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국제학술대회자료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2회 한자와 한문교육 국제학술대회 (2011년 10월) 60

41.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ist of 800 Chinese Characters>, as an appendix of <International Curriculum for Chinese Language Education> by the Office of Chinese Language Council International (2008), has offered a basis for teaching characters in teaching Chinese as the second language. Chinese language teachers should follow the principle of “According to conventions of Chinese characters construction, and combine the forms, sounds and meanings of characters”, and have comprehensive observation for the 800 Chinese characters. There are more than 160 characters among the 800s can be explained by tracing back to ancient forms. Teachers have some options of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characters. For other characters which can not be explained by forms directly, we should look for effective teaching methods by analysis of the ideographic components and phonetic components. This essay has collected about 350 characters with 18 common ideographic components, and has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phonetic components and sounds of 90 characters in Modern Chinese. In addition, we have briefly analyzed the causes of characters which have varied pronunciations. Meanwhile we have provided some suggestions of teaching.
42.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ny Asian languages includes Chinese characters which is used i n different countries or different nations, for instance, Korean learns Korean Chinese characters, Japanese learns Japanese Chinese characters, Singapore learns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the mainland China and Taiwan or Hong Kong people learn simplified and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The pronunciation is same for simplified and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But for Korean and Japanese characters, the pronunciation is different, but elements which composed the character are similar. This article focuses on introducing a computer Chinese input method which is coded based on the shape of constituent element of Chinese characters. The completed scientific system of this input method enables Chinese character computer inputting associated with language literacy teaching and dictionary indexing. That means it will be formed a unified system based on the same coding of each character shared in the computer inputting, language literacy teaching and dictionary indexing. The advantage is that the training of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by using computers can be conducted with the language literacy teaching simultaneously. The author hopes to work with scholars who come from various countries to exchange the opinion on how to use this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associated with the literacy teaching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haracter recognition. The students can speak Chinese characters in local pronunciation, but also can input Chinese characters handily and quickly in computer.
4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近年,香港中學學制逐漸轉變,其中中國語文的教學模式和學習範圍也作出了大幅度的改動。對於學生的語文能力來說,究竟帶來了甚麼影響呢?當中關於漢字部分,究竟學生經過十多年的語文學習之後,對漢字的認識有多深呢?  筆者在過往數年的教學過程中,接觸的主要是大學一年級的同學。不管原來唸文科、理科還是商科,從他們的表現中,都發現一個有趣的現象。愈是近年的同學,對於「傳統正字」(例如「鉅、祕」等)的認識愈是模糊,很多時把正確的字誤以為錯字而逕予改正。可是,這種情況在數年前並不是那麼嚴重的。那麼,近年來這種情況有多究竟嚴重呢?  為觀察同學漢字認識程度的變化,筆者根據過去數年的錯別字試題做了統計。本文將根據這些統計數字,考察同學對「傳統正字」的認知失落情況。  同學的漢字認識是在小學養成,在中學深化的,如果經過中學階段後,卻出現對「傳統正字」的認知失落,看到與所教所習不同的字,就視為錯字,則問題出在哪裏。  當前香港的中學中文課程改革仍在進行,這個研究將持續多年,從而看看由範文到取消範文,由七年制轉成六年制之後,香港學生對「傳統正字」的認識能力有何轉變。筆者希望透過持續研究,審視這個現象跟中學階段中國語文科取消範文閱讀以及增加其他內容的課程改革之間有沒有關係。  筆者希望藉這個研究所得的結果,重新思考在香港的漢字學習環境下,大學「正字」教學如何定位,以樹立語文的判別能力為目標,使同學「習其一亦知其餘,明其新亦識其舊」,來補足同學對傳統漢字正字的認知缺失,不至於遇到他人所寫「正字」迥異時,瞠目結舌,甚至誤以為錯字,逕行改正,結果貽笑大方。
44.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ei Xi is a book of Chinese characters written by Guo Zhongshu. It epitomized the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produced since WeiJin. Nowadays, it is worth standardizing Chinese characters and researching their developing rules. Pei Xi has three parts .The first part is the theory about Evolution of Chinese characters . This thesis will mainly analyze Guo Zhongshu’s theory about Chinese characters and their evolving rules , and discuss its significance in philology. This thesis will also provide some reliable reference materials for case study. The author will draw a conclusion by summing up the values of Pei Xi, as well as its influences.
45.
