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 운동선수의 열정과 탈진의 인과적 관계에서 정서와 운동 정체성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체육중고교 운동선수 607명(남자=389명, 여자=218명)이었다.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델링, 다집단 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구조방정식모델링의 결과, 운동선수들의 정서와 정체성이 열정과 탈진 증상의 관계를 매개하며, 탈진의 분산 중 30%가 선행변수들에 의해 설명되었다. 다집단 분석의 결과, 남녀 선수 간 경로계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지만, 중고교 선수와 운동경력 집단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운동선수의 정서적/신체적 소진과 평가절하에서 각각 유의한 3원 상호작용(조화열정×강박열정×운동 정체성, 강박열정×긍정적 정서×운동 정체성)과 2원 상호작용(조화열정×부정적 정서, 강박열정×부정적 정서) 효과가 보였다. 본 결과는 긍정적 정서경험과 정체성이 운동선수의 탈진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anaerobic digestion tests for municipal solid wastes were performed in order to estimate their methane production rates. To simulate methane production rate, the first derivatives of the sigmoidal equations were calculated. The sigmoidal equations used were Gompertz and Logistic equations. Also, diauxic growth was employed to simulate methane production rate from municipal solid wastes. The equations were fitted to simulate methane production rate by nonlinear regression with a Marquardt-Levenberg algorithm. This is a statistical analysing methodology to minimize the sum of the square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dicted and measured values. Data fittings obtained by using the equations were compared statistically by using the RMSE (Root mean square error) and AIC (Akaike's information criterion). The equations derived from sigmoidal equations successfully described methane production rate for municipal solid wastes. RMSE and AIC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for the equations considering diauxic growth, compared to the equations without diauxic growth.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quations derived from sigmoidal equations with diauxic growth can be a useful tool to simulate methane production rate for municipal solid wastes.
밀 재배면적 확대를 위해서는 노력절감을 통하여 생산비를 낮추고 농가 소득의 증가와 더불어 수입산 밀과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자 밀 재배 작업의 단계별 체계적인 기계화로 노력절감 및 기계 이용효율 효과를 분석한 다음과 같다. 1. 밀 재배 작업 중 복토작업이 ha당 683분이 소요되어 작업소요시간이 가장 길었으며, 파종단계인 파종, 시비와 복토작업을 한번에 할 수 있는 동시작업기 이용, 제초제 살포는 승용살포기 이용으로 노력절감을 최소화 할 수 있었다. 2. 밀 파종에서 수확까지의 작업 소요시간은 ha당 부분 기계화 작업인 관행(인력)의 118시간 대비 트랙터부 착용 살포기로 밑거름 시비와 파종+트랙터부착용 배토기로 복토+승용관리기 제초제 살포+트랙터부착용 살포기로 웃거름 살포+콤바인 수확 작업체계(작업체계 I)에서 26시간으로 78% 절감되었으며, 작업체계 I에서 파종단계인 시비, 파종, 복토 작업을 트랙터부착용 동시작업기 활용 작업(작업체계 II)으로 18시간으로 85%가 절감되었다. 3. 밀의 생육, 수량구성요소 등 모두 인력에 비해 기계파종이 짧거나 적어서 수량도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기계파종 방법에 따라 적합한 파종량 설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어 졌다. 4. 기계화에 따른 기계비용 부담을 감안하여 볼 때 손익분기점은 작업체계 I은 3.7ha, 작업체계 II는 4.2 ha로 판단되었으며, 농가 소득은 ha당 각각 778,110원, 849,930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The phenolic compounds which were extracted with 70% ethanol from Ulmus pumila for 12 hr were the highest as 17.9±1.0 mg/g. DPPH scavenging activity of 70% ethanol extracts was also the highest as 89.5±1.9% and it was confirmed to be high as 80% over in both of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containing 50 μg/mL over phenolic concentration.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ctivities of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were higher as 96.8±2.9%,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 was 2.0 PF in 70% ethanol and showed higher activities in both of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containing 200 μg/mL phenolic concentration as 2.5 PF than BHA. TBARs of 70% ethanol extracts was 86.5±4.6%, it showed high anti-oxidative activity in 50∼200 μg/mL phenolic concentrations of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as 80% over. Th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of Ulmus pumila extracts against hypertension was 77.4% and 90.6% in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of 200 μg/mL phenolic concentration.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of Ulmus pumila extracts for anti-gout effect was not observed in water extracts, but it showed 30% inhibitory activity in 70% ethanol extracts, and 48.1% at 200 μg/mL phenolics concentration.
