문제’는 8종의 교과서 가운데 중앙교육은 명칭을 부여하지 않았으며, 분류에 있어서는 8종의 교과서가 ‘술목관계’, ‘술보관계’, ‘수식관계’에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었다. 다만 ‘주술관계’는 7종의 교과서는 이견이 없지만, 청색출판사가 ‘주술관계’를 한자어의 짜임으로 설정하지 않고 ‘문장의 구조’로 파악했다. 또한, ‘병렬관계’ 가운데 ‘유사관계’는 8종의 교과서가 이견이 없고, ‘대립관계’와 ‘대등관계’를 나누거나 묶어서 분류하는데, 서로 다른 이견이 있었다. 이는 한자어를 도식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인한 것이며, 제8차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될 교과서에서는 ‘한자어의 짜임’을 문맥에서 이해되도록 구성해야 한다. 다음으로, ‘특이한 한자어의 짜임 문제’이다. 8종의 교과서는 ‘自然保護’와 같이 우리말식으로 풀이되는 특이한 한자어를 제시하였으면서도, 일부 출판사는 설명이 없거나, 또는 ‘국어식 짜임’, ‘우리말식 짜임’이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臥病’, ‘所願’, ‘所望’같이 정격에 어긋난 짜임에 대하여, 8종의 교과서가 그 ‘짜임’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고, 단지 일부 출판사만 ‘臥病’에 대해서 ‘병들어 누움’이라고 뜻풀이를 보충하였을뿐이다. 둘째, ‘한자어의 내용문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문과 교육목표인 ‘언어생활에 활용하고 타교과 학습에 도움이 되며, 바람직한 인성’을 기르는데 부적합하여 검토가 필요한 한자어는 1학년 교과서에는 14어휘, 2학년 교과서에는 34어휘, 3학년 교과서에는 54어휘가 있다. 이들 어휘 가운데 부사어는 30어휘, 생경하거나 난해한 어휘는 55어휘로, 과연 ‘언어생활과 타교과 학습에 도움이 되는지?’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殺人’과 같이 그 의미가 교과 내용으로 부적절한 한자어는 17어휘로써, 이에 대해 반드시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同音異議語’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同音異議語의 지도는 타교과가 넘볼 수 없는 한문과의 고유 영역으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8종의 한문교과서에는 53어휘의 同音異議語가 수록되어 있다. 8종의 교과서 가운데 同音異議語에 대한 설명은 5개 출판사에 20어휘에 대한 설명이 있고, 3개 출판사는 다루지 않았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한문교과서는 중학교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전부 수용해야 하는 제한에도 불구하고, 과거의 교육과정에 따라 간행된 교과서보다는 교과서의 체제, 내용 등에 비약적인 발전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한자어의 짜임’의 ‘명칭과 분류’에 대한 통일과 ‘한자어의 내용’, ‘同音異議語’에 대한 지도 대책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시행될 제8차 교육과정의 한문교과서를 집필할 때에는 이를 고려하여 집필하여야 한다.
        8,100원
        74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has been reported that primary school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the reading process and their interests and achievement in reading is low, in spite of the various methods that have been introduc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ding approaches at the primary school level.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rimary English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analyzed in order to explore the approaches that were adopted for primary English reading. The textbooks were analyzed in two aspects: the selection of words and the teaching methods for reading. The data revealed that the curriculum looked well-structur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reading, but that the textbooks did not facilitate reading for early readers. Although the reading text increased gradually from the letter to the sentence level, the words in each unit were not organized to help readers recognize the text efficiently which impinged on th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Since words at each unit were selected meaning-based, students had to memorize them as a unitary whole. On the other hand, it was rare to find words structured on the basis of letter-sound relations between words. This lack of structure prevented students from recognizing the alphabetic principles of English. As a result, the textbooks did not consider the bottom-up skills at all in its development process. Therefore, students failed to acquire the basic principles of alphabetic language in the early reading stage. Some suggestions for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are presented in the end.