201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韓國語란 어떤 말인가? 전 세계에 퍼져 사용되는 한민족의 언어에 대한 정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는 논의를 전개하기 위한 필요한 절차라 생각된다. 사실 이에 대한 논의는 이미 여러 차례 거론 되기도 했다. 이를 다시 한번 정의한다면 한반도는 물론이고 전 세계에 퍼져 살고 있는 韓國人이 쓰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韓國語는 韓+國語로 볼 수도 있고, 韓國+語로도 구별할 수 있다. 이때의 韓은 韓民族이라는 그 구성원의 의미가 강하다. 반면에 韓國+語는 지역의 의미와 그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국가의 개념이 중심이다. 그러나 어느 의미로 보아도 韓國語는 한국을 모국으로하는 韓國人이 사용하는 한민족의 國語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사용하는 주체가 국내에 있거나 국외에 있거나 상관 없이 그들이 쓰는 언어가 韓國語이다. 그에 비해 國語라고 하는 것은 한반도 안에서 사용하는 우리 말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그런데 이 國語라는 말도 그리 간단히 사용할 말이 아니다. 이 말은 日本이 近代化를 이루면서 일본인들이 자신들의 언어인 日本語를 國語라고 지칭한 데서 그 출발점을 찾을 수 있다. 이는 중국에서의 國語도 마찬가지다. 동아시아 문화권이라고 하는 중국 한국 일본 중에서 서구 문물을 가장 빨리 받아들여 근대 국가를 이룬 것은 일본이다. 그것이 소위 l明治維新(1853-1877)에서 비롯된 것임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일본은 서구 문물을 받아 들이면서 자국어를 지칭하는 말이 없는 것을 발견하고 많은 학자들의 논의를 거쳐 근대 국가로서의 일본의 언어 문장이라는 뜻으로 國語라는 말을 창안하여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것이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國語라는 말이 전파된 배경이다. 그러므로 중국은 물론이거니와 우리가 말하는 國語도 근대화 이후의 언어 문장이라는 말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우리의 근대화 시기를 갑오경장으로 잡는 다면 그 이전은 古文 또는 古語이고 그 이후를 國語라 할 수 있다. 문어체에서 언문일치체로 바뀐 국어를 사용하는 것도 이즈음이다.우리의 국어인 한국어는 아름다운 고유어로 된 한글과 수천 년간 차용하여 써 온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다. 이 둘이 상호 결합하여 한국인의 정서와 사상을 표현하는 한국어를 이루고 있다. 한글은 1443년 세종 대왕과 집현전 학사들이 만든 표음 문자로, 우리 고유의 언어를 표기할 수 있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문자이고, 한자어는 표의 문자로서 늦추어 잡아도 이천 년 이전인 한사군 시대에 이미 도입하여 사용해 오고 있는 문자다. 이를 보면 한국어는 표음 문자와 표의 문자를 섞어 사용하고 있는 특이한 언어 체계를 지닌 언어로, 이 두 문자의 장점이 그대로 활용된 우수한 언어이고 이는 세계에도 널리 자랑할 만한 문자라 할 수 있다. 한글과 한자어의 아우름은 표현과 의미 전달의 기능면에서도 우수하여 우리의 민족얼을 살리고 우리가 표현해야 할 문화어를 나타냄에 부족함이 없다. 한글은 고유어로서 매우 아름다운 말이 많다. 개울, 시내, 얼음, 열매, 꽃, 가슴, 허리, 스승, 지아비, 추녀, 서까래, 파랗다, 보드럽다, 곱다, 가늘다, 후미지다 등등 일상 생활 주변의 감각적 사물에 대한 어휘들이 우리의 정서를 드러내고 민족혼을 살리는데 부족함이 없다. 우리의 전통 서정 시인 이를테면 소월, 미당, 지훈, 목월 등등의 시인들의 싯구에서 사용된 우리말의 아름다움에 놀라기도 한다. 이러한 고유어의 특성은 옛문화를 지키고 우리 아득한 조상들의 삶의 모습을 전해 주고 있다. 이러한 아름다움에도 불구하고 어휘의 한계가 있음도 사실이다. 대부분의 학술적 고급용어나 새로운 외래 문화 용어의 표기는 불가능하거나 표현에 한계가 있다. 이는 한글이 지니는 어휘적 한계 때문이다. 반면에 우리말의 뼈대를 이루고 있는 한자어는 생활어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지만 좀 더 고급스런 언어를 표현하고 민족 정서를 표출하는데 나름대로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倫理, 道德, 哲學, 科學, 藝術 등등처럼 섬세하거나 아름다움보다는 추상적 事象이나 학술적 언어에서 주로 한자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한자어가 갖는 의미의 함축성과 표의문자의 특성이 나타난 때문이다. 한국어는 이렇게 한글과 한자어가 상호 보완하며, 수천 년의 역사를 기록해 오고 있다. 이는 우리 문자의 커다란 장점이다.한국어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표음 문자인 한글은 말하기 쉽고 배우기 쉬운 반면에 함축된 의미를 포괄하기 어려운가 하면, 표음문자인 한자어는 글자마다 의미를 독립적으로 지니고 있어서 처음에는 익히기가 어렵고 글자의 모양이 복잡하여 쉬 접근하기가 어려운 듯하다. 그러나 이 표음문자는 한 번 익혀두면 잘 잊히지 않는 특징이 있으며 하나의 글자만 알아도 많은 낱말을 이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우리는 한국어를 학습하고 사용함에 있어, 표음문자인 한글만으로 우리의 사상이나 의사 소통 표현에 지장이 없다면 당연히 한글 전용에 찬성할 것이다. 또 그리해야 한다. 이것은 애국심이나 편협된 마음의 발로 때문만이 아니다. 문자 정책은 한 나라의 장래를 좌우하는 중대한 문제이기 때문에 제것을 버리고 달리 외래 문자를 취할 이유가 없다. 이는 또 감정적으로 판단할 일도 아니다. 어느 것이 나라를 위하고 국가 대계를 위하여 바른 일인가를 생각해야 하는 일이다. 이 문자는 우리 후손이 이 땅에서 영원히 문화를 누리고 살아 가는데 필수 요건이어서 그렇다.그런데 표음 문자인 한글만으로는 우리의 사상과 정서를 기술하기에 부족한 부분이 너무 많다. 첫째로 음절 하나하나가 모여 단어가 되고 그 단어를 읽어야 의미가 떠오른다. 가령 “사 + 람” 한 뒤에 “사람”을 인식한다. 人을 보고 바로 사람이라는 뜻을 떠 올리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사람만 그런 것이 아니라 모든 어휘가 다 그렇다. 둘째 문제가 좀더 본질적이다. 우리의 고유어인 한글만으로는 고급 문화어를 표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것은 심각한 문제이다. 초등학교를 지나 중등 학교, 대학으로 갈수록 이 현상은 심해진다. 함축적 의미를 지닌 동양 사상은 물론이고 고도로 발달된 과학용어들에 대한 우리말의 표현이 어렵다. 原子, 核, 滲透壓 따위만 해도 우리 말로 표기 하기가 쉽지 않다. 풀어 써 보아도 더욱 어색한 문장이 되고 만다. 궁여지책으로 이들 한자어를 한글로 쓰고 이를 우리말 곧 한글이라고 하자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한자어를 한글로 썼다고 고유어가 되지 않는다. 망치는 가방에 있으나 꺼내 놓으나 망치이듯이 말이다. 뿐만 아니라 한글로 써 놓으면 의미 전달이 어렵다. 微分 積分을 미분 적분이라 썼다고 고유어가 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한글로 쓴 미분 적분을 보고 그 개념을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래서 우리는 한자어는 가능하면 한자로 써야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표의문자인 한자어는 수천 년 우리 역사와 함께 써 온 것말고도 문자가 가지는 특징도 있다. 사실 이천 년 이상을 우리가 차용하여 쓴 한자어는 이미 우리 문자화한 글자라 할 수 있다. 그 속에 동화된 우리의 음이 있고 우리의 생각과 정신이 쓰며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자도 국자라는 말이 나오는 것이다. 국가에서 정한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만 익히면 대부분의 표현이나 독해가 가능한 일이다. 또 이 표의문자는 한 글자마다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글자 하나만 익혀도 수십 개 단어를 만들 수도 있고 그 글자가 들어간 단어의 반을 이해할 수 있다. 가령 論자 하나만 알아도 論評 論說 論理 論述 또는 討論 叢論 公論 言論 등에서 그 단어의 반을 알 수 있다. 거기다가 단어의 두 글자를 모두 알면 순간적으로 의미가 파악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표음문자로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또하나 한자의 조어력이 대단하다. 이 한자의 조어력이 근대 일본어의 성립에도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아무리 새로운 어휘라 하더라도 한자만 활용하면 그 표현이 가능하다.우리의 교육용 기초한자 1800만으로 조어를 한다고 해도 그 표현 효과는 지대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한자, 한자어의 활용은 추리력 상상력 창의력 등을 개발시켜 두뇌 발달에도 크게 도움을 준다. 이는 한자의 특징으로 그 효용성을 아무리 역설해도 좋을 듯하다. 현재 우리 나라 초, 중등 학교에는 외국인 출신의 많은 원어민 교사가 근무 중이다. 수천 명이 될 듯하다. 이들이 우리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치고 있다. 