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x kinds of Korean Modern History’ Authorized Textbook have the fixed places in which the contents of Christianity were described. The Comparison between the tables of them shows the similarity of the large units, th meddle units, and the little units of six textbooks.
According, first of all it must be examined that the places of Christianity in textbooks is fitting. The places of Christianity in textbooks were decided according to the editing principles of textbooks and the historical view. All textbooks have the nationalistic historical viewpoint and the immanent development historical viewpoint. Some textbooks have the left-oriented historical viewpoint plus these common features.
When the textbooks were written with the nationalistic historical viewpoint and the immanent development historical viewpoint, the modernization and the armed independence movement as the most urgent of modern history tasks have the most important places. So the written contents of korean modern history were comprised with those. Now the debating problem is the cognition about the causes of the modernization. The nationalistic historical viewpoint and the internal development historical viewpoint have the viewpoint that the modernization was progressed by the internal development, but interrupted by the Japan. After that, the national independence was achieved by the armed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modernization was progressed.
But the Christianity contributes very much the modernizing process of Korea in the modern history. Therefore in the future, the some important roles of Christianity in the korean modernization process must be known and the Christianity should be recognized as the core of modernization. The upright historical viewpoint for the description of modern history has to be established for the recognition of the roles of christianity in the modernizing process. The new historical viewpoint should be comprised with the internal factors and the external factors.
본 연구에서는 현재 수학영재교육원 선발대상자의 선행학습 경험과 가정환경이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첫째, 수학영재교육원 선발대상자의 합격여부에 따른 가정환경의 차이와 선행학습 정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둘째, 수학교과의 선행학습 경험 및 가정환경과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며 셋째, 수학영재교육원 선발대상자의 선행학습 경험과 가정환경이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정한 의미의 수학영재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선행학습의 경험으로 인해 상위 학년이나 학교 수준의 문제를 출제하여 선발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에 대한 과정의 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둘째, 심리적 가정환경이 수학교과의 선행학습 경험과 물리적 가정환경보다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수학교과에 대한 흥미와 인내심을 높일 수 있는 심리적 가정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셋째, 심리적 가정환경은 수학교과에 대한 인내심보다 수학교과에 대한 흥미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학교과 특성상 끈기와 집착성을 가지고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끝까지 해결하려는 수학교과에 대한 인내심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일랜드 Senior Cycle과 한국의 고등학교 수학교육과정의 학습내용요소를 비교·분석하여 한국의 학습 수준에 대한 방향설정이나 교육 내용의 전개 및 유도 방법 등 교수학습 전반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학습내용요소를 대수, 해석, 기하, 확률과 통계 영역으로 구분하여 영역별 학습내용요소를 비교하고 두 나라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였으며 공통된 학습내용요소 중에서 이차방정식, 미분의 단원에 대해 내용전개 및 설명방식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아일랜드의 경우 보통과정과 심화과정에서 학습내용요소 및 문제의 난이도, 형식적 수준이 다르며 단원의 도입부터 본문의 학습내용요소가 체계적이며 논리적으로 구성된 한국과 달리 직관성과 도구적 의미를 강조하여 교과서를 구성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국의 교과서에도 이와 같은 구성에 대한 효과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얻는다면 교과서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제안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 특징을 나타내며, 도시와 읍면 지역 학생들의 인식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고자 하였다. 환경 교과를 운영하고 있지 않은 경기도 중소 도시 중학교의 학생 182명과 경상북도 읍면 지역에 위치한 중학교의 학생 179명을 대상으로 환경에 대한 그림 그리기 활동과 그림에 대한 설명, 그림에 등장하는 환경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자연 공간, 인간 공존 공간, 인간 지원 공간, 인간 영향 공간으로서 환경이 세부 분류되었으며, 다수의 학생들이 인간에 의해 영향을 받고 수정되는 공간으로 환경을 인식하였다.
고려시대에 발행된 직지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이다. 인쇄기술은 기술학에서 통신기술 영역에 해당한다. 현행의 초중등 교과서 7권에 직지의 내용이 소개되어 있으므로,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초․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직지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한 이 프로그램으로 2009년부터 교사를 대상으로 직지연수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직지 관련 선행 연수 실태를 비교 분석하였고, 둘째, 국가교육과정과 초․중등학교 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전국의 초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직지연수의 요구도를 분석하였으며, 넷째, 전국의 초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직지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다섯째, 개발한 직지 연수프로그램을 교사들에게 적용하여 예비연수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여 직지연수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ADDIE 모형의 절차에 따랐다.