        6,100원
        743.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설문 조사, 수업관찰 및 교사 면담 등을 통하여 수업평가 기준의 목적, 개발이 필요한 이유, 수업평가 기준의 역할 등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현장 교사들이 생각하는 수업평가 기준 개발의 바람직한 주체가 누구이며, 수업평가 기준이 개발될 경우 누가 가장 많은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는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수업평가(기준) 정착을 위한 선결 요건을 고찰하였다. 요약하면, 수업 평가기준은 (1) 초보자를 위한 지침, (2) 숙련된 전문가를 위한 지침서 (3) 개선 노력을 집중할 부분을 파악하는 구조, (4) 교직이외의 다른 공동체들과의 의사소통의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수업평가는 물론 수업평가 기준 개발의 주체는 교사들이어야 하며, 일반 기준과 차별화 되는 교과별 기준, 즉 과학과 수업평가 기준 개발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즉, 교과별 수업평가 기준 개발은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교육과 관련된 주요 이해당사자들이 폭넓게 참가하지 않고서는 성공하기 어렵다. 이러한 수업 평가기준 개발의 성공 여부는 이러한 평가기준이 일반 공동체, 특히 교육 공동체에 의해 수용되는 수준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4,000원
        744.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中等學校漢文科敎育은 國家單位敎育課程의 범주에서 학교의 지도하에 이루어지는 교과학습의 한 영역이다. 2001년 중학교부터 실시된 第7次敎育課程은 현재 모든 中等學校에 적용되고 있으며, 2005년은 그 4~5년째를 맞고 있다. 그 시작 초기부터 많은 비판과 문제점이 제기되었던 제7차 교육과정은 漢文科敎育에도 적잖은 문제점을 낳고 있다. 敎育課程의 문제는 國家單位의 制度的事案인 동시에 敎科內的問題로, 실제적으로는 그 교과 責任者의 敎育課程設定과 運營에 대한 문제로 歸着된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중등학교 漢文科敎育을 중심으로 2002년과 2005년 敎育課程에 대한 學校級別편성 사항을 살펴보고, 그 運營實態와 문제점과 改善事案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이 같은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에 대한 國家的次元의 制度的改善요구와, 또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새 漢文科敎育課程案에 대한 연구에 있다. 논의된 주요 사안을 제도적 측면과 교과 내적 문제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제도적 측면> 첫째, 국어 교과의 종속적 범주에서 벗어나야 한다. 둘째, 한문을 국민공통기본 교과에 포함시켜야 한다. 셋째, 교육용기초한자나 全敎科의 주요 漢字語를 수록한 한자 교과를 신설해야 한다. 넷째, 전통문화와 인성교육을 위한 한자ㆍ한문 혼용 교과를 개설해야 한다. 다섯째, 한문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정책을 범국가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교과 내적 문제> 첫째, 제7차 교육과정의 성격ㆍ목적ㆍ목표 등에 대한 실천과 반성의 기회를 가져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부터 한자ㆍ한문교육의 당위성을 입증할 연구 자료가 구비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용기초한자와 모든 敎科의 漢字語를 다룬 교재를 개발하여야 한다. 넷째, 인성교육ㆍ전통문화 교육 중심의 한자ㆍ한문 혼용 교재를 개발한다. 다섯째, 한문교육의 과제를 연구하고, 그 필요성을 홍보할 단체를 운영해야 한다. 지금까지 論議한 漢文科敎育課程에 대한 제반문제는 國家的課題인 동시에 漢文科교육이 해결해야 할 事案이다. 그러므로 새 교육과정이 논의되기 전에 漢文科敎育課程의 편성ㆍ운영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앞서 논의한 여러 事案의 前轍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 미래 漢文科敎育의 成敗는 敎育課程의 배치와 운영에 있다 할 수 있으므로, 漢文科교육은 제7차 한문과 교육과정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함께 최적의 대안을 찾아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미래 韓國敎育을 先導하는 새로운 誕生이 되어야 할 것이다.