모든 경비를 나라가 부담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 중에 카나다 인 어느 원어민 교사가 우리의 교육용 기초 한자를 모두 익힌 사람이 있다고 한다. 그는 우리 한국어 속에 한자어가 있음을 알고 한자를 통해 우리말을 깨친다고 한다 茶器라고 하면 얼른 “차다” “그릇기” 하면서 차그릇이라는 것을 안다고 한다. 食事라고 하면 “먹을 식” “일사” 해서 먹는 일 하면서 그 뜻을 잘 안다고 한다. 이처럼 외국인도 기초 한자를 익혀 우리글을 해독하고 있는데, 정작 우리 학생들은 기초 한자를 배우지 못해 다기, 식사를 한글로만 쓰고 있으니 말은 알지만 한자를 모르고 그 결과 정확한 뜻을 모른 채 대충 넘어 가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통탄할 일이다.이제 보다 본격적인 논의로 들어가 보자. 지금까지 우리의 국어는 대부분이 고유어(固有語)와 한자어(漢字語)로 구성되어 있고, 한자어의 사용이 더욱 긴요함을 설명했다. 이는 문자 생활을 영위한 이래 불변의 관습으로 더 이상 주장할 필요도 없는 일이다. 우리 국어의 70%이상을 차지하는 한자어(漢字語)의 역할이 국민의 語文 생활과 문화 생활에 핵심적인 요소이고 민족(民族)과 國家의 역동적(力動的)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은 누구나 인정하는 바다. 하나의 예로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라는 문장을 볼 때 “은”과 “이다”의 조사만이 고유어이고 가장 핵심적인 근간은 한자어이다. 이 한자어를 한글로 적었다하여 순우리글이 되지는 못한다. 한글로 적었을 뿐 그 본바탕은 한자어이다. 이처럼 우리 국어에서 漢字語는 어휘 전체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런 한자어를 국어가 아니라고 내치고 앞 문장의 “은”이나 “이다”만 국어요 국자라고 해서야 말이 되겠는가 한자어 어휘의 올바른 이해가 국어 생활의 기본이 되며, 이를 표기(表記)함에 있어서도 한글 표기와 漢字 병용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효과적인 한국어로의 언어생활을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 한국어에서 漢字語 학습의 중요성은 민족 문화의 창달을 위해서도 전통문화의 계승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그러나 그보다 몇 배나 중요한 것이 있다. 앞으로의 국가 번영과 문화발전의 원동력을 개발하고 새로운 독창적 창의성을 창안하려면 한자 학습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일본이 국한문 혼용을 초등 교과서부터 실시하여 얻고 있는 효과만 보아도 알 수 있는 일이다. 문화정책 문자정책을 맡은 정책 당국의 이해와 지원이 필요하다. 한자 교육은 초등 교육에서부터 부활되어야 한다. 이는 어느 집단의 이해관계나 소수의 아집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국민 대다수의 염원이다. 국가 기관인 교육 개발원의 정책연구 결과 논문에서도 내외의 한자교육을 부활해야한다는 대답이 89.1%에 달한다. 이러고 보면 한자 교육을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 한자교육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한 의견을 정리해 보자. 첫째로 한자는 조어력(造語力)이 강하여 우리의 어휘를 풍성하게 하고, 이 풍부한 어휘력은 세계(世界) 문화를 이끌 주도적 언어로서의 위상을 갖도록 할 것이므로 한자 교육은 절대로 필요하다. 이 조어의 문제는 간단한 것이 아니다. 문화 수용에서 조어의 필요성은 어느 언어에서나 필요한 일이다 우리는 다행히 한자문화권이라 한자라는 방대한 의미층을 지닌 언어가 우리 말에 사용되고 있다. 이 한자를 활용하면 아무리 난해하고 표현이 어려운 외래 문화가 있다하더라도 우리말화된 한자어를 창출할 수 있다. 우리는 이를 이미 실행하고 있다. 만일 우리가 말레이시아나 필립핀처럼 한자를 사용하지 않는 나라라면 이런 조어는 불가능할 것이다. 우리와 같은 한자문화권인 일본도 이를 잘 활용하여 문화 발전을 이루고 있음을 알고 있다. 일본어와 달리 우리글은 표음문자와 표의 문자의 장점을 지닌 유연한 언어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더욱 유려한 언어 창출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조어 문제는 표음문자인 한글만으로는 도저히 이룰 수 없는 일이다. 둘째로 한자에는 깊은 철학이 배어 있다. 한자어는 읽을수록 그 의미가 함축되어 있어 새로움을 더해 주는 언어이며 글자 자체의 상형으로 암시하는 의미가 큰 문자이다. 한자어를 배움으로 얻어지는 이러한 효과는 인문학적 소양은 물론이고 인성함양을 위해서도 긴요한 일이다. 대부분의 글자가 그러하지만 한자에 담긴 심오한 의미는 많은 깨우침을 준다. 예를 하나만 들어 보자. 古자를 보면 十 에 口가 모인 형태이다. 이는 십대, 구대, 팔대, ...등의 조상의 입으로부터 전해 오는 것이라는 뜻으로 오래된 것을 말한다. 십대 조상으로부터의 말씀이 쌓인 것이니 그 속에 얼마나 많은 교훈과 철학이 있는지 모른다. 우리 고유어인 “옛이라는 뜻” 만 가지고는 함축미나 철학성이 덜하다. 셋째로 현대 사회는 국제화의 시대로 점점 변하고 있고 한자는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필수적인 의사 소통 수단이 되고 있다. 여기에는 한자 문화권 상호간의 교류 확대도 한자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한 요인이다. 이 때문에 최근 경제 5단체에서도 입사시험(入社試驗) 때 漢字 시험을 요구하고 있고, 몇몇 대학(大學)도 한문(漢文) 우수자를 특별 선발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연중 수백만 명의 학생과 일반인들이 한자능력고사(漢字能力考査)에 응시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거대(巨大) 경제시장인 중국(中國), 일본(日本), 대만(臺灣) 등의 한자문화권(漢字文化圈)과의 교류(交流) 및 교역(交易)에 있어서 漢字 이해(理解)의 필요성이 절실해진 때문이라 볼 수 있다. 넷째로 한자는 두뇌가 개발되며, 추리력, 창의력, 이해력, 해석력, 응용력, 작문력 등의 신장에 큰 기여를 한다. 이는 조기 교육에서 더 효과를 신장시킨다고 한다. 한자 학습은 사람의 좌뇌와 우뇌를 함께 발달하게 하여 논리성과 감수성을 개발한다. 특히 3세에서 8세에 이르는 시기의 교육이 더욱 효과적이다. 이에 대한 과학적 연구 결과가 속속 발표되고 있다. 일본에는 이미 상당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다섯째 우리는 1800자의 교육용 기초한자를 가르치고 있는데 비해 북한(北韓)은 한글전용을 하면서도 1968년부터 3,000자를 기초한자로 교육하고 있다. 이는 남북통일 후 漢字교육에서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가까운 일본(日本)에서도 자국어 강화를 위하여 초등학교(小學校)에서 한자 1,006자를 교육하고 또한 상용한자(常用漢字)를 1945자에서 2136자로 확장하여 교육하고 있다. 그 이유는 청소년들이 문화와 학문의 기초인 국어능력(國語能力) 향상이 한자 교육으로 성취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여섯째 국어기본법은 국민의 창조적(創造的) 사고력(思考力) 증진으로 국민의 삶을 향상하고 민족문화(民族文化)의 발전에 이바지함에 그 목적(目的)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한자 교육을 제 2,3국의 언어와 동일시해서는 그 목적을 이룰 수 없다. 더구나 한자 교육의 경시는 학생들의 사고력을 저하시키고, 반문맹인을 양산하는 결과가 되어 국어기본법의 취지와 이반된다. 국어기본법은 한글과 漢字의 장점과 그 효용에 부합되도록 거시적(巨視的)이고 합목적적(合目的的) 관점에서 법(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째 한자 교육은 한국어에 사용되는 한자어가 한민족 제일의 문화유산이며 문화창조의 원동력이라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편하여 초등 교육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후손에게 계승하여야 한다는 이념을 제시하는 길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과거와 같은 국수적(國粹的)이고 전근대적(前近代的)이며 편협(偏狹)한 시각으로 한자교육을 처리해서는 곤란하다. 여덟째, 말과 글은 한 민족과 국가 발전에 기본이 되는 천년지계(千年之計)이므로, 이천 년(二千年)간 생활화된 漢字語를 용도와 필요에 따라 병용(倂用)이나 혼용(混用)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한자도 국자임을 명시해야 한다. 상으로 한국어에서 한자교육의 필요성을 말했다. 이제 본질적인 한자교육의 내용을 밝혀야 한다. 그 범위와 ,교육 내용, 방법, 지도자의 양성 등등이 논의되어야 한다. 지면의 문제도 있고, 중복성도 있어 여기서는 문제의 내용만 밝혀 두려한다.