글은 다문화적 교육이 국어교과를 통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다문화교육은 기본적으로 모든 이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다. 이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문화교육을 정의하고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다문화교육을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외국인 근로자 자녀, 새터민 자녀로 그 대상을 나누어 그들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현재 그들에게 제공되는 교육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황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제7차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의 요소를 추출해 다문화적 국어과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러한 작업은 앞으로의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이며 이러한 노력을 통해 우리 교육의 지평을 넓혀 가게 될 것으로 믿는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에서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학습자 특성, 교사 특성, 학습환경 특성, 학습내용 특성)이 학습효과(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의 학습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 학습자에 대한 칭찬이나 격려, 학습자의 질문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 학습자에 대한 관심 및 배려 등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을 지도하는 교사의 자질이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을 지도하는 교사는 다양한 칭찬이나 보상 등의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 학습자가 교사를 바라볼 경우, 긍정적인 시각이나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교사로서의 열정과 사랑도 필요하다. 셋째,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을 받는 학습자가 컴퓨터 게임을 하는 시간을 줄이고, 컴퓨터 및 인터넷을 통해 학교 수업 시간에 학습할 수 있는 내용을 검색하고, 교과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 연구는 실천학습을 적용한 교육대학원 ‘정보사회 교수법’ 수업의 운영 및 결과에 대한 사례를 통해 실천학습을 도입한 교육 프로그램이 교사의 성찰적 실천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지를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원 수업 중 ‘정보사회 교수법’ 강좌가 지닌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교사에게 요구하는 역량이 무엇인지 검토하였으며, 실천학습의 개념 및 구성요소, 진행과정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실천학습이 ‘교수법’ 수업의 교사 역량 개발에 적합한 방법임을 밝혔다. 다음으로, 이를 기반으로 하여 실천학습을 도입한 ‘정보사회 교수법’ 강좌의 한 학기 수업을 설계하고 실제 교육활동에 적용했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실천학습의 교육대학원 수업에의 도입 가능성과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결과적으로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실천력을 확보한 다양한 교수법의 이해,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신장, 교사 실천학습 모임의 필요성 인식, 질문과 성찰 능력 함양 등에 있어 실천학습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후 교육대학원의 타 교과목, 현직 연수과정, 예비교사교육, 교사학습모임 등에서 실천학습 도입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실천학습을 적용한 교육대학원 ‘정보사회 교수법’ 수업의 운영 및 결과에 대한 사례를 통해 실천학습을 도입한 교육 프로그램이 교사의 성찰적 실천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지를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원 수업 중 ‘정보사회 교수법’ 강좌가 지닌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교사에게 요구하는 역량이 무엇인지 검토하였으며, 실천학습의 개념 및 구성요소, 진행과정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실천학습이 ‘교수법’ 수업의 교사 역량 개발에 적합한 방법임을 밝혔다. 다음으로, 이를 기반으로 하여 실천학습을 도입한 ‘정보사회 교수법’ 강좌의 한 학기 수업을 설계하고 실제 교육활동에 적용했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실천학습의 교육대학원 수업에의 도입 가능성과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결과적으로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실천력을 확보한 다양한 교수법의 이해,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신장, 교사 실천학습 모임의 필요성 인식, 질문과 성찰 능력 함양 등에 있어 실천학습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후 교육대학원의 타 교과목, 현직 연수과정, 예비교사교육, 교사학습모임 등에서 실천학습 도입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제 5차, 제 6차 및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311종류의 초,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인용된 관속 식물의 종류를 파악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용된 식물은 129과 332속 383종 2아종, 47변종 6품종, 3잡종으로 총 44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 중 초본은 280종류(63.5%), 목본은 161종류(36.5%)였으며, 자생종과 외래종은 각각 241종류(54.6%)와 200종류(45.4%)였다. 과별로는 국화과가 35종류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벼과가 2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인용된 441분류군에는 한국특산식물은 9분류군, 희귀식물 25분류군, 멸종위기식물 12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83종류와 16종류의 귀화식물이 포함되어 있다. 식물의 용도는 식용이 185종류(41.9%)로 가장 많았으며, 약용 148종류(33.5%), 관상용 139종류(31.5%), 목초용 87종류(19.7%), 목재용 34분류군(7.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제 7차 과학교육과정에서 개발된 용해, 빛, 전기 단원의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고, 이 단원에 대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들과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연구 대상자들은 초등학생 204명과 중학생 155명이었다. 이들 중에서 초등학생 8명과 중학생 4명, 초등교사 5명과 중학교 과학교사 3명을 선발하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분석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실험을 통한 현상의 관찰을 강조한 반면, 중학교에서는 공식이나 그래프 등을 도입한 계산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하는 개념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되지 않았다. 둘째, 중학생들은 초등학교에서 다루는 용해, 빛, 전기 단원에 관련된 내용을 지속적으로 배움에도 불구하고, 중학교 학생들의 성취도가 초등학생들의 성취도보다 높지 않았다. 그리고 중학생들은 과학 내용이 학년이 올라가면서 반복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나선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내용의 심화 확장이 부족하며, 특히 내용 제시 방법이 학생들의 인지 발달 수준에 적절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과학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워하고 교사들은 이를 가르치기 어려워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따라서 과학교육과정 안에서 과학 개념을 적절히 연계하기 위한 연구와 7차 과학교육과정의 정신을 구현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제 7차 중학교 1, 2, 3학년 도덕과 교과서에 제시된 전통예절 영역 관련 삽화내용을 분석하여 그것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그에 대한 처방을 모색하여 봄으로써, 학교교육현장에서 전통예절교육을 올바르게 실시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향후 각급 학교 도덕과 교과서 개발 시에 전통예절 영역 관련 삽화내용을 구성하여 제시할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단초를 제공해 보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2 가지 절차를 통하여 구명(究明)되었다.