        6,400원
        745.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들은 다양한 변인에 의해 결정되며, 그 변인들은 교수-학습 방법의 실제 유형에서 중심 비중을 어디에 두어야 할 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도 교육 내용, 교수 활동, 학습 활동, 교실 환경 등의 네 가지 요인에 따른 조합만으로도 다양한 모형을 만들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변인들이 가진 특성이 심도 있게 검토될 때, 그에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이 설계될 수 있으며, 단위 시간의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논자는 본고에서 기존에 소개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분류법을 보완하여, 교육 내용, 교사의 교수 활동, 학생의 학습 활동, 그리고 수업 환경 요건으로서의 교실 환경을 추가 하여 4가지 요인을 고려하는 I-T-L-C형 모형 분류법을 제안하였다. ‘교육 내용(I : Information)’은 교수-학습 내용을 말하는 것으로서, 교육 과정에서 분류한 한문 교과의 내용 체계에 따라 ① 한자, ② 한자어, ③ 한문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교수 활동(T : Teaching)’은 교사의 교수 활동으로서, 교수 장면에서의 교사의 활동 특성을 표시하는 것으로, ① 강의식, ② 발문식, ③ 대화식, ④토론식, ⑤ 보조식, ⑥ 관찰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학습 활동(L : Learning)’은 학생의 학습 활동으로서, 학습 장면에서 학생의 활동 특성을 표시하는 것으로, 학습 모둠 조직에 따라 분류하면 ① 전체학습, ② 모둠학습(소집단학습), ③ 개별학습으로 나눌 수도 있고, 학습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① 지식 암기식, ② 이해식, ③ 응용식, ④ 분석식, ⑤ 종합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교실 환경(C : Classroom)’은 교수-학습이 일어나는 장소인 교실 환경을 말하는 것으로서, ① 일반 교실(기자재 부적합환경), ② 전체학습형(1PC, 모니터,스크린) 교실, ③ 개별학습형(1인 1PC) 교실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 가지 변인이 갖고 있는 경우의 수를 가지고, 각각을 조합하면 변인들의 특성을 명시 반영한 I-T-L-C형 교수-학습 모형 432가지가 나올 수 있다. 각각의 변인이 갖고 있는 하위 세부 항목에 따른 분류 확장을 감안하면 아무리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라도 포괄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곧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교사의 창의적인 교수-학습 방법도 결국 이러한 분류 방법에 의해서 유형화가 가능하며, 유형에 따른 특성 및 장단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다만, 본고에서 제안한 I-T-L-C형 분류법은 하나의 제안이며 예시일 뿐이다.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분류에 있어서 보다 나은 분류법을 창안하여, 각각의 교수-학습 방법이 갖는 특성 및 장단점을 분석하여,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체계적 구안과 교과교육학의 발전에 기여하고, 한문과 교과 목표 달성을 실현함은 물론, 나아가 한문과 교과 위상을 제고함에 이르기까지, 학계가 뜻을 함께 하기를 기대해 본다.
        6,700원
        746.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리 교재는 지리 학습 자료에 대한 합리 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사회과 혹은 지리 수업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 되는 학습 자료는 교과서와 사회과부도이다. 특히 사회과부도를 구성하고 있는 시각적 자료는 문자 중심의 교과서가 갖는 단점을 보충해 주는 중요한 학습 자료이다.교재로서의 사회과부도에 대한 이해는,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료에 대한 학습자 학습에의 적합성과 효율성 문제를 중심으로 분석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부도의 자료 구성의 효율성과 적합성을 학습자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즉,사회과부도(지리 부문)에서 중부지방을 구성하고 있는 자료 (지도:일반 지형도와 주제도,사진,그림,그래프)에 대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활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이해 특성을 조사해 보았다. 조사 결과, 학생들은 교과서에서 중요하고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내용이나 지역을 중심으로 사회과부도를 활용하였으며, 지도는 학습에 꼭 필요한 자료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사진과 그래프는 그렇지 못한 자료로 인식하고 있었다.아직까지 중학생들의 사회과부도 활용은 수업 시간에 교사의 지시에 따른 수동적인 활용에 국한되어 있었고, 탐구활동을 위해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경우는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과부도에 대한 일반적인 이미지는 ‘복잡하고 딱딱하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과부도가 교과서를 보조하는 복잡하고 딱딱한 보충 교재로서의 정체성을 계속할 것인지,아니면 교과서에서는 배울 수 없거나 접할 수 없는 질적 자료로 구성된 사회과 혹은 지리과만의 독창성 있는 교재로 거듭날 것인지에 대한 진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앞으로 사회과부도는 구성 자료의 종류와 복잡성 그리고 크기 등을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적합하고 효율적인 자료로 구성되는 중요 교재로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4,000원
        747.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영재학교의 교수활동에 관한 학생의 인식을 밝히고 과학과 실험수업의 실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과학과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 교수·학습방법 평가 방법에 관한 설문 결과와 과학과 실험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였다.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심화선택과목의 학점 비중을 더 높여야 한다는 의견과 보통교과의 학점을 줄이고 수학 및 과학 교과의 학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과학영재학교 과학과 수업시사간에 주로 사용되는 수업방법으로는 강의나 설명, 조별수업, 토론이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방법으로는 강의나 설명, 토론 외에도 탐구학습, 개인연구, 문제해결학습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이 선호하는 평가방법은 지필 평가와 보고서평가, 실험 평가의 순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학교 과학실험 수업에서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한 결과, 교사 질문의 수준에 따라 교사-학생 상호작용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고, 실험과정 중에는 학생-학생 상호작용에 의해 탐구활동이 활성화되었다.