4,000원
46.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research is one of the stage results of “Research on the Relevance between China’s Primary School Chinese Teaching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 key project of Ministry of Education in 2009, included in the National Education Science "Eleventh Five-Year Plan"( Project approval No. DHA090170). The research mainly includes data statistics and analysis of a literacy diagnostic test survey for primary school entrance students so that it provides a scientific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he relevance betwee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nd different editions of curriculum teaching materials of Chinese literacy, such as editions from People's Education Press, Jiangsu Education Press, Beijing Normal University Press, Southwest Normal University Press, Jingshan Press, and for exploring different versions of words, quantities, orders, and ways of verifying the new idea of literacy education “Harmony and Order” that best fit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n different regions.
47.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近年來,香港非華語學生學習中文,方興未艾,人數逐年增加。如何幫助他們融入香港社會,提高中文學習能力,成為香港社會普遍關心的課題。非華語學生的中文水平普遍未能達到參加香港中學會考和香港中學文憑試的資格,為滿足升學或就業時對中文能力不同的要求,唯有另闢蹊徑,考取英國普通中等教育證書(GCSE)(中四、中五生)及英國高級補充程度普通教育證書(GCE AS)(中六生)的中文科資格。有見及此,香港大學教育學院中文教育研究中心同仁,近年積極與資深教師合作,並針對非華語學生學習中文和適應新學制的需求,研發非華語學生中文教材和教法,出版包括一系列四冊的《新版中文八達通》及一系列兩冊的《GCE AS 中 文》,以滿足非華語學生的不同需要。本論文探討這系列教材的發展理念和實踐情況。第一,針對GCSE及GCE AS中文課程發展教學内容和練習。 第二,透過任務式教學法和探究式學習,以達至有意義的教與學。 第三,教學活動設計以貼近學生生活為原則,以裝備學生融入香港社會及職場需要。 第四,採用文類為本的單元,由淺入深教導學生掌握各種文類的表達。 第五,採用文類功能寫作教學,即運用範文引路,共同建構,個人創作,讀寫結合,由淺入深教導學生 掌握語文。第六,結合多元文化特色,幫助學生了解本地文化,融入本地生活和尊重各國文化。第七,提供大量網上教學參考資料,使教師創設情景予學生進行與考核形式接近的口語練習。本論文亦報告本教材的使用情況及教師的回饋。
48.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ey have the same origin in form .There are a good many cognate characters in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cognate characters which related in the Chinese words and characters syllabus ,this paper discusses the important significance by using cognate characters to teach foreigners .Meanwhile we provide some suggestions of teaching with cognate characters to senior level learners.
49.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當前對外漢字教學面臨三種困境:1. 漢字教學的定位不明。2. 漢字學習的效率不彰。3. 傳統字與簡化 字分立。漢字學習的定位,指漢字認寫能力在華語文學習中的比重。當前漢字教學未受到應有重視的原因,一是受到「聽說讀寫」語文能力的誤導。二是因電腦科技發達,造成寫字工夫可有可無的假象。三是受詞本位教學的影響,以致忽略漢字認寫的訓練。因應之道,是透過部件、部首的學習,加強認字、寫字能力,並透過「由詞識字、由字識字、以字帶字、以字帶詞」的教學策略,即可在詞本位教學環境下讓學生獲得認字、寫字的訓練。漢字學習的效率不彰,是由於方法老舊,字形的學習大多透過死記,數十年來進展不多,故應加強字理教學,鞏固學習印象與引發興趣,更需開發數位工具,建立多元化的教學模式。由於傳統字與簡化字使用分歧,當前學習中文的外國人士,無論從事經貿、政治、新聞、文化、教育等工作,都得面對兩套的漢字系統,頗難抉擇,教師應正視當前漢字雙軌使用的現況,輔導學生雙軌學習。根據研究,學生只須掌握483組字形的對照關係,即可具有雙軌閱讀的能力。綜合以上種種教學策略與方法,當能為漢字教學帶來新的面貌。
50.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resentation reports on a study of construction of teacher identity in Hong Kong under rapid education reforms and changing political environment. The presentation draws on insights from recent work of discourse theory and also results of a larger longitudinal study on teacher identity of two teams of language teachers in a relatively new primary school. A case study of a young Chinese language teacher exemplifies how teacher uses narrative resources to construct and negotiate teacher identities through social interaction. Findings of the case study underscore the ‘authorial stance’ of teacher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of teacher identity.
51.