첫째, 학교교육현장에서 전통예절교육을 올바르게 실시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 7차 중학교 1, 2, 3학년 도덕과 교과서에 제시된 전통예절 영역 관련 삽화내용을 분석하여 그것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그에 대한 처방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분석기준은 공통예절 영역, 관혼상제 및 수연례 영역, 전통한복착용법 영역 등이다. 본 연구에서 공통예절 영역, 관혼상제 및 수연례 영역, 전통한복착용법 영역 등을 삽화내용의 분석기준으로서 설정한 이유는, 대체로 각급 학교 도덕과 교과서에 제시된 전통예절 영역 관련 삽화내용들이, 공통예절 영역, 관혼상제 및 수연례 영역, 전통한복착용법 영역 등의 토대 위에서 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둘째, 향후 각급 학교 도덕과 교과서 개발 시에, 전통예절 영역 관련 삽화내용을 구성하여 제시할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단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초등학교 도덕과 교과서 분석결과와 비교․분석하여 봄으로써 학교 급별 간에 전통예절 영역과 관련된 삽화내용에 있어서의 공통점과 차이점, 학교 급별 간 및 학교 내 학년들 간에 전통예절 영역과 관련된 삽화내용에 있어서의 일관성 및 계열성 등의 존재 여부를 검토하였다.
향후에 본 연구와 같은 이러한 유형의 연구 결과가 학교교육현장 및 각급 학교 도덕과 교과서 개발과정 등에 적극적으로 반영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첫째, 우리 도덕교육 공동체의 자기반성 및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각급 학교 도덕과 교과서 개발과정에 관련 분야 전문가의 적극적인 참여를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교과교육에 있어 교사용 지도서의 역할은 중요하다. 음악교육에 있어서도 교사용 지도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데, 특히 초등학교 음악과 교사용 지도서는 현장의 교사들이 일차적으로 활용하게 되는 교수․학습 자료로 그 영향력은 매우 크다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M. Mosston의 스펙트럼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음악 교수․학습 방법의 통합적 모델로 개발된 음악 교수․학습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3-6학년 음악과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학습 방법이 분석되었다. 음악 교수․학습 스펙트럼은 완전한 교사 중심의 스타일에서부터 완전한 학습자 중심의 스타일에 이르기까지 그 사이에는 하나의 스펙트럼처럼 10가지 교수 스타일이 연속성을 이루고 있다. 음악 교수․학습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지도서 내용을 분석한 결과, 문제점으로는 1) 지도서의 수업 예시가 1-2가지의 교수 스타일에 집중된 것, 2) 지도서의 수업 예시가 교사 중심의 교수 스타일에 집중된 것, 3) 지도서 집필의 의도가 충분히 전달되지 못한 것, 4) 개인차가 고려된 수준별, 흥미별 음악 활동이나 창의성 계발을 위한 발견형 음악 수업이 부족한 것 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 방안으로는 1) 제재곡 중심의 음악수업에서 다양한 음악수업으로의 변화, 2) 다양한 수업의 흐름 예시, 3) 교수 스타일의 선택적 예시, 4) 발견학습 수업에 관한 체계적 연구, 5) 언어적․활동적 서술의 상세화가 제안되었다.
우리나라 학교환경교육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육적 상황이나, 교육 그 자체보다 외국의 연구나 국제적인 권고에 토대를 두고 있다. 따라서 교육에 기초하고,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에 적합한 학교환경교육 목적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홍우와 장상호의 교육관을 중심으로 학교환경교육 목적을 고찰해 보았으며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홍우의 교육관을 중심으로 도출된 학교환경교육 목적은 “환경교과의 지식을 깊이 있게 이해하여 세상을 환경적인 ‘눈’으로 볼 수 있게 하는 교육”으로, 장상호의 교육관에 의해서는 “환경과 관련된 주제중심 교육방법으로 환경교육계에서 스승과 제자가 상호 협력하는 과정을 통해서 각자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이 목적들을 Engleson이 1994년에 제시한 학년별 환경교육의 주요 강조점과 조성화.최돈형(2008)의 연구 등에 비추어서 시사점과 의의를 조명해 보았다.