        4,200원
        748.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operation of classes on selective physical education subjec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operation of such subjects by understanding the degrees of high school students' recogni
        5,800원
        749.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7차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되어 검인정을 통과한 8종의 중학교 한문교과서를 중심으로 하여 중학교 교육용 기초한자 900자의 의미가 저자에 따라 ‘어떻게 풀이 되었는가’를 살펴보고, 그 ‘통일 방안’을 모색하는 장을 확대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고는 논의의 편의상 첫째, ‘字音으로 의미를 부여한 한자’, 둘째, ‘字意의 서술적 표현 한자’, 셋째, ‘관습에 의한 다양한 뜻풀이 한자’, 넷째, ‘난해한 의미의 한자’, 다섯째, ‘관습에 의한 과장․오류의 한자’로 나누어 살펴보았다.첫째, ‘字音으로 의미를 부여한 한자’를, ‘同音同義의 한자’와 ‘字音의 서술적 표현 한자’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同音同義의 한자’는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 가운데 15자가 있으나, 학습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한자는 ‘功’, ‘德’, ‘半’, ‘姓’, ‘城’ 등 5자이고, ‘字音의 서술적 표현 한자’는 29자이다. 둘째, ‘字意의 서술적 표현된 한자’이다. 전통적으로 한자의 뜻풀이는 ‘서술어’의 형태를 취하여 한자의 의미를 먼저 풀이하고, 뒤에 한자음을 붙여서 한자를 제시한다. 서술적 표현으로 ‘의미’의 통일이 안된 한자는 15자로 출판사에 따라 서술형으로 의미를 풀이하였거나, 명사형으로 의미를 풀이하였다. 셋째, ‘관습에 의한 다양한 뜻풀이 한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8종 교과서의 중학교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에 대한 뜻풀이는 저자의 관습에 의한 관용적 표현으로 준말로 풀이하거나, 저자의 주관에 의하여 다양하게 의미를 풀이한 한자는 118자 이상으로 교과서는 아직 인지발달이 미성숙한 학생을 상대로 하여 가장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여야 하는 학습도구이므로, 그 통일성과 정확성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 넷째, ‘난해한 의미의 한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900자 가운데 그 의미가 난해한 한자는 21자이며, 학습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현대의 의미로 바꾸어야 한다. 다섯째, ‘관습에 의한 과장․오류의 한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7차 교육과정 한문교과서의 저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중학교 교육용 900자 가운데 한자의 뜻풀이가 과장되거나 잘못 풀이된 한자는 20자이다. 교과서는 저자의 잘못된 오류나 편견, 나아가 시대에 동떨어진 지식이 학습자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반드시 바로 잡아야 한다. 지금까지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교과서에 나와 있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뜻풀이를 살펴보고, 나아가 오류의 시정과 그 통일방안을 모색을 시도해 보았다. 이는 한 개인의 노력에 의해서 이루어질 과제가 아니며, 국어 관련 단체들이 국어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듯이 한문과 관련이 있는 제 단체가 공동으로 연구하여 최소한 한문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에 대한 의미를 통일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10,500원
        750.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SF(Science Fiction)영화를 활용한 교육용 웹 콘텐츠를 개발하여 과학 수업에 적용함으로서 학습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 중 “지구와 별” 단원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SF영화 3종류, “아마겟돈”, “아폴로13”, “토탈리콜”을 선정하고 영화의 내용 중 과학 하습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WBI용 웹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개발된 학습 자료를 2대 학습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에 적용하고 ‘SF영화를 수업에 활용하는 데 대한 학생들의 인식 변화’와 ‘과학과 관련된 태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업 전보다 수업 후에 ‘SF영화는 과학 교과 내용과 관련된 것이 많고 웹을 이용한 과학 수업이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나(p〈0.05), ‘과학과 관련된 태도 변화’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그러나 학생들에게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학습 효과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웹을 이용한 학습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쉽게 과학에 접근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학습방법이라는 것도 알 수 있었다.