201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Ⅰ. 韓・中 漢字敎學 比較 1. 韓國의 漢字敎學 1) 韓國의 漢字敎學 目標 우리의 漢字敎學은 중학교에서, 중국은 초등학교 그것도 1, 2학년에 집중적으로 실시된다. 우리의 漢字敎學 목표는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한자 900자의 음과 뜻을 알고 쓸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1, 2, 3학년의 영역별 구체적인 敎學內容을 개술하면 다음과 같다. 2) 韓國의 漢字敎學 內容 ① 한자의 형‧음‧의를 안다. ②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진 한자를 안다. ③ 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을 찾을 수 있다. ④ 한자를 바르게 읽고 쓸 수 있다. ⑤ 상형‧지사‧회의‧형성자의 짜임을 안다. ⑥ 한자의 형성 과정을 이해한다. ⑦ 한자 자체(字體)의 변천 과정을 이해한다. 3) 韓國의 漢字敎學 방법 및 資料 한자교학 지도방법은 부수 중심 지도법, 구조 분석법 등이 있다. 이들 외에도 다양한 수업 방법을 창의적으로 적용하여 지도한다. 교수․학습 자료는 카드, 융판, 괘도, 컴퓨터, OHP, 실물화상기, 멀티미디어, 인터넷 등 매체 자료를 포함한 각종 자료를 효율적으로 활용 한다. 2. 中國의 識字敎學 중국의 識字敎學은 어떤 敎學法을 사용하던 최근에는 학습자의 흥미, 능동적 참여, 학습자 존중, 창의적 교육, 독립적 識字를 추구한다. 1) 中國의 識字敎學 目標 중국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까지 9개 학년을 통합 설계하고, 識字方面의 구체목표는 汉语拼音을 배워 普通话를 구사하고, 3500자 정도의 常用汉字를 알며(중학교 500자 포함) 汉字를 쓸 수 있게 한다고 하였다. 단계별 목표에서 초등 1~2학년은 常用汉字 1600~1800자를, 3~4학년은 2500자 를(누적), 5~6학년은 3000자를(누적) 익히고 대략 2500자 정도를 쓸 수 있게 한다. 2) 中國의 識字敎學 內容 교학내용은 필획, 필순, 편방부수, 汉语拼音, 자전 찾기 등을 실시하고, 图画, 上下文 연계, 儿歌, 童谣, 간단한 古诗, 成语, 格言 등을 통해 識字한다. 3) 中國의 識字敎學 方法 및 資料 교수․학습 자료는 挂图, 工具书, 图书, 报刊, 电影, 电视, 广播, 网络, 报告会, 研讨会, 연극, 图书馆, 博物馆, 광고 등을 망라하여 활용한다. 수업은 학생 교사 쌍방의 주체적, 창조적 교감과 학생 자신의 자주적 학습력을 중시한다. 4) 中國의 拼音과 漢字敎學에 대한 認識 변화 최근 중국의 識字敎學은 일부 초등학교 교재에 先拼音敎學에서 先漢字敎學으로 바뀌었다. 이의 가장 큰 이유는 先拼音, 後漢字敎學이 피동적인 교육이 되고, 形音義 사이의 聯想작용을 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Ⅱ. 韓・中 漢字敎學法 硏究 1. 韓國의 漢字敎學法 硏究 聲符활용 敎學法 : 형성자의 聲符, 同源字 이론을 응용한 聲符 활용 敎學法字源活用 敎學法 : 結構分析, 부수편방 이용, 破字, 構形學 이론 적용 매체이용 敎學法 : 만화, 괘도, 그림, 사진, 컴퓨터, 인터넷, 웹기반, UCC & FLASH 敎學法硏究 特徵 : 국가, 지방정부 차원이 아닌 개인연구 2. 中國의 識字敎學法 硏究 字音活用 敎學法 : 聽讀識字, 拼音識字, 閱讀識字, 有廣東特色的‘注音識字’敎學, 韻語識字 字源活用 敎學法 : 部件識字, 解形識字, 字理識字, 字根識字, 奇特聯想識字, 字謎識字, 結構分析法, 字義識字敎學法分散集中 敎學法 : 分散識字, 集中識字 매체이용 敎學法 : 雙拼電腦識字, 電腦字根識字法, 多媒體電腦輔助學習漢字, 計算機輔助識字敎學法硏究 特徵 : 대부분 국가 혹은 省, 市 차원의 연구과제로 파급력과 공신력이 큼.Ⅲ. 韓・中 漢字敎學 比較 중국과 우리의 교수․학습 방법, 내용, 자료 등은 유사한 점이 많다. 1. 敎學量과 特徵 중국 : 초등학교 3000자, 중학교까지 3500자를 識字한다. 초등학교 1, 2학년에서 常用汉字 1600~1800자를 익히고, 그 가운데 800~1000자를 쓸 수 있게 하는 집중식자를 한다. 한국 : 중학교 900자 敎學(1, 2, 3학년 각 300자) 중국이 우리보다 월등히 많은 한자를 敎學한다. 단 중국은 모국어 교육의 일환으로 한자를 敎學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의 고등학교까지 1800자 식자는 그리 적은 편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2. 敎學內容 中國 : 중국은 識字, 寫字, 拼音, 閱讀, 寫話(받아쓰기) 등을 통해 식자한다. 이들을 효과적으로 교학하기 위해 쓰기, 偏旁익히기, 査字하기, 生字에 主音하기, 자형분석하기, 字音과 字義 장악하기, 上下文을 활용한 한자 추측하기, 漢語拼音의 大寫字母 알고 쓰기 등을 교학 한다. 韓國 : 한자의 형‧음‧의와 부수를 알고 자전을 찾을 수 있다. 한자를 바르게 읽고 쓸 수 있다. 한자의 형성과정과 상형‧지사‧회의‧형성자의 짜임을 안다. 한자 자체(字體)의 변천 과정을 이해한다. 우리 교재는 그림, 말풍선, 만화, 사진 등을 활용하고, 육서 원리, 자전 찾기, 字音, 同部首字, 同義利用, 類似漢字, 편방분석, 상대어, 유의어, 각종 첨단 매체를 활용한 한자교학이 이루어진다. 단, 중국의 上下文을 활용한 한자 추측하기, 漢語拼音의 大寫字母를 알고 쓰기는 없다. 3. 敎學方法 中國 : 識字敎學은 상형을 통한 圖形識字, 따라 읽기의 聽讀識字, 운문 읽기의 朗讀法, 생활을 주제로 한 誦讀法, 會意, 形聲原理 識字, 偏旁 활용 識字, 쓰기를 통한 識字 등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실시한다. 중국도 우리의 그림, 말풍선, 만화, 사진 등을 이용한 교학을 실시하지만, 우리가 훨씬 다양하고 화려하다. 자료 : 그림, 말풍선, 만화, 사진, 컴퓨터 등을 활용 韓國 : 부수 중심 지도법, 구조 분석법 등을 만화, 괘도, 그림, 사진, 컴퓨터, 인터넷, 웹기반, UCC & FLASH 등 각종 매체를 이용하여 교학한다. 중국에 비해 따라 읽기의 聽讀識字, 운문 읽기의 朗讀法이 미약하다. 4. 長短點 韓國 : 우리의 한자교학법 연구는 교육과정이나 교재구성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주된 요인은 한자학 수준의 저하와 개인적 연구로 파급력이 약하고 안정성, 효율성이 검증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단 우리는 繁體 사용으로 結構를 分析하거나, 六書를 활용한 교학에 유리하다. 또, 그림, 말풍선,만화, 사진 등을 이용한 교학은 우리가 훨씬 다양하고 화려하다. 中國 : 簡體字로 인해 六書, 結構 分析 등을 통한 漢字敎學에 불리하다. 단, 聲讀, 문장 읽기를 통한 識字敎學, 노래, 破字 등을 활용한 교육에 장점이 있다. 중국의 식자교학법 중 謎語法, 字中字法, 노래나 韻律있는 문장을 활용한 破字 識字法은 우리가 응용할만하다.
4,000원
52.