In this study, purple sweet potato muffins were made with the addition of 0, 25, 50, 75, and 100% rice flour, and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The weight and height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rice flour added. The moisture content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rice flour added increased, the pH and acidity decreased.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of the rice flour decreased significantly, but the red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purple sweet potato content. The textural properties, such as the cohesive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s with added rice flou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urple sweet potato muffins to which 50 and 75% rice flour were added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lavor among the samples. The chewiness was higher with 50, 75, and 100% rice flour than with 0 and 25% rice flour. The groups with 50 and 75% rice flour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overall accept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수발아 평가와 GI 평가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고, GI 평가는 년차간 변이를 나타내지 않아서 향후 수발아 저항성 계통 평가에 활용이 가능하지만 품종과 연차간 상호작용에서 변이가 나타나기 대문에 향후 지속적인 평가를 통하여 활용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수강밀과 우리밀은 수발아율과 GI 모두 낮게 나타나서 수발아 저항성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국내 밀 품종에는 없지만 수발아 저항성 외국 자원에서 나타나는 Vp-1Bb와 Vp-1Bf는 수발아 저항성 증진을 위해 도입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염색체 4AL에 존재하며 외국 밀 품종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SSR 마커인 ZXQ118와 Xhbe03를 이용하여 국내 밀 품종을 평가한 결과, 국내 밀 품종의 변이 폭이 다양하지 않아 이들 표지 인자를 이용하여 수발아 저항성 품종을 구별하기는 어려웠기 때문에 앞으로 국내 밀에서 수발아 저항성 계통 선발에 활용이 가능한 마커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dechlorination processes and efficiencies of PCBs contained in transformer dielectric oils were investigated on three commercial-treatment companies. Alkaline dispersion method was used for dechlorination of PCBs mainly using molten metallic sodium or potasium hydroxide with PEG, and its dechlorination efficiency to whole congeners of PCBs was 98.94% on average. Homologues of highly-chlorinated biphenyls showed better efficiencies than those of less chlorinated ones, especially mono-chlorinated biphenyl in para-position (#2) was about 37 times enriched after chemical treatment. Co-planar PCBs' dechlorination efficiency was averaged as high as 99.78%, but 3,3',4,4'-TeCB was relatively low as 96.5%. It was suggested for better dechlorination efficiency to remove the water in transformer oil prior to chemical reaction and to stir the reagents more rapidly when using alkaline dispersion metho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학생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성별, 학교급, 운동경력에 따라 운동 정체성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체육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선수 609명(19개 종목)이었으며, 연령은 12세에서 18세(M=15.18±1.65)까지 분포되어 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사용된 도구는 운동 정체성 측정도구(AIMS)를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한 국내판 AIMS이다.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성별, 학교급 및 운동경력에 따라 운동 정체성 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 통계와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부정적 정서성에서만 나타났다. 둘째, 학교급 간 유의한 차이는 사회적 정체성과 배타성에서만 나타났다. 셋째, 운동경력간 유의한 차이는 사회적 정체성에서만 나타났다. 넷째, 세 가지 하위요인 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발달심리학과 스포츠 환경의 특수성이라는 관점에서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In previous research, it was found that waste oil was effective on resisting carbonation of concrete.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waste oil on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concrete when blast furnace slag with high volume is used as a partial replacement of cement.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waste oil in the concretes decreased slump and air content, but further reduction was not observed as the amount of the waste oil further increased. In addition, the waste oil had a little impact on deteriorat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s.