        4,000원
        751.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2학년도부터 시행되고 잇는 제 7차 교육과정은 수준별 학습을 요구하고 있으나 교사가 실제 사용할 교수학습과정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수업에 적용할 수준별 교수학습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학습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과학관련 태도와 학습 성취도 및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통하여 알아보는데 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등학교의 수준별 학습의 운용형태에 따라 두 가지 형태의 교과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하나는 수준별 학습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사용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수준별로 학생들을 분반하여 학습하는 형태이다. 이들 중 동시에 학습하는 형태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2) 수준별 학습에 대한 인식에서 학생들은 이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동시에 수행되는 수준별 학습에 대해서는 좋은 인식을 주지 못했으며 과학과 관련된 태도에서는 우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4,200원
        752.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ISA의 두 번째 주기에 해당되는 PISA 2003에서는 문제해결 영역에 대한 평가가 새로이 도입되었다. PISA 2003 본검사 문제해결 영역에서는 (1) 의사결정, (2) 체제 분석 및 설계, (3) 문제점 해결 등의 세 가지 문제해결 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범교과적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PISA 2003 본검사에 포함된 문제해결 영역문항들에 대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답률을 살펴보고, 문제해결 문항들 중 개방형 서술형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답안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은 그림이나 그래프로 표상하는 과제에 취약하며, 긴 문장으로 제시된 지문 해석에서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리 나라 학생들에게는 다소 낯선 맥락이나 소재를 활용한 과제의 경우 낮은 정답률을 기록하였다. PISA 2003 문제해결 영역을 분석한 결과가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도 논의하였다.
        4,000원
        753.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전 학년의 18개 전 과목 교과서 72권의 한자어를 한자로 변환하여 한자어의 빈도와 이들 한자어에 쓰인 한자 빈도를 조사하기 위한 연구의 결과 보고이다. (1) 초등학교 1학년˜6학년 총 18개 과목 교과서에 나온 한자의 종류는 2,687자이다.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1위 한자는 ‘數’이다. 총 2,687자의 개별 한자 중 교육용 1,800자에 포함되는 한자는 1,665자이며, 포함되지 않은 한자는 1,022자이다. 또한 교육용 한자 1,800자 중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어에 나타나지 않은 글자도 135자나 된다. (2) 초등학교 교과서 18종에 나온 개별 한자어의 총수는 12,787이다. 한자어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과목은 ‘국어’ 교과로 특히 ‘읽기’ 교과이다. 한자어에는 교과별 특성이 반영이 되어 있다. 국어와 사회 교과서에는 빈도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고 많은 한자어가 고루 사용된 반면, 수학과 과학, 도덕 교과서에는 특정 한자어의 빈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100위 안에 드는 한자어를 어휘적 특성에 따라 살펴보면, ‘親舊, 數, 個, 內容, 方法, 生活, 活動, 模樣, 點’ 등 10위 안에 드는 고빈도 한자어의 대부분이 명사이다. 이상의 한자어와 한자 조사 결과는 앞으로 한자한문교육은 물론 국어 어휘교육에도 유용하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9,900원
        754.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회교육이라 함은 다른 법률에 의한 학교교육을 제외하고 국민의 평생교육을 위한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활동으로 개인 또는 공동체 생활의 상황 흐름 속에서 즉각적으로 가치화되고 있는 학습을 생산하는것이다. 이 범주에는 방송과 언론 매체를 활용한 것과 사회(평생) 교육원, 사설 학원 등의 교육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것, 학습지와 인터넷 컨텐츠를 이용한 것 등이 모두 포함되는데 다만 조직성․의도성․체계성이 미약한 우연적 교육과 무형식 교육은 제외된다. 시청각자료를 통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를 환기시키고 그들의 주의를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강한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에 임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학습자의 질과 양의 폭을 넓혀서 학습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학습 결과를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하며 정확한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한다. 이를 통해 볼 때 방송 매체를 활용한 한자․한문 교육은 사회 교육 차원의 한자․한문 교육의 목표를 성취하는 데 더없이 효과적이라 하겠다. 