201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孔夫子의 美學思想 收容 동아시아 문예미학은 공부자(BC551-479)가 그 기반을 구축했다.『論語』에는 미학에 준하는 단편적인 기록들이 산재한다. 공부자는 “興於詩 立於禮 成於樂.-泰伯”이라고 했다. “詩”는『시경』이고 “禮”는『예기』이며 “樂”은「악기[악경]」를 지칭한다. 이를 기준하여 유추하건데 공부자 문예미학의 근원은 “興”이다. 조선조 士人들이 중시했던 詩學의 한 범주로서 “因物起興”을 외쳤던 까닭도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論語』집주에 “興”은 ‘起’라 했고, 性情에 “正”과 “邪”가 있는 바,『시경』은 성정의 정을 감발시키는 것을 본분으로 삼는다고 했다. 공부자가『시경』300여 편을 일러 “思無邪”라고 한 것은 이를 부연 설명한 것이다. “立於禮”는『예기』를 통해 善을 확립시킨다는 의미이고, 예의 근본은 恭敬心과 謙遜의 마음을 갖추는 것으로 보았다. “成於樂”은 『악경』을 통하여 사특한 마음과 심성의 나쁜 잔재를 씻어내어야 한다는 것이다. 공부자의 “詩學 ․ 禮學 ․ 樂學”에 바탕한 미학의 본령은 모두 “思無邪”에 목적을 두었다. 공부자는『六經 가운데『시경』을 가장 중시했는데,『詩 書 禮 樂』에서『詩』가 첫머리에 나오는 것도 이를 뜻한다. 2. 社會美學의 成立 중원을 에워싼 동서남북 소위 四夷 국가들 가운데 우리 한국이 통시적으로 공부자의 미학사상을 가장 비중있게 수용했다. 우리 선인들은 공부자의 미학사상을 “社會美學”적으로 연역하여 수용했다. 공부자는 시를 “言志”에 국한하지 않고, 사회상의 전반을 교정시키는 “以詩正世”적 역할을 수정해야 한다고 했으며, 우리 선인들도 이 같은 문예의식을 긍정하고 시문을 통하여 사회를 교화해야 한다 고 인식했으며 이를 일러 “詩教”라고 칭했다. 공부자는「陽貨」편을 통하여 “그대들은 왜 詩(詩經)를 공부하지 않느냐, 시는 사람을 감흥 시키고, 사물을 올바르게 관찰하게 하며,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 화락하게 하며, 사회상을 비판할 수도 있으며, 가깝게는 부모를 섬기고, 멀리는 임금을 섬기는 도리를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새나 짐승풀 나무 등의 이름도 배우게 된다. 사회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살필 수 있고, 사람들과 어울리는데도 도움이 되며, 현실의 부조리를 비판하며, 어버이를 섬기고 지도자에게 충성하는 올바른 길을 알 수가 있고, 자연 속에 존재하는 동식물들의 무수한 이름도 터득하게 된다는 주장에서, 공부자의 광범한 주제영역을 융합한 社會美學的 美意識을 접할 수 있다. 6세기 무렵 중원에서 발간된 鍾嶸(?-518)의『詩品』과 劉勰(464-535)의『文心雕龍』 및 9세기경 司空圖(837-908)의『二十四詩品』등이 고려조 문단에 유입되었다. 12, 13세기경 李仁老(1152-1220)의『破閑集』과崔滋(1186-1260)의『補閑集』속에『시품』과『문심조룡』등은 물론 이고, 사공도의『24시품』도 애독했음이 확인된다. 고려조 문단은 “托物寓意 換骨奪胎” 등의 일반론을 벗어나 “俊壯, 精妙, 含蓄, 飄逸, 淸遠, 豪放, 淸雅, 勁峻, 平淡”등 품격론에 입각하여 시문을 짓고 비평하는 풍조가 편만해 있었다. 사공도의 『二十四詩品』에 나타난 “品格論”은 사회미학 영역 중 刺詩보다 美詩에 치중된 美意識이다. 조선조 성리학자들의 눈에는 고려조 시인들의 이 같은 시의식과 시작태도를 강건한 주제의식을 약화시켜 文弱으로 흐르게 한 요인으로 생각했으며 이를 “雕蟲篆刻之徒”로 격하했다. 3. 文藝美學과 國家의 興替 시문을 사회상과 결부시키는 것은 시문도 정치의 興替와 직결된다는 문학관에 의한 것이며, 樂舞가 정치와 접맥하고 있다는 예악인식과도 결부된다. 문학과 樂을 정치와 연결시키는 것은 동아시아의 오래된 사유이며, 이 같은 사유와 맞물려 사회미학은 더욱 그 含意를 확충시켰다. 조선조 일부 人들은 고려조의 멸망을 퇴폐적 악무와 문약에 흐른 문단도 일인을 담당했다고 한 것은 문학을 정치와 결부시킨 사례이다. 사실 조선조는 개국과 더불어 문학과 악무를 효율적으로 활용했다. “龍飛御天歌, 文德曲, 新都歌” 등도 개국을 합리화하고 예찬하는 사회미학적 악무관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다. 고려조의 사회상을 일정한 선에서 대변한「翰林別曲」을 위시한 歌曲들을 退溪가 “矜豪放蕩 褻慢戱狎”하다고 비평한 것 역시 시가를 사회상과 연결시킨 예이다. 4. 性情美學의 確立 16세기 사림파들은 사회미학의 범박한 주제영역에 불만을 느껴 지양한 성리학적 이데올로기에 부합되는 새로운 문예미학을 찾기 시작했다. 사림파가 성리학을 저변으로 한 미학사상을 창출하기 위해 우선 그들이 비판했던 吟風詠月的 시풍과 雕蟲篆刻的 수사기교와 절제되지 않은 서정과 男女相悅的 주제의식 및 時事의 부정적 인식 등은 응당 배척되어야 했다. 16세기 사림파들은 위에 열거한 주제영역을 배제하고 “吟詠性情”만을 오로지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또 이를 실천했다. 이 같은 과정을 거쳐 그들이 어렵게 창출한 새로운 미학이 바로 “性情美學”이다. 16세기에 들어와서 조선조 士人들은 모두 성리학자였고, 따라서 “理氣說”과 “人心道心說”에 수반된 “性情論”은 그 深淺의 차이는 있었지만 상식이었다. 七情이 비뚤게 발출되면 人欲이 되는 바, 이 인욕은 문학의 주제가 되어서 않된다는 미의식은 조선조 오백년 동안의 주류가 되었다. 일상생활 중 직발된 칠정의 향유는 쉽지가 않고, 오히려 횡발된 칠정을 경험하는 일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성정지정”과 더불어 “性情之邪”도 함께하는 삶의 와중에, 자칫 성정미학적 주제에서 벗어난 부분을 시문으로 형상할 소지가 보다 많았기 때문에, 조선조 士人들이 현실문제와 거리를 둔 채 “山水詩”에 탐닉했던 것일까. 山水의 詩的 形象도 제한되어 산수의 미를 형상하는 것을 저급하다고 인식하여, 돌 한 덩어리와 나무 한 그루 풀 한 포기도 “天理”와 “道心”에 연결시켜야 한다고 주장 했다. “山水詩 ”는 竹林七賢 유의 시인 군이 나타날 소지가 많다. 조선조는 고려조와 달리 “悅目娛耳”적 美的 山水詩가 풍부하지 않은 까닭 역시 성정미학과 관계가 있다. 5. 天機美學과 性靈美學의 擡頭 시인의 자연스런 서정을 방해하는 “성정론” 대신 “天機論”을 수용하여 17세 무렵 시는 “天機”를 형상해야 한다는 시풍이 일어났다. “天機流動”은 “吟詠性情”과 대응되는 용어이다. “성정”과 “천기”의 含意는 다르다. 인간의 심성을 성리학적 性情論으로부터 해방시켜 현실의 부정적인 사실과, 외물과 접촉하여 억제되지 않고 발로된 자연스런 정감도, 시의 주제로 편입되어야 한다는 인식의 전환과 연결된다. “天機”는『莊子 -大宗師』편에 나오는데, 인간이 타고난 천품과 본성을 의미한다. “성정” 대신 “천기”를 사용한 것은 시창작에 있어서 자연스런 정감의 발로를 더 이상 막지 말아야 한다는 선언이다. 장자도 인간의 본능적 욕망을 심하게 노출시키는 자를 일컬어 천기가 천박하다(其嗜欲深者 其天機淺. -大宗師).라고 했고, 기욕이 심한 자는 정욕이 많은 자를 뜻한다고 해석했다. 16세기 전 후 일반화 된 “음영성정” 대신 “천기유동”이라 일컬은 이유는 무엇일까. “天機”는 “天意” 나 “靈機”라는 견해도 있다. “천기”를 시문창작에 적용시킨 것은 “성정미학”을 준거로 한 획일화된 意境에 대한 불만과 관련이 있다. “천기미학”은 宋代 말엽 풍미하던 主理的 관념시에 대한 비판의식이 내재된 嚴羽의 “興趣”설과도 관련이 있다. “흥취”를 중시할 경우 음영성정적 묘사와는 거리가 생기고, 신비적 “妙悟”설이 부각된다. 따라서 宋詩의 관념성을 부정한 엄우는 또 하나의 새로운 관념론을 제시했다는 비판도 있다. 17세기 조선조에 제기된 “천기미학”은 “性情論”과 “興趣論” 및 王夫之(1619-1692)의 “客觀論”등이 혼융하는 과정에서 생긴 미학이다. 6. 東亞細亞 文藝美學의 推移와 韓國文壇 『朱子大全』이후 성리학에 관련된 서적의 유입이 주춤해진 것과 달리, 문예미학에 수반된 책들은 한층 증가했다. 이 같은 문헌들의 유입에 힘입어 고려를 지나 조선조에 걸친 문단에 수준 높은 미학사상이 전개된 것이다. 이를 대체적으로 요약하면 “社會美學”을 필두로 “性情美學”, “天機美學”, “性靈美學” 등의 미학사상이 보급되어 창작과 비평의 척도가 되었다. 이들 미학사상 이외에 여러 각종 미학견해들도 존재했을 것이지만, 가장 영향력을 발휘한 것이 상기 四大 “美學思想”이었다.한국의 역대 시인 묵객들은 시 창작 못지않게 시론과 시 비평에도 관심을 경주했다. 중원에서 새로운 미학사상이 대두되면 동아시아 어떤 나라보다 앞서 이를 신속하게 받아들여 시작과 시 비평에 활용했다. “韓國漢文學”에 具顯된 通時的 美學思想은 中原의 文壇과 호흡을 같이 하면서 부침을 거듭했지만, 각종 美學思想 중 “性情美學” 만은 항상 일정한 지분을 가진 체 저변에 흐르고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그 영향력이 지속되고 있다.
