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consumer recognition with regard to the safety management for imported food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prgram on consumer education, the program was practiced for 89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Korea. The participants were given an instruction with materials on imported food safety, including the safety management of imported foods and their distribu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achieved a greater understanding of imported foods. In particular, they had firmly grasped the importance of expiration date in selecting imported foods. Before the instruction, 50.6% of total participants blamed the Korean government for the problems arising from imported foods; only 18.0% placed the blame on individuals or businesses importing from foreign countries. After the instruction, 39.3% had blamed the individuals or businesses importing from foreign countries. Furthermore, 36.0% had disapproved of the foods that are imported from China before the instruction, while 32.6% found objectionable the views on the illegally distributed foods; 29.2% criticized the junk foods that target children (after the instruction). In addition, the level of participant satisfaction via-a-vis imported foods safety supervision had improved from 2.76 ± 1.59(before the instruction) to 3.37 ± 1.58(after the instruc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sumers are concerned with the imported foods that contain adulterated or forbidden substances and the illegally distributed foods from foreign countries. Thus, consistent and informative educational programs on imported food safety could help consumers in choosing safer products, resulting in an improvement in the consumer confidence with respect to imported foods.
UV 경화형 수지를 바인더로 활용하고 다양한 크기, 형태, 재질의 입자를 첨가하여 분산시킨 분
산액을 TAC(triacetylcellulose) 필름에 코팅한 후 경화시켜 난반사필름을 제조 하는데 이때 투입된 입
자들이 필름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입자의 형태가 구형 일 때 표면요철 형성에
유리하며 크기가 작은 입자보다는 큰 입자를 사용할 때 표면요철 형성이 용이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입자의 재질이 표면요철에 미치는 영향은 입자의 크기나 형태에 의한 영향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았다. 입자와 바인더 수지는 각각 굴절율이 다르며 이에 따라서 바인더수지와 입자의 굴절율 차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입자의 재질에 따라 PS(polystyrene), silica, PMMA(poly(methyl
methacrylate)) 순서로 total haze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Government and company are unfolding greenhouse gas reduction activity to prevent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Also, verification business through greenhouse gas inventory construction is spreaded variously. Greenhouse gas verification proceeds by document examination, risk analysis, field survey. Document investigates emission information, calculation standard, emission report, data management system. And through risk assessment result, establish field verification plan. Through study on risk assessment of greenhouse gas inventory verification, wish to reduce risk of verification.
A two-step recovery method was developed to produce copper powders from copper chloride waste solution as byproducts of MoO leaching process. The first step consisted of replacing noble copper ions with external Fe ions which were formed by dissolving iron scraps in the copper chloride waste solution. The replaced copper ions were subsequently precipitated as copper powders. The second step was cementation of entire solution mixture to separate (pure) copper powders from aqueous solution of iron chloride. Cementation process variables of temperature, time, and added amount of iron scraps were optimized by using design of experiment method and individual effects on yield and efficiency of copper powder recovery were investigated. Copper powders thus obtained from cementation process were further characterized using various analytical tools such as XRD, SEM-EDS and laser diffraction and scattering methods.Cementation process necessitated further purification of recovered copper powders and centrifugal separation method was employed, which successfully yielded copper powders of more than 99% purity and average 12m in size.
버섯은 균류 중에서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크기의 자실 체를 형성하는 무리를 총칭하는 것으로 표고버섯, 느타리버 섯, 양송이버섯, 송이버섯, 팽이버섯 등 우리가 식용으로 하 는 대부분의 버섯은 균류 중 담자균류에 속하며, 독특한 맛 과 질감, 향기 및 생리활성 효과를 지니고 있는 우수한 식품 이다. 본 연구에서는 버섯가공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 료로 버섯 선호도와 섭취빈도 등을 알아보고, 버섯가공식품 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총 조사 대상자는 1173명으로 성별로는 남자가 370명(31.5%), 여자가 803명 (68.5%)이었고, 조사대상자의 333명(28.5%)이 새송이 버 섯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 구입 시 가장 고 려해야할 사항으로 신선도·위생 상태를 응답하였으며, 버 섯가공식품을 구입해본 경험이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한 결 과, 조사대상자의 55.5%가 먹기 위하여 구입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다. 버섯가공식품 구입 시 고려할 사항으로 맛의 향 상을 1위로 응답하였으며, 새로운 버섯가공식품을 개발할 경 우, 연령별 선호하는 제품을 조사한 결과 20대-60대 이상의 모든 연령층에서 스프와 죽을 가장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이 결과를 토대로 버섯을 첨가한 제품 5종; 쿠키, 젓갈, 다 목적 기능성 밀가루, 어묵, 햄버거 패티를 개발하였으며, 특 히 다목적 기능성 밀가루의 경우 많은 식품에 다양하게 응용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버섯은 균류 중에서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크기의 자실체를 형성하는 무리를 총칭하는 것으로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양송이버섯, 송이버섯, 팽이버섯 등 우리가 식용으로 하는 대부분의 버섯은 균류 중 담자균류에 속하며, 독특한 맛과 질감, 향기 및 생리활성 효과를 지니고 있는 우수한 식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버섯가공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버섯 선호도와 섭취빈도 등을 알아보고, 버섯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총 조사 대상자는 1173명으로 성별로는 남자가 370명(31.5%), 여자가 803명(68.5%)이었고, 조사대상자의 333명(28.5%)이 새송이 버섯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 구입 시 가장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신선도·위생 상태를 응답하였으며, 버섯가공식품을 구입해본 경험이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55.5%가 먹기 위하여 구입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다. 버섯가공식품 구입 시 고려할 사항으로 맛의 향상을 1위로 응답하였으며, 새로운 버섯가공식품을 개발할 경우, 연령별 선호하는 제품을 조사한 결과 20대-60대 이상의 모든 연령층에서 스프와 죽을 가장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버섯을 첨가한 제품 5종; 쿠키, 젓갈, 다목적 기능성 밀가루, 어묵, 햄버거 패티를 개발하였으며, 특히 다목적 기능성 밀가루의 경우 많은 식품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Cinnamate를 곁사슬로 포함하는 감광성 고분자를 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로부터 합성하였다. Cinnamate 기가 25에서 97mol%까지 치환된 감광성 고분자를 PHEMA와 cinnamoyl chloride의 반응을 통해 합성하였으며, 반응 조건에 따른 치환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합성된 고분자는 H-NMR과 FT-IR을 이용하여 구조 확인하였으며, DSC와 TGA를 이용한 열분석을 행하였다. 얻어진 고분자의 광 반응성은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편광 자외선 조사를 이용한 액정의 광배향 특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fundamental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Indoor Air Quality ( IAQ ) in newly unoccupied apartment un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eld survey of 160 newly unoccupied units with airtight doors and window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HCHO and TVOC were higher than the standards. The emission rates of HCHO and TVOC were proportional to the height. The small chamber test of pollutant concentration for building materials showed that pollutants were emitted dominantly from the wood furnishings and adhesives.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 연구를 통하여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표시 제도를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소비자가 쉽게 건강기능식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공모를 통하여 인증마크를 개발하고 소비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대도시, 중소도시 등 2000명으로 하여 1:1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의 필요도가 매우 높았고, 텍스트 형태보다 텍스트/그래픽이 혼합된 형태의 영양·기능정보의 신뢰도가 높았다. 또한 인체에 작용하는 기전을 포함한 영양·기능정보가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는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건강기능식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표시제도의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