다만 교육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한자․한문 교육 관련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조직될 필요가 있으며, 정규 교육 과정기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경우 한문과 교육 내용 체계를 고려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짜여졌으면 한다. 평생(사회) 교육원은 많은 성인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확대하여 그들의 지적․문화적 수준을 높이고, 직업적․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평생(사회) 교육원을 통해 이루어지는 한자․한문 교육 프로그램은 자격증 취득 과정에 개설된 한자(한문)지도사과정과 四書나 『古文眞寶』등의 동양 고전을 내용으로 한 교양 강좌가 있다. 그러나 교양 강좌는 학습자의 수준이 다르고 요구 사항이 달라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강의를 진행하지 못하였으며, 자격증 취득 과정은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절대 時數부족으로 효율성에 회의를 갖게 하였다. 까닭에 명확한 교육 목표를 설정과 교육 목표를 달성을 위한 보다 체계적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私設機關의 한자․한문 교육 프로그램은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된것도 있고 각각의 독자적 프로그램도 있다. 체계화된 이들 프로그램은 사회 교육 차원에서의 한자․한문 교육의 역할을 비교적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몇몇 프로그램의 경우 수업 방식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는데 이를 잘 보완한다면 정규 교육의 보완 형태로 훌륭한 역할 수행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회 교육이 시공간적 제약을 넘어 개인이나 공동체 생활 속에서 이를 필요로 하는 개인이나 집단에게 즉각적 가치로 제공되는 것이지만 정규 교과 과정의 보완이라는 현실적 상황도 도외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까닭에 이를 교육하는 당사자나 학습하는 사람은 한문과 교과 내용 체계에 대한 이해와 한자․한문 교육을 통해 이루게 될 실제적 가치를 아울러 구현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9,000원
        755.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문 교육이 정상화되기 위해서는 많은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특히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연계하는 교육이 정상화되고 위계성을 갖추고자 한다면 중학교 교과서는 중학교 교과서답고, 고등학교는 고등학교 교과서다워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가 고등학교에서 교수-학습되고 평가되기에 고등학교 교과서다운가를 검토하였다. 고등학교 ‘한문’교과서는 학교 교육에서 한문교육의 주된 교재로서의 표준 저작물이며 교수-학습 과정의 중심역할을 하는 도서이다. 이 때 한문 교과서는 고등학교 ‘한문’에 관련된 표준적이고 보편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야할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 급별 교과서에 대한 표준화의 문제는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7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는 10종이 발간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중학교에서 제대로 한문을 이수하지 않은 학습자를 위하여 기초단원을 설정한 교과서는 6종이었다. ‘한문’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학습자들의 공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초단원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지며 또한 중학교용 900자도 가능한 한 많이 활용할 수 있는 교과서가 되도록 배려하는 것이 보다 나은 교과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언어생활에 활용되는 생활 한자어들이 본문에서 활용된 것을 조사한 결과 6차에 비하여 7차의 교과서들은 현저하게 그 양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정상적인 한문 교육을 위한 방향이며 대세라고 여겨진다. 한문 교과서에서 가장 재미가 없고, 내용의 연관성도 적으며 단순한 암기를 할 수 밖에 없는 내용이 바로 생활 한자어이기 때문이다. 현재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에서 쓰이고 있는 ‘성어 및 속담․격언, 명언․명구’ 중에서 고등학교용 900자를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은 내용을 추출하여 중학교 교과서에서 쓰이고 있는 실태를 조사한 결과 상당히 많은 숫자가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문 교과서에 실려 있는 내용이 전혀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아 임의적으로 누적 중복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자가 쉽더라도 내용이 어려운 것은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에서 활용하는 것이 마땅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내용들은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사용이 자제되어 자체 내용을 충실하게 확보함은 물론, 중학교 교과서와의 연계성과 위계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8,000원