4,000원
5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經典 工夫가 시작된 것은 三國時代때 세운 學校의 儒敎經典 敎育이 그 歷史的 始初를 이룬다. 以後統一新羅 高麗 朝鮮을 거치면서 韓國 漢字文化의 形成에 儒敎經典 工夫는 絶對的 影響을 미쳤다. 高句麗는 三國時代 第一 먼저 中國으로부터 漢字를 받아들여 百濟와 新羅로 傳播하였다. 高句麗는 當代 中國 周邊 國家 가운데 가장 發達된 最高의 漢字文化 水準을 보여주었다. 高句麗의 敎育機關인 太學은 高句麗가 中國으로부터 漢字와 儒敎文化를 받아들여 高句麗에 맞는 敎育制度로 定着시킨 歷史的 産物이다. 太學은 이 땅에 自主的인 精神的 文化的 敎育機關의 門을 열어 韓國歷史에 있어 儒敎理念에 의한 悠久한 國立學校 傳統을 樹立하였다. 淵蓋蘇文이 主張한 ‘三敎鼎足說’은 高句麗가 漢字 文化와 함께 받아들인 儒敎 佛敎 道敎 文化를 高句麗의 精神文化로 體化한 重要한 徵表이다. 廣開土大王碑는 高句麗만의 文化遺産이 아니다. 廣開土大王碑는 韓國人의 文化遺産으로 最高의 歷史的, 文化史的, 思想史的, 藝術史的, 漢文學史的 價値를 모두 지닌 最高의 寶物이다. 儒敎經典 工夫라는 問題와의 聯關성에 局限해서 본다면 廣開土大王碑의 內容에 보이는 高句麗의 政治哲學은 儒敎 經典인 『書經』의 가르침인 敬天愛人과 一脈相通한다. 廣開土大王碑는 傳統的인 韓國人의 固有思想과 儒敎와의 만남이 이룩해낸 高句麗 統治哲學의 完成을 보여준 傑作이다.
54.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국에서 한자를 사용한 지 1000년이 넘었고 한자와 한자어는 한국 언어의 골간을 이룬다. 한국 한자어는 오랜 세월을 지나는 동안 적지 않을 변화를 겪고 나서 독특한 한국 언어문화를 만들어낸다. 조선 시대에 莊子나 老子에서 나온 글로는 과거에 합격할 수 없었고, 중국 소설 문체도 사용이 금지 되었다. 이런 배경은 한국 한자어 특징을 이루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이 글은 한국 한자어의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다음 5 가지 경우로 나누어 살펴 보고자 한다. 첫째, 한국의 한자어를 일본의 當用漢字를 改正한 常用漢字, 그리고 중국어 한자어와 字形을 비도 해보았다. 한국어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한자어와 차이를 살펴보았고 중국어는 바이두에서 사전에서 검색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한자어의 자형은 상용한자, 중국 한자어를 혼용하여 사용한다. 이는 한국 한자어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한국 한자어를 중국 한자어와 비교하였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그 용법이나 설명에 있어 중국 한자어에 비하여 간단하고, 세밀하지 못하다. 셋째, 한국 한자어는 중국 한자어를 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두 글자의 중국 한자어 중에 [서술어+목적어]로 되어 있는 경우는 변용되거나 뒤에 ‘하다’라는 말을 붙이곤 한다. 넷째, 한국어AB=BA 형식이다. 본고에서는 기존 연구를 소개하는 데 그친다. 한국어 한자어의 중요한 특징으로 그 뜻이 중국 한자어와 어떤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 또 어떤 의미 차이가 보이는 것에 대해서는 연구할 여지가 있다고 본다. 다섯째, 기타 특징으로 고대어와 유교문화, 불교 문화, 나아가서는 일본 근대 한자어 같은 것도 한국 한자어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이미 어느 정도 학계의 성과가 있지만 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 글에서는 다루지 못한다.
55.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ommonly used word historical evolution research is one of Chinese glossary history research important topics. The verbs Relevant to plant is in Chinese the important commonly used glossary from the pre-qin until the modern age. According to the historical literature,this article carries on the investigation to this kind of verb in each historical period evolution situation, and tries to find their characteristic .The research for the commonly used word to provide the document reference.