Concrete is generally accepted to have good fire resistance. It mainly relies on the assumption that concrete has low heat-transfer characteristic and spalling does not occur during the course of a fire. However, the significant numbers of fire accidents have shown in recent years that incidence of spalling has caused sever damages to many structures. This research has investigated a series of catastrophic tunnel fires and tested on the behaviour properties of concrete in association with loading in fire. This paper present that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are used the information of concrete spalling.
Abnormal change in Gyeongpo beach shoreline in June of 2012 was illustrated using DGPS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resolution < 0.6m) observation and drift experiment. Abrupt change in the shoreline was occurred in the latter part of June, 2012, this change was compared with that in June from 2009 to 2011. In the northern part of the beach, sand accumulated and it made beach extension and movement of the shoreline towards sea compared with that in June from 2009 to 2011. While on the other, in the southern part, the beach was eroded and it formed a steep slope around the southernmost of the beach. The shorelin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beach was shifted more towards land than that in the past. Change in the position of shoreline was higher in the northernmost and southernmost of the beach compared with those in the other parts. Drift in the southern part of the beach moved faster along the beach than that in the northern part of it.
본 연구는 두부 컴퓨터 단층 촬영 검사 시 적응식 통계적 반복 재구성법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노이즈 및 화질평가, 피폭선량의 감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부 CT 검사 시 ASIR를 적용하지 않은 군[A군], ASIR 50 % 적용한군 [B군]으로 나누어 검사하였다. 팬텀연구에서 측정된 CT 노이즈 평균값의 측정결과는 B군이 A군보다 중심부(A)와 주변부(B, C, D)에서 각 각 46.9 %, 48.2 %, 43.2 %, 47.9 %가 감소되었다. 영상화질 평가에서 정량적 분석방법으로 CT 값(number)을 측정하여 잡음(noise) 정도를 분석하였다. 영상 잡음은 A군과 B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A군이 B군보다 영상 잡음이 유의하게 높았다(group A ;우엽에서 31.87 HU, 좌엽에서 31.78HU, group B ; 우엽에서 26.6 HU, 좌엽에서 30.42 HU : P<0.05). 영상의 정성적 평가방법으로 두부 임상 영상 평가표에 의해 평가한 결과 80점 만점에 A군의 관찰자 1의 점수는 73.17 점, 관찰자 2의 점수는 74.2 점으로 평가하였으며, B군의 관찰자 1의 점수는 71.77 점, 관찰자 2의 점수는 72.47 점으로 평가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05), 진단에 적절한 영상을 보였다. 피폭선량은 ASIR 50 % 적용하여 검사함으로써 영상의 질적 저하 없이방사선 피폭선량을 47.6 % 감소 시킬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임상 부위에 ASIR가 적용이 된다면 훨씬 더 적은 선량으로도 검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검사 시에 검사자가 판단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요인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grobacterium vector를 이용한 세포사멸 억제유전자인 AtBI-1(Arabidopsis thaliana Bax Inhibitor-1)을 벼에 도입하기 위하여, 벼품종별 식물체 재분화 능력과 AtBI-1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체 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벼의 품종별 식물체 재분화 능력을 조사한바 자포니카형 벼가 인디카형 및 통일형 벼에 비해 식물체 재분화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공시 품종 중에서 일품벼의 식물체 재분화율(7%)이 가장 높았다. 배양용기별 식물체 재분화 능력을 조사한바, petri-dish에서 보다 시험관에서 식물체 재분화율이 높았다. 4주동안 자란 ‘일품’ 유래의 callus를 Agrobacterium과 co-cultivation한 후 kanamycin과 carbenicillin이 첨가된 재분화 배지에 이식하였을 때 12.0%의 가장 높은 형질전환율을 나타내었다. 형질전환된 식물체의 genomic DNA를 이용한 PCR 결과는 Bin-AtBI-1-GFP 유전자는 1 kb 부근에 삽입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Southern blot 분석에서도 확인이 되었다. 형질전환체의 CLSM(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분석에서 잎, 줄기, 뿌리에서 GFP가 발현되어 형광색을 띄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