        756.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初等學校學生들에 대한 漢字․漢文敎育은 학교 교육 내에서 실시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조류이다. 교육 당국의 語文政策은 논외로 하더라도, 21C 無限知識경쟁 시대에서 亞太時代의 國際文字인 漢文을 모르고는 落伍者가 될 수밖에 없으므로 한글전용정책은 재고되어야 한다. 초등학교에서의 한자 교육은 제 6차 교육과정의 ‘學校裁量時間’ 편성과 제 7차 교육과정의 ‘裁量活動’편성으로 인하여 回生하게 되었다. 그 결과 그 이전에 무계획적으로 수행되었던 초등학교에서의 한자교육은 地域敎育廳水準에서 ‘初等學校漢文敎育課程’을 수립할 수 있게 되었고, 이것과 관련하여 각 市․道에서 認定敎科書가 나오게 되었다. 제 6차 교육과정 이후 현재까지 6개 시도에서 19종의 교과서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고는 이점에 착안하여 초등학교 한문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지난 10 여 년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의 내용과 수준을 검토하여서 현시점에서의 반성과 아울러 미래에 민족의 생존전략인 한문교육 정상화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初等學校에서 사용하고 있는 認定敎科書는 현재 19종인데 그 중13종(68.4%)이 7차 敎育課程시행 이후에 발행된 것으로 초등 한문 교육의 活性化란 측면에서 매우 다행스러운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19종의 교과서 발행 지역을 정리해 보면 14종(73.7%)이 서울․부산 지역이어서 한문 교육의 全國的인 擴散이란 측면에서 보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19종 교과서의 學習對象을 검토한 결과 11종(59.9%)의 교과서가 3학년 -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제작되었다. 이것은 초등학교에서의 한문교육이 교육과정 편제상 ‘裁量活動’ 시간에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제도상의 문제에서 起因한다. 또한 필자가 구입한 15종의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500자 이상 600자 미만의 漢字를 수록한 교과서가 8종(53.3%)으로 나타났다. 15종 교과서의 內容水準을 檢討한 결과 漢字의 學習은 대부분 漢字의 음과 뜻, 漢字의 쓰임, 漢字의 活用, 漢字의 짜임 등이 알맞게 제시되어 있다. 漢字語學習은 漢字語의 음과 뜻, 漢字語의 活用이 알맞게 제시되었으나 일부 교과서에서는 漢字와 漢字語의 槪念이 混在된 상태로 기술하고 있어서 집필자 및 교과서 심의진의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 漢字成語의 學習은 대부분 평이한 漢字成語를 제시하여 풀이하는데 그치고 簡易한 文章을 제시하여 풀이하는 경우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데 중등학교 한문 교육과의 연계성을 고려할 때 간이한 문장의 제시와 풀이가 더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본문 내지 바탕글 체제를 도입한 교과서의 경우 일부 교과서에서 國漢混用, 國漢倂記, 한글 倂記, 漢字위에 한글 添字등 다양한 표기법이 나타나고 있는바 동일 교과서 내에서는 표기 방법의 일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일부 교과서에서는 아동들의 한자 학습에 대한 흥미를 돋기 위하여 놀이 학습, 活動中心學習으로 교과서를 구성하였는바 이는 7차교육과정의 기본 정신인 ‘自己主導的學習能力의 伸張’이란 측면에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敎科書의 內容水準檢討를 통하여 초등학교 한자 교과서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 번째, 國家水準의 敎育課程이 制定되어야 한다.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초등한문교육 정상화를 위한 가장 시급한 사안이다. 본말이 전도된 부조리를 타개하고 초등학교 한자한문교육이 올바른 궤도에 오르도록 교육 당국은 하루빨리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제정하여 공포하여야 한다. 두 번째, 敎科書의 名稱문제를 들 수 있다. 현재 발행된 19종의 교과서에서 일관되게 표기한 초등학교 ‘漢字’라는 교과서 명칭은 초등학교 한문 교육의 內容과 範圍를 생각해 볼 때 漢字語․漢字成語등을 包括할 수 있는 명칭이 아니므로 초등학교 ‘漢文’으로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敎科書의 開發과 敎授資料의 普及문제를 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초등학교 한문교과서 편찬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교과서에 따른 교수학습 자료를 CD-ROM화 하여 보급하거나 WEB상으로 제공하는것도 효과적인 방안일 것이다. 아울러 정형화된 교과서 구성 체제를 탈피하여 학생들이 흥미를 잃지 않고 학습할 수 있도록 교과서를 구성하는데 힘써야 한다. 이상에서 제기한 문제들이 개선될 때 초등학교 한문 교육은 질적 수준의 향상을 꾀할 수 있을 것이며 국가적으로는 민족의 생존 전략인 한문 교육을 통한 知的上向同質化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11,100원
        757.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우리나라 작업치료 교육기관의 교육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요소 중 교과과정 분석을 통해 작업치료 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 제시하고, World Feder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WFOT)의 최소교육 기준 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 작업치료 교육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과과정의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4년 3월부터 6월까지 작업치료(학)과가 개설된 대학 26개교 중 최고 학년의 학생이 있으며, 임상실습교육을 실시한 대학(교) 22개교의 작업치료(학)과 교과과정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작업치료교육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틀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한 대학(교)의 전체 교육의 평균시간과 학제에 따른 평균시간을 학제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 1. 