경상도 함양에 있는 鄭汝昌을 모시는 남계서원은 명종대에 건립되고 대원군 의 서원 철폐에도 남게 된 영남우도의 대표적인 서원이다. 명종 7년에 姜翼 등 함양 사림 몇몇이 함양군수의 협조를 얻어 건립하기 시작 하였다. 고을 사림들의 반대, 흉년, 후임 수령들의 무관심 등으로 공사가 중단되 었으나 주변 고을 사림들의 도움, 함양과 연고가 있는 지방관들의 후원, 처음과 는 다른 함양 사림들의 협력을 얻어 10년만인 명종 16년에 강당과 묘우를 완성 하였다. 서원의 설립과 운영에 사림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는 서 원이 새로운 향촌기구로 지방 사림들에게 주목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남계서원은 정기적인 제례를 거행해 나갔고, 교육활동을 전개하였으며, 기증, 구입, 內賜 등의 방법으로 많은 서적을 소장하였다. 그리고 춘추로 講信禮를 거 행하고, 서당과 연결하여 교육하는 등 향촌의 교육과 교화에 깊게 간여하여 고 을의 중심기구로 자리잡아가고 있었다. 남계서원이 조식의 학문적 영향권에 속해 있어, 北人 관료들의 성장에 어느 정도 기여했음을 예상해 볼 수 있다. 그런데 서원과 관련 있는 사림들의 科擧와 官歷을 조사해보면 관직 경험자는 미미할 정도였다. 사림파들에게 재기의 터전 이 되고, 중앙정계를 지배하게 된 기반이 된 것이 서원이었다는 개설서와 교과 서 등에서의 설명에 의심이 가게 만들고 있다. 남계서원이 정유재란으로 불타버리자 인근의 新溪書院과 함께 묶어 재건을 추진하였다. 신계서원의 盧禛과 강익의 위차 변경을 둘러싸고 함양 사림들이 갈등과 분열의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위차의 다툼이 서인과 북인의 대 립으로까지 비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었다. 결국 신계서원이 예전처럼 독립해 나가고, 남계서원은 옛날 위치로 다시 돌아와 재건되었다. 북인계 성향을 보이던 남계서원은 인조반정 이후 자구책으로 남인계 서원으 로 바뀌어 갔다. 별묘를 세워 강익, 鄭蘊, 兪好仁을 모셨다가, 숙종대 남인정권 에 힘입어 강익과 정온의 위패를 남계서원의 배향으로 올렸다. 하동 정씨들이 이인좌란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운 이후, 남계서원은 경원장 제 도를 채택하는 등 노론계 서원으로 기울어져갔다. 19세기에는 정여창 후손들이 별유사를 맡아 서원의 재정 운영과 건물 수리에 깊게 간여하고, 함양유림들과 협의 없이 묘정비를 세워 분란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남계서원이 점차 문중서 원화되어 가는 가운데, 문묘에 모셔져 있는 정여창의 사액서원이라 하여 대원 군이 단행한 서원 철폐를 모면하고 존속할 수 있었다. 남계서원을 통하여 조선시대 서원은 양반 사림들의 교육기관으로, 당쟁의 여 론 기구로, 서원 후손들의 문중 기구로 성격이 변모되어 왔다고 할 수 있겠다.
이 연구는 특수상대성이론의 기초가 되는 동시성의 상대성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 개념의 개입 유형 및 확신 유형을 조사하려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개념의 개입 유형은 크게 ‘경험습득개념개입형’과 ‘교과학습개념개입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경험습득개념형은, ‘동대상 동현상’ 개념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교과학습개념형은 특수상대성이론과 관련된 ‘광속불변의 원리’, ‘상대속도’ 등의 여러 개념들이 제시되었는데,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부적절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학생 개념의 확신 유형을 조사하기 위해서 상황분석틀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확신 유형은 크게, ‘고갈등-고신뢰형’, ‘고갈등-저신뢰형’, ‘저갈등-고신뢰형’, ‘저갈등-저신뢰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특수상대성이론의 기초가 되는 동시성의 상대성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 개념의 개입 유형 및 확신 유형을 조사하려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개념의 개입 유형은 크게 ‘경험습득개념개입형’과 ‘교과학습개념개입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경험습득개념형은, ‘동대상 동현상’ 개념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교과학습개념형은 특수상대성이론과 관련된 ‘광속불변의 원리’, ‘상대속도’ 등의 여러 개념들이 제시되었는데,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부적절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학생 개념의 확신 유형을 조사하기 위해서 상황분석틀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확신 유형은 크게, ‘고갈등-고신뢰형’, ‘고갈등-저신뢰형’, ‘저갈등-고신뢰형’, ‘저갈등-저신뢰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