56.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關於漢字傳來的途徑,李成市教授説;‘與其説日本直接吸収漢字文化,不如應該説朝鮮半島先吸収了漢字文化,而日本經朝鮮半島間接吸収才對。’  由衛氏朝鮮至南北國時代正是楷書體形成的時期,而朝鮮半島是在巨大変化之中。本研究是透過追尋異體字‘塩’字形的痕跡,來看漢字字體怎樣変化。‘塩’字形的發展軌跡調査的目標是:(1)‘塩’字形在此時代怎樣演變?(2)字形変化是否受到鮮卑、契丹等中國北方異族的影響? 現時,‘扶餘陵山里寺跡木簡304號’後面有被視為‘(送)塩一石’中的‘塩’字形與日本奈良平城京木簡的木簡編號323號的‘塩’字形及長屋王邸跡發現的遺跡編號SD4750的‘塩’字形一様。是‘塩’字形與‘  ’字形的中間的字形。而日本聖武天皇的‘雜集’(731)‘渇急反求塩’中的‘塩’字形,在朝鮮半島還未發現。如果在古朝鮮時代的痕跡中發現‘塩’字形的話,就可作為日本的漢字經朝鮮半島傳入的佐証。
57.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논문은 최근까지 한자 讀音의 시비로 인해 발생한 구체적 사례 몇 가지를 통해서 한자 독음을 통일해야 할 당위성과 필요성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였고, 아울러 20세기를 전후하여 한자 독음의 극심한 변화 양상을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한자 독음은 기본적으로 중국에 그 뿌리를 두고 있지만 세월이 지나면서 조금씩 변하기 시작하였고, 결국 우리식의 독음이 생기게 되었다. 이 속음이 광범하게 유포되자, 18세기의 음운학자들은 가능한 속음을 폐기하고, 중국의 독음과 가까운 正音으로의 회복을 시도하였다. 18세기 이후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여러 韻書와 자전들은 이를 목적으로 발간된 책자이었다. 그러나 그러한 노력과 시도는 결국 실패하였다. 당시 발간된 책자에서 속음으로 처리된 독음이 오히려 오늘날 출간된 사전에서는 그 한자의 독음으로 자리를 잡고 있기 때문이다. 한자 독음에 대한 언어 대중의 관습을 거스를 수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한자 독음의 극심한 변화는 결국 한자를 배운 사람들의 나이에 따라서, 혹은 출판된 사전에 따라서 그대로 반영이 됨으로서 한자 독음에 대한 시비를 여전히 생기게 만들었다. 한자 독음의 시비에서 어떤 독음이 옳고 그른가에 대한 문제는 특정 개인의 주장이나 특정 출판사의 책으로 정할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 보다 한자 한문을 전공한 학자들이 참여하여 학술적 토론을 거치고 또 공론화 과정을 거쳐서 정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이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 이제 「한자․한문교육연구회」는 주도적으로 대처하는 주체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학회가 떠맡아야 할 책임과 의무이기도 하다.
58.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에 관한 「進箚」를 올렸다. 그는 이 글이 충서의 글이라고 밝히면서, 주로 四書六經과 眞德秀 (1178~1235)의 『大學衍義』를 본떠서 편술하였고, 아울러 程子와 朱子의 학설을 보충하여 改進하였다고 한다. 이 책의 주요 구성은 修己․治人의 유교적 도를 설명하는 大學』과 『中庸』을 「統說」로 삼고, 이어서「修己」,「正家」,「爲政」,「聖賢道統」의 순서로 전개되는데, 그 분량은『栗谷全書』의 약 25%에 해당한다. 이 책을 편찬한 주된 목적이 ‘리더’로서의 제왕을 만들기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주로 유교적 이상 정치를 실천하는 내용들로 편성되어 있다. 그런데 본고는 이러한 제왕교육서인 성학집요의 「수기편」을 오늘날 화두가 되고 있는 리더십교육의 관점으로 조망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았다. 오늘날의 리더십 교육은 대체로 서구권의 연구 업적을 수용하고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리더십을 『聖學輯要』에서 찾는 것은 단순한 古代로의 역행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리더는 어느 시대 사회에서나 필요한 존재였다. 인간이 혼자 살수 없는 존재인 이상, 사회조직을 이끄는 리더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임에 틀림없다. 이에 본고는 오늘날의 리더양성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으면서 성학집요 수기편을 살펴보았다.
59.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hort essay studies the two Bushido comparatively, one is the Bushido of Silla that is called the hwa-rang & hwa-rang-do, the other is the Bushido of Satsuma feudal clan that is called the Hego-nise. “Sam-gug sa-gi”“Sam-gug yu-sa”“Dong-gug tong-kam”are basic documents of the Bushido of Silla. The timing when their books were transmitted into Japan shall be the most important and crucial points, because it suggests whether Silla Bushido has given any influence upon the formation of the Satsuma Bushido. This short essay try to search and to confirm the detailed definite time when “Dong-gug tong-kam”is transmitted into Japan, by analyzing the preface of “Dong-gug tong-kam”in the Historiographical Institude of Tokyo University and by way through clarifying following points, ① Who did published the “Dong-gug tong-kam”in Tokyo University? ② When was it published? ③ Who is it to have added guiding marks for rendering classical Chinese into Japanese? ④ others.
60.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字彙』는 해서 자형 구조에 근거하여『설문』의 540부수를 214개로 간소하게 줄이고, 필획배열법이라는 획기적인 부수 및 한자 배열법을 확립하여 문자학, 사전학에서의 가치가 대단히 높다. 본논문은 『字彙』가 『설문』540부수를 개혁하는 과정에서 작용한 개혁 원칙을 밝혔다.『자휘』는 당시 유행하던 통속자를 수록하여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자를 규범화하는 게 목적이었던 만큼 자전 이용의 편의성과 통속성을 가장 중요시 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설문 부수를 연용해 쓰기는 했지만, 그 가운데서도 잘 쓰이지 않는 부수-空頭部首, 同形複體 부수, 도태된 한자로 된 부수 등-를 삭제하여 부수의 수를 거의 반 이상 줄여 사용자이 편의를 증강하였으며, 새로이 한자의 부수귀납을 정리하는 과정에서도 기존의 부수를 최대한 활용하여 가능한 새로운 부수의 창출을 줄여 부수체계가 번잡해 지지 않도록 노력했다. 새로이 부수를 재 귀납 하는 과정에서는 해서의 자형을 기준으로 하여 자형이 유사하거나 공동의 부건을 가진 부수들을 한데 모아, 다시 의미적 연관을 가지는 지를 파악하여 부수를 상호 병합시켰다. 자형이 유사하거나 공동의 부건을 가진 부수끼리 모았을 때 어떤 부수를 선택하여 귀납할 지는 오로지 그 부수의 통속성, 대중성에 따랐다. 즉 좀 더 많이 사용되고, 의미 범위가 더 넓은 부수를 남겨 나머지 부수를 병합하도록 하였다. 부수를 쉽게 귀납하고 자전 이용에 편의를 더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새로운 부수를 창출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자휘의 부수 개혁에는 연용, 삭제, 병합, 창출이라는 대원칙이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효과적으로 해서 자형을 귀납할 수 있는 부수를 정비해 나갔다. 자휘 부수의 특징은 『字彙』는 해서체의 자형을 기초로 불필요한 부수를 정리하여 부수체계를 간소하게 하였으며 검자의 편리성을 높였다는 것이다.『字彙』는 때로는 부수를 부호로 간주하기도 한다. 이는 매응조가 이미 한자 필획의 부호성을 인지하고, 실천을 통해 의식적으로 자의의 연관성에 의한 부수 귀납, 즉 ‘以義歸部’의 속박을 벗어나 해서 자형에 맞도록 부수 귀납을 재편성해냈음을 말한다. 『字彙』는 또 ‘필획배열법’에 의해 철저하게 ‘數’의 개념에 입각하여 부수와 각 부수의 소속자를 배열하였다. 또 같은 획수끼리 묶인 부수를 다시 십이간지에 의해 분류 병합하고, 각 부수에 속하는 한자의 수와 같이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모든 간지마다 부수가 20개에서 29개 정도 병합되고 글자 수도 고르고 체계적으로 배열되도록 하였다. 『자휘』는 그 이전의 자서들이 이룩하지 못했던 부수개혁의 경지를 초월하여『설문해자』부수를 계승함과 동시에 그것을 전면적으로 개혁하였고, ‘필획배열법’을 확립하여 자서 이용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높였으며, 후에 편찬된『正字通』,『康熙字典』,『中華大字典』,『辭海』,『辭源』등은 모두 『자휘』의 부수체계를 채택하는 등 후세 사서 편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