작업치료 교육의 교육기간은 3년 또는 4년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균 105주, 2529.9시간이었다. 2. 전체 작업치료 교과내용 중 기초과학은 WFOT의 최소기준인 1200시간과 비교하여 87.8%에 해당하는 평균 1130.6시간이었다. 작업치료전공은 104%에 해당하는 평균 832.9시간이었다. 임상실습교육은 1,000시간의 64.3%인 평균 643.0시간이었다. 3. WFOT 교육 최소기준에서 제시하는 교육시간에 따라 분석한 결과 적합한 교과내용을 갖춘 기관은 4년 과정의 3기관(14.0%)이었다. 결론 : 작업치료 교육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와 WFOT의 인증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기초의 틀로서 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한 요소들에 관한 분석 또한 빠른 시일 내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758.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해양영역의 용어, 학습개념, 탐구를 대상으로 학습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교과서는 제 7 차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7학년, 고등학교 10학년 과학교과서를 사용하였다. 용어의 사용 빈도는 초등학교에서 중 · 고등학교로 학교급이 올라가면서 증가하였으나, 용어의 해설은 고등학교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학습개념은 초·중·고등학교에 관계없이 구체적 개념이 형식적 개념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탐구상황은 순수 과학적 상황이 초·중·고등학교 전 과정에서 통해서 가장 높았다. 탐구과정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고등학교로 올라감에 따라 기본적 탐구과정에서 통합적 탐구과정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탐구활동은 초·중·고등학교에서의 토의, 실험, 조사의 탐구활동이 많았으나, 고등학교에서는 견학 및 과제 연구가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서, 기본 교육자료인 교과서에는 학교급에 상관없이 주요 용어에 대한 설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습개념과 탐구상황은 학생들의 인지발달과 과학·기술·사회와의 관계에서 전인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지구과학교육에서 탐구활동은 야외학습을 통한 교육적인 효과가 크기에 적절한 적용이 요구된다.
        4,000원
        759.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과 북한의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학습내용을 TIMSS의 분석틀에 따라 비교하고 그 연계성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과 북한의 과학 교과서 내용은 TIMSS 지구과학 영영 내용 분석틀의 학습요소들을 상당히 많이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으나 그 내용의 수준과 범위는 한국의 교과서가 북한의 교과서보다 탐구적이고 정량적으로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TIMSS의 지구과학 영역 내용 분석틀의 내용요소 총 70개 중에서 한국은 74.4%에 해당하는 52개의 내용요소가, 북한은 67.1%에 해당하는 47개의 내용요소가 초 · 중등학교에 각각 반영되어 있고, 학교급간 관련 정도는 한국의 경우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간의 관련성이 높은 반면에 북한은 고등학교 내에서의 관련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한국과 북한의 과학 교과서 내용요소의 연계성 유형은 한국의 경우 13.4%가 중복, 77.0%가 연계, 9.6 %가 격차를 보였다. 그리고 북한은 14.9%가 중복, 63.8%가 연계, 21.3%가 격차를 보였다. 이로써 한국의 과학 교과서의 내용이 북한에 비해 보다 탐구적이고 정량적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TIMSS의 지구과학 내용요소가 보다 많이 반영되어 있고, 내용(개념)의 연계가 보다 잘 이루어져 있음이 밝혀졌다.
        4,000원
        760.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research into textbooks of morals in the Japan’s Meiji and Taisyo eras. Japanese nationality was formed in these times. I will investigates intention and a purpose of moral-education first of all. This was made by ethics of the three fundamental principles and the moral disciplines in human relations of China. Japanese education-royal command flowed from the three fundamental principles and the moral disciplines in human relations. I will analyze this, and I will recognize intention and a purpose of child moral-education. I will watch moral life of personal and family, school, society and national. These are making relation with all Japanese-CHONWHANGJE. And I will look into these. I am going to all consider how an ideology along formation of Japanese modern nationality appears in this role and differences